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018B1 -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018B1
KR101961018B1 KR1020170070526A KR20170070526A KR101961018B1 KR 101961018 B1 KR101961018 B1 KR 101961018B1 KR 1020170070526 A KR1020170070526 A KR 1020170070526A KR 20170070526 A KR20170070526 A KR 20170070526A KR 101961018 B1 KR101961018 B1 KR 10196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ul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582A (ko
Inventor
옥은미
Original Assignee
옥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은미 filed Critical 옥은미
Priority to KR102017007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0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06K9/325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G06K2209/1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시 및 주행 중 상대차량의 차량번호를 통하여 전화번호 정보를 취득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모듈(210)과; 입력된 번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20)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하는 통화모듈(230); 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300)는 차량의 번호와 차주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10)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모듈(320)과; 검색된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 REGISTRATION NUMBER AND COMMUNICATION METHOD OF IT}
본 발명은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시 및 주행 중 상대차량의 차량번호를 통하여 전화번호 정보를 취득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시 인접한 상대차량과 통화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주행 중에는 상대방 차량의 전화번호를 알 수가 없다. 다른 차량과 소통을 할 수 없으므로, 차량간의 상호 운행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대방과의 통신이 어렵기 때문에 서로 오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보복운전 등의 사회문제로 까지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대차량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써, 아래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0796호 '자동차 차량번호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소정의 차량번호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인덱스로써 미리 저장된 이동통신 전화번호의 단말기측으로, 쇼핑몰 등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쇼핑몰의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차량번호 인식부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자동차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정보 제공 서버는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다양한 안내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서버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가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번호가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의 단말기로 상기정보 제공 서버에 저장된 소정의 안내 정보를 전송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9943호 '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 교통 통행료징수시스템' 은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교통 통행료 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번호판 이외에 차종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 인식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로 요금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차량요금 징수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할 필요없는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교통 통행료 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0-2009-0069943호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교통 통행료 징수시스템은,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톨게이트 진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수단과; 차량번호획득수단에 의해 동작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차량번호촬영수단과; 상기 차량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번호촬영수단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차량번호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여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하여 통행료징수수단으로 획득된 차량 번호와 해당 톨게이트의 식별번호를 전송하며, 통행료징수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과금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차량번호획득수단과; 차종획득수단에 의해 동작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차종촬영수단과; 상기 차량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차종촬영수단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차종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차량의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차종을 판단하여 획득된 차종 정보를 통행료징수수단으로 획득된 차종 정보와 해당 톨게이트의 식별번호를 전송하며, 통행료징수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과금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차종인식수단과, 각각의 톨게이트에 구성된 차량번호획득수단 및 차종인식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 및 식별 번호를 수신받아 해당 차량 번호가 회원이 등록한 차량인지 유무와 해당 차량 번호가 촬영된 톨게이트가 개방형인지 폐쇄형 인지를 식별하여 통행료의 과금을 결정하기 위한 통행료징수수단과; 통신사를 이용하여 통행료 납부 서비스를 가입한 사용자의 차량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통신사서비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별도의 요금 정산을 위한 단말기를 장착할 필요없이 차량번호 및 차종을 인식하여 고속도로 요금을 정산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0796호 '자동차 차량번호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공개일자 2006년04월1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9943호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 교통 통행료징수시스템' 공개일자 2009년07월01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시는 물론 주행 중에도 인접한 차량의 번호판을 확인하여 번호판과 연계된 전화번호로 통신을 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단말기와,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은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모듈(210)과; 입력된 번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20)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하는 통화모듈(230); 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300)는 차량의 번호와 차주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10)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모듈(320)과; 검색된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시는 물론 주행 중에도 인접한 차량의 번호판을 확인하여 번호판과 연계된 전화번호로 통신을 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주행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된 상대차량의 번호판을 음독하여 음성으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블랙박스의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번호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와,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은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모듈(210)과;
입력된 번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20)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하는 통화모듈(230);
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300)는
차량의 번호와 차주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10)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모듈(320)과;
검색된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200)은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통신앱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모듈(210)은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키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주행시 터치가 용이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입력모듈(210)은 음성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300)는 차량의 등록된 차량번호와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310)를 갖는다. 상기 서버(300)는 교통관리공단의 서버나 자동차보험회사의 서버일 수 있으며, 회원제로 운영되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사설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상기 입력모듈(210)은 무선통신모듈(22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설치되는 블랙박스(400)의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로부터의 차량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차량번호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은 블랙박스(400)로부터 촬영되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상기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공지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블랙박스(400)에서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에 의해 추출된 상대방 차량의 차량번호를 무선통신모듈(220)을 경유하여 휴대용단말기인 스마트폰의 입력모듈(210)로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는 운전자의 육안으로 상대 차량의 번호를 확인하기 어렵거나 기억이 잘 보존되지 아니할 경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해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는 차량번호입력단계(s100);
입력된 차량번호를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의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 서버(300)의 무선통신모듈(330)로 전송하는 차량번호정보전송단계(s200);
서버(300)에서 검색모듈(320)이 데이터베이스(310)에서 무선통신모듈(330)을 통해 전송된 차량번호정보와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전화번호검색단계(s300);
서버에서 검색된 전화번호정보를 무선통신모듈(330)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100)의 무선통신모듈(220)로 전송하는 전화번호정보 전송단계(s400);
전송된 전화번호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모듈(230)을 통해 통화를 하는 통화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예로써 사용자는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을 실행시킨 후 통신이 요구되는 상대차량의 차량번호를 육성으로 음독한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200)은 입력모듈(210)의 음성인식모듈이 이를 정보화한 후 서버(30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서버(300)는 검색모듈(32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310)에서 상기 차량번호정보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 한 후 이를 무선통신모듈(33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다시 보내준다. 사용자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어플리케이션(200)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블랙박스를 적용하는 경우,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해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는 차량번호입력단계(s100)는
블랙박스(400)의 영상촬영단계(s110);
블랙박스(400)의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영상 중 차량영상정보들을 분류하는 단계(s120);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상기 차량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판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상기 차량번호판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40);
사용자에게 단계(s130) 및 단계(140)에서 분류된 차량영상정보 및 차량번호정보들을 음성을 통해 고지하는 단계(s140);
고지된 차량영상정보 및 차량번호정보들 중에서 사용자 선택하는 선택단계(150);
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400)의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영상 중 차량영상정보들을 분류하는 단계(s120)는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의 픽셀이미지군을 분류하는 작업이다. 이는 예로써, 픽셀의 정규화 계산 후 블록간의 피크신호 잡음비(PSNR)값으로 도로 및 배경과 차량을 구분할 수 있다.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상기 차량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판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는 상기 획득하여 분류된 차량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판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역시 픽셀의 정규화 계산 후 블록간의 피크신호 잡음비(PSNR)값으로 도로 및 배경과 차량을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단계(s140)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기 단계(s120), 단계(s130) 및 단계(s140)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은 단계(s120) 및 단계(s130)의 구현방법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사용자에게 단계(s130) 및 단계(140)에서 분류된 차량영상정보 및 차량번호정보들을 음성을 통해 고지하는 단계(s140)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고지한다. 차량의 차종이나 자세한 정보를 영상으로부터 인식하는 것은 높은 기술을 요하는 일이므로, 차량의 색상과 같은 영상으로부터 바로 추출가능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즉, “45초 전에 촬영된 빨간색 차량 번호 99가9999” 와 같은 고지가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고지된 다수의 차량 중 한 대를 선택하여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은 블랙박스에 포함된 구성요소로 기술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2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블랙박스(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송한 후, 상기 단계(s120) 내지 단계(140)의 과정을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용블랙박스가 필요치 아니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휴대용단말기
200. 어플리케이션
210. 입력모듈
220. 무선통신모듈
230. 통화모듈
300. 서버
310. 데이터베이스
320. 검색모듈
400. 블랙박스
410. 차량번호판식별모듈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휴대용단말기와,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은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모듈(210)과;
    입력된 번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220)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하는 통화모듈(230);
    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300)는
    차량의 번호와 차주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10)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모듈(320)과;
    검색된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330);
    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모듈(210)은 무선통신모듈(22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설치되는 블랙박스(400)의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로부터의 차량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차량번호정보를 입력받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해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는 차량번호입력단계(s100);
    입력된 차량번호를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의 무선통신모듈(220)을 통해 서버(300)의 무선통신모듈(330)로 전송하는 차량번호정보전송단계(s200);
    서버(300)에서 검색모듈(320)이 데이터베이스(310)에서 무선통신모듈(330)을 통해 전송된 차량번호정보와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전화번호검색단계(s300);
    서버에서 검색된 전화번호정보를 무선통신모듈(330)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100)의 무선통신모듈(220)로 전송하는 전화번호정보 전송단계(s400);
    전송된 전화번호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모듈(230)을 통해 통화를 하는 통화단계(s500);
    를 포함하며,
    휴대용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200)의 입력모듈(210)을 통해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는 차량번호입력단계(s100)는
    블랙박스(400)의 영상촬영단계(s110);
    블랙박스(400)의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영상 중 차량영상정보들을 분류하는 단계(s120);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상기 차량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판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
    차량번호판식별모듈(410)이 상기 차량번호판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40);
    사용자에게 단계(s130) 및 단계(140)에서 분류된 차량영상정보 및 차량번호정보들을 음성을 통해 고지하는 단계(s140);
    고지된 차량영상정보 및 차량번호정보들 중에서 사용자 선택하는 선택단계(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


KR1020170070526A 2017-06-07 2017-06-07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KR10196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26A KR101961018B1 (ko) 2017-06-07 2017-06-07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526A KR101961018B1 (ko) 2017-06-07 2017-06-07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82A KR20180133582A (ko) 2018-12-17
KR101961018B1 true KR101961018B1 (ko) 2019-03-21

Family

ID=6500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526A KR101961018B1 (ko) 2017-06-07 2017-06-07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0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56B1 (ko) * 2009-08-12 2012-04-09 윤태호 형상인식 전화 발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96A (ko) 2004-10-06 2006-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차 차량번호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060116875A (ko) * 2005-05-11 2006-11-15 엠텍비젼 주식회사 번호판 자동 인식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11030B1 (ko) * 2005-09-12 2007-04-24 (주)베이온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차량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69943A (ko) 2007-12-26 2009-07-01 이영식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 교통 통행료징수시스템
KR20130037010A (ko) * 2011-10-05 2013-04-15 장서원 차량 정보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6509A (ko) * 2011-11-22 2013-05-30 (주)에스디시스템 차량번호 인식 기반의 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KR101494514B1 (ko) * 2013-04-17 2015-02-23 (주)파슨텍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탐지 시스템
KR20150031942A (ko) * 2013-09-17 2015-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56B1 (ko) * 2009-08-12 2012-04-09 윤태호 형상인식 전화 발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82A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0291B (zh) 停车场的停车位获取方法及装置
US8502698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06355874B (zh) 一种违章车辆的监控和报警方法、装置及系统
JP6960279B2 (ja) 車載装置、基地局装置、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映像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067005B2 (ja) 車両照会システム、および車両照会方法
JP4192931B2 (ja) 車両照会システム
KR102000555B1 (ko)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CN104123834A (zh) 出租车叫车管理结算系统与方法
KR101460781B1 (ko) 불법차량 단속시스템
JP566790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80073509A (ko)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3279B1 (ko) Qr 코드 인식을 통한 부정주차 판별 시스템
CN106682648A (zh) 一种用户接打手机行为检测方法和装置
KR20090069943A (ko)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 교통 통행료징수시스템
KR101066081B1 (ko) 차량 탑재형 스마트 정보 판독 시스템 및 방법
KR102429515B1 (ko) 차량번호 모바일 인식 기반 주차관리시스템
KR102041188B1 (ko)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1819568B1 (ko) 전기차 및 하이패스 인식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운영 방법
KR100783479B1 (ko) 차량 번호인식을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방법
KR101961018B1 (ko) 차량번호와 전화번호 연계 통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KR20060094243A (ko) 재난방지 주차관리시스템
GB2583229A (en) Terminal device, transponder, billing system, billing method, and billing program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090010246A (ko) 운전자의 가상전화번호가 기재된 무선주파수인식 칩 내장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