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804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04B1
KR101962804B1 KR1020170163266A KR20170163266A KR101962804B1 KR 101962804 B1 KR101962804 B1 KR 101962804B1 KR 1020170163266 A KR1020170163266 A KR 1020170163266A KR 20170163266 A KR20170163266 A KR 20170163266A KR 101962804 B1 KR101962804 B1 KR 10196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late
air
panel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811A (ko
Inventor
이원희
김종활
김진균
윤연섭
권준석
김성재
정창우
김지홍
신문선
오승원
윤상기
이창식
정재림
천성덕
천성현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외부패널과,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토출부와,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토출부를 갖고,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외부패널은, 제 2 토출부가 형성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토출플레이트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어, 쾌적한 공기조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al}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최소풍속에 의한 대류를 통한 냉방 및 근접구간에 형성된 찬공기영역을 통해 복사를 통한 냉방을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패널과,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플레이트로서, 상기 토출플레이트 둘레의 적어도 일부구간과 마주하는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과, 일정 갭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 갭은,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면방향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로 가이드하는 유로형성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상기 외관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상기 외관패널 사이에 상기 일정갭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마주하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대향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대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관패널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관패널과 결합하며,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플레이트플랜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패널결합부를 갖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일정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플레이트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플레이트상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분포되며,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외관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이 일정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이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은,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의 외측이 일정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2 이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삽입홈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되,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마주하는 상기 결합가이드의 대향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결합가이드부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일정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패널과,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갖는 하우징; 상기 외부패널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외관패널과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는 유로형성프레임;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플레이트로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과 일정갭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상기 외관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마주하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대향면사이에 상기 일정갭을 구성하도록,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패널과,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형성프레임; 상기 토출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플레이트상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플레이트로서,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플레이트플랜지를 갖고, 상기 유로형성프레임에 결합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의 외측과 마주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대향면과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유로형성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게 실내의 공기조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8, 9,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
도 13,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8, 19,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가이드의 일부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3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3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30)와, 송풍부(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7)가 형성되는 전면패널(10a)과, 전면패널(10a)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과, 전면패널(10a)과 후면패널(10b) 사이에 마련되는 측면패널(10c)과, 측면패널(10c)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패널(10d)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는 원형으로 마련되며 전면패널(10a)의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배치될 수 있다. 후면패널(10b)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9)는 열교환기(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상에 마련되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흡입부(19)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빼앗긴다.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교환한 공기는 송풍부(30)에 의해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송풍부(30)는 송풍팬(32)과 송풍그릴(34)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2)의 토출방향에는 송풍그릴(3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32)은 사류(斜流)팬이 적용되나, 송풍팬(32)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32)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송풍팬(3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32)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2)은 흡입부(19)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32)과 흡입부(19) 사이에는 열교환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2)의 전방으로 제 1 토출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30)는 송풍팬(32)의 중심에 마련되어, 송풍팬(32)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3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그릴(34)은 송풍팬(3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그릴(34)은 송풍팬(32)과 공기토출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32)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송풍그릴(34)은 복수의 날개(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35)는 그 개수, 형상,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32)으로부터 공기토출부(40)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송풍그릴(34)의 중심에는 이후 설명하는 도어동작부(66)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와, 팬구동부(33)는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32) 팬날개의 전방으로 송풍그릴(34)의 복수의 날개(35)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30)는 덕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36)는 송풍팬(32)을 둘러싸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팬(32)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즉, 흡입부(19)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20)를 지난 공기가 송풍팬(32)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열교환기(20)는 송풍팬(32)과 흡입부(19)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부(1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부(19)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한다. 열교환기(20)는 튜브(21)와, 튜브(21)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헤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2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0)의 개수는 개구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하우징(10)에 마련되어, 하우징(1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기토출부(40)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갖고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개구(17)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하우징(10)에 마련된 토출플레이트(14)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17)와 토출플레이트(14)로 함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모드, 제 2 모드와 제 3 모드는 각각 이후 설명하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물론,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2 토출부(40, 50) 모두로 토출될 수도 있다. 즉, 열교환기(2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팬(32)에 의해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41)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나, 제 1 토출부(41)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토출부(50)로도 그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제 1 모드에서는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1 토출부(41)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도 제 1 모드에서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2 토출부(50)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30)를 지난 공기는 공기토출부(4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41)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41)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송풍팬(32)의 송풍방향상에 마련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토출부(41)는 송풍부(30)의 송풍팬(32) 전방에 형성되어, 송풍부(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41)로 직접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1 토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 도 9 참고)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41a)는 토출가이드부(45)에 의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가이드개구부(4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개구(17)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41)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하우징(10)의 개구(1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도어유닛(60)이 이동하여 가이드개구부(43)에 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하우징(10)의 개구(17)에 배치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도어유닛(6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폐함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방하는 도어개방위치(60a, 도 8, 9 참고)와,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는 도어폐쇄위치(60b, 도 10, 11참고)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와 도어폐쇄위치(60b)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유닛(60)은 도어블레이드(62)와, 도어블레이드(62)를 동작시키는 도어동작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블레이드(62)는 제 1 토출부(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유닛(60)이 도어개방위치(60a)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62)가 가이드개구부(43)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60)이 도어폐쇄위치(60b)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62)가 가이드개구부(43)에 접하여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도어블레이드(62)는 제 1 토출부(41)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블레이드몸체(63)와, 블레이드몸체(63)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도어동작부(66)와 결합되는 블레이드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63)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이트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몸체(63)는 그 일측면이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며, 타측면은 송풍부(3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63)의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의 동작상태가 표시되거나, 공기조화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도어블레이드(62)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도어블레이드(62)의 블레이드결합부(64)와 결합되어, 도어블레이드(6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송풍그릴(34)은 도어동작부(66)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송풍그릴(34)의 배면에 마련되는 송풍팬(32)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송풍그릴(34)을 지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는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 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50)는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되며, 토출플레이트(14)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개구(17)는 도 2, 4 에서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례로, 개구(17)와 토출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의 각각 다른 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2 토출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유로(50a)는 토출가이드부(45)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패널(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패널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패널(11)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12)은 외부패널의 일구성이나, 토출부의 일구성일 수도 있다. 외관패널(11)은 전방이 개방되는 패널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토출패널(12)은 패널개구에 위치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패널(12)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토출패널(12)은 제 2 토출유로(5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패널(1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14)를 통해 저속으로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패널(12)이 도 1, 2, 3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1)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토출패널(12)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후면,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12)은 유로형성프레임(13)과, 토출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13)은 토출플레이트(14)의 내측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플레이트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유로형성프레임(13)은 하우징(10)의 내부와 제 2 토출유로(50a)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13)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형성프레임(13)은 송풍그릴(34)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외관패널(11)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에는 제 2 토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와, 제 2 토출부(50)를 플레이트토출부라 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는 패널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토출홀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50)는 토출플레이트(14)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는 유로형성프레임(13)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유로형성프레임(13)과 사이에 제 2 토출유로(5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는 토출플레이트(1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집중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된다.
토출영역은 토출플레이트(1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플레이트(14)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로 분배되어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로 유동하는 제 1 토출유로(41a)와,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50)로 유동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는 각각 토출유로와 방사토출유로로 명명할 수 있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1 토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에서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2 토출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토출가이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토출가이드부(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부(45)는 송풍부(30)의 전방에 마련되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가이드부(45)는 가이드몸체(46)와, 가이드홈(4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46)는 그 내측으로 제 1 토출유로(41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몸체(46)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몸체(46)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47)은 제 2 토출유로(50a)가 지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47)은 가이드몸체(46)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4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46)상에 마련되어 가이드몸체(46)의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47)은 가이드몸체(46)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제 1 토출부(41)를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지나 제 1 토출부(41)로 토출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몸체(46)의 일측은 도어유닛(60)에 의해 막히게 되어, 송풍부(30)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에 형성된 가이드홈(47)를 지나 제 2 토출부(50)로 토출하게 된다.
제 1 토출부(41)의 면적은 제 2 토출부(50)의 면적의 2배가 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토출부(50)의 복수의 토출홀의 총 면적이 제 1 토출부(41)와 도어유닛(60)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42, 도 9 참고)의 면적의 0.5배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토출부(50)의 복수의 토출홀의 총 면적이 제 1 토출부(41)와 도어유닛(60)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42, 도 9 참고)의 면적의 10배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로 작동할 때, 제 2 토출부(50)보다 제 1 토출부(41) 또는 제 1 토출구(42)로 원활하게 공기가 송풍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의 면적은 한정되지 않으나, 그 일례로 제 2 토출부(50)의 복수의 토출홀은 그 각각의 넓이가 0.05mm2이상이 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 각각이 0.05 mm2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경우에는 제 2 토출부(50)로의 송풍이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되므로, 그 이상의 면적을 갖을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 2 토출부(50)의 복수의 토출홀은 그 각각의 넓이가 5mm2이하가 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 각각은 동일한 면적을 가져도 되고, 각각 다른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14)는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가 하우징(10) 또는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개구부(43)와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4)의 개구(17)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홀 형상의 플레이트걸림홈(16a, 16b)을 포함하고, 플레이트걸림홈(16a, 16b)은 이후 설명하는 걸림돌기(17, 43b)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토출플레이트(14)가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토출플레이트(14)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하우징(10)과 결합하여,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0)에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걸림돌기(18)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걸림돌기(18)는 유로형성프레임(13)의 외곽에서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1 걸림돌기(18)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에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 5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를 하우징(10)에 밀착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의 제 1 플레이트걸림홈(16a)은 제 1 걸림돌기(18)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토출플레이트(14)를 하우징(10)에 장착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제 1 걸림돌기(18)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도 6과 같이 개구(17)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여, 가이드개구부(43)와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개구부(43)에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삽입홈(43a)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밀착시에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삽입홈(43a)을 통해 가이드개구부(43)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삽입홈(43a)은 개구의 외곽에 마련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에 대응하여 가이드개구부(4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삽입홈(43a)에 삽입되고, 삽입된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도 7과 같이 제 2 걸림돌기(43b)가 제 2 플레이트걸림홈(16b)에 걸림으로서,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결합함으로서, 개구(17)와 제 1 토출부(41)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 제 2 걸림돌기(43b), 가이드삽입홈(43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일정간격을 두고 네 개씩 도시하였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9,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외부로부터 하우징(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함께 열교환한다. 열교환기(20)에 의해 공기조화된 공기는 송풍부(30)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공기조화기(1)는 열교환기(20)를 거친 공기를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즉, 제 1 모드와 같이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토출하여 집중적인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 2 모드와 같이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토출하여 실내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토출부(41)는 도어유닛(60)을 동작시켜 개폐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며, 제 1 토출부(41)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된다.
자세하게는 제 1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9는 제 1 모드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도어개방위치(60a)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62)는 가이드개구부(43)와 이격되어 제 1 토출부(41)가 개방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 유동하게 된다.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부(30)에 의한 풍속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11은 제 2 모드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제 2 모드에서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도어폐쇄위치(60b)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62)는 가이드개구부(43)와 접하게 되어 제 1 토출부(41)가 폐쇄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41)가 도어블레이드(62)에 의해 막혀있어, 가이드몸체(46)에 형성된 가이드홈(47)를 지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지나 제 2 토출부(50)로 유동하게 된다.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공기가 토출플레이트(14)의 복수의 토출구멍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는 각각 고속토출부와 저속토출부로 명명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 3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로 각각 분배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공기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를 적용하여, 주위환경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914)에는 제 2 토출부(95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914)는 프레스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914)는 금속의 플레이트(910)를 프레스공정하여 형성되며, 타공공정을 통해 제 2 토출부(950)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914)를 형성하는 프레스공정과, 제 2 토출부(950)를 형성하는 타공공정은 동시에 이루어질수도 있고, 두 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1014)는 토출시트(1015)와 지지프레임(101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시트(1015)에는 제 2 토출부(10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1050)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1050)는 토출시트(1015)에 타공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지지프레임(1016)의 전면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지지프레임(1016)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개구(10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시트개구(1015c)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토출부(41)에 대응되도록 개구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이후 설명하는 지지프레임(1016)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시트(1015)를 분리하여 별도로 청소를 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16)은 복수의 지지대(101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017)는 토출시트(1015)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토출시트(1015)가 지지프레임(1017)의 전면에서 울지않고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으로서 토출시트(1015)가 배치되므로, 공기조화기 내부구성에 의한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1017)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개구(1016a)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개구(1016a)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토출부(41)에 대응되도록 개구형상으로 마련된다. 토출시트(1015)와 지지프레임(1016)은 프레임개구(1016a)와 시트개구(1015c)가 일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시트몸체(1015a)와, 시트몸체(1015a)의 양단에 마련되는 시트결합부(1015b)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몸체(1015a)에는 제 2 토출부(1050)가 형성된다. 시트몸체(1015a)와 제 2 토출부(1050)는 망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시트몸체(1015a)는 공기가 토출할 수 있도록 제 2 토출부(1050)를 형성하는 망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몸체(1015a)는 지지프레임(1016)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되며, 시트결합부(1015b)는 시트몸체(1015a)로부터 벤딩가능하게 마련된다. 시트결합부(1015b)는 도 14과 같이 지지프레임(1016)의 양단과 하우징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우징(1010)은 지지프레임(1016)의 양단에 대응되는 프레임결합홈(1010a)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016)의 양단에는 프레임결합홈(1010a)에 대응되는 프레임돌출부(1016b)가 형성될 수 있다. 시트결합부(1015b)는 프레임결합홈(1010a)과 프레임돌출부(1016b)사이에 배치되어, 지지프레임(1016)을 하우징(1010)에 끼움결합함으로서, 토출시트(1015)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부(1050)가 타공공정으로 형성되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시트(1050)는 섬유재질과 필름재질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섬유재질과 필름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토출시트(1015)의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토출시트(1015)에 형성된 제 2 토출부(1050)를 통해 원활하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토출시트(1015)는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시트(1015)가 필터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정화된 공기를 토출플레이트(1014)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1014)는 토출시트(1015)와 지지프레임(10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반대로 토출시트(1015)가 지지프레임(1016)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시트(1015)가 지지프레임(1016)에 의해 외부의 영향을 덜 받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1114)에는 제 2 토출부(115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114)와 제 2 토출부(1150)는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114)와, 토출플레이트(1114)의 형성되는 제 2 토출부(1150)를 사출성형을 통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토출플레이트(1114)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18, 19,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1214)는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는 토출플레이트(1214)가 하우징(10) 또는 가이드개구부(1243)와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는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21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는 가이드개구부(1243)와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214)의 개구(1217)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는 토출플레이트(1214)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는 벤딩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10) 또는 가이드개구부(1243)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결합부(1215a, 1215b)는 토출플레이트(1214)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와, 토출플레이트(1214)가 가이드개구부(1243)와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는 토출플레이트(1214)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는 하우징(10)과 결합하여,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2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7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214)를 하우징(10)에 밀착한 후,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를 벤딩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가 유로형성프레임(13)의 일측을 감싸도록 벤딩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를 벤딩함으로서 토출플레이트(1214)가 하우징(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215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는 도 18와 같이 개구(1217)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는 가이드개구부(1243)와 결합하여, 가이드개구부(1243)와 토출플레이트(12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개구부(1243)에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삽입홈(1243a)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214)와 가이드개구부(1243)를 밀착시에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는 가이드삽입홈(1243a)을 통해 가이드개구부(1243)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삽입홈(1243a)은 개구의 외곽에 마련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에 대응하여 가이드개구부(124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는 가이드삽입홈(1243a)에 삽입되고, 삽입된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를 가이드개구부(1243)에 걸리도록 벤딩하여, 가이드개구부(1243)와 토출플레이트(1214)를 결합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215b), 가이드삽입홈(1243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부(50)의 패턴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2 토출부(50)를 확대하였다.
제 2 토출부(50)는 복수의 토출패턴(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1)은 토출플레이트(14)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홀로 형성되되,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리브가 원형의 홀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리브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리브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원형의 홀 내부를 삼등분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토출패턴(51)은 제 1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1a)과, 제 1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배열상에 복수의 토출패턴(51)간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은 가로방향의 배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방향의 배열이어도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1)은 각각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1a)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1b)이 나란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부(50)의 패턴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2 토출부(50)를 확대하였다.
제 2 토출부(50)는 복수의 토출패턴(5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2)은 토출플레이트(14)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사각형의 홀로 형성되되,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리브가 사각형의 홀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리브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8 개의 리브가 45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사각형의 홀 내부를 여덟등분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토출패턴(52)은 제 1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2a)과, 제 1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배열상에 복수의 토출패턴(52)간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은 가로방향의 배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방향의 배열이어도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2)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2a)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2b)이 교번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 도 2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부(50)의 패턴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2 토출부(50)를 확대하였다.
제 2 토출부(50)는 복수의 토출패턴(5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3)은 토출플레이트(14)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3)은 제 1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3a)과, 제 1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배열상에 복수의 토출패턴(53)간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은 가로방향의 배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방향의 배열이어도 이를 만족한다.
도 23과 같이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3a, 53b)은 각각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4에서와 같이 복수의 토출패턴(54)은 제 1 배열의 복수의 토출패턴(54a)과, 제 2 배열의 복수의 토출패턴(54b)이 나란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부(50)의 패턴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2 토출부(50)를 확대하였다.
제 2 토출부(50)는 복수의 토출패턴(5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5)은 토출플레이트(14)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선분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선분형상은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5)은 제 1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5a)과, 제 1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배열상에 복수의 토출패턴(55)간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은 가로방향의 배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로방향의 배열이어도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5)은 각각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토출패턴(55)은 제 1 배열의 복수의 토출패턴(55a)과, 제 2 배열의 복수의 토출패턴(55b)이 나란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토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부(50)의 패턴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2 토출부(50)를 확대하였다.
제 2 토출부(50)는 복수의 토출패턴(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의 실시예에서는 선분형상의 홀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분형상의 홀이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기울게 배치될 수 있다. 일정각도(Θ)는 0도이상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패턴(56)은 제 1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6a)과, 제 1 배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패턴(5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며, 각 배열상에 복수의 토출패턴(56)간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배열과 제 2 배열 또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도(Θ) 기울어진 방향의 배열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배열과 제 2 배열에서의 복수의 토출패턴(56)은 각각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배열의 복수의 토출패턴(56a)과, 제 2 배열의 복수의 토출패턴(56b)이 나란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가이드의 일부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의 B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28은 도 9의 C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하우징(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패널(111)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112)은 외부패널의 일구성이나, 토출부의 일구성일 수도 있다. 외관패널(111)은 전방이 개방되는 패널개구(111a, 도 2 참고)를 형성할 수 있으며, 토출패널(112)은 패널개구(111a)에 위치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패널(112)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토출패널(112)은 유로형성프레임(113)과, 토출플레이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113)은 토출플레이트(114)의 후방에 위치하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플레이트(114)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토출플레이트(114)는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14)는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구간과 마주하는 외관패널(111)의 내측과, 일정 갭(G)(gap)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정 갭(G)은 토출플레이트(114)의 면방향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외관패널(111)은 토출플레이트(114)와 마주하는 대향면(118)을 포함하고, 대향면(118)은 토출플레이트(114)와 일정 갭(gap, G)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외관패널(111)과 토출플레이트(114)사이에 갭(G)이 형성됨에 따라, 토출플레이트(114)가 외관패널(111)과 면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갭의 너비는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플레이트(114)를 지나면서 토출플레이트(114)에서 온도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14)가 외관패널(111)과 직접 면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서, 토출플레이트(114)와 외관패널(111) 사이에 직접적인 열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에 의해 외관패널(111)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14)는 플레이트플랜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115)는 토출플레이트(114)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115)는 토출플레이트(114)가 공기조화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플랜지(115)는 토출플레이트(114)의 둘레에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플레이트플랜지(115)는 유로형성프레임(113)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115)는 유로형성프레임(113)과 외관패널(111) 사이에 배치되어, 토출플레이트(114)가 공기조화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플랜지(115)가 토출플레이트(114)의 좌,우,상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전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플레이트플랜지(115)는 플랜지몸체(115a)와, 플랜지몸체(115a)로부터 절곡되게 연장형성되는 플랜지고정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몸체(115a)는 유로형성프레임(113)과 외관패널(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플랜지몸체(115a)의 일측면이 외관패널(111)의 대향면(118)과 일정갭(G)을 갖고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플랜지고정부(115b)는 적어도 일 회 절곡되도록 마련되며, 그 내측으로 유로형성프레임(113)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토출플레이트(114)가 걸려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외관패널(111)은 결합가이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117)는 유로형성프레임(113)이 외관패널(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가이드부(117)는 외관패널(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관패널(111)과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된다. 외관패널(111)의 대향면(118)은 결합가이드부(117)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117)는 패널결합부(117a)와 프레임결합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결합부(117a)는 결합가이드부(117)의 일측에 마련되어, 외관패널(111)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며, 프레임결합부(117b)는 결합가이드부(117)의 타측에 마련되어, 유로형성프레임(113)에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대향면(118)은 패널결합부(117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패널결합부(117a)와 프레임결합부(117b)가 각각 외관패널(111)과 유로형성프레임(113)에 결합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끼움결합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외관패널(111)의 결합가이드부(117)와 유로형성프레임(113)의 결합시, 결합가이드부(117)와 유로형성프레임(113) 사이에는 토출플레이트(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0)에는 토출플레이트(114)의 플레이트플랜지(115)가 삽입된다. 자세하게는 유로형성프레임(113)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플랜지(11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홈(120)은 유로형성프레임(113)의 프레임플랜지(113a)와 결합가이드부(117)의 대향면(11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117)는 이격부재(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재(119)는 결합가이드부(117)에서 플레이트플랜지(115)의 외측면(115c)과 마주하는 대향면(118)이 플레이트플랜지(115)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플레이트플랜지(115)와 결합가이드부(117)의 대향면(118)을 이격시키도록 마련된다. 이격부재(119)는 결합가이드부(117)의 대향면(118)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재(119)는 돌기의 형상을 갖으며, 대향면(118)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재(119)는 대향면(118)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형상으로 대향면(118)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재(119)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이격부재(119)는 결합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격부재(119)는 대향면(118)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격부재(119)는 플레이트플랜지(115)와 외관패널(111)이 이격되어 일정갭(G)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부재(119)는 돌기의 형상으로 플레이트플랜지(115)와 외관패널(111)이 갭(G)을 형성하는 일례로 적용되나, 돌기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7, 28의 실시예에서는 결합가이드부(217)가 외관패널(211)과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가이드부(217)는 외관패널(21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결합가이드부(217)는 외관패널(2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토출패널(112)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가이드부(217)이 외관패널(211)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구성간의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토출플레이트(114)와 외관패널(211) 사이에 형성되는 갭(G)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부재는 제 1 이격돌기(119a)와, 제 2 이격돌기(119b)를 포함한다.
제 1 이격돌기(119a)는 외관패널(111)에 마련되며, 플레이트플랜지(115)의 외측면과 외관패널(111)의 내측이 제 1 갭(G1)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1 이격돌기(119a)는 결합가이드의 대향면(118)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플레이트플랜지(115)의 외측면(115c)과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를 통해 결합가이드의 대향면(118)과 플레이트플랜지(115)의 외측면(115c)이 제 1 갭(G1)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 2 이격돌기(119b)는 유로형성프레임(113)에 마련되며, 플레이트플랜지(115)와 유로형성프레임(113)의 외측이 제 2 갭(G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이격돌기(119b)는 유로형성프레임(113)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플레이트플랜지(115)의 내측면(115d)과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를 통해 유로형성프레임(113)의 외측면(113b)과 플레이트플랜지(115)의 내측면(115d)이 일정갭(G)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플랜지(115)의 내외측면이 인접한 구성과 면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토출플레이트(114)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면서 인접한 구성으로 직접적인 열전도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접한 구성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플레이트(114)의 내외측면에 이격돌기(119a, 119b)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플레이트플랜지(115)의 내측면에만 접촉가능하도록 이격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외관패널(311)은 유로형성프레임(313)과 삽입홈(320)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314)는 플레이트플랜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315)는 결합가이드부(317)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315)는 삽입홈(320)에 삽입되어 결합가이드부(317)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315)는 결합가이드부(317)에 고정되되, 플레이트플랜지(315)와 마주하는 결합가이드의 대향면(318)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315)와 결합가이드부(317)의 고정은, 그 일례로 플레이트플랜지(315)는 고정돌기(315d)가 형성되고, 결합가이드부(317)는 고정돌기(315d)에 대응되는 고정홈(317c)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플랜지(315)의 고정돌기(315d)가 결합가이드부(317)의 고정홈(317c)에 삽입되어 양 구성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돌기(315d)와 고정홈(317c)의 결합방향은 공기조화기의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서 토출플레이트(314)가 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토출플레이트(314)의 이동을 방지하여 일정 갭(G)의 너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플랜지(315)는 결합가이드부(317)와 결합되되, 결합가이드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돌기(315d)와 고정홈(317c)의 구성이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플레이트플랜지(315)와 결합가이드부(317)의 내측면이 일정갭(G)을 형성하며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만족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관패널과 토출패널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토출패널(412)은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형성프레임(41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413)은 결합가이드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417)는 유로형성프레임(413)이 외관패널(4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가이드부(417)는 유로형성프레임(413)과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실시예에서는 결합가이드부(417)는 유로형성프레임(413)과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가이드부(417)는 유로형성프레임(413)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417)는 유로형성프레임(413)으로부터 복수회 절곡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417)는 삽입홈(420)과, 삽입홈(420)을 형성하는 삽입면(418a, 418b)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420)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420)에는 플레이트플랜지(4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가이드부(417)는 삽입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격부재(4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재(419)는 플레이트플랜지(415)를 삽입면 중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플레이트플랜지(415)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삽입면은 플레이트플랜지(415)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제 1 삽입면(418a)과, 플레이트플랜지(415)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제 2 삽입면(41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재(419)는 제 2 삽입면(418b)에 마련되어, 플레이트플랜지(415)와 제 2 삽입면(418b)이 일정갭(G)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삽입면(418b)은 대향면(418)으로 칭할수도 있다.
이격부재(419)는 돌기의 형상을 갖으며, 공기조화기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격부재(419)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플레이트플랜지(415)와 제 2 삽입면(418b)이 일정갭(G)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1 : 외관패널 12 : 토출패널
13 : 유로형성프레임 14 : 토출플레이트
20 : 열교환기 30 : 송풍부
40 : 공기토출부 41 : 제 1 토출부
41a : 제 1 토출유로 43 : 가이드개구부
45 : 토출가이드부 46 : 가이드몸체
47 : 가이드홈 50 : 제 2 토출부
50a : 제 2 토출유로 60 : 도어유닛

Claims (18)

  1. 외관패널과,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플레이트로서, 상기 토출플레이트 둘레의 적어도 일부구간과 마주하는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과, 일정 갭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토출플레이트;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로 가이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외관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상기 외관패널 사이에 상기 일정갭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갭은,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면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마주하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대향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대향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패널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외관패널과 결합하며, 상기 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플레이트플랜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패널결합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일정갭을 갖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플레이트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플레이트상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분포되며,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외관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이 일정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이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외측이 일정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2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프레임과 삽입홈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되,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마주하는 상기 결합가이드의 대향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결합가이드부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는 상기 일정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14. 외관패널과,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갖는 하우징;
    상기 외관패널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외관패널과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플레이트로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상기 외관패널의 내측과 일정갭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플레이트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외관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패널은,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와 마주하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토출플레이트와 상기 대향면사이에 상기 일정갭을 구성하도록,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외관패널과, 상기 외관패널에 결합되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프레임;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플레이트상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플레이트로서,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플레이트플랜지를 갖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토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플랜지의 외측과 마주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대향면과 상기 플레이트플랜지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63266A 2015-07-17 2017-11-30 공기조화기 KR101962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01932 2015-07-17
KR1020150101932 2015-07-17
KR20150144355 2015-10-15
KR1020150144355 2015-10-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93A Division KR101840697B1 (ko) 2015-07-17 2016-01-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811A KR20170135811A (ko) 2017-12-08
KR101962804B1 true KR101962804B1 (ko) 2019-03-27

Family

ID=579916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93A KR101840697B1 (ko) 2015-07-17 2016-01-26 공기조화기
KR1020170163266A KR101962804B1 (ko) 2015-07-17 2017-11-30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93A KR101840697B1 (ko) 2015-07-17 2016-01-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3) EP3183508B1 (ko)
KR (2) KR101840697B1 (ko)
CN (3) CN109855179B (ko)
AU (2) AU2016297374B2 (ko)
RU (1) RU268838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67B1 (ko) 2017-12-15 2022-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96447B1 (ko) * 2018-03-07 202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77570B1 (ko) * 2018-03-1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00958B1 (ko) * 2018-09-21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99649B1 (ko) * 2018-10-19 2020-04-1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조화기
KR102685499B1 (ko) * 2019-09-19 2024-07-15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에어컨
US20210172624A1 (en) 2019-12-10 2021-06-10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KR20210073012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관리장치
EP4191156A4 (en) * 2020-09-28 2024-02-07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FLOOR MOUNTED AIR DIFFUS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102584382B1 (ko) * 2022-08-23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6512A (en) * 1967-06-28 1969-02-11 Alexander G Nesher Ventilation device for producing laminar flow
US4702087A (en) * 1985-03-29 1987-10-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DE19921404C1 (de) * 1999-05-08 2000-07-27 Fritz Juergen Eidmann Luftauslaß, insbesondere Luftauslaß für den Wandeinbau
CH694620A5 (de) * 2000-05-22 2005-04-29 Beat Kegel Verfahren und Kühlgerät zum Kühlen von Arbeitsplätzen.
JP2004176995A (ja) * 2002-11-27 2004-06-24 Fujitsu General Ltd 温水暖房機
BRPI0418587A (pt) * 2004-03-04 2007-06-26 Lg Electronics Inc unidade interna de um ar condicionado
JP4432654B2 (ja) * 2004-07-22 2010-03-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浴室用換気暖房機
KR101085896B1 (ko) 2004-08-1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FR2877271B1 (fr) * 2004-11-03 2007-02-02 Faurecia Interieur Ind Snc Aerateur de systeme de ventil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KR20070060875A (ko) * 2005-12-09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109545A (zh) * 2006-07-19 2008-01-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空调器
JP3961013B1 (ja) * 2006-12-27 2007-08-15 鳴海製陶株式会社 キッチンカウンタにおける調理器の取付構造
JP5149592B2 (ja) * 2007-10-25 2013-02-2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1564219B1 (ko) * 2009-01-15 2015-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NZ599123A (en) * 2009-08-31 2013-11-29 Kaip Pty Ltd An air diffuser and an air circulation system
JP5733951B2 (ja) * 2010-10-28 2015-06-10 東京電力株式会社 空気式放射パネル装置
KR101240536B1 (ko) * 2011-12-08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34104B1 (ko) * 2012-06-28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9551498B2 (en) * 2012-06-28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CN104236039B (zh) * 2013-06-06 2018-08-17 海尔集团公司 空调器出风口结构及具有该出风口的空调器
KR102086382B1 (ko) * 2013-08-23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0068050B (zh) * 2015-03-31 2021-07-20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柜式空调器的导风装置和柜式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9589B1 (en) 2023-05-24
EP3667185B1 (en) 2023-06-21
AU2019202585B2 (en) 2020-05-28
RU2688382C1 (ru) 2019-05-21
CN112984634A (zh) 2021-06-18
CN107429936B (zh) 2021-03-26
AU2016297374A1 (en) 2017-12-07
CN109855179A (zh) 2019-06-07
AU2019202585A1 (en) 2019-05-02
KR20170135811A (ko) 2017-12-08
KR20170009698A (ko) 2017-01-25
CN107429936A (zh) 2017-12-01
CN112984634B (zh) 2023-06-06
EP3489589A3 (en) 2019-09-04
EP3183508B1 (en) 2023-04-19
EP3183508A4 (en) 2017-08-30
CN109855179B (zh) 2021-07-06
EP3667185A1 (en) 2020-06-17
BR112018000101A2 (pt) 2018-09-04
KR101840697B1 (ko) 2018-05-04
EP3489589A2 (en) 2019-05-29
EP3183508A1 (en) 2017-06-28
AU2016297374B2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804B1 (ko) 공기조화기
US10684024B2 (en) Air conditioner
KR10169884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1386B1 (ko) 공기조화기
KR102631918B1 (ko) 공기조화기
KR101962806B1 (ko) 공기조화기
KR10177854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724048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