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398B1 -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398B1
KR101966398B1 KR1020180007298A KR20180007298A KR101966398B1 KR 101966398 B1 KR101966398 B1 KR 101966398B1 KR 1020180007298 A KR1020180007298 A KR 1020180007298A KR 20180007298 A KR20180007298 A KR 20180007298A KR 101966398 B1 KR101966398 B1 KR 10196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ater
load member
loa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져스틴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져스틴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져스틴하우스
Priority to KR102018000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by moving the surround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안장을 구비한 중심부재(110);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되고 내부에는 와이어(140)가 감겨있으며, 일부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부재(120); 상기 중심부재와 부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 및 상기 부하부재 내부에 구비되고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128);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수중에 잠긴 정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로잉머신을 제공하기 때문에, 로잉머신이 수영장 수조의 수중에 설치되어 물의 저항을 이용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 중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흥미를 가지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AQUATIC ROWING MACHINE AND AQUA EXERCIS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영장 옆에 설치되고 수영장에 걸친 상태로 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로잉머신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영장의 수중 운동머신 중 하나이며 수중 트레드밀, 수영보조기 등과 같이 설치되는 종합적인 수중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운동 또는 아쿠아운동(Aquatic Exercise)이란 부력, 수압, 저항을 포함한 물의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체력요소인 심장호흡기계 지구력, 근력강화와 근지구력, 유연성과 신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수중운동이다. 특히 부상, 수술, 운동과다로부터 손상된 신체를 회복하기 위한 재활치료를 수중에서 하는 경우 물의 부력, 수압 등에 의해서 중력에 의한 저항을 최소한 상태에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수영장, 강가, 바닷가 등의 넓은 장소가 아닌 좁은 공간에서 사용자가 수중 러닝 또는 보행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중 트레드밀이 개시되어 있다. 수중재활운동은 수중운동과 물리치료가 결합된 형태로 각종 질병과 사고, 또는 손상을 통한 신체적 정신적인 비정상적인 상황을 물의 특성을 이용한 수중 기법을 통해 정상패턴으로 회복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노약자나 임산부,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의 경우, 체형관리와 신체교정, 골다공증 예방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수중재활치료기기는 육상에 비해 환자의 체중을 부력만큼 경감할 수 있어 육상에서 치료가 어려운 중증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노인성 질환에 적용 시 효과 및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중재활치료는 주로 트레드밀 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주로 재활치료용으로 활용되는 정도였기 때문에 일반인이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 수중 운동기구의 재활치료 역할 뿐 아니라 일반인이 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수영장을 활용하는 피트니스 센타 느낌의 종합적인 운동시스템을 제공하며, 대중적인 수영장이 아니라 개별 주택에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는 개인(프라이빗) 수중 운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운동부하장비가 수영장 수조의 수중에 설치되고 로잉머신의 운동부하를 수중에 잠긴 정도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운동 중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물의 저항력을 이용한 로잉머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측에 안장을 구비한 중심부재(110);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되고 내부에는 와이어(140)가 감겨있으며, 일부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부재(120); 상기 중심부재와 부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 및 상기 부하부재 내부에 구비되고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128);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수중에 잠긴 정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로잉머신이며, 상기 중심부재는 수조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서, 운동시의 제1위치와 거치시의 제2위치로 변경가능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부하부재의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고, 제2위에서는 상기 부하부재가 물밖에 위치한다.
삭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부하부재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제1 및 제2프레임이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끝단에서 지지부(13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위치에서 수조의 타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와이어(140)가 외주면에 감기는 제1풀리(126); 상기 제1풀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날개가 부착되는 제2풀리(127);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여 제1풀리의 회전력을 제2풀리로 전달하는 벨트(145);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제1풀리를 수용하는 상부몸체(121)와 상기 제2풀리를 수용하는 하부몸체(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는 중앙에 상기 제2풀리가 위치하도록 개방되는 형상으로, 좌우 두개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풀리는 좌우 두개의 측면부재 각각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여 수영이 가능한 수조(10);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중 트레드밀(20);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고 탄성와이어를 통해 저항력을 주어서 수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영보조기(30); 상기 수조의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가 투영되는 개방창(40); 상기 수조의 전면에 구비되어 영상을 상영하는 모니터(50); 및 상기 수조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중 로잉머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잉머신을 활용하면 수영장 수조에 설치되어 물속에 잠긴 장치를 이용하여 로잉머신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운동 중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흥미를 가지고 운동을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로잉머신과 트레드밀 등 다양한 수중 운동장비를 포함한 종합적인 수중 운동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수중 운동을 즐길 수 있고, 대중적인 수영장에 가기를 꺼리는 사용자의 경우에 개별 주택에 이를 설치한 후 개인적으로 다양한 수중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을 구비한 수중 운동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2는 도 1의 수중 운동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면서 상기 수중 로잉머신이 회전하여 운동가능한 위치에 있는 모습이며,
도 3은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의 측단면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가 수중에 깊이 잠긴 모습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가 수중에 얕게 잠긴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을 구비한 수중 운동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수중 운동시스템 중 수중 로잉머신이 미사용상태로 수조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며, 도 2는 수중 로잉머신이 회전하여 운동가능한 위치에 있는 모습이다. 본 발명의 수중 로잉머신은 운동시의 제1위치와 운동을 하지 않는 거치시의 제2위치로 변경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부하부재의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물이 담긴 수조를 이용하여 운동이 가능한 수중 운동시스템으로서 개인적인(private)한 시설로 개별 주택에 부가하여 구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운동시스템은 노약자나 시니어층에서 과격하지 않은 운동을 수중에서 할 수도 있고, 일반인이 수조의 물속에서 운동을 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전체적인 형상을 보면, 먼저 물을 수용하여 수영이 가능한 수조(10)가 있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중에서 트레드밀을 할 수 있는 수중 트레드밀(20)이 구비된다. 그리고, 한정된 수조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영보조기(30)도 구비되는데, 이를 보면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밴드(38)에 탄성와이어(35)를 연결하고 이를 통해 저항력을 주어서 수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허리에 밴드를 감싼 상태에서 수영을 하면 탄성와이어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지는 않지만 뒤쪽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수영 동작을 계속하여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의 측면에는 내부가 투영되는 개방창(40)이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전면에는 영상을 상영하는 모니터(50)가 배치되어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중 운동 시스템에 구비되는 수중 로잉머신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의 측단면 모습이다.
본 발명의 수중 로잉머신은, 먼저 상측에 안장(112)을 구비하고 수조의 측면에 장착되는 중심부재(110)와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되고 내부에는 와이어(140)가 감겨있는 부하부재(120) 및 상기 중심부재와 부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30)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발판(135)이 배치되고, 부하부재(120)의 내부에 감긴 와이어(14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부하부재(120)는 일부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곳이며, 부하부재 내부에는 수중에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날개(128)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부재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보면, 상하로 배치되는 제1풀리(126)와 제2풀리(127)가 구비되고, 상기 제1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140)가 감겨서 와이어가 제1풀리(126)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여 제1풀리의 회전력을 제2풀리로 전달하는 벨트(145)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 제1풀리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풀리 회전에 의해 제2풀리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풀리의 외주에는 날개(128)가 날개가 물속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날개가 수중에서 회전하면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와이어(140)를 당긴 후에는 와이어는 상기 부하부재에 다시 감기는 과정이 있어야 계속하여 운동이 가능할 것이며, 이 과정을 위해서는 상기 부하부재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도시)를 구비한 후, 사용자의 와이어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이 저장되고 이 탄성력으로 와이어 감기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부가적으로 전력을 이용하여 와이어 감김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하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21)와 하부몸체(123)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몸체에는 상기 제1풀리가 배치되고, 하부몸체에는 상기 제2풀리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몸체는 수조의 수중에 잠기는 부위로서 중앙에 상기 제2풀리가 위치하도록 중앙부가 개방되고 좌우에는 두 개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145)는 좌우 두개의 측면부재 각각의 내부를 지나서 상기 제2풀리의 축의 양측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즉, 제2풀리의 중앙부에는 날개가 위치하고 그 양측 옆에 벨트가 감기게 된다.
상기 중심부재(110)는 수조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운동시의 제1위치와 거치시의 제2위치로 회전하여 변경가능하며, 운동시의 제1위치란 상기 부하부재의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로잉머신 운동을 할 수 있는 위치이고(도 2), 제2위란 운동을 하지 않고 거치하는 위치로서 상기 부하부재가 수조의 물밖에 위치한다(도 1). 제1위치와 제2위치로 변경을 위해 상기 중심부재(110)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재의 회전에 의해 수중 로잉머신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중심부재를 회전하게 하는 수단을 다양한 수단이 있을 수 있으며 전력을 이용한 자동수단이나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하부재(120)는 상기 연결프레임(13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가 수중에 깊이 잠긴 모습이며, 도 8은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가 회전하여 수중에 얕게 잠긴 모습이다. 이러한 부하부재의 회전 역시 전동수단에 의해 자동 동작이나 수동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7에서는 수중 로잉머신의 부하부재가 수중에 깊이 잠겨서 날개(128)의 많은 부위가수중에 잠긴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날개를 수중에서 회전시키려면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에 가해지는 운동부하기 커지게 된다. 그런데, 도 8은 부하부재의 날개(128)가 수중에 얕게 잠긴 상태이어서 날개 회전에 저항력이 약하게 되어 사용자의 운동부하 역시 작아지게 되는 원리이다. 이렇게 상기 부하부재가 연결프레임에 대해서 회전한 정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운동부하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부하부재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끝단에서 지지부(13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위치에서 수조의 타측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운동시 로잉머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상측에 안장을 구비한 중심부재(110);
    상기 중심부재에서 이격되고 내부에는 와이어(140)가 감겨있으며, 일부가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운동부하를 발생시키는 부하부재(120);
    상기 중심부재와 부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 및
    상기 부하부재 내부에 구비되고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128);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수중에 잠긴 정도를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며,
    상기 중심부재는 수조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서, 운동시의 제1위치와 거치시의 제2위치로 변경가능하며,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부하부재의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고, 제2위에서는 상기 부하부재가 물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로잉머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부하부재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제1 및 제2프레임이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끝단에서 지지부(13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위치에서 수조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로잉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와이어(140)가 외주면에 감기는 제1풀리(126);
    상기 제1풀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날개가 부착되는 제2풀리(127);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연결하여 제1풀리의 회전력을 제2풀리로 전달하는 벨트(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로잉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부재는,
    상기 제1풀리를 수용하는 상부몸체(121)와 상기 제2풀리를 수용하는 하부몸체(1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는 중앙에 상기 제2풀리가 위치하도록 개방되는 형상으로, 좌우 두개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는 좌우 두개의 측면부재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로잉머신.
  6. 물을 수용하여 수영이 가능한 수조(10);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중 트레드밀(20);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고 탄성와이어를 통해 저항력을 주어서 수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영보조기(30);
    상기 수조의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가 투영되는 개방창(40);
    상기 수조의 전면에 구비되어 영상을 상영하는 모니터(50); 및
    상기 수조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항의 수중 로잉머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KR1020180007298A 2018-01-19 2018-01-19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KR101966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298A KR101966398B1 (ko) 2018-01-19 2018-01-19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298A KR101966398B1 (ko) 2018-01-19 2018-01-19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398B1 true KR101966398B1 (ko) 2019-04-08

Family

ID=6616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298A KR101966398B1 (ko) 2018-01-19 2018-01-19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72A (ko) * 2020-05-22 2021-11-30 (주)가온솔루션 동물용 수중 재활치료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899A (ja) * 1995-05-22 1996-11-26 Kanazawa Chuo Hatsujo Kogyo Kk 身体の強化回復装置
KR200359792Y1 (ko) * 2004-04-13 2004-08-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브라켓식 높낮이조절장치를 갖는 수평수차
JP2009056234A (ja) * 2007-09-03 2009-03-19 Daireo:Kk 水中運動装置
KR20140101149A (ko) * 2013-02-08 2014-08-19 박혁재 로잉머신을 이용한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8899A (ja) * 1995-05-22 1996-11-26 Kanazawa Chuo Hatsujo Kogyo Kk 身体の強化回復装置
KR200359792Y1 (ko) * 2004-04-13 2004-08-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브라켓식 높낮이조절장치를 갖는 수평수차
JP2009056234A (ja) * 2007-09-03 2009-03-19 Daireo:Kk 水中運動装置
KR20140101149A (ko) * 2013-02-08 2014-08-19 박혁재 로잉머신을 이용한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상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72A (ko) * 2020-05-22 2021-11-30 (주)가온솔루션 동물용 수중 재활치료 기기
KR102430842B1 (ko) 2020-05-22 2022-08-10 (주)가온솔루션 동물용 수중 재활치료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4251A (en) Multifunction excercise machine with ergometric input-responsive resistance
US4589656A (en) Aerobic exercise device for increased user comfort
US20140011645A1 (en) Multiple position exercise device
US9839808B1 (en) Respiratory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1991749B (zh) 力量训练机
ES2499026T3 (es) Aparato de entrenamiento que imita el esquí de fondo
JP2007044452A (ja) 「運動機器&訓練装置」
US5601514A (en) Swimming exercise device
KR101966398B1 (ko) 수중 로잉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 운동시스템
US20170087395A1 (en) Kinzi
US6692322B1 (en) Flotation device for water activities
US20070270287A1 (en) Tug-O-War Exercise Machine
JP2023052803A (ja) 歩行訓練器具
CN207101738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悬挂装置
JP6282812B2 (ja) ボート漕ぎ型運動機器
JP3072974B2 (ja) 健康器械
CN207187045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环形悬挂装置
KR200405231Y1 (ko) 훌라후프 운동기구
CN202028115U (zh) 爬行锻炼机
JP3526816B2 (ja) 歩行運動装置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AU2019264528A1 (en) Aquatic exercise device
CN213965007U (zh) 一种用于中风偏瘫肢体水中治疗的四肢联合运动装置
TWI674128B (zh) 放置於水中之跑步機
CN106310600B (zh) 一种腿部专用的多功能健身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