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092B1 - 차량용 드레인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드레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092B1
KR101966092B1 KR1020130165487A KR20130165487A KR101966092B1 KR 101966092 B1 KR101966092 B1 KR 101966092B1 KR 1020130165487 A KR1020130165487 A KR 1020130165487A KR 20130165487 A KR20130165487 A KR 20130165487A KR 101966092 B1 KR101966092 B1 KR 10196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refrigerant pipe
vehicle
pip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842A (ko
Inventor
윤남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0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드레인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레인 유닛은 차량의 루프 패널 외측에 설치된 응축기와, 실내에 구비된 증발기를 상호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는 냉매 배관이 루프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설치되고, 냉매 배관을 통하여 루프 패널 외부의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루프 패널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냉매 배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타단이 증발기에 장착되는 배출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의 일단에서 루프 패널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드레인 유닛{DRAIN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드레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또는 상용차를 포함하는 중대형 차량에서 루프 패널을 관통하여 장착된 냉매 배관을 통해 물이 실내로 유입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또는 상용차를 포함하는 중대형 차량의 냉방을 위한 에어컨 시스템은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로 변환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컨 시스템의 냉방 사이클은 크게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구간과, 압축된 냉매의 열 에너지를 시스템 외부로 방출하는 응축구간과, 객실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내를 냉방시키는 증발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루프 패널 외부의 물이 응축기와 증발기를 상호 연결하여 차량의 내부로 삽입된 냉매 배관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매 배관의 외측에 배출 파이프를 적용하여 냉매 배관과 배출 파이프 사이에 물을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루프 패널 외부의 물이 냉매 배관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루프 패널 외측에 설치된 응축기와, 실내에 구비된 증발기를 상호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는 냉매 배관이 상기 루프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냉매 배관을 통하여 상기 루프 패널 외부의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타단이 상기 증발기에 장착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일단에서 상기 루프 패널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파이프는 그 내경이 상기 냉매 배관의 외경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매 배관과의 사이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일단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배출 파이프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그 재질이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루프 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루프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루프 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냉매 배관에 고정 장착되는 상부 플랜지 부재와, 상기 상부 플랜지 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관통홀 상부에서 상기 루프 패널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는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 부재는 상단부의 직경이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 파이프를 따라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며,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드레인 홀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매 배관의 외측에 배출 파이프를 적용하여 냉매 배관과 배출 파이프 사이에 물을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루프 패널 외부의 물이 냉매 배관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패널과 냉매 배관 사이에 별도로 실시하던 실러 작업을 삭제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레인 유닛이 차량에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레인 유닛이 차량에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레인 유닛(1)은 버스 또는 상용차를 포함하는 중대형 차량에서, 루프 패널(3)을 관통하여 장착된 냉매 배관(30)을 통해 상기 루프 패널(3) 외부의 물이 실내로 유입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레인 유닛(1)은 응축기(10), 증발기(20), 냉매 배관(30), 배출 파이프(50), 및 실링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10)는 차량의 루프 패널(3)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20)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다.
상기 냉매 배관(30)은 상기 응축기(10)와 증발기(20)를 상호 연결하여 냉매를 상기 응축기(10)에서 상기 증발기(20)로 유동시키며, 상기 루프 패널(3)에 형성된 관통홀(5)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냉매 배관(30)은 상기 루프 패널(3)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홀(5)에 장착되는 고정수단(40)을 통해 상기 루프 패널(3)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부 플랜지 부재(41)와 하부 플랜지 부재(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플랜지 부재(41)는 상기 루프 패널(3)의 외측에서 상기 냉매 배관(3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하부 플랜지 부재(43)는 상기 상부 플랜지 부재(41)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관통홀(5) 상부에서 상기 루프 패널(3)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는 상기 관통홀(5)로 삽입되어 상기 루프 패널(3)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하부 플랜지 부재(43)는 상단부의 직경이 상기 관통홀(5)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관통홀(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50)는 상기 루프 패널(3)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냉매 배관(30)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타단이 상기 증발기(20)에 장착된다.
이러한 배출 파이프(50)는 그 내경이 상기 냉매 배관(30)의 외경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매 배관(30)과의 사이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51)를 형성한다.
상기 실링부재(60)는 상기 배출 파이프(50)의 일단에서 상기 루프 패널(3)과의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링부재(60)는 상기 루프 패널(3)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일단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50)와 연결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루프 패널(3)과 상기 배출 파이프(50) 사이를 밀폐하며, 그 재질이 고무소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1)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 패널(3) 외부의 물이 루프 패널(3)의 관통홀(5)과 냉매 배관(30)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면, 상기 냉매 배관(30)과 배출 파이프(50) 사이에 형성된 유로(51)를 따라 상기 증발기(20)로 유동되며, 상기 증발기(20)에 형성된 드레인 홀(21)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레인 유닛(1)은 냉매 배관(30)의 외측에 배출 파이프(50)를 적용하여 냉매 배관(30)과 배출 파이프(50) 사이에 물을 유도하는 유로(51)를 형성함으로써, 루프 패널(3) 외부의 물이 냉매 배관(30)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루프 패널(3)과 냉매 배관(30) 사이에 별도로 실시하던 실러 작업을 삭제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차량용 드레인 유닛 3...루프 패널
5...관통홀 10...응축기
20...증발기 21...드레인 홀
30...냉매 배관 40...고정수단
41...상부 플랜지 부재 43...하부 플랜지 부재
50...배출 파이프 51...유로
60...실링부재

Claims (8)

  1. 차량의 루프 패널 외측에 설치된 응축기와, 실내에 구비된 증발기를 상호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키는 냉매 배관이 상기 루프 패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냉매 배관을 통하여 상기 루프 패널 외부의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타단이 상기 증발기에 장착되는 배출 파이프; 및
    상기 배출 파이프의 일단에서 상기 루프 패널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파이프는
    그 내경이 상기 냉매 배관의 외경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매 배관과의 사이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일단에서 상기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배출 파이프 사이를 밀폐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그 재질이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루프 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홀에 장착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루프 패널에 고정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루프 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냉매 배관에 고정 장착되는 상부 플랜지 부재; 및
    상기 상부 플랜지 부재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단부가 상기 관통홀 상부에서 상기 루프 패널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는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루프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부 플랜지 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 부재는
    상단부의 직경이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 파이프를 따라 상기 증발기로 유동되며,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드레인 홀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는 차량용 드레인 유닛.
KR1020130165487A 2013-12-27 2013-12-27 차량용 드레인 유닛 KR10196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87A KR101966092B1 (ko) 2013-12-27 2013-12-27 차량용 드레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87A KR101966092B1 (ko) 2013-12-27 2013-12-27 차량용 드레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42A KR20150076842A (ko) 2015-07-07
KR101966092B1 true KR101966092B1 (ko) 2019-04-05

Family

ID=5378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487A KR101966092B1 (ko) 2013-12-27 2013-12-27 차량용 드레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0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01Y1 (ko) 2000-10-11 2001-03-15 두원중공업주식회사 증발기, 응축기 일체형 버스 에어컨의 응결수 배출 구조
KR200250026Y1 (ko) 1998-12-14 2002-01-15 박기용 버스 에어콘의 증발기 유닛에 장착되는 드레인 니플
JP2012056498A (ja) 2010-09-10 2012-03-22 Waatekkusu:Kk 車両の運転室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3957A (ja) * 1997-01-10 1998-07-28 Denso Corp 車両用天井置きクーラ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26Y1 (ko) 1998-12-14 2002-01-15 박기용 버스 에어콘의 증발기 유닛에 장착되는 드레인 니플
KR200216901Y1 (ko) 2000-10-11 2001-03-15 두원중공업주식회사 증발기, 응축기 일체형 버스 에어컨의 응결수 배출 구조
JP2012056498A (ja) 2010-09-10 2012-03-22 Waatekkusu:Kk 車両の運転室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42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9464B (zh) 用于连接制冷剂管的结构和方法及具有该结构的空调
US20150275895A1 (en) Rotary compressor
JP2014025579A (ja) 配管接続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JP200820763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部熱交換器
US7549389B2 (en) Ball valve apparatus having a moisture indicator
US20130199237A1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966092B1 (ko) 차량용 드레인 유닛
KR20100087971A (ko) 차량 공조장치의 냉매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KR20140076383A (ko) 차량용 에어컨 소음 저감 장치
ITTO20080568A1 (it) Gruppo di adduzione per un circuito aria condizionata con uno scambiatore di calore
KR101089588B1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CN104315761A (zh) 用于压缩机的分液器及其压缩机
KR10082693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1901520B1 (ko) 에어컨 배관 연결 소켓의 냉동유 도포장치
KR101060614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
KR1014872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4923253U (zh) 一种整体式空调
CN205119538U (zh) 汽车空调管路压板
KR101105571B1 (ko) 증발기 파이프와 팽창밸브 연결구조
KR20090119557A (ko)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에어컨 머플러
KR100975288B1 (ko)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CN105588378B (zh) 空调系统用电子膨胀阀及其空调系统
CN203020014U (zh) 车用制冷系统的安装结构、车用制冷系统和车辆
KR200352292Y1 (ko) 히트펌프용 리시버 탱크
KR10144811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냉매 파이프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