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03B1 - Cctv 유지보수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 유지보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03B1
KR101967103B1 KR1020180085246A KR20180085246A KR101967103B1 KR 101967103 B1 KR101967103 B1 KR 101967103B1 KR 1020180085246 A KR1020180085246 A KR 1020180085246A KR 20180085246 A KR20180085246 A KR 20180085246A KR 101967103 B1 KR101967103 B1 KR 10196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drones
camera
abnormalit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실
Original Assignee
정성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실 filed Critical 정성실
Priority to KR102018008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이 발생된 CCTV를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CCTV 유지보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은 관리서버(20)에 구비된 관리프로그램(21)을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이상을 감시하고, 촬영유닛(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드론(30)을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고, 드론(30)을 촬영유닛(10)의 거치대(11)에 구비된 안착부(11c)에 안착시킨 후, 드론(30)의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둘레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촬영유닛(10)을 수리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주변을 감시할 수 있음으로, 촬영유닛(10)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주변의 방범이나 치안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CCTV 유지보수시스템{CCTV maintenance system}
본 발명은 이상이 발생된 CCTV를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CCTV 유지보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방범이나 치안유지 등의 목적으로, CCTV를 이용하여 주요 도로나 이면도로 골목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다.
상기 CCTV는 도로나 골목 등에 구비된 촬영유닛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에 연결되어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각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촬영유닛은 도로나 골목 등에 설치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CCTV카메라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CCTV의 경우, 상기 촬영유닛, 즉, 거치대나 CCTV카메라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수리를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촬영유닛에 의해 촬영되어 통신라인을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되는 영상을 감시하는 관리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수신된 영상이 비정상적이거나, 촬영된 영상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촬영유닛, 즉, 거치대나 CCTV카메라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를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는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경고가 발생되면, 관리프로그램을 조작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리를 담당하는 작업자에게 연락하여 작업자가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을 수리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신속하게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을 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이상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을 하여, 촬영유닛의 거치대나 CCTV카메라를 수리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촬영유닛은 넓은 장소에 분포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 작업자가 촬영유닛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할 하여 수리를 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촬영유닛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는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이 설치된 인근의 방범이나 치안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와 같이 촬영유닛을 수리할 때는 다양한 장비나 부품이 필요하게 되는데 반해, 작업자가 소지할 수 있는 장비나 부품의 종류는 한정된다.
따라서, 촬영유닛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작업자가 고장이 발생된 촬영유닛을 점검하여, 소지하고 있는 장비나 부품으로 바로 수리가 가능할 경우 수리를 진행하고, 수리가 불가능할 경우, 복귀하여 필요한 장비나 부품을 확보한 후 다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으로 이동하여 수리를 하게 됨으로, 수리시간이 더욱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85666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상이 발생된 CCTV를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CCTV 유지보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나 골목 등에 구비된 촬영유닛(10)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10)에 연결되어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리서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유닛(10)은 도로나 골목 등에 설치된 거치대(11)와, 상기 거치대(11)에 구비된 CCTV카메라(12)로 구성된 CCTV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1)의 일측에는 안착부(11c)가 구비되고, 카메라(39)가 구비된 드론(30)과, CCTV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드론(30) 및 스마트폰(40)과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관리서버(20)에는 촬영유닛(10)의 이상을 감시하고 상기 드론(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리프로그램(21)과, 상기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와 작업자가 휴대한 스마트폰(40)의 전화번호가 입력된 데이터베이스(22)가 구비되며,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촬영유닛(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데이터베이스(22)를 검색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를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드론(30)을 제어하여 드론(30)이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여 촬영유닛(10)의 외관을 촬영하도록 한 후,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수신하여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고, 상기 드론(30)이 상기 안착부(11c)에 안착되도록 한 후 드론(30)의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유지보수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1a)와, 상기 수직부(11a)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측면에 상기 CCTV카메라(12)가 구비되는 연장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11c)는 자성체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11a)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드론(30)에는 전자석(38)이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11c)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석(38)을 on시켜 드론(30)이 안착부(11c)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유지보수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은 관리서버(20)에 구비된 관리프로그램(21)을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이상을 감시하고, 촬영유닛(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드론(30)을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고, 드론(30)을 촬영유닛(10)의 거치대(11)에 구비된 안착부(11c)에 안착시킨 후, 드론(30)의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둘레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촬영유닛(10)을 수리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주변을 감시할 수 있음으로, 촬영유닛(10)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주변의 방범이나 치안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의 촬영유닛과 드론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의 드론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CCTV는 도로나 골목 등에 구비된 촬영유닛(10)과,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유닛(10)에 연결되어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리서버(20)로 구성되고, 상기 촬영유닛(10)은 도로나 골목 등에 설치된 거치대(11)와, 상기 거치대(11)에 구비된 CCTV카메라(12)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촬영유닛(10)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 지역에 분산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CCTV 유지보수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11)의 일측에는 안착부(11c)가 구비되고, 카메라(39)가 구비되고 무선으로 상기 관리서버(20)와 데이터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드론(30)과, CCTV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4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대(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부(11a)와, 상기 수직부(11a)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측면에 상기 CCTV카메라(12)에 구비되는 연장부(1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c)는 자성체재질, 예를 들어, 강철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11a)의 상단에 구비됨으로써, 상면에 상기 드론(30)이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론(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에 상기 카메라(39)가 구비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대(32)와, 상기 본체(31)에 구비되어 구동모터(34)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33)와, 상기 구동모터(34)와 카메라(39)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4)와 카메라(3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5)과, 상기 제어수단(35)에 연결된 GPS단말기(36)와, 상기 제어수단(35)에 연결된 3G/4G통신용 무선송수신기(37)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과 좌표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명령과 좌표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좌표로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39)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드론(30)에 좌표가 수신되면, 드론(30)이 자동으로 비행을 하여 입력된 좌표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39)는 상기 본체(31)의 상측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론(30)을 상기 안착부(11c)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둘레부를 촬영할 때, 안착부(11c)에 의해 카메라(39)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드론(30)의 지지대(32) 하단에는 상기 제어수단(35)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전자석(38)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론(30)이 상기 안착부(11c)에 안착되면 상기 제어수단(35)이 상기 전자석(38)을 on시켜 드론(30)이 안착부(11c)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40)은 3G/4G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네비게이션시스템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위치데이터의 장소까지 운전자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마트폰(40)은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해 통신회사의 3G/4G통신용 통신서버(50)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서버(50)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상기 드론(30) 및 스마트폰(40)과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에는 촬영유닛(10)의 이상을 감시하고 상기 드론(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리프로그램(21)과, 상기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와 작업자가 휴대한 스마트폰(40)의 전화번호가 입력된 데이터베이스(22)가 구비된다.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상기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되어 통신라인을 통해 관리서버(20)에 전송되는 영상을 감시하여, 관리서버(20)에 수신된 영상이 비정상적이거나, 촬영된 영상이 관리서버(20)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촬영유닛(10), 즉, 거치대(11)나 CCTV카메라(12)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이 통신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감시하여 촬영유닛(10)의 유무를 로직은 종래의 관리프로그램(21)에서 CCTV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수신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을 판단하는 로직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촬영유닛(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드론(30)을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을 촬영하고,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와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 후,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을 대신하여 드론(30)에 구비된 카메라(39)로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상기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되어 통신라인을 통해 관리서버(20)에 전송되는 영상을 감시하여 촬영유닛(1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2)를 검색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확인된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를 작업자의 스마트폰(40)과 드론(3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40)과 드론(30)으로 위치데이터가 전송되면, 작업자는 스마트폰(4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드론(30)은 자동으로 촬영유닛(10)의 근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론(30)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거나, 임의의 촬영유닛(10)의 안착부(11c)에 안착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드론(30)이 촬영유닛(10)의 근처로 이동하면,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드론(30)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론(30)이 촬영유닛(10)의 주변을 선회하면서 드론(30)의 카메라(39)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외관을 촬영하도록 한 후,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드론(30)을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외관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면, 작업자는 수신된 영상을 확인하고, 촬영유닛(10)의 어느 부분이 손상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이 소지한 장비나 부품으로 수리가 가능할 경우, 바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으로 이동을 하고, 다른 장비나 부품이 필요할 경우 필요한 장비를 확보한 후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촬영유닛(10)의 외관의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상기 드론(30)을 제어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론(30)이 상기 안착부(11c)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38)을 on, 드론(30)이 안착부(11c)에 부착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드론(30)이 상기 안착부(11c)에 안정적으로 부착고정되면, 상기 관리프로그램(21)은 상기 드론(30)의 카메라(39)를 제어하여 촬영유닛(1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촬영유닛(10)에 작업자가 도착하여 촬영유닛(10)을 수리할 때까지는 촬영유닛(10)을 이용하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없음으로, 상기 드론(30)을 상기 안착부(11c)에 고정하고,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을 대신하여, 드론(30)의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주변을 촬영함으로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 주변의 방범이나 치안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CCTV 유지보수시스템은 관리서버(20)에 구비된 관리프로그램(21)을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이상을 감시하고, 촬영유닛(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드론(30)을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고, 드론(30)을 촬영유닛(10)의 거치대(11)에 구비된 안착부(11c)에 안착시킨 후, 드론(30)의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둘레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촬영유닛(10)을 수리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주변을 감시할 수 있음으로, 촬영유닛(10)의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주변의 방범이나 치안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자신의 스마트폰(40)에 전송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통해 촬영유닛(10)의 손상부위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수리에 필요한 장비나 부품을 준비하여 촬영유닛(10)으로 이동할 수 있음으로, 촬영유닛(10)을 확인하고 촬영유닛(10)의 수리에 필요한 장비나 부품을 준비하여 다시 이동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서, 촬영유닛(10)의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c)는 자성체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11a)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드론(30)에는 전자석(38)이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11c)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석(38)을 on시켜 드론(30)이 안착부(11c)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안착부(11c)에 안착된 드론(30)이 바람 등에 의해 밀려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촬영유닛 20. 관리서버
30. 드론 40. 스마트폰
50. 통신서버

Claims (2)

  1. 도로나 골목에 구비된 촬영유닛(10); 및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며 촬영유닛(10)에 연결되어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관리서버(20); 카메라(39)가 구비되고 무선으로 관리서버(20)와 데이터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드론(30); CCTV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40); 을 포함하는 CCTV 유지보수시스템에 있어서,
    촬영유닛(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 지역에 분산되도록 설치되며, 거치대(11)와, 거치대(11)에 구비된 CCTV카메라(12)를 포함하며,
    거치대(11)는,
    자성체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수직부(11a)의 상단에 구비됨으로써, 상면에 드론(30)이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11c)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부(11a)와, 수직부(11a)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측면에 상기 CCTV카메라(12)에 구비되는 연장부(11b)를 포함하며,
    관리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해 통신회사의 3G/4G통신용 통신서버(50)에 연결되어, 통신서버(50)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드론(30) 및 스마트폰(40)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촬영유닛(10)의 이상을 감시하고 드론(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관리프로그램(21)과,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와 작업자가 휴대한 스마트폰(40)의 전화번호가 입력된 데이터베이스(22)를 구비하며,
    관리프로그램(21)은,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되어 통신라인을 통해 관리서버(20)에 전송되는 영상을 감시하여, 관리서버(20)에 수신된 영상이 비정상적이거나, 촬영된 영상이 관리서버(20)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촬영유닛(10)의 거치대(11) 또는 CCTV카메라(12)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되, 촬영유닛(10)에 의해 촬영되어 통신라인을 통해 관리서버(20)에 전송되는 영상을 감시하여 촬영유닛(1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2)를 검색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를 작업자의 스마트폰(40)과 드론(30)으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4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으로 작업자가 운전을 하여 이동하도록 하며, 드론(30)에 대해서 자동으로 촬영유닛(10)의 근처로 이동하도록 하며, 드론(3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을 촬영하고,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위치데이터와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 후,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을 대신하여 드론(30)에 구비된 카메라(39)로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도록 제어하며, 촬영유닛(10)의 외관의 촬영이 완료되면 드론(30)을 제어하여 드론(30)이 안착부(11c)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자석(38)에 대한 온(on)이 되도록 제어하여 드론(30)이 안착부(11c)에 부착고정되도록 하며,
    드론(30)은,
    카메라(39)가 구비된 본체(31)와, 본체(31)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대(32)와, 본체(31)에 구비되어 구동모터(34)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개의 프로펠러(33)와, 구동모터(34)와 카메라(39)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4)와 카메라(3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5)과, 제어수단(35)에 연결된 GPS단말기(36)와, 제어수단(35)에 연결된 3G/4G통신용 무선송수신기(37)가 구비되어, 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과 좌표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명령과 좌표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좌표로 이동하며, 카메라(39)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서버(20)로 전송하며, 카메라(39)는 본체(31)의 상측에 위치되어, 드론(30)을 안착부(11c)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카메라(39)를 이용하여 촬영유닛(10)의 둘레부를 촬영할 때, 안착부(11c)에 의해 카메라(39)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며, 드론(30)의 지지대(32) 하단에는 제어수단(35)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전자석(38)이 구비되어, 드론(30)이 안착부(11c)에 안착되면 제어수단(35)이 전자석(38)을 on시켜 드론(30)이 안착부(11c)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드론(30)은,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거나, 임의의 촬영유닛(10)의 안착부(11c)에 안착된 것으로, 촬영유닛(10)의 근처로 이동하면, 관리프로그램(21)이 드론(30)을 제어하여, 드론(30)이 촬영유닛(10)의 주변을 선회하면서 드론(30)의 카메라(39)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의 외관을 촬영하도록 한 후,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촬영유닛(10)의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작업자의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하며,
    스마트폰(40)은,
    3G/4G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며, 네비게이션시스템이 구비되어 위치데이터가 수신되면, 위치데이터의 장소까지 운전자를 안내하며, 수신된 영상에 대한 출력 이후 작업자로부터 작업자가 소지한 장비나 부품으로 수리가 가능한 것으로 입력시, 바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으로 이동하도록 네비게이션시스템을 가동시키고, 다른 장비나 부품이 필요한 것으로 입력시 필요한 장비에 대한 확보가 됨을 다시 입력시, 이상이 발생된 촬영유닛(10)으로 이동하도록 네비게이션시스템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유지보수시스템.
  2. 삭제
KR1020180085246A 2018-07-23 2018-07-23 Cctv 유지보수시스템 KR10196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46A KR101967103B1 (ko) 2018-07-23 2018-07-23 Cctv 유지보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46A KR101967103B1 (ko) 2018-07-23 2018-07-23 Cctv 유지보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103B1 true KR101967103B1 (ko) 2019-04-09

Family

ID=6616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246A KR101967103B1 (ko) 2018-07-23 2018-07-23 Cctv 유지보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02B1 (ko) * 2019-05-10 2019-08-28 주식회사 대륙정보시스템 Cctv유지보수시스템
CN115376260A (zh) * 2022-08-22 2022-11-22 镇江润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化入侵检测主动防御警报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381A (ko) * 2016-08-22 2016-08-30 (주)창조인프라 피사체 추적형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
KR101765235B1 (ko) * 2016-11-28 2017-08-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물인터넷 기반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6660B1 (ko) 2018-02-23 2018-05-14 주식회사 에스앤케이 유지관리가 용이한 cctv 카메라 장치
KR20180074247A (ko) * 2016-12-23 2018-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이벤트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381A (ko) * 2016-08-22 2016-08-30 (주)창조인프라 피사체 추적형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
KR101765235B1 (ko) * 2016-11-28 2017-08-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물인터넷 기반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4247A (ko) * 2016-12-23 2018-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이벤트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1856660B1 (ko) 2018-02-23 2018-05-14 주식회사 에스앤케이 유지관리가 용이한 cctv 카메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02B1 (ko) * 2019-05-10 2019-08-28 주식회사 대륙정보시스템 Cctv유지보수시스템
CN115376260A (zh) * 2022-08-22 2022-11-22 镇江润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化入侵检测主动防御警报系统
CN115376260B (zh) * 2022-08-22 2024-03-26 镇江润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化入侵检测主动防御警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103B1 (ko) Cctv 유지보수시스템
US20210387725A1 (en)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679690B1 (ko) 카메라폰이 장착되는 이동체와, 카메라폰이 장착되는이동체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 화상정보 처리와 그 이동체원격 제어방법
KR102440819B1 (ko) 순찰 드론을 포함하는 지역 감시 시스템
JP2008162725A (ja) エレベータリモート点検システム
JP2007068066A (ja) リモート雲台システム
JP2017119503A (ja) 無人飛行体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94465A (ko) 무선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설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5230690A (ja) 車両確認システム、車載装置、端末装置、サーバ、及び、車両確認制御方法
KR1020869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cctv 관제시스템
KR2012003314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KR102119327B1 (ko) 보안성이 향상된 cctv 관제시스템
JP7290199B2 (ja) 遠隔監視制御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9797B1 (ko) 동영상 전송이 가능한 차량경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9361840A (zh) 一种视频监控摄像机和视频监控系统
JP2017091375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746579B1 (ko) 드론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33368B1 (ko) 드론을 이용한 cctv 관제시스템
JP2009263080A (ja) ダンプ車両管理システム
CN113573017B (zh) 施工现场状况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20200018000A (ko) 관광지 체험 투어 항공촬영 시스템
JP2009015527A (ja) 監視システム
US11657723B2 (en) Management device
JP5951860B1 (ja) メ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およびメンテナンス支援情報処理方法
KR101983002B1 (ko) Cctv유지보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