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306B1 -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06B1
KR101963306B1 KR1020180072264A KR20180072264A KR101963306B1 KR 101963306 B1 KR101963306 B1 KR 101963306B1 KR 1020180072264 A KR1020180072264 A KR 1020180072264A KR 20180072264 A KR20180072264 A KR 20180072264A KR 101963306 B1 KR101963306 B1 KR 10196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delivery
free
user interface
boarding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봉관
Original Assignee
남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봉관 filed Critical 남봉관
Priority to KR102018007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06B1/ko
Priority to PCT/KR2019/004666 priority patent/WO20192035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면세품 배송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합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탑승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을 제시하고, 입력수단이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의 배송 조회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상기 배송 조회 이벤트에 해당하는 면세품 배송 프로세스의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배송 조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합니다.

Description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THE USER INTERFACE METHOD OF MOBILE APPLICATION FOR BOARDING GATE DELIVERY OF DUTY FREE GOODS}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하며, 특히 면세품의 배송 시스템에 관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다.
면세품의 구매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행해진다. 공항에 설치된 면세 구역에 위치한 면세점에서 구입하는 방법이 있고, 공항 바깥에 위치한 면세점에서 구입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면세품 구입 즉시 소유권이 구매자에게 넘어가기 때문에 배송의 문제가 발송하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가 문제이다. 즉, 공항 바깥에 위치한 면세점에서 면세품을 구입하는 경우, 면세품은 소비자에게 직접 인도되지 않고 공항 내 면세 구역에 위치한 면세품 인도 장소에서 비행기 탑승 전에 소비자와 구매사실에 대한 확인을 거친 후 면세품 인도가 행해진다.
관세청의 2017년 통계에 따르면 인천공항 출국장 면세점 매출은 2조 3313억 원이었지만 시내 면세점 및 인터넷 면세점의 매출은 11조 원 이상이었다. 전체 면세점 매출의 약 80% 이상이 시내 면세점 및 인터넷 면세점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11조 원 이상의 면세 상품은 공항 인도장에서 탑승 전 제한된 시간 내에 국내외 소비자에게 인도된다. 이로 말미암아 크게 난리가 나고 있는 상황이다.
수많은 면세품 구입자가 인도장에 몰려들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어 매우 불편하다. 또한, 탑승 전 3 시간 이전에는 발권이 안 되는 공항 시스템 때문에 충분한 여유를 두고 인도장에 갈 수 없다. 결국 면세품에 대한 결제까지 행했으나 상품을 인도받지 못하는 미인도 사고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도장에 면세점 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9월까지 그 해 99만 건의 미인도 사태가 발생했다.
또한 면세품 포장지 등의 쓰레기로 인해 면세품 인도장 주위의 열악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말미암아 공항 이미지가 추락할뿐더러 미인도 사고에 의해 소비자, 면세점 사업자, 국가 모두에게 다양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는 인도장에서 시간을 모두 소비해 버린다. 그러므로 공항 면세점을 이용할 시간을 잃는다. 따라서 공항 면세점 사업자는 상품을 판매할 기회를 잃고 만다. 또한 한국에서의 쇼핑에 대한 나쁜 경험과 기억이 퍼지게 되어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킨다.
면세품 인도장 사태를 개선하기 위해 아무리 생각을 해 봐도 이런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방법을 종래 관념으로는 찾을 수 없었다. 한편으로는 면세품 인도에 관한 통합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면세품 인도라는 상업적인 이유 때문에 공항의 운영 시스템을 변경할 수도 없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런 현재 상황에서도 국내외 면세품 소비자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여전히 미인도 사건이 폭증하고 있다.
한편 면세품 사업자는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있지만, 구입한 면세품은 공항 인도장에서만 인도되기 때문에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배송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배송조회라는 관념도 면세품에 관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는 존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면세품의 인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갖 노력과 궁리를 다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구조를 개선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면세품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안함에 있다. 그래서 인도장 혼잡 문제를 해소하고, 상품 인도까지 대기 시간을 단축하며 소비자를 이롭게 한다. 또한 이를 통해 공항 면세점에서의 쇼핑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면세품 사업자를 이롭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체화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전제했다.
첫째, 공항 시스템을 함부로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즉, 면세품을 구입한 탑승객이 더 빨리 탑승 톨게이트가 있는 입국장으로 들어가도록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다. 탑승 게이트도 정해지지 않았는데 정해진 시간 이전에 단순히 면세품 인도장 문제를 이유로 발권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둘째, 시내 면세점 또는 인터넷 면세점에서 행해지는 판매와 구매 시스템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시스템을 활용하면서도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신규 시스템을 간단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시스템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만 문제를 해결한답시고 새로운 혼란이 초래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면세품을 구매하는 구매자는 필연적으로 비행기를 탄다. 그런 구매자의 선택에 의해 탑승 게이트에서 자신이 구매한 면세품을 인도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구매자 및/또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배송조회를 하거나 배송완료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을 제시하고, 입력수단이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의 배송 조회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상기 배송 조회 이벤트에 해당하는 면세품 배송 프로세스의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배송 조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은 온라인 면세점 및/또는 오프라인 면세점 시스템과 연동하여 등록되며,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상기 온라인 면세점 및/또는 오프라인 면세점의 구매 이력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상기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 외에 인도장 배송 리스트도 포함하며, 상기 인도장 배송 리스트에 대해 면세품 인도장 배송에 관련한 정보를 기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를 선택하면 탑승 게이트 배송에 관련한 면세품의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상기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 외에 인도장 배송 리스트도 포함하며, 입력수단이 상기 인도장 배송 리스트를 선택하면 해당 면세품에 대한 구매 정보가 표시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탑승 게이트 배송으로 배송 방법 전환 리퀘스트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면세품 정보 제공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면세품 구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면세품 구매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항 면세품 인도장에서 벌어지는 극심한 불편함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인도장에서 면세품을 인도받는 사람의 숫자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구매자는 자신의 탑승 게이트에서 면세품을 편리하게 인도받을 수 있다. 공항 관리자의 입장에서도 면세품을 인도받으려는 사람들이 분산되기 때문에 공항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동안 공항에서 면세품 인도를 받으려는 사람들은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공항 면세점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런 어려움도 해결된다.
물론 인도장이 아닌 탑승객의 탑승 게이트 앞에서 직접 면세품 인도가 행해지기 때문에 면세품의 미인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무엇보다 큰 장점이라 하겠다.
또한 면세품 구매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자신이 구매한 면세품의 배송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또한 기존 인도장 배송을 신청했더라도 앱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탑승 게이트 배송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도 거둘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촉발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A는 공항 인도장에서 면세품을 인도받는 평범한 배송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직접 배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직접 배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시스템(2)의 구성의 일 예를 면세품을 구매한 구매자 관점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 상황을 열람할 수 있는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구성 모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 구성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게이트 직접 배송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지원하는 사용자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촉발되었는지를 카툰 형식으로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현재 공항 면세품 인도장에서는 구매자가 줄을 서서 자기 순번에 따라 사전에 구매한 면세품을 인도받는다. 도 1은 흔한 풍경을 특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화자는 말한다.
"10분 내로 비행기 타야 해. 그냥 가자. 50분이나 기다렸어!"
50분이나 기다렸음에도 여전히 기다리고 있다. 그런데 10분 후에는 보딩을 시작한다. 인도장에서 자기가 구매한 면세품을 받기 위해서 비행기 탑승을 포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면세품 인도를 포기한다. 그러면 결제는 소급해서 취소된다(신용카드 결제 취소는 비교적 그 절차가 쉽지만 현금 결제를 한 면세품 구매 취소는 매우 복잡하고 번거롭다).
줄을 서지 않고 면세품을 받을 수 있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 줄의 길이가 절반으로 줄어든다면 기다리는 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역시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두 가지 모두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줄을 서지 않고 면세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소극적으로> 활용된다면 줄의 길이가 대폭 줄어서 인도장에서 발생하는 미인도 사건이 현격히 줄어들 것이다.
도 2A는 공항 인도장에서 면세품을 인도받는 평범한 배송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이 두 가지는 합리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내 면세점 혹은 온라인 면세점에서 면세품을 구매하면, 면세품은 즉시 인도될 수 없다. 도 2A의 프로세스를 통해 면세품을 인도받거나 혹은 도 2B의 프로세스를 통해 면세품을 인도받는다.
도 2A의 프로세스를 살펴본다. 면세품 구매 이벤트가 발생되면, 면세품은 보관되고 있는 창고에서 출고되거나 혹은 상황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별도의 창고에 집하된다(a). 다음으로 면세품은 공항의 물류 창고에 배송된다(b). 그리고 사용자의 항공권 정보에 기초해서 면세품은 인도장으로 이송된다(c). 이 프로세스에서는 사용자(구매자)의 탑승 게이트가 어디인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실시간 배송조회에 관한 이익이 구매자에게 없다. 어차피 면세품은 정해진 인도장에서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인도장에서 자기가 구매한 면세품을 인도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면세품 구매 시 혹은 그 이후에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함으로써 도 2B의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다.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면, 면세품은 보관되고 있는 창고에서 출고되거나 혹은 상황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별도의 창고에 집하되며(a), 사용자의 항공권 정보에 기초해서 공항으로 이동한 다음에(b), 바람직하게는, 곧바로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 물류 창고에 보관될 수 있다(c). 그런 다음 공항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항공기의 탑승 게이트가 정해지면, 그 탑승 게이트에 인접한 장소로 면세품을 이동시킨다(d). 최종적으로는 배송 요원이 면세품을 탑승 게이트에서 탑승객(구매자)에게 직접 배송함으로써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의 실행을 완료한다(e).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정해진 배송장소인 인도장이 아니라 가변적이기 때문에 배송 추적이 요구된다. 배송 시스템의 완결성 차원에서 배송 추적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탑승 전에 안전하게 면세품을 받고자 하는 구매자의 관심과 이익에서도 배송추적이 필요하다.
도 2A와 도 2B의 프로세스는 오프라인에서 수행되는 것이지만, 각각의 단계는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며 관리될 것이다. 특히 도 2B의 프로세스에 관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직접 배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면세품의 배송이 면세품 구매자의 탑승 게이트에서 행해지도록 구조화하는 본 발명의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 시스템은 적어도 물리적으로 혹은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3개의 시스템을 연계해서 구축되는 통합 시스템이다.
제 1 시스템(1)은 온라인(모바일을 포함한다) 면세점 또는 공항 바깥에 있는 오프라인 면세점 네트워크 시스템이며, 이 네트워크에서는 면세품 판매 매니지먼트 서버(100)와 통신하는 N개(N은 1보다 큰 정수)의 네트워크 단말(101)이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시스템(1)은 공지 요소이다.
오프라인 면세점의 판매 시스템이라면 상기 네트워크 단말(101)은 각 판매 장소마다 설치된 포스 단말이다. 반면 온라인 면세점의 판매 시스템이라면 상기 네트워크 단말(101)은 통신수단이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면세품 판매 매니지먼트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이다. 모바일 앱을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제 2 시스템은(2)는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200)가 관리하며 M개(M은 1보다 큰 정수)의 배송자 단말(250)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제 2 시스템(2)의 서버(200)는 제 1 시스템(1)의 서버(100)와 통신하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연결되어 있다.
제 3 시스템(3)은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300)가 관리하는 공항 시스템이며,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300)는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를 결정하여 탑승 게이트 페이지(321)에 업로드한다. 탑승 게이트 페이지(321)에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가 등록됨으로써 항공기 티켓 발권이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을 통해 제 2 시스템(2)의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200)는 상기 제 3 시스템(3)에 접속해서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2 시스템(2)의 배송자 단말(250)도 제 1 시스템(1)에 속한 컴퓨터 장치도 상기 탑승 게이트 페이지(321)에 접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이 제 1 시스템 내지 제 3 시스템은 내부 네트워크 요소를 가지며 그 요소들이 대내적으로 서로 연계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그룹이면서도 동시에 네트워크 시스템이 된다.
반면 제 4 그룹(4)에는 P개(P는 1보다 큰 정수이다)의 디바이스(400)가 속해 있다. 이 디바이스(400)는 제 1 시스템에서 면세품을 구입했으며, 제 2 시스템을 통해서 구입한 면세품을 배송받는 면세품 구매자의 디바이스이다. 바람직하게는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이들 디바이스(400)들은 서로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고, 제 1 시스템(1)에서는 면세품 구매자가 소지한 디바이스이며, 제 2 시스템(2)에서는 면세품을 배송받는 탑승객이 소지한 디바이스가 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각 시스템의 기능과 역할과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며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시스템(1)은 전술한 것처럼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이며, 면세품 판매 매니지먼트 서버(100)가 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관리한다. 면세품 판매 매니지먼트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와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110)을 통해 면세품 정보, 면세품의 판매 정보, 배송 정보, 고객 정보 등을 기록한다.
면세품 판매 매니지먼트 서버(100)가 관리하는 판매 시스템(120: 온라인 면세점과 모바일 면세점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포스 단말을 이용해서 판매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을 통해서 구매자에게 면세품을 판매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이 온라인 판매 시스템(120)은 구매자 단말이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로 포스 단말을 이용해서 면세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면세점) 상기 판매 시스템(120)에 구매자에게 도 2B의 프로세스로 탑승 게이트에서 면세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신청하는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기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판매자의 단말에 포함된다.
제 1 시스템(1)과 제 2 시스템(2)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며 연계하고 데이터를 연동한다.
제 2 시스템(2)은 제 1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이며,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200)가 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관리한다.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200)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로 구성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와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210)를 통해 면세품 판매 정보, 고객정보, 배송자 정보, 배송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배송 매니지먼트 관리자 단말(220)은 상기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200)에 접속해서 내부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액세스하며, 대외적으로는 사전에 정해진 범위로 제 1 시스템(1)에 접속할 수 있다.
배송 매니지먼트 관리자 단말(220)은 관리자 인터페이스(221)를 통해서 배송 관리 소프트웨어 모듈인 배송 관리부(223)에 의해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배송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배송 관리부(223)는 단계별로 데이터베이스(210)에 액세스하면서 배송에 관한 이벤트를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210)에 접근하여 제1시스템(1)에서 행해진 면세품 판매에 관련하여 고객정보 및 배송정보를 조회하는 배송 요청 정보 조회 이벤트(223a)를 행한다. 배송 요청 정보 조회 이벤트(223a)의 결과, 어떤 면세품인지, 그 내용과 규격은 어느 정도인지, 구매자가 누구인지, 구매자의 비행일정이 어떻게 되는지, 구매자가 탑승하는 비행기가 어떤 항공사인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정보 및 배송정보에 따라 상품을 분류하여 배송 시스템에 기록하는 배송/상품 분류 이벤트(223b)를 실행한다. 그다음에 데이터베이스(210)에 배송 담당자를 배정하여 기록하고(223c), 제 1 시스템(1)의 물류 시스템을 통해 물품을 수령한 다음, 면세품이 제 1 시스템(1)의 물류 시스템에서 제 2 시스템(2)의 물류 시스템으로 인도되었다는 사실/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기록한다(223d).
도 2B의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도받은 면세품을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 물류 창고에 보관하고 그 사실/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기록한다(223e).
또한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220)은 제 3 시스템(3)의 출입국 관리 시스템(320)에 접속해서 고객항공기의 탑승 게이트 정보를 입수하여 배송자 계정으로 탑승 게이트가 특정된 배송 오더를 전송할 수 있다.
배송 오더를 받은 배송자가 정해진 탑승 게이트에서 물품 배송을 완료한 다음, 시스템은 배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완료 이벤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배송정보를 기록한다(223f).
이렇게 배송 완료 이벤트가 제 2 시스템(2)에서 생성되면, 완료된 배송정보는 제 2 시스템(2)뿐만 아니라 제 1 시스템과도 연동하여 통지되고 기록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로도 배송완료 이벤트가 문자 메시지로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채팅 메시지로 통지될 수 있다.
제 3 시스템(3)은 전술한 것처럼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이며,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300)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를 포함하며, 이 네트워크 시스템을 관리한다.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300)는 예컨대 웹 사이트를 통해 항공기의 운행정보를 공개하는 출입국 관리 시스템(320)을 통해 공항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 정보를 등록한다.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300)는 공항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기록되어 있는 항공편 정보를 이용하여 항공기마다 탑승 게이트를 결정하게 되는데, 항공사에 할당되는 탑승 게이트가 대체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예상할 수는 있어도 확정적이지는 않다. 탑승 게이트의 특정은 통상 탑승 전 몇 시간 전에 정해지며, 탑승 게이트가 특정되어야만 비로소 항공기 티켓의 발권이 행해진다.
제 2 시스템(1)에 속한 서버 및/또는 단말은 제 3 시스템(3)에 접속하여, 더 자세하게는 상기 출입국 관리 시스템(320)의 웹 사이트, 모바일 앱, 푸시 메시지 등의 수단을 통해 고객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제 1 시스템(1)에 속한 서버 및/또는 단말도 탑승 게이트 정보를 입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 제 1 시스템(1)과 제 3 시스템(3)은 공지의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그러나 도 4의 제 2 시스템(2)의 구성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또한 이러한 제 2 시스템(2)과, 제 1 시스템(1) 및 제 3 시스템(3)이 연계하고 통신하며 연동하는 구성도 본 발명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도 4는 탑승 게이트에서 면세품을 배송하는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제 2 시스템(2)의 관리자 측 관점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였다. 도 5는 면세품을 구매한 구매자 관점으로 제 2 시스템(2)의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를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면세품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400)에는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면세품 배송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 면세품 구매자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제 2 시스템의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 2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배송정보 데이터베이스(215)에 접근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자신의 면세품이 물품 인도까지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면세품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420)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 모듈(430)을 실행할 수 있는데, 먼저 배송목록(431)을 선택하면 제 2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되어 있는 배송 대상이 되는 물품, 즉 구매한 면세품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세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면세품 구매시에 발행된 주문번호를 입력하거나 조회 버튼을 입력해서 자동으로 주문번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432). 그러면 배송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433).
본 발명의 상기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은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대체로 스마트폰)의 다양한 하드웨어 기기와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연동해서 기능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통신모듈(440), 메신저 모듈(450), 입출력기 모듈(460), 마이 페이지 모듈(470), 배송조회 모듈(4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각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모듈(44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가 규정하는 규칙에 따라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모뎀을 통해 제 2 시스템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신저 모듈(450)은 제 2 시스템의 메시지 발송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메신저가 내장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카오톡TM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와 연동하거나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SMS 메신저와 연동할 수 있다.
입출력기 모듈(460)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의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I/O 기기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이 페이지 모듈(470)은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수정하며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송조회모듈(480)은 도 5의 이벤트 모듈(430)의 기능에 대응한다. 배송조회모듈(480)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통해서 면세품 구입부터 탑승 게이트에서의 면세품 인도 완료까지의 프로세스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집하완료(481) 상품이동중(482), 공항도착(483), 게이트 출발(484), 배송완료(485)를 가시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시스템에서 면세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가 발생했고, 또한 사용자가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제 1 시스템의 판매자 서버에 전송했다면, 제 1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제 2 시스템의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가 후속하여 실행되는 해당 면세품의 배송 프로세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 2 시스템의 배송지 정보가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사용자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배송지 정보가 사용자 화면에서 식별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제 1 시스템의 면세품 판매 매니지먼트 서버가 제공할 수 있다. 즉, 제 1 시스템의 판매 시스템의 웹 혹은 앱 페이지를 통해 배송지 정보(면세품이 배송 단계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구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들에 있어서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화면 구성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이다.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은 온라인 면세점 및/또는 오프라인 면세점 시스템과 연동하여 등록되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아래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면세점 및/또는 오프라인 면세점의 구매 이력이 표시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시스템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었다고 가정하자.
예컨대 도 7(a)는 <ABC 면세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4000) 구성 예이다. 대체로 면세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4000)은 다수의 면세품 아이템이 표시되는 아이템 영역(4001)과 할인 등의 이벤트를 표시하는 프로모션 영역(4002)과 다양하게 미리 설정되어 있는 면세품 리스트 영역(4003)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쪽 관리 영역(4010)에는 홈화면으로 가기,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장바구니 가기, 마이 페이지 가기 등의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사용자 화면(4000)의 다양한 구성과 화면 디자인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 페이지 가기 아이콘(4011)을 선택하면, 도 7(b)와 같은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4100)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4100)은 사용자 정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4101)과 주문 현황 영역(4110) 및 기타 영역(4150)이 포함된다. 도 7(b)의 화면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그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a) 혹은 도 8(b)의 화면 구성과 통합해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주문 현황 영역(4110)에는 세 가지 분류로 면세품 구매 이력이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로 간단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합계 분류(4111)에는 총 주문 이벤트의 개수, 인도장 배송 분류(4113)에는 인도장에서 배송이 이루어지는 주문 이벤트의 개수, 게이트 배송 분류(4115)에는 탑승 게이트에서 배송이 이루어지는 주문 이벤트의 개수를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주문 이벤트 모두 탑승 게이트 배송으로 이뤄졌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주문 이벤트 모두 인도장 배송으로 될 수도 있으며, 일부는 인도장 배송 나머지 일부는 탑승 게이트 배송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문 현황 영역(4110)을 입력수단이 선택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상세한 주문 내역을 사용자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과 같다.
도 8(a)은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화면에서 인도장 배송 리스트(미도시)를 클릭했을 때 실행되는 인도장 배송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42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주문 내역 상세 영역(4210)에는 면세점 분류 영역(4211)과 상품 상세 영역(4230)이 포함된다.
면세점 분류 영역(4211)을 통해 해당 면세품이 인터넷 면세점에서 구매한 것인지 오프라인 매장 면세점에서 구입한 것인지를 나타내준다.
상품 상세 영역(4230)에는 면세점에서 주문한 면세품의 상품 정보, 결제정보, 주문번호 등이 표시된다.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4200)에는 인도장 배송 리스트가 표시되며,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인도장 배송 관련 정보 영역(4230)에는 면세품의 인도장 배송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주문처리절차 등의 면세품 인도장 배송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로 표시된다.
도 8(b)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화면에서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를 클릭했을 때 더 상세한 정보를 제시하는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43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주문 내역 상세 영역(4310)에는 면세점 분류 영역(4311)과 상품 상세 영역(4320)이 포함된다.
상품 상세 영역(4320)에는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에는 배송 조회 버튼(4321)이 있고, 입력수단이 이 배송 조회 버튼(4321)을 클릭했을 때 배송 조회 이벤트가 발생된다. 이 배송 조회 이벤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도 8(c)와 같은 면세품 배송 프로세스의 배송 조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배송 조회 사용자 인터페이스(4400)의 배송 조회 영역(4410)에는, 주문완료, 상품준비, 집하완료, 상품 이동중, 공항도착 게이트 출발 등의 배송상태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의 인도장 배송 리스트에서 탑승 게이트 배송으로 배송 방법을 전환하는 리퀘스트를 제 1 시스템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제 위와 같은 설명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시내 면세점 혹은 온라인 면세점의 탑승 게이트 직접 배송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도 9를 이용하여 살펴본다. 온라인 면세점은 컴퓨터 화면을 통해 쇼핑을 하는 인터넷 면세점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 화면을 통해 쇼핑을 하는 모바일 면세점을 포함한다.
먼저 구매자가 면세점에서 면세품을 구매한다. 포스 시스템이나 인터넷 쇼핑 등의 컴퓨터 환경에서 면세품 구매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S100), 배송할 면세품이 특정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이제까지 설명한 도 2B의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는 자동으로 실행되기보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개시되도록 하는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S100 단계 이후로 컴퓨터 단말의 화면에서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S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A의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는 무상 배송으로, 도 2B의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는 추가 배송 비용을 부담토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S110 단계가 필수적인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S110 단계는 인터넷 면세점의 사이트의 화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인터넷 면세점의 결제 화면(125)에서 상기 S110 단계를 실행하는 것이다. 결제 화면(125)에는 면세품 정보, 가격, 수량 등의 결제 정보 영역(126)을 포함하고 그 아래에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 영역(127)이 위치한다.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 영역(127)에는 예컨대 "탑승 게이트 배송을 신청합니다"라는 문구 옆에 체크 박스(127a)를 설치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이 입력수단을 이용해서 이 체크 박스(127a)에 체크한 다음에 구매 완료 버튼을 누르면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가 서버로 전달되고, 도 2B와 같은 프로세스가 개시되는 것이다.
상기 S110 단계는 시내 면세점(오프라인 매장)의 포스 단말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그 시나리오는 포스 단말을 사용하는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도 2B의 배송 방법을 안내하고, 구매자의 신청을 받은 다음, 포스 단말에서 미리 설정한 리퀘스트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B와 같은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가 서버에 전달됨으로써 제 1 시스템의 서버가 면세품 판매 정보를 제 2 시스템의 서버로 전달하고, 해당 면세품에 대한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가 제 2 시스템의 서버에 등록됨으로써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가 개시된다(S120). 미리 정해진 물류 규칙에 따라 도 2B의 (a)~(c) 단계가 실행될 것이다.
한편 제 3 시스템에서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가 구매자가 탈 항공기의 탑승 게이트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등록함으로써 본 발명의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필요한 탑승 게이트가 비로소 특정된다. 그러면 제 2 시스템의 서버는 탑승 게이트가 특정된 배송 오더를 생성해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배송자 계정으로 전송한다(S130). 배송 오더는 배송자 계정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실무적으로는, 배송 오더가 생성되기 전에 배송자 계정으로 면세품의 배송 담당이 미리 정해질 수 있고, 경험칙에 의해 항공사마다 자주 사용되는 탑승 게이트를 임시로 특정할 수는 있지만,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은 제 3 시스템에서 탑승 게이트가 결정돼야만 정식으로 배송 오더가 확정된다.
상기 배송 오더에는 시간과 장소가 특정된 탑승 게이트 정보뿐만 아니라 면세품 정보, 구매자의 정보, 배송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 오더를 받은 배송자는 면세품을 특정된 탑승 게이트에서 면세품을 인도한다. 배송자가 구매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탑승 게이트 앞에서 이름을 부르거나 하는 등의 행위는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구매자는 교환권과 여권을 제시한 후 면세품을 전달 받게 되는데, 이때 배송자는 배송완료 이벤트를 자신의 디바이스를 통해 기록하고 제 2 시스템의 서버에 전송한다(S140).
이렇게 배송완료 이벤트가 제 2 시스템의 서버에 업로드되면 미리 정한 규칙에 의해 면세품 판매 시스템인 제 1 시스템의 서버에 배송완료 정보가 기록된다. 이렇게 해서 양 시스템의 배송기록이 동기화된다. 구매자 디바이스로도 메시지로 통지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직접 배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a) 구매자 단말이, 공항 시스템의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가 구매자 단말의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를 결정하기 이전에, 공항면세점이 아닌 면세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면세품 구매 이벤트를 발생시켰으며, 또한 상기 면세품 판매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탑승 게이트 배송 리퀘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의 항공권 정보를 포함한 면세품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가 배송 시스템의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에 업로드되도록 하는 단계,
    (b) 면세품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면세품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탑승 게이트가 정해진 출국장 면세점이 아닌 상기 면세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입한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을 제시하고, 입력수단이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의 배송 조회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면세품 구매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상기 배송 조회 이벤트에 해당하는 면세품 배송 프로세스의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배송 조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배송 당일 상기 공항 매니지먼트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의 항공편의 탑승 게이트를 결정하고, 그러고 나서 배송 시스템의 배송 매니지먼트 서버는 상기 공항 시스템과 연동해서 상기 면세품 배송 프로젝트와 매칭되는 해당 항공기의 탑승 게이트를 배송 시스템에 비로소 특정하고, 특정된 탑승 게이트가 기록된 배송 오더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배송자 계정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러면 상기 (b) 단계의 배송 조회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c) 단계의 상기 배송 조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공항도착, 탑승게이트 출발 및 인도완료를 나타내는 표지를 포함해서 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은 온라인 면세점 및/또는 오프라인 면세점 시스템과 연동하여 등록되며,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상기 온라인 면세점 및/또는 오프라인 면세점의 구매 이력이 표시되는 것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상기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 외에 인도장 배송 리스트도 포함하며, 상기 인도장 배송 리스트에 대해 면세품 인도장 배송에 관련한 정보를 기록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상기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를 선택하면 탑승 게이트 배송에 관련한 면세품의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하는 것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세품 주문 리스트 사용자 화면에는 상기 탑승 게이트 배송 리스트 외에 인도장 배송 리스트도 포함하며, 입력수단이 상기 인도장 배송 리스트를 선택하면 해당 면세품에 대한 구매 정보가 표시되게 되는데, 여기에서 탑승 게이트 배송으로 배송 방법 전환 리퀘스트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면세품 정보 제공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면세품 구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면세품 구매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인, 탑승 게이트 면세품 배송을 지원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80072264A 2018-04-18 2018-06-22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6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64A KR101963306B1 (ko) 2018-06-22 2018-06-22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CT/KR2019/004666 WO2019203583A1 (ko) 2018-04-18 2019-04-18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배송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64A KR101963306B1 (ko) 2018-06-22 2018-06-22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06B1 true KR101963306B1 (ko) 2019-07-31

Family

ID=6747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64A KR101963306B1 (ko) 2018-04-18 2018-06-22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3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474A (ko) * 2014-08-19 2016-03-02 김종명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면세품 판매 및 공항내에서의 판매 면세품 전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474A (ko) * 2014-08-19 2016-03-02 김종명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면세품 판매 및 공항내에서의 판매 면세품 전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0095B2 (en) Kiosk management system
US9141931B2 (en) Inventory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US9972046B2 (en) Mobile transactions with a kiosk management system
US9984352B2 (en) Kiosk network in a kiosk management system
US20200160428A1 (en) Integration of third party delivery service interface into online retail platform
JP6293908B2 (ja) キオスク管理システムによるモバイル取引
US7376611B1 (en) Demand aggreg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US201602840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items
KR100485971B1 (ko) 넷 오더 시스템
JP5806907B2 (ja) 旅行販売システム及び旅行販売方法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KR101963306B1 (ko)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263074B1 (ko) 입국장 면세품 인도 방법
KR101964717B1 (ko) 면세품의 탑승 게이트 배송 방법
KR102062571B1 (ko) 면세품의 보딩게이트 직접 배송 시스템
KR102067577B1 (ko) 면세품의 배송이 면세품 구매자의 탑승 게이트에서 행해지도록 구조화하는 면세품 탑승 게이트 배송 시스템
JP6145200B2 (ja) 販売処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処理プログラム
CN112236797A (zh) 信息处理程序、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系统
JP5969085B1 (ja) 販売処理システム、販売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7282417B1 (ja) 返礼装置、返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78240B1 (ko) 거래 보증 및 전산화를 기반으로 한 시공업체 통합 중개 시스템
KR20130139424A (ko)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류의 주문 및 판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28715A (ko) 웹 통합적 물류 관리 시스템
JP5099864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
KR20220149975A (ko) 면세품 노출 제어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