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828B1 - 세척제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제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828B1
KR101961828B1 KR1020160177607A KR20160177607A KR101961828B1 KR 101961828 B1 KR101961828 B1 KR 101961828B1 KR 1020160177607 A KR1020160177607 A KR 1020160177607A KR 20160177607 A KR20160177607 A KR 20160177607A KR 101961828 B1 KR101961828 B1 KR 10196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gent
tank
cooler
lin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996A (ko
Inventor
김종득
정진호
김정훈
김태희
박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8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카퍼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키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를 수용하는 탱크; 일측은 상기 쿨러의 인출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와 연결되는 리턴라인; 일측은 상기 쿨러의 인입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와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기 토출라인을 통해 상기 세척제가 배출되게 하는 펌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쿨러 내부를 순환한 상기 세척제는 온도차에 의해 상기 쿨러 내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쿨러 내부 및 쿨러 배관에 쌓인 이끼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제 순환장치{Apparatus for circulating cleaning compositions}
본 발명은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키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의 스카핑 작업시 이용되는 스카퍼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켜 이끼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의 연주공정에서는 슬라브가 생산되는데, 이러한 슬라브는 절단되어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되고, 표면 결함이 없는 경우 열연 가열로를 거쳐 열연코일 및 냉연코일로 압연된다.
슬라브에 표면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제품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표면 결함은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제거되어야 하며, 슬라브의 표면 결함을 제거하는 작업을 스카핑(scarfing)이라고 하며, 표면을 한번에 일괄적으로 제거하는 설비를 스카퍼 머신(Scarfer Machine)이라고 한다.
여기서, 스카핑 공정은 연주공정에서 용강을 연속주조하여 생산되는 슬라브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 흠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러한 스카핑 공정을 수행하는 스카핑 머신에는 고압의 산소, 가스, 질소, 공기, 고압수, 저압수, 순환수 등의 유틸리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스카핑 작업은 산소와 가스의 불꽃반응에 의한 화염으로 슬라브 표면을 가열하고 용융 산화시킨 후 고압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그 결과 슬라브의 표면 흠을 제거한다.
한편, 청정강 생산을 위한 스카핑 대상인 슬라브는 제철소 연주공정에서 주조되고 야드(YARD)의 베드(BED)에서 냉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스카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스카핑 머신(2)은 스모크 후드(3)의 내부에 위치하고 슬라브(20)는 그의 일측면이 포지셔너(5)가 고정된 포지셔닝 롤러(6)측에 밀착된 상태로 롤러 테이블의 이송롤러(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핀치롤(7)이 하강하고 포지셔너(5)의 후진이 완료된 후 핀치롤(7)이 구동됨으로써 슬라브(20)는 스카핑 머신(2)으로 진행한다.
슬라브(20)가 유니트(8)의 하부에 정지되면, 일정한 작업 시이퀀스에 의해 스카핑 작업이 수행된다. 즉, 슬라브(20)가 예열위치(Closing Position)에 정지하면, 유니트(8)는 슬라브(20)의 표면 및 측면 모서리부를 예열하고 압축에어를 송풍하여 슬라브(20)의 표면 흠을 제거한다.
한편, 스카핑 머신(2)에서 순환수 펌프의 펌핑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일정한 관로를 따라 스카핑 머신(2)의 상부 및 측면에 제공된 매니폴드(12, 13)를 경유하여 유니트(8) 및 슈(9)에 공급되고 또한 스카핑 머신(2)에 설치되어 있는 유틸리티라인(Utility Line; 10)의 내부에 제공된 일정한 관로를 따라 탱크(미도시)로 복귀된다. 이때, 각종 유틸리티 라인(10)에 설치되어 있는 계기류 및 센서류와 압력게이지 등이 정상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스카핑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과 용융 및 비산 스케일은 전기집진기에 집진된 후 스모크 후드(3)의 내부에 제공된 유로를 따라 물과 함께 스케일 피트에 모여지게 된다.
한편, 상술 된 바와 같은 스카핑 작업시 슬라브(20)의 표면 및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용융물이 슬라브(20)의 후면의 모서리부 표면 및 비스카핑 구역의 측면에 융착되어 스카핑 스케일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카핑 스케일은, 비록 발생량에 있어서 슬라브(20)의 냉각온도, 스카핑 스피드, 작업자의 작업 방식 등에 따라 경미한 차이가 있으나, 청정강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제거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스카핑 스케일을 제거하는 상기 에어는 대형 에어 컴퓨레셔(Compressor)를 가동하여 공급하며, 상시 가동하게 되는 상기 에어 컴퓨레셔에는 높은 온도가 발생하게 되고, 높은 온도가 발생할 경우 컴퓨레셔가 가동이 정지된다.
그에 따라, 설정 온도 이상이 될 경우 컴퓨레셔의 정지로 스카퍼 머신에 공급되는 에어가 중단됨에 따라, 스카퍼 머신을 를 가동할 수 없게 되어 스카핑(scarfing)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컴퓨레셔 온도를 낮추고 일정한 온도가 유지 되도록 하는 쿨러가 필요하다. 상기 쿨러의 냉각 작용은 쿨링 타워(Cooling Tower)에서 냉각수가 배관을 통하여 쿨러 내부 및 쿨러와 연결된 파이프 배관 라인 말단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수가 공급되면서 쿨러 내부 및 파이프 배관 라인에 온도차에 따른 이끼와 같은 이물질이 붙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끼 제거되지 않으면 컴퓨레셔의 온도 상승을 유발시키고 있으나 쿨러 내부 및 파이프 배관 라인에 이끼를 제거하는 약품을 투입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브의 스카핑 작업시 이용되는 스카퍼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켜 이끼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제 순환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스카퍼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키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를 수용하는 탱크; 일측은 상기 쿨러의 인출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와 연결되는 리턴라인; 일측은 상기 쿨러의 인입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와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기 토출라인을 통해 상기 세척제가 배출되게 하는 펌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쿨러 내부를 순환한 상기 세척제는 온도차에 의해 상기 쿨러 내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일측은 상기 토출라인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라인은, 일측은 상기 토출라인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패스배관; 및 상기 패스배관에 배치되는 패스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로 상기 세척제의 공급이 중단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밸브를 열어 상기 세척제가 상기 패스배관을 통해 상기 탱크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는 상기 탱크 내부의 세척제의 탁도를 확인하도록 상기 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투명한 점검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제를 배출하는 배출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탁도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라인에 배치되는 배출밸브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탁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라인의 배출밸브를 연 후,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토출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세척제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토출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세척제가 배출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라인의 리턴밸브와 상기 토출라인의 토출밸브를 닫고 상기 패스밸브를 열어 상기 패스라인에 존재하는 세척제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은 상기 쿨러 내부에 붙는 이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장치는 슬라브의 스카핑 작업시 이용되는 스카퍼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켜 이끼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제 순환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쿨러 내부 및 쿨러 배관에 쌓인 이끼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는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스카핑 작업을 수행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스카핑 머신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스카핑 머신을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3은 스카핑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세척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장치에 배치되는 탁도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스카핑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쿨러(30)는 스카핑 머신(2)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퓨레셔의 온도를 낮추고 상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예컨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공급 배관(31)을 통해 상기 컴퓨레셔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컴퓨레셔의 온도를 낮추고 상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 냉각수를 상기 컴퓨레셔에 공급하면서 온도차에 의해 쿨러(30) 내부 및 파이프 배관 라인에 이끼와 같은 이물질이 붙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순환장치(1)는 쿨러(30)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쿨러(30)의 내부라 함은 쿨러(30)의 내부외에도 상기 파이프 배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제를 쿨러(30) 내부에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쿨러(30)는 상기 세척제가 내부로 인입하는 인입배관(32)과 인출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배관(33)은 인입배관(3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세척제가 쿨러(30) 내부를 세척하고 토출되는 배관이다.
그에 따라, 상기 쿨러(30) 내부를 세척하고 인출배관(33)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세척재의 경우 이끼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는 인입배관(32)을 통해 세척제를 투입하고 인출배관(33)을 통해 세척제를 유입하는 순환구조를 통해 쿨러(3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는 세척제를 수용하는 탱크(100), 리턴라인(200), 토출라인(300), 펌프(400), 제어부(500), 패스라인(600), 점검창(700) 및 배출라인(8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는 탁도센서(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턴라인(200) 및 토출라인(300) 각각은 파이프 또는 배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탱크(100)는 내부에 세척제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덮개(110)를 배치하여 탱크(100) 내부에 세척제를 투입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제는 용제와 물을 1:1로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데, 용제 100리터에 물 100리터를 배합하여 세척제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탱크(100)의 하부에는 바퀴(1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는 이동할 수 있다.
리턴라인(200)은 쿨러(30)와 탱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러(30) 내부를 세척한 세척제는 리턴라인(200)을 따라 탱크(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리턴라인(200)은 리턴배관(210)과 리턴배관(210)에 배치되는 리턴밸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턴밸브(220)는 리턴라인(200)을 따라 이송되는 세척제의 이송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턴밸브(220)는 전자식 밸브가 이용되어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토출라인(300)은 쿨러(30)와 탱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제는 토출라인(300)을 따라 쿨러(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토출라인(300)은 토출배관(310)과 토출배관(310)에 배치되는 토출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밸브(320)는 토출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는 세척제의 이송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밸브(320)는 전자식 밸브가 이용되어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펌프(400)는 토출라인(300)을 통해 세척제가 배출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00)는 토출라인(300)을 통해 세척제가 쿨러(30)로 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펌프(400)에 의해 쿨러(30) 내부를 세척한 세척제는 리턴라인(200)을 따라 탱크(10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펌프(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타이머(510)를 구비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펌프(4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펌프(400)의 구동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온오프 버튼(520)을 구비하여 펌프(400)의 구동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리턴밸브(220)와 토출밸브(3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리턴밸브(220)와 토출밸브(320) 각각을 통해 리턴라인(200)과 토출라인(300) 각각을 따라 이송되는 세척제의 이송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는 탱크(100)와 토출라인(300)을 연결하는 패스라인(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스라인(600)은 패스배관(610)과 패스배관(610)에 배치되는 패스밸브(620)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배관(610)은 탱크(100)와 토출라인(30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쿨러(30)로 세척제를 공급하는 것을 일시 중단 또는 멈출 때에는 패스밸브(620)를 작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토출라인(300)을 통해 이송되던 세척제는 쿨러(30)로 공급되지 않고 패스배관(610)을 통해 탱크(100) 내부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때, 패스밸브(620)로는 전자식 밸브가 이용될 수 있는바, 패스밸브(62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데, 쿨러(30)에 세척제의 공급이 중단될 때, 제어부(500)는 패스밸브(620)를 열어 상기 세척제가 탱크(100)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즉,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의 패스라인(600)은 세척제가 쿨러(30)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점검창(700)은 탱크(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점검창(700)을 통해 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제의 탁도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점검창(700)은 세척제의 탁도를 확인 가능하게 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탁도 확인하고 필요시, 온오프 버튼(520)에 의해 세척액은 순환될 수 있다.
배출라인(8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제는 배출라인(8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라인(800)은 배출배관(810)과 배출배관(810)에 배치되는 배출밸브(8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820)는 전자식 밸브가 이용될 수 있는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제 순환장치(1)는 탱크(100) 내부에 배치되는 탁도센서(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탁도센서(900)는 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제의 탁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탁도센서(900)는 탁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어부(500)로 송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500)는 탁도센서(900)에서 감지된 세척제의 탁도를 분석하여 세척제의 교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기준탁도수치와 탁도센서(900)에 의해 감지된 세척제의 탁도를 비교하여 세척제의 교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데, 세척제의 탁도를 기반으로 제어부(500)는 배출라인(800)의 배출밸브(820)를 연 후 펌프(400)를 구동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리턴밸브(220)와 토출밸브(320)를 열어 리턴라인(200)과 토출라인(300) 내부에 존재하는 세척제를 배출라인(800)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500)는 리턴밸브(220)와 토출밸브(320)를 닫고, 패스밸브(620)를 열어 패스라인(600)에 존재하는 세척제를 배출라인(800)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도센서(900)는 발광부(910)와 수광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910)와 수광부(92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910)에서 수광부(920)를 향해 보내지는 광의 차단정도에 따라 탁도센서(900)는 세척제의 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데, 탁도센서(900)는 세척재에 부유하는 이물질(이끼)이 광에 부딪혀 산란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세척제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척제 순환장치 20 : 슬라브
100 : 탱크 110 : 덮개
200 : 리턴라인
300 : 토출라인
400 : 펌프
500 : 제어부
600 : 패스라인
700 : 점검창
800 : 배출라인
900 : 탁도센서

Claims (8)

  1. 스카퍼 머신을 냉각시키는 쿨러 내부에 세척제를 순환시키는 세척제 순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를 수용하는 탱크;
    일측은 상기 쿨러의 인출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와 연결되는 리턴라인;
    일측은 상기 쿨러의 인입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와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기 토출라인을 통해 상기 세척제가 배출되게 상기 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제를 배출하는 배출라인;
    상기 탱크 내부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 및
    상기 탱크 내부의 세척제의 탁도를 확인하도록 상기 탱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투명한 점검창을 포함하며,
    상기 탁도센서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 내부를 순환한 상기 세척제가 온도차에 의해 상기 쿨러 내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인 이끼를 제거함에 따라, 상기 탁도센서는 상기 세척제에 부유하는 상기 이끼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수광부로 보내지는 광에 부딪혀 산란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세척제의 탁도를 측정하고,
    상기 탁도센서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는 상기 배출라인에 배치되는 배출밸브를 연 후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탱크 내부의 세척제를 배출하며,
    상기 탱크에 설치되는 온오프 버튼에 의해 상기 펌프는 상기 탁도센서의 신호와 별도로 구동되는 세척제 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토출라인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라인은,
    일측은 상기 토출라인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패스배관; 및
    상기 패스배관에 배치되는 패스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로 상기 세척제의 공급이 중단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밸브를 열어 상기 세척제가 상기 패스배관을 통해 상기 탱크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세척제 순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라인의 리턴밸브와 상기 토출라인의 토출밸브를 연 후,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토출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세척제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는 세척제 순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토출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세척제가 배출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턴라인의 리턴밸브와 상기 토출라인의 토출밸브를 닫고 상기 패스밸브를 열어 상기 패스라인에 존재하는 세척제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는 세척제 순환장치.
  8. 삭제
KR1020160177607A 2016-12-23 2016-12-23 세척제 순환장치 KR10196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07A KR101961828B1 (ko) 2016-12-23 2016-12-23 세척제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07A KR101961828B1 (ko) 2016-12-23 2016-12-23 세척제 순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96A KR20180073996A (ko) 2018-07-03
KR101961828B1 true KR101961828B1 (ko) 2019-03-25

Family

ID=6291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07A KR101961828B1 (ko) 2016-12-23 2016-12-23 세척제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8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4443A (ja) * 2012-05-24 2013-12-09 Hakuto Co Ltd 水系の汚れ洗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7A (ja) * 1993-06-17 1995-01-06 Zexel Corp 冷凍サイクル用洗浄機
JP2593403B2 (ja) * 1993-11-02 1997-03-26 ジャテック株式会社 冷凍または冷却サイクルの洗浄装置
KR20090119378A (ko) * 2008-05-16 2009-11-19 황승하 엔진의 냉각라인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4443A (ja) * 2012-05-24 2013-12-09 Hakuto Co Ltd 水系の汚れ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96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685B1 (ko) 승하강식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 샤워 장치
KR20080032482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자동 세척장치
CN103962333B (zh) 一种通过式喷淋清洗机及其清洗方法
TW201538278A (zh) 基板處理系統及基板處理方法
CN109464864A (zh) 用于烟气管道的滤网清洗替换设备
TWI559426B (zh) 即時液體粒子計數器之終點偵測系統
CN106424041B (zh) 一种煤灰分检测仪测量腔的自动清扫装置及清扫方法
KR101961828B1 (ko) 세척제 순환장치
CN105181567A (zh) 铝合金低倍腐蚀试验装置
CN102688869B (zh) 一种原料血浆袋清洗消毒在线控制装置
CN103454133B (zh) 低倍腐蚀试验装置
WO2019189212A1 (ja) 冷却液良否管理システム及び冷却液良否検出ユニット
CN102692910B (zh) 一种原料血浆袋循环保温清洁融浆在线控制装置
KR101340130B1 (ko) 절단 파이프 세척장치
CN202802923U (zh) 一种水平真空带式过滤机的滤布清洗装置
KR20030044692A (ko) 산세척설비의 롤 클리닝장치
KR102024624B1 (ko) 스카핑 장치
CN106615016A (zh) 一种水产品清洗装置
KR100862037B1 (ko) 대탕도의 침식부위 검지 및 집중 냉각장치
CN114313871A (zh) 一种智能化廊道冲洗装置及其控制方法
CN209205919U (zh) 药品残留溶剂清洗设备
CN207502263U (zh) 一种应用于无损检测的渗透探伤前清洗处理箱
JP2004230315A (ja) 光学窓ガラス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CN109406540A (zh) 一种自动悬挂输送式荧光渗透检测设备
JPH1111642A (ja)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