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731B1 -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731B1
KR101963731B1 KR1020180077469A KR20180077469A KR101963731B1 KR 101963731 B1 KR101963731 B1 KR 101963731B1 KR 1020180077469 A KR1020180077469 A KR 1020180077469A KR 20180077469 A KR20180077469 A KR 20180077469A KR 101963731 B1 KR101963731 B1 KR 10196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support
coupled
fresnel le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호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유)아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이엘에스 filed Critical (유)아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18007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표지판의 지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고정되어 도로 표지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LED 조명;을 포함하며, LED 조명은 중공의 몸체; 몸체 내측에 구비되어 LED 모듈이 결합된 반사부; 반사부의 종단 외주면을 따라 반사부에 결합되어 몸체에 수용되며, LED 모듈의 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 집광렌즈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며, 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차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 및 몸체의 종단에 결합되어,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를 통해 투사된 광을 도포 표지판을 향하여 집광시키는 프로젝션 렌즈;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록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는 LED 모듈에 투사된 광이 표지판의 면의 형태로 빛이 모든 면에 균일한 조도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LED lighting apparatus for road sign}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의 정보를 균일하게 하여 운전자의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의 시인성과 식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에 관한 것이다.
도로 표지판은 국도나 고속도로에서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안내 또는 각종 교통규제를 알리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도로 표지판은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판은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어 도로 방향, 도로 번호, 각종 도로 규제 등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길 안내를 제공하게 된다.
주간 운전은 도로 표지판을 식별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야간 운전은 주간운전보다 식별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완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도로 표지판은 차량의 전조등을 통해 반사되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된다. 하지만, 도로 표지판이 설치된 도로의 위치, 도로의 선형, 기상상태 또는 차량의 전조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은 운전자에게 도로 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로 표지판의 내부에 조명이 구비되어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조명을 on/off하여 차량의 전조등 상태, 기상상태 및 도로상태와 상관없이 운전자에게 도로 표지판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조명이 도로 표지판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로 표지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므로 유지관리에 불편한 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와 같은 장소에서 이러한 교체작업은 보수차량과 주행차량 모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을 매우 크게 노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도로 표지판의 상단에 도로 표지판을 향하여 광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판상으로 형성되는 도로 표지판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광을 제공하는 경우 조도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측은 밝고, 하측은 어둡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정확한 도로 표지판 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력소모도 매우 크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37818호, 2005년 4월 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장치가 표지판의 상단에 위치하며 조사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도로 표지판의 정보를 균일하게 운전자에 제공하여 도로 표지판의 시인성과 식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 및 교통안전 표지판에 설치되어 표지판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증대시키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는 표지판의 지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고정되어 표지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LED 조명;을 포함하며, LED 조명은 중공의 몸체; LED 모듈을 구비하여 몸체 내측에 배치되는 반사부; 반사부의 종단 외주면을 따라 반사부에 결합되어 몸체에 수용되며, LED 모듈의 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 집광렌즈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며, 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차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 및 몸체의 종단에 결합되어,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를 통해 투사된 광을 표지판을 향하여 집광시키는 프로젝션 렌즈;를 구비한다.
여기서, 내주면이 표지판의 외주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표지판형상 슬라이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표지판형상 슬라이드는 표지판의 외주형상의 내주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의 후단에서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으로 몸체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LED 모듈에서 광투사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는 방열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는 도로 표지판의 지주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 'ㄱ'자 형상의 지지대 상단의 후방에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 'ㄱ'자 형상의 지지대 상단의 전방에 구비되어 LED 조명을 고정시키는 조명장치 지지구; 및 태양광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표지판 LED 조명 장치는 볼록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는 LED 모듈에 투사된 광이 표지판의 면의 형태로 빛이 모든 면에 균일한 조도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형상 슬라이드를 손쉽게 교체하여 표지판 형상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지판의 면의 형태로 빛을 조사되면서 빛의 광원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주행중에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LED 모듈의 사용과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저전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LED 조명을 이용하여 도로 표지판에 광을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의 렌즈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의 렌즈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이하, 표지판이라 함)에 설치되어 표지판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지지부(100) 및 LED 조명(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10)는 표지판(S)의 지주(P)에 고정되어 LED 조명(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대(110), 태양광 패널(120), 조명장치 지지구(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지지대(110)는 표지판(S)의 지주(P)에 결합되며, 대략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대(110)의 후술하는 조명장치 지지구(130)가 삽입되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측면에는 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20)은 지지대(110)의 상측 후방에 결합되며,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태양광 패널(120)은 LED 조명(200)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저전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제공받도록 지주(P)를 따라 별도의 전력라인을 설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장치 지지구(130)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110) 상단의 전방에 구비되어 LED 조명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지지대(110)의 강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일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 지지구(130)는 표지판(S)의 크기를 고려하여 길이를 가변적으로 변경하면서 결합됨으로써 표지판(S)에 가장 이상적인 LED 광이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 및 식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지지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태양광 패널(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그 설치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LED 조명(200)은 지지부(100)의 조명장치 지지구(130)에 고정되어 표지판(S)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몸체(210), 반사부(220), 집광렌즈(230), 제1 프레넬렌즈(240), 제2 프레넬렌즈(250),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 프로젝션 렌즈(270), 조명장치 고정부(280), 및 방열케이스(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1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절개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몸체(210)의 축방향을 따라 한 쌍의 고정홈(212)이 형성된다. 고정홈(212)은 후술하는 방열케이스(29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291)와 결합됨으로써 몸체(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반사부(220)은 LED 모듈이 결합된 PCB 기판(221)과 반구 형상의 반사경(222)이 결합되어 중공의 몸체(210)의 일단에 결합된다.
집광렌즈(230)는 반사경(222)의 종단 외주면을 따라 반사경(222)에 결합되며, 몸체에 수용되어 LED 모듈(L)의 광을 집광한다. 이때, 집광렌즈(230)는 반사경(222)에서 반사된 광을 집광하기 위해서 광투사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프레넬렌즈(240) 및 제2 프레넬렌즈(250)는 집광렌즈(230)에서 몸체(21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차례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제1 프레넬렌즈(240)는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LED 모듈(L)에서 투사된 광을 전방으로 균일하고 평행한 광선으로 집중시키도록 제1 볼록면(241)을 구비한다. 제2 프레넬렌즈(250)는 제1 프레넬렌즈(240)의 제1 볼록면(241)과 마주보도록 제2 볼록면(251)이 배치되어 제1 프레넬렌즈(241)에서 조사된 빛을 표지판(S)에 균일하게 광 투사되도록 되도록 각도 조절을 통한 키스톤(keytone) 역할을 하면서 투사시켜 표지판의 모든 면에 균일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넬렌즈(240) 및 제2 프레넬렌즈(250)의 볼록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LED 모듈에 투사된 광이 균일해져 모든 면에 균일한 조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조사 방향이 멀어질수록 광이 흐려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도로 표지판이 전체적으로 선명하고 균일하게 보이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는 내주면이 표지판(S)의 외주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제1 프레넬렌즈(240) 및 제2 프레넬렌즈(25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은 절개홀(211)에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는 표지판(S)의 형상에 따라 표지판형상 슬라이드(260) 만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표지판(S)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표지판(S)에 면의 형태로 광을 조사하면서 광원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주행중에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270)는 몸체(210)의 종단에 결합되어, 제1 프레넬렌즈(240) 및 제2 프레넬렌즈(250)를 통해 투사된 광을 표지판(S)을 향하여 조사시킨다. 이때, 프로젝션 렌즈(270)는 투사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 또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젝션 렌즈(270)는 종단에 캡(271)이 구비되어, 몸체(210)에 결합된다.
조명장치 고정부(280)는 일단이 방열케이스(290)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조명장치 지지구(130)에 결합되어 LED 모듈의 광투사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281), 각도조절부(282), 구체 회전안내부(283) 및 고정구(284)를 구비한다.
하우징(281)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소정 크기의 홀(2812)이 형성되고, 타단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281)은 외주면에 절개면(2811)이 형성되고, 절개면(2811)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지지체(282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홀(2813)이 형성된다.
절개면(2811)은 후술하는 각도조절부(282)와 구체 회전안내부(283)가 삽입되는 공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각도조절부(282)와 구체 회전안내부(283)가 삽입된 후에는 절개면(2811)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재로 결합되고, 도면에는 미표시 하였으나, 하우징(281)의 외주면은 폐쇄된다.
각도조절부(282)는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하우징(281)에 연결된 LED 모듈의 광투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고정판(2821), 지지체(2822) 및 구체(2823)를 구비한다. 고정판(2821)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홀을 구비하여 조명장치 지지구(130)에 결합된다. 지지체(2822)는 원통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고정판(2821)에 결합되어 연장된다. 구체(2823)는 직경이 지지체(2822)의 직경보다 큰 구형으로 형성되고, 지지체(2822)의 연장된 타단에 결합되어 절개면(2811)을 통해 하우징(281)에 삽입된다.
구체 회전안내부(283)는 외주면이 하우징(28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구체(282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형상의 구면홈(2831)이 형성된다. 구체 회전안내부(283)는 하우징(281)에 삽입된 구체(2823)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구체(2823)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구체(2823)와 구체 회전안내부(283)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구체 회전안내부(283)의 상면과 하우징(281)의 상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이동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구(284)가 구비된다. 고정부(284)는 하우징(28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고, 원판의 하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돌출구(2841)를 구비하여 홀(2812)에 삽입되어 구체 회전안내부(283)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하우징(281) 내측에 배치된 각도조절부(282) 및 구체 회전안내부(283)는 회전운동만 하고,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구체 회전체(2823)를 조정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광투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장치 고정부(280)는 광투사각도를 모니터링하는 각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각도센서는 구체(2823)와 구체 회전안내부(283)의 이동으로 인해서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각도가 틀어진 경우, 제어부(140)는 표지판에 적절한 광을 투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40)에 구비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관계기관에 조명장치 고정부(280)의 조사각도를 조정할 것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방열케이스(290)는 몸체(210)의 후단에서 몸체(2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몸체(210)의 고정홈(212)과 결합될 수 있는 볼록부(291)가 형성된다. 이때, 발열케이스(290)에는 LED 모듈에서 광투사 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방열핀(292)을 구비하며, 방열핀(292)의 구조는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방열핀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방열케이스(290)의 후단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방열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방열핀(292)은 판면에 대해서 복수의 타공(29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타공(2921)의 입구측과 출구측은 중앙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확공되도록 형성(미표시)되어 방열시 발생하는 대류현상을 더욱 원활하게 함으로써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타공이 교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열을 발산하는 발산면적이 증대되고, 대류현상을 더욱 원활하게 함으로써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지판의 형상에 따라 표지판형상 슬라이드를 교체 적용함으로써 표지판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하나의 표지판에 2개 이상을 배치함으로써 표지판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지지부 110 : 지지대
120 : 태양광 패널 130 : 조명장치 지지구
140 : 제어부 200 : LED 조명
210 : 몸체 211 : 절개홀
220 : 반사부 221 : PCB 기판
222 : 반사경 230 : 집광렌즈
240 : 제1 프레넬렌즈 250 : 제2 프레넬렌즈
260 : 표지판 슬라이드 270 : 프로젝션 렌즈
280 : 조명장치 고정부 281 : 하우징
2811 : 절개면 282 : 각도조절부
2821 : 고정판 2822 : 지지체
2823: 구체 283 : 구체 회전안내부
2831 : 구면홈 284 : 고정구
2841 : 돌출구 290 : 방열 케이스
291 : 볼록부 292 : 방열핀

Claims (5)

  1. 도로 표지판 및 교통안전 표지판에 설치되어 표지판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증대시키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표지판의 지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표지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LED 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LED 조명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한 쌍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몸체;
    LED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 내측에 배치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의 종단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수용되며, 상기 LED 모듈의 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
    상기 집광렌즈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며,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1 볼록면이 형성되는 제1 프레넬렌즈;
    제1 프레넬렌즈의 제1 볼록면과 마주보도록 제2 볼록면이 배치되어 제1 프레넬렌즈에서 조사된 빛을 표지판에 균일하게 광 투사시키는 제2 프레넬렌즈;
    상기 몸체의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를 통해 투사된 광을 상기 표지판을 향하여 집광시키는 프로젝션 렌즈;
    상기 몸체의 후단에서 상기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몸체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LED 모듈에서 광투사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는 방열케이스; 및
    일단이 상기 방열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의 조명장치 지지구에 결합되어 상기 LED 모듈의 광투사 각도를 조절하는 조명장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 고정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홀이 형성되고, 타단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절개면이 형성되는 하우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장치 지지구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지지체와, 직경이 상기 지지체의 직경보다 큰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구체를 구비하는 각도조절부;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구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형상의 구면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구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구체의 회전을 안내하는 구체 회전안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판의 하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돌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구체 회전안내부의 상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면은,
    상기 각도조절부와 상기 구체 회전안내부가 삽입된 후에 상기 절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재로 결합되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가 배치되는 사이에 절개홀이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표지판의 외주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넬렌즈 및 제2 프레넬렌즈 사이에서 상기 절개홀에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표지판형상 슬라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형상 슬라이드는,
    상기 표지판의 외주형상의 내주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는,
    내주면에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로 표지판의 지주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
    상기 'ㄱ'자 형상의 지지대 상단의 후방에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
    상기 'ㄱ'자 형상의 지지대 상단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LED 조명을 고정시키는 상기 조명장치 지지구;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KR1020180077469A 2018-07-04 2018-07-04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KR10196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69A KR101963731B1 (ko) 2018-07-04 2018-07-04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69A KR101963731B1 (ko) 2018-07-04 2018-07-04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731B1 true KR101963731B1 (ko) 2019-03-29

Family

ID=6589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69A KR101963731B1 (ko) 2018-07-04 2018-07-04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7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90A (ko) * 2019-10-08 2021-04-16 선지호 다양한 직경의 수직안내표판지 원통지주용 태양광 엘이디 조명등 고정장치
KR102458300B1 (ko) 2021-10-25 2022-10-24 해오름 주식회사 도로교통표지판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착식 양면 표지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가 부착된 부착식 양면 표지
KR102610071B1 (ko) * 2023-02-24 2023-12-05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교통 표지판용 led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교통 표지판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18A (ja) * 1994-08-01 1996-02-20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標識板等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方法
JPH086326Y2 (ja) * 1989-04-10 1996-02-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02526697A (ja) * 1999-05-20 2002-08-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道路標示複合体及び道路を標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50037818A (ko) 2003-10-20 2005-04-25 김종균 백라이트 내장 도로표지판
KR101315085B1 (ko) * 2013-04-05 2013-10-08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도로 표지판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26Y2 (ja) * 1989-04-10 1996-02-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H0849218A (ja) * 1994-08-01 1996-02-20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標識板等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方法
JP2002526697A (ja) * 1999-05-20 2002-08-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道路標示複合体及び道路を標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50037818A (ko) 2003-10-20 2005-04-25 김종균 백라이트 내장 도로표지판
KR101315085B1 (ko) * 2013-04-05 2013-10-08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도로 표지판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90A (ko) * 2019-10-08 2021-04-16 선지호 다양한 직경의 수직안내표판지 원통지주용 태양광 엘이디 조명등 고정장치
KR102280010B1 (ko) 2019-10-08 2021-07-21 선지호 다양한 직경의 수직 안내표지판 원통지주용 태양광 led조명등 고정장치
KR102458300B1 (ko) 2021-10-25 2022-10-24 해오름 주식회사 도로교통표지판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부착식 양면 표지에 부착되는 테이프 및 이 테이프가 부착된 부착식 양면 표지
KR102610071B1 (ko) * 2023-02-24 2023-12-05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교통 표지판용 led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교통 표지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559B2 (en) Vehicle lamp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963731B1 (ko) 도로표지판 및 교통안전표지판용 led 조명 장치
JP5425184B2 (ja) ランプ組立体
EP3173688B1 (en) Lighting fixture unit and headlamp for vehicle
US7736036B2 (en) Lamp unit of vehicle headlamp
CN100570207C (zh) 车辆用灯具
JP5249412B2 (ja) Ledを用いた照明灯
US20160341386A1 (en) Vehicle-mounted headlamp
JP2015185533A (ja) 車載用前照灯
EP2324281B1 (en) Lamp assembly
KR20040087886A (ko) 차량용 전조등
JP2021111465A (ja) 車両用灯具
KR101307976B1 (ko) 다중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led 헤드램프
KR101612865B1 (ko) 각도조절 및 차광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20130032686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1757553B1 (ko) 빛 공해 방지용 led 등기구, 그 등기구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90085275A (ko) 터널등의 각 조절 장치
KR101221967B1 (ko) Led 조명장치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JP6988181B2 (ja) 車両用灯具
ES2872325T3 (es) Dispositivo de alumbrado de LED con distribución de luz mejorada
CN220355224U (zh) 汽车前照灯及汽车
KR20080009180A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KR102618790B1 (ko) 도로용 조명 장치
KR102607316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