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66B1 -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66B1
KR101965566B1 KR1020170183821A KR20170183821A KR101965566B1 KR 101965566 B1 KR101965566 B1 KR 101965566B1 KR 1020170183821 A KR1020170183821 A KR 1020170183821A KR 20170183821 A KR20170183821 A KR 20170183821A KR 101965566 B1 KR101965566 B1 KR 10196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hamber
horn
fastening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성
최재욱
권누리
Original Assignee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에는 상기 경음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홀더; 상기 제1챔버에 대응 위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도록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홀더;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상기 경음기 하우징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CAR HORN}
본 발명은 차량용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음기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경음기는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어 주행 중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경보음(경적)을 발생시켜 주위를 환기시킴으로써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등 돌발적인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경음기는 홀더 등의 고정구에 의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고정구를 경음기에 조립 시 고정구의 형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구의 조립 시 고정면적 불일치 등의 공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1998-0062109
본 발명은 차량용 경음기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는, 제1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에는 상기 경음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홀더; 상기 제1챔버에 대응 위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도록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홀더;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상기 경음기 하우징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경음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홀더의 제1챔버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홀더는 차체에 결합되는 제2체결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2체결공과 대응 위치되는 제4체결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홀더의 일단에는 상기 제1홀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1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홀더의 타단에는 상기 제1홀더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1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홀더의 일단에는 상기 제2홀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2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홀더의 타단에는 상기 제2홀더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2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홀더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제2홀더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음기 하우징에 복수의 홀더를 조립 시 각 홀더에 형성된 챔버를 상호 대응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홀더 간의 고정면적을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음기 하우징에 조립되는 복수의 홀더 간의 고정면적을 일치시킴으로써 체결부재에 의한 조힙 시 각 홀더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를 일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없는 부분은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이해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 고정장치는 경음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차체에 결합시켜 준다.
경음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자력을 발생하도록 코일이 권취된 보빈, 보빈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진동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다이아프램에 관통 결합되는 아마추어, 아마추어의 하측에 배치되는 폴(1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 내의 코일이 감긴 보빈에 전류를 단속적으로 공급하여 보빈 내에 고정되어 있는 폴(12)을 전자석으로 만들고, 폴(12)에 생성되는 자력으로 아마추어를 단속적으로 당김으로써 아마추어에 결합된 진동판을 진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폴(12)의 일부는 하우징(1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폴(1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 고정장치는 하우징(11)의 외측으로 돌출된 폴(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 고정장치(100)는 차체에 고정되는 경음기(10)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 주기 위해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즉, 차량용 경음기 고정장치는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는 충분한 지지력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더(110)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일측에는 제1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제1체결공(112)에는 경음기의 폴(12)이 삽입 결합되고, 폴(12)의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타측에는 제2체결공(113)이 형성된다. 제2체결공(113)은 차체에 대응 위치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200)가 삽입되어 제1홀더(110)를 차체에 고정 결합한다.
제1홀더(110)는 제1챔버(111)를 구비한다. 제1챔버(111)에는 경음기 하우징(11)에 제1홀더(110)가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체결공(112)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제1챔버(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챔버(111)는 경음기 하우징(11)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홀더(110)의 반대측 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에는 후술하는 제2홀더(120)의 제2챔버(121)의 돌출부가 대응 위치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일단에는 제1홀더(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1회전방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고할 때 제1홀더(110)의 상단에는 제1홀더(110)의 하측으로 오목하게 제1회전방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방지홈(114)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더(110)를 차체에 조립할 때 제1회전방지홈(114)은 차체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방지돌기에 대응 결합됨으로써 제1홀더의 회전이나 위치 변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홀더(110)의 타단에는 제1홀더(11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1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고할 때 제1홀더(110)의 하단에는 제1홀더(110)의 하측으로 볼록하게 제1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120)는 제1홀더(110)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일측에는 제3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제3체결공(122)에는 경음기의 폴(12)이 삽입 결합되고, 폴(12)의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타측에는 제4체결공(123)이 형성된다. 제4체결공(123)은 차체에 대응 위치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200)가 삽입되어 제2홀더(120)를 차체에 고정 결합한다.
제2홀더(120)는 제2챔버(121)를 구비한다. 제2챔버(121)에는 경음기 하우징(11)에 제2홀더(120)가 결합되도록 제3체결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체결공(122)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제2챔버(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챔버(121)는 제1홀더(11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홀더(120)의 반대측 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제2챔버(121)의 돌출부는 제1홀더(110)의 제1챔버(111)의 오목부에 대응 위치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일단에는 제1홀더(110)의 제1회전방지홈(114)과 대응되도록 제2홀더(12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2회전방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고할 때 제2홀더(120)의 상단에는 제2홀더(120)의 하측으로 오목하게 제2회전방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방지홈(124)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120)를 차체에 조립할 때 제2회전방지홈(124)은 차체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방지돌기에 대응 결합됨으로써 제2홀더의 회전이나 위치 변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홀더(120)의 타단에는 제1홀더(110)의 제1돌기(115)와 대응되도록 제2홀더(12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2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고할 때 제2홀더(120)의 하단에는 제2홀더(120)의 하측으로 볼록하게 제2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경음기를 차체에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음기 하우징(11)에 제1홀더(110)를 위치하고, 경음기의 폴(12)이 제1홀더(110)의 제1체결공(11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1홀더(110)는 제1챔버(111)의 돌출부가 경음기 하우징(11)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한다.
그 후, 제1홀더(110)의 일측에 제2홀더(120)를 위치하고, 경음기의 폴(12)이 제2홀더(120)의 제3체결공(12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2홀더(120)는 제2챔버(121)의 돌출부가 제1홀더(110)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너트 등의 체결부재(200)를 제2홀더(120)의 외측으로 노출된 폴(1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홀더(110) 및 제2홀더(120)를 경음기에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1챔버(111) 및 제2챔버(1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호 간에 정확한 조립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00)가 폴(12)에 체결될 때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 간에 조립 위치가 벗어나지 않게 됨으로써 경음기 하우징(11)에 대한 제1홀더(110) 및 제2홀더(120)의 고정면적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되고, 상호 간에 안정적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홀더(110) 및 제2홀더(12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홀더(110) 및 제2홀더(120)가 경음기 하우징(11)에 조립되면, 제1홀더(110)의 제2체결공(113)과 제2홀더(120)의 제4체결공(123) 역시 대응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제2체결공(113)과 제4체결공(123)을 관통하여 차체에 결합하면 경음기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경음기 11; 하우징
12; 폴
100; 고정장치 110; 제1홀더
111; 제1챔버 112; 제1체결공
113; 제2체결공 114; 제1회전방지홈
115; 제1돌기 120; 제2홀더
121; 제2챔버 122; 제3체결공
123; 제4체결공 124; 제2회전방지홈
125; 제2돌기
200; 체결부재

Claims (10)

  1. 차체에 경음기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제1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에는 경음기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홀더;
    상기 제1챔버에 대응 위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제2챔버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되도록 제3체결공이 형성된 제2홀더;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를 상기 경음기 하우징에 체결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는 상기 경음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홀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홀더는 차체에 결합되는 제2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2체결공과 대응 위치되는 제4체결공을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의 일단에는 상기 제1홀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1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의 타단에는 상기 제1홀더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1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의 일단에는 상기 제2홀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2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의 타단에는 상기 제2홀더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2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제2홀더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한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KR1020170183821A 2017-12-29 2017-12-29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KR10196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21A KR101965566B1 (ko) 2017-12-29 2017-12-29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21A KR101965566B1 (ko) 2017-12-29 2017-12-29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66B1 true KR101965566B1 (ko) 2019-04-04

Family

ID=6610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821A KR101965566B1 (ko) 2017-12-29 2017-12-29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218U (ko) * 1996-03-30 1997-10-13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혼 체결구조
KR19980062109U (ko) 1997-03-31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의 경음기
JP2006315540A (ja) * 2005-05-12 2006-11-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の支軸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218U (ko) * 1996-03-30 1997-10-13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혼 체결구조
KR19980062109U (ko) 1997-03-31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의 경음기
JP2006315540A (ja) * 2005-05-12 2006-11-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の支軸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808B2 (en) Torque detector
JP2000074245A (ja) 電動弁
JP2000018223A (ja) 溶着スタッド
US6774623B2 (en) Mounting bracket for holding sensor assembly together
KR101965566B1 (ko) 차량용 경음기의 고정장치
JP2010014277A (ja) 電動弁
KR101777641B1 (ko) 자동차용 경음기
JP2011073653A (ja) 車両用内装部品の取付構造
JP3205256B2 (ja) 電気式ホーン
JP2006066766A (ja) 小型プランジャ
JPH0132626Y2 (ko)
JPS591397Y2 (ja) マイクロモ−タ
JPH0673799U (ja) 電気式警音器
JP2566195Y2 (ja) 携帯電灯
JPH0750800Y2 (ja) 自動車用電気式ホーン
JP3010748U (ja) 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S6219603B2 (ko)
JPH09311687A (ja) 電気式ホーン
JP2005318195A (ja) スピーカ装置
JPH0623172Y2 (ja) ブラシ保持器の固定構造
KR20180083746A (ko) 자동차용 경음기
JP2511814Y2 (ja) スピ―カ取付構造
JPS6025108Y2 (ja) 電磁発音装置
CN116456249A (zh) 扬声器组件、发声设备、扬声器以及安装件
JP3038511U (ja) ナ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