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27B1 -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 Google Patents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27B1
KR101965627B1 KR1020180057028A KR20180057028A KR101965627B1 KR 101965627 B1 KR101965627 B1 KR 101965627B1 KR 1020180057028 A KR1020180057028 A KR 1020180057028A KR 20180057028 A KR20180057028 A KR 20180057028A KR 101965627 B1 KR101965627 B1 KR 10196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otary
plate
fixed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김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연 filed Critical 김호연
Priority to KR102018005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3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vertica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는 화물을 적재하는 대차의 하부에 장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하부에 구비되어 휠(wheel)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휠 고정부; 상기 휠 고정부로부터 상기 휠의 전면측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식 스크레퍼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인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할 뿐 아니라 바닥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바닥 도색의 주기를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Cargo having rotary scraper}
본 발명은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 산업분야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일반 크레인, 화물을 적재하는 대차나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퀴(wheel)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바닥의 이물질을 경로상에서 제거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및 각종 대차설비는 대형 또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장치로서, 그 하중이 최종적으로 바닥면과 휠 사이에 집중되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각종 제조 설비로부터 유발되는 마모에 의한 스케일 및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휠과 바닥 사이에 유입되어 각종 사고를 유발하고 바닥면에 심각하게 스크레치를 유발함으로써 도색 작업을 빈번히 하여야 하는 등 각종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바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는 있으나 이미 각종 부품이 이미 바퀴와 바닥 사이에 유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는 미연에 방지하기 어려우며, 바닥면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도 방지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1996-0001022호 등과 같이 레일이나 바닥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주행경로 상에서 제거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일시적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나 주행경로로부터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바닥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차의 경로상에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바닥면에 이물질에 의하여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는 화물을 적재하는 대차의 하부에 장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하부에 구비되어 휠(wheel)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휠 고정부; 상기 휠 고정부로부터 상기 휠의 전면측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휠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휠 고정부가 상기 플랜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수직선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는 일부가 상기 휠이 접하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대차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닥과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부에 외삽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외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휠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휠이 접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휠 고정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에 접촉하여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풀리와 밴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휠이 접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식 스크레퍼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인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할 뿐 아니라 바닥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바닥 도색의 주기를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 및 5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산업현장에서 이용되는 대차는 각종 물품들을 이송하기 위하여 하부에 휠 부(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는 이러한 기존의 대차에 손쉽게 장착하여 작업 환경의 이물질을 대차의 주행경로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플랜지(100)는 대차의 하부에 구비되어 휠 부(10)를 대차에 고정시키는 구성부이다. 플랜지(100)는 화물을 적재하는 대차의 하부에 장착되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트 및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대차의 하부에 고저오딘다.
플랜지(100)의 하부에는 휠(130) 및 휠 고정부(120, 140)이 회동하여 대차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제1 회동부(110)가 구비된다.
휠 고정부(120, 140)는 제1 회동부(1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제1 회동부(110)가 회전함에 따라 휠(13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고정부는 제1 휠 고정부(120) 및 제2 휠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제1 휠 고정부(120)는 휠(13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고, 제2 휠 고정부(140)는 휠(130)의 축을 고정시킨다. 즉, 휠 고정부(120, 140)는 플랜지(100) 및 제1 회동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휠(wheel, 13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부이다.
이와 같이 플랜지(100), 제1 회동부(110), 휠(130) 및 휠 고정부(120, 140)는 종래의 대차에 구비되는 휠 부(1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성면에서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플레이트와 수평 방향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1회 꺽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지지부(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할 회전축부(220)가 대략 수직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는 지지구조인한 다양한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0)의 꺽임 방향은 전면부 또는 후면부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제1 휠 고정부(120) 중 휠(130)의 전면측에 고정된다.
회전축부(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10)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부(220)가 지지부에 고정되고, 후술할 회전 플레이트(240)만이 회전축부(22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축부(220)와 함께 회전 플레이트(240)가 회전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플레이트(240)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다만, 회전 플레이트(24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접촉식인 경우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플레이트(240)의 하단에는 브러시(250)가 구비된다. 브러시(250)는 회전 플레이트(2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휠(130)이 접촉하는 바닥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대차의 경로 밖으로 쳐내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의 경우 무동력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축부(220)는 수직선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이 때 브러시(250)는 바닥면과 기울어진 측에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러시(250)의 일부가 바닥과 접촉한 상태에서 대차가 진행하게 되면, 브러시(250)와 바닥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브러시(250)를 대차의 진행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리는 회전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브러시(250)가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면, 브러시(250)와 회전 플레이트(240)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러시(250)는 대차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물질들을 주행 경로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한편, 지지부(210)와 회전 플레이트(240)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240)는 회전축부(220)의 하부 측에 외삽되며, 바닥면이 불균일한 경우에도 브러시(250) 및 회전 플레이트(240)가 상 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무동력 방식의 회전식 스크래퍼의 경우 회전축부(220) 및/또는 지지부(210)를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바닥과의 마찰을 통해 회전 플레이트(24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지지부(210) 이외의 부수적인 구성들이 불필요하여 기존 대차에 손쉽게 장착이 가능하며, 별도의 개조 등 작업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자형 스크래퍼에 비하여 스크래퍼와 바닥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바닥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물질의 제거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를 설명한다. 도 4 및 5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회전식 스크래퍼는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 플레이트(240)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 동력은 전기 모터 및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등의 기타 구성들뿐 아니라 외부 동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휠(130)의 회전력을 포함한다.
이 경우 회전 플레이트(240)의 둘레 모서리를 휠(130)과의 접촉면을 증가시키도록 가공할 수 있다. 즉, 휠(130)과 회전 플레이트(240)를 직접 접촉시켜 휠(130)의 회전력을 회전 플레이트(240)에 전달한다. 다만, 이 경우 휠(130)과 회전 플레이트(240)의 접촉 지점은 대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플레이트(240)의 직 후방이 아닌 지점이어야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무동력 방식에 비하여 바닥면의 마찰력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브러시(25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예상되는 이물질과 닿을 수 있는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감속기 등을 이용하여 회전 플레이트(240)가 회전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는 외부 동력, 즉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휠(130)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스크래퍼에 관한 것이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동력 전달 시스템면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스크래퍼는 제1 풀리(290), 제2 풀리(280) 및 밸트(295)를 포함한다.
제1 풀리(290)는 휠(130)에 접촉하여 휠(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제2 풀리(280)는 회전축부(220)에 고정되어 회전축부(220) 및 회전 플레이트(240)와 함께 회전한다. 즉, 제1 풀리(290)는 회전축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풀리(280)는 회전축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풀리(290) 및 제2 풀리(280)는 상호 벨트(295)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나머지 하나도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휠(130)이 외부 동력에 의하여 대차가 진행함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제1 풀리(290), 벨트(295) 및 제2 풀리(280)가 순차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회전축부(220), 회전 플레이트(240) 및 브러시(250)도 마찬가지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러시(250)는 외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대차의 주행경로상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브러시(240)는 휠(130)이 접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불필요한 마찰력을 피함으로써 브러시(240)가 쉽게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벨트(295)는 서로 회전축의 방향을 달리하는 제1 풀리(290)와 제2 풀리(280)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벨트(295)의 일주 경로가 지지부(210b)가 구비되는 영역과 겹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10b)는 일부가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215b)를 형성하여 벨트(295)가 일주하는 경로를 확보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가 구비된 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부는 지지부(210c, 210d)의 구성면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10c)는 진행방향측을 향하여 들리거나 숙여지는 각도, 즉 전방형성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는 제1 지지부(210c)와 제2 지지부(210d)를 구비한다. 제2 지지부(210d)는 고정부(2109d)를 통하여 고정부(120)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210c)는 힌지부(2101)를 중심으로 대차의 진행방향측으로 들리거나 숙여질 수 있도록 각도가 변화된다.
이 때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103)가 힌지부(210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형성되고, 제2 지지부(210d)에는 상술한 돌기부(2103)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홈부(2105)가 형성된다. 홈부(2105)는 힌지부(2101)로부터 일정한 반경이 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홈부 및 돌기부는 상호 위치를 바꾸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휠 어셈블리
100: 플랜지
120: 제1 고정부
130: 휠
140: 제2 고정부
210: 지지부
220: 회전축부
230: 스프링 부재
240: 회전 플레이트
250: 브러시

Claims (11)

  1. 화물을 적재하는 대차의 하부에 장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 하부에 구비되어 휠(wheel)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휠 고정부;
    상기 휠 고정부로부터 상기 휠의 전면측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에 대한 상하 각도를 조절가능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휠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휠 고정부가 상기 플랜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동부;가 구비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수직선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는 일부가 상기 휠이 접하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대차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외부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휠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휠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휠이 접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휠 고정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에 접촉하여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풀리와 밴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휠이 접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부에 외삽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KR1020180057028A 2018-05-18 2018-05-18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KR10196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028A KR101965627B1 (ko) 2018-05-18 2018-05-18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028A KR101965627B1 (ko) 2018-05-18 2018-05-18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27B1 true KR101965627B1 (ko) 2019-04-04

Family

ID=6610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028A KR101965627B1 (ko) 2018-05-18 2018-05-18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386A (ko) * 2011-06-17 2014-03-05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브러시 디스크 조절기를 갖는 청소 차량
KR101708410B1 (ko) * 2016-09-06 2017-03-02 이텍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의 일체형 전륜 서스펜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386A (ko) * 2011-06-17 2014-03-05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브러시 디스크 조절기를 갖는 청소 차량
KR101708410B1 (ko) * 2016-09-06 2017-03-02 이텍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전기 노면청소차의 일체형 전륜 서스펜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627B1 (ko) 회전식 스크래퍼를 구비한 대차
CN208291058U (zh) 一种方便卸货的物流运输车
CN206606707U (zh) 交叉带分拣agv
CN105217258A (zh) 一种rgv小车
CN108437768A (zh) 一种驱动装置及搬运车
CN217376074U (zh) 一种抱轮式agv小车
CN212075549U (zh) 一种皮带输送机换向滚筒结构
CN113816172B (zh) 一种卸货机及卸货系统
CN211109349U (zh) 一种横移机构及存储设备
CN201721370U (zh) 自卸车
CN210312241U (zh) 一种汽车总装车间物料转移用agv小车
JP2769133B2 (ja) 送電線の作業用振り子型自走機
CN213770260U (zh) 一种具有制动功能的滑移座
CN220080976U (zh) 输送式搬运器
CN215709501U (zh) 一种托盘环形穿梭车及轨道输送系统
CN210883957U (zh) 用于汽车生产辊床输送线的中心旋转装置
CN215714941U (zh) 金属物件清理设备
CN117550263B (zh) 一种双轨环形穿梭车
CN213537030U (zh) 一种能防止水平晃动的起重机用小车
CN210212482U (zh) 一种装修用搬运装置
CN214933441U (zh) 一种车架、分拣小车及货物分拣系统
CN215564845U (zh) 一种车辆搬运器
CN215516421U (zh) 用于汽车配件生产的框架吊运装置
CN217498480U (zh) 一种20吨千级无尘起重机
CN214651061U (zh) 一种具有移动段的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