KR101967362B1 - 광전송 카테터 - Google Patents

광전송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362B1
KR101967362B1 KR1020170119244A KR20170119244A KR101967362B1 KR 101967362 B1 KR101967362 B1 KR 101967362B1 KR 1020170119244 A KR1020170119244 A KR 1020170119244A KR 20170119244 A KR20170119244 A KR 20170119244A KR 101967362 B1 KR101967362 B1 KR 10196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optical fiber
tube
protective cap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611A (ko
Inventor
신일균
김정현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3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 A61B18/24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or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44Features of optical fibre cables, e.g. clad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전송 카테터에 의해 시술부위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테터를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으로 삽입할 때, 광섬유의 끝단에 의해 상기 광전송장치 채널의 내면이 손상되는 방지하기 위한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전송 카테터는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내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부를 관통하며, 레이저가 투과되는 광섬유; 상기 튜브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중심이 천공되어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보호캡; 및 상기 광섬유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전송 카테터{OPTICAL DELIVERY CATHETER}
본 발명은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전송 카테터 끝단에 의한 광전송장치 채널의 내면손상을 방지하고, 시술부위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광전송장치을 이용한 치료분야는 특히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야로 인정된다. 광전송장치을 이용한 치료광전송장치, 즉 광전송장치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 기술의 발전, 작업채널(working channel)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즉, 예컨대 과거에는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던 위암은 광전송장치의 등장과 부속기구의 발전 등으로 인하여 그 조기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혈관 질환에 있어서는 광간선 단층 촬영법(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사용하고 있으며, 인체의 혈관 등의 내부 구조를 형상화하기 위해 공간적인 해상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간섭 단층 촬영법은 두가지의 적외선 빛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크롬 등을 사용한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저의 광(빛 에너지)을 인체에 삽입한 카테터(catheter, 도뇨관)를 통해 조사하여 목표로 하는 신체기관의 표면에서 반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체기관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카테터를 따라 되돌아오며, 이때 되돌아오는 광과 별도의 광을 간섭시킨다. 이때, 두가지 광의 상호 작용을 통해 광자의 위치와 어떻게 반사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각종 광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광전송 장치는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전송장치(10), 카테터(20), 정보처리기기(3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전송장치(10)은 광전송장치 채널(11)을 치료를 위해 인체의 입이나 항문으로 삽입되고, 조작부(13)를 이용하여 광전송장치(10)을 컨트롤한다. 이때, 융종과 같은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서 광전송장치 채널(11)의 관통공(12)으로 카테터(20)를 삽입한다. 상기 카테터(20)는 튜브(21)와 전도성 절제커터(21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 절제커터(21a)는 광전송 카테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광전송 카테터는 레이저를 발신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광전송장치 점막하 절개 박리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도성 절제커터(21a)는 전기를 환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도성(conductive)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 절제커터(21a)의 후단부에는 와이어가 결합된다. 위 내벽의 환부(50)를 절개 시술하고자 할 때, 그 절개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마킹작업을 한다. 마킹작업은 상기 전도성 절제커터(21a)를 이용하여, 환부(50) 주위에 복수개의 마킹표시(60)를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마킹표시(60)는 전도성 절제커터(21a)를 이용하여 점막표면이 전기적 국소열해를 입게하여 변색(대개 흰색으로 변색됨)시킨다. 마킹작업이 끝난 이후, 마킹된 내부 위치에서 절제커터(21a)로 점막층(40)을 뚫고 그 점막하층(41) 내지 그 하부의 근육층(42) 경계까지 삽입한 다음 약물(예컨대 생리 식염수)을 주입함으로써 환부(50)를 포함한 마킹표시(60) 내부의 점막층(40)을 근육층(42)으로부터 분리하여 부풀어 오르게 한다. 이후, 절개하고자 마킹표시한 부위의 점막하층(41)까지 상기 전도성 절제커터(21a)를 이용하여, 마킹위치를 따라 환형으로 절개한다.
최근에는 전도성 절제커터(21a) 대신 치료 효과가 우수한 광전송 카테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광전송 카테터는 광전송장치 장비의 카테터 관통공으로 삽입될 때, 상기 광전송 카테터의 끝단에 의해 광전송장치 카테터 내부가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광전송 카테터를 광전송장치 카테터로 삽압되더라도, 상기 광전송 카테터를 시술병변부위에서 길이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시술 시 시술부위에 천공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6554호("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등록일 2006.06.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전송 카테터에 의해 시술부위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터를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으로 삽입할 때, 광섬유의 끝단에 의해 상기 광전송장치 채널의 내면이 손상되는 방지할 수 있는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전송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내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부를 관통하며, 레이저가 투과되는 광섬유; 상기 튜브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중심이 천공되어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보호캡; 및 상기 광섬유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캡은 끝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튜브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튜브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일정 간격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광섬유의 일측 끝단에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광섬유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보호캡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는 상기 튜브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광섬유이 관통되는 카테터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 손잡이는 상기 카테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섬유을 고정하는 광섬유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전송 카테터에 의해 시술부위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전송 카테터를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으로 삽입할 때, 광섬유의 끝단에 의해 상기 광전송장치 채널의 내면이 손상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광전송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광전송장치 채널에 관한 도면이다.
도3은 ESD 및 EMR 시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보호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보호캡과 체결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손잡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보호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는 튜브(21), 광섬유(22), 보호캡(100) 및 체결부(200)로 구성된다.
튜브(21)는 광전송장치 채널(11)에 형성된 관통공(12)으로 삽입되며, 일측 끝단에 보호캡(100)이 결합되고, 타측 끝단에는 카테터 손잡이(3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튜브(21)는 내부에 상기 광섬유(22)가 관통된다.
광섬유(22)는 상기 튜브(21)의 내부를 관통하며, 레이저가 투과되어 끝단에서 조사된다. 이러한, 상기 광섬유(22)는 일측에 상기 보호캡(100)과 결합되는 체결부(200)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카테터 손잡이(300)와 결합된다.
보호캡(100)은 상기 튜브(21)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캡(100)은 중심이 천공되어 상기 광섬유(22)가 관통된다. 또한, 상기 보호캡(100)은광전송장치 채널(11) 내부로 삽입되어 관통될 때, 상기 광전송장치 채널(11)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보호캡(100)은 튜브(21) 및 광섬유(22)의 끝단이 상기 광전송장치 채널(11)의 내면과 접촉될 때, 상기 광전송장치 채널의 내면이 상기 튜브(21) 및 광섬유(22)의 끝단에 의해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캡(100)은 헤드부(110)와 제1 몸체(1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캡(100)은 광섬유(22)가 관통되도록 중심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10)는 끝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헤드부(110)는 광전송장치 채널의 내면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해주며, 튜브(21)가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12)에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몸체(120)는 상기 튜브(21)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20)은 상기 보호캡(100)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몸체(120)은 튜브(21)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20)는 외측에 제1 돌출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돌출부(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튜브(21)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130)은 상기 제1 몸체(12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돌출부(130)이 상기 제1 몸체(120)가 튜브(21) 내부로 삽입 될 때, 상기 튜브(21)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호캡(100)은 상기 제1 몸체(120)의 내측에 체결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14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200)는 상기 광섬유(22)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보호캡(10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광섬유(22)의 끝단에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200)가 결합된 광섬유(22)는 상기 튜브(2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22)의 끝단이 상기 보호캡(100) 밖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튜브(21)가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12)으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이후,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광섬유(22)가 상기 튜브(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12)으로 관통된 후, 시술하기 위해서 상기 보호캡(100)과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22)는 끝단은 상기 보호캡(100) 밖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22)는 돌출된 부분에서 레이저가 조사된다. 상기 광섬유(22)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보호캡(100)의 끝단으로부터 1 ~ 3 mm 범위의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200)는 광섬유(22)의 일측 끝단에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 결합되며, 제2 몸체(210) 및 제2 돌출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몸체(210)는 광섬유(22)의 일측 끝단에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210)는 복수개로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보호캡(100)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210)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제2 몸체(210) 사이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 돌출부(220)는 상기 보호캡(100)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220)는 탄성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링과 같은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220)가 보호캡(100)에 원활히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돌출부(220)가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는 카테터 손잡이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의 손잡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카테터 손잡이(300)는 상기 튜브(21)의 타측 끝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광섬유(22)가 관통된다. 또한, 상기 카테터 손잡이(300)는 일측에 상기 광섬유(22)를 고정하는 광섬유 고정부(310)가 더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테터 손잡이(300)는 튜브(21) 및 광섬유(22)를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12)에 삽입할 때, 손으로 파지하여 삽입한다.
상기 광섬유 고정부(310)는 튜브(21) 및 광섬유(22)를 광전송장치 채널로 삽입할 때, 상기 광섬유(2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한다.
또한, 상기 광섬유 고정부(310)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술을 하기 위해 상기 광섬유(22)를 돌출시킨 뒤, 다시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 카테터는 시술부위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광섬유(22)를 튜브(21)에 삽입하기 전에, 시술자가 시술 시 상기 광섬유(22)가 보호캡(100)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감안하여 체결부(220)를 광섬유(22)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후,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20)가 결합된 광섬유(22)를 튜브(21)에 삽입하고, 상기 광섬유(22)의 끝단이 보호캡(10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손잡이의 광섬유 고정부(31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튜브(21)를 광전송장치 채널의 광통공으로 삽입시켜, 카테터의 끝단이 시술부위에 도달하게 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술을 위해 상기 광섬유 고정부(310)를 해제하여, 광섬유(22)를 보호캡(100)의 끝단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때, 돌출된 광섬유(22)의 길이는 시술자가 처음 상기 광섬유(22)가 돌출되는 길이를 감안하여 체결부(220)를 고정 결합시킨 것이다. 즉, 돌출된 광섬유(22)는 시술 도중 시술부위가 천공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시술부위가 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10 : 광전송장치
11 : 광전송장치 채널
12 : 관통공
13 : 조작부
20 : 광전송 카테터
21 : 튜브
21a : 전도성 절개커터
22 : 광섬유
30 : 정보처리기기
40 : 점막층
41 : 점막하층
42 : 근육층
43 : 장막층
44 : 장막하층
50 : 환부
60 : 마킹표지
100 : 보호캡
110 : 헤드부
120 : 제1 몸체
130 : 제1 돌출부
140 : 걸림부
200 : 체결부
210 : 제2 몸체
220 : 제2 돌출부
300 : 카테터 손잡이
310 : 광섬유 고정부

Claims (8)

  1. 광전송 카테터에 있어서,
    광전송장치 채널의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내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내부를 관통하며, 레이저가 투과되는 광섬유;
    상기 튜브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중심이 천공되어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보호캡; 및
    상기 광섬유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끝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튜브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튜브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일정 간격 배치되는 제1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광섬유의 일측 끝단에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광섬유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보호캡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카테터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손잡이는
    상기 카테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는 광섬유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카테터.
KR1020170119244A 2017-09-18 2017-09-18 광전송 카테터 KR10196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244A KR101967362B1 (ko) 2017-09-18 2017-09-18 광전송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244A KR101967362B1 (ko) 2017-09-18 2017-09-18 광전송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11A KR20190031611A (ko) 2019-03-27
KR101967362B1 true KR101967362B1 (ko) 2019-04-12

Family

ID=6590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244A KR101967362B1 (ko) 2017-09-18 2017-09-18 광전송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406B1 (ko) * 2020-08-24 2020-10-19 임시연 지방제거용 시술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1302A (ja) 1998-04-15 2002-04-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ィド 電気焼灼器カテーテル
JP2008272478A (ja) 2007-05-02 2008-11-1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用処置具
JP5114333B2 (ja) 2008-08-01 2013-01-09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234A (en) * 1994-01-31 1995-11-14 Trimedyne, Inc. Expandable laser catheter
KR100596554B1 (ko) 2004-09-30 2006-07-06 (주)가주테크놀로지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1302A (ja) 1998-04-15 2002-04-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ィド 電気焼灼器カテーテル
JP2008272478A (ja) 2007-05-02 2008-11-1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用処置具
JP5114333B2 (ja) 2008-08-01 2013-01-09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11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728B2 (en) Pediatric nasal endoscope, gastroscope and aerodigestive scope
EP1555928B1 (en) Medical device sheath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345297B2 (ja) 可撓性のある内視鏡安全針
US201702241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able, rotatable, microendoscope with tool for cutting, coagulating, desiccating and fulgurating tissue
CA2363473C (en) Anoscope
US6908427B2 (en) Flexible endoscope capsule
KR101786619B1 (ko) 상악동 천자 장비
US20170325844A1 (en) Uterine manipulator
JP6173643B2 (ja) 医療用チューブおよび医療用システム
JPWO2007034708A1 (ja) 内視鏡用処置具
US20190357751A1 (en) Multi-use scope with microleds
KR102651931B1 (ko) 내시경 시스템 및 그것의 사용 방법
CA2966902A1 (en) Uterine manipulator
EP1768591B1 (en) Flexible endoscope for endo luminal access radio frequency tumor ablation
KR101967362B1 (ko) 광전송 카테터
JP2006020725A (ja) 内視鏡
WO2019236415A1 (en) Multi-use scope with microleds
JP5469115B2 (ja) ダブルオーバーチューブ
WO2010048965A1 (en) A sheat device for insertion in the anal canal of a body
US20150038843A1 (en) Method of transurethral local anesthesia
KR102649378B1 (ko) 연질소재로 형성된 의료용 엔드 이펙터
US20160206177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TWI767787B (zh) 腔體探測注射複合裝置
CN217338745U (zh) 一种经皮介入套件
US119183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amining hollow org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