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263B1 - 도로용 안내유도봉 - Google Patents

도로용 안내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263B1
KR101960263B1 KR1020170086373A KR20170086373A KR101960263B1 KR 101960263 B1 KR101960263 B1 KR 101960263B1 KR 1020170086373 A KR1020170086373 A KR 1020170086373A KR 20170086373 A KR20170086373 A KR 20170086373A KR 101960263 B1 KR101960263 B1 KR 10196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nergy
base plate
light
housing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549A (ko
Inventor
조장희
Original Assignee
박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기 filed Critical 박웅기
Priority to KR102017008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2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을 통해 조명광을 방출하여 야간에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상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안내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인가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태양전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도록 된 조명램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임펠러와 연결되어 회전에너지를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된 회전축을 가지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용 안내유도봉{Bollard}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거나 차선들의 분리구분 및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고자 설치되는 수직봉 형상의 도로용 안내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발전을 통해 조명광을 방출하여 야간에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도로용 안내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인도, 공원, 놀이터 등의 입구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혹은 차도와 인도를 구획하거나 또는, 차선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로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봉' 형상의 용품이다.
상기에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 또는 차량의 진입방지 구역에 설치되는 볼라드는,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외부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한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의 석재 또는 콘크리트등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로상에서 차선들을 분리하거나 안전주행을 위한 차선의 표시를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는,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어 안전사고가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볼라드에서 차선들을 분리하거나 안전주행을 위한 차선의 표시를 위해 설치되는 안내유도봉은, 운전자가 주간에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잇도록 표면이 주황색으로 이루어지며, 밤에는 자동차의 불빛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을 방출하도록 표면에 반사지가 구비되는 것에 일반적이다.
한편, 근자에는 자동차의 불빛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의 방출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발광하도록 된 조명이 구비된 안내유도봉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설치되는 장소의 특징상 자체전력을 통해 조명광을 방출하도록 된 안내유도봉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01239호(명칭: 솔라셀을 갖춘 탄성볼라드/2008.01.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지반에 시공한 고정좌대의 상부로 세워서 설치되면서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반구형 돌기가 형성된 탄성체로 덮어진 볼라드몸체와, 상기 볼라드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보호판에 의해 내부에 보호되도록 설치된 솔라셀과, 이 솔라셀에 연결되어 솔라셀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솔라셀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인버터로부터 공급받아 충전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와, 상기 볼라드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축전지로부터 제어부에 의해 충전이 되지 않는 시간 또는 정해진 시간에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된 램프부를 갖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볼라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11532호(명칭: 태양광 조명등이 설치된 볼라드/2010.11.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볼라드의 내부 상측면에 구멍을 다단으로 뚫어 주어 다단으로 형성된 투명 커버판을 끼워주어서 접착 고정시켜주고 그 내측에 축전지와 광센서 전구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등을 고정브라켓에 의해 나사로 고정시켜 주어서 되는 볼라드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6172호(명칭: 태양광 발전을 사용하는 엘이디램프와 축광 발광제를 활용한 무전력 도로 안내용 표지봉/2013.05.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지면에 매설되거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봉 구조이며 소정의 둘레영역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빛을 받으면 빛을 축적하였다가 소정의 시간동안 축적된 빛을 발광하는 축광안료가 함유된 축광발광부가 형성되는 메인본체와, 다수의 엘이디 램프를 구비하며 광센서가 구비되어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설정한 밝기 이하가 되면 상기 엘이디 램프를 점등시키는 엘이디 조명부와, 태양광패널과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쏠라셀 및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 조명부로 공급할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발전부와, 소정의 음향이나, 음악, 안내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메인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부 및 상기 엘이디 조명부와 상기 음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 안내용 표시봉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58067호(명칭: 태양광을 이용한 경계용 볼라드/2015.04.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지상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몸체부와 몸체부 상부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덮개부와 덮개부 상부에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하부에 부착되어 생성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지와 축전지에서 LED조명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과 상기 LED조명에 맞닿아 빛이 투과되는 투명부재와 상기 LED조명과 투명부재를 고정시키는 ㄷ자형 커버로 구성이 된 볼라드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01239호(2008.01.28.) 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11532호(2010.11.09.)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6172호(2013.05.20.)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58067호(2015.04.24.)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용 안내유도봉들은, 태양광을 통해 자가발전하여 자체발광을 통해 조명할 수는 있으나, 야간에는 자가발전이 불가능하여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에 의한 자가발전을 통해 조명광을 방출하여 야간에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특히, 야간에도 자가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하도록 됨으로써,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은,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상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안내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인가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태양전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도록 된 조명램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임펠러와 연결되어 회전에너지를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된 회전축을 가지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은, 태양전지를 통해 외부에서 조사되는 태양광을 자가발전하여 조명광을 방출하여 야간에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임펠러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에너지를 발전기를 통해 자가발전하여 태양광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야간에도 자가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게 되어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1)은, 도로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거나 차선들의 분리구분 및 도로와 인도를 구획함은 물론, 특히,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경로를 인지키기는 것에 적용된다.
즉,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경로를 육안으로 인지시켜 안전운전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봉(1)은, 도로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상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몸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3)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의해 도로상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어, 공간을 구획하게 되며, 운전자가 상기 몸체(3)를 육안으로 인지하여 주행경로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몸체(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는, 바닥에 미도시된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봉(1)에서, 상기 몸체(3)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인가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태양전지(4)가 구비된다.
즉, 상기 태양전지(4)를 통해 태양광발전을 하여 자가발전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3)에는, 상기 태양전지(4)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5)와, 상기 축전지(5)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과, 상기 제어수단(6)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도록 된 조명램프(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패널(8)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6)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명램프(7)가 상기 축전지(5)에 축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야간에 상기 조명램프(7)에서 방출되는 조사광을 운전자가 육안으로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는 용이하게 주행경로를 인식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봉(1)에서, 상기 몸체(3)는, 상기 회로패널(8)이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6) 및 제어수단(6)이 배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31)이 배치되도록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주(32)는,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중앙을 포용하면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봉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봉들의 사이간격을 통해 중앙이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중앙부위를 통해 상기 조명램프(7)에서 방출되는 조명광이 외부로 표출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1)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램프(7)에서 방출된 조명광을 전도받아 외부로 방출하도록 도광성재질로 이루어진 도광봉(9)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명램프(7)에서 방출된 조명광을 상기 도광봉(9)을 통해 균일한 조도의 광을 외부로 표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봉(1)은, 상기 몸체(3)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3)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임펠러(10)와 연결되어 회전에너지를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된 회전축(11)을 가지어 상기 회전축(11)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발전기(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임펠러(10)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에너지를 상기 발전기(12)를 통해 자가발전하여 태양광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야간에도 자가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게 되어 사용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전기(12)는, 상기 회전축(11)이 상기 하우징(31)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임펠러(10)는, 상기 발전기(12)의 회전축(11)에 축결합하여 상기 하우징(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풍압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4)는 상기 하우징(31)의 외주면에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상부로 연장형성된 연장봉(33)의 상단에 배치된 상판(34)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판(34)과 상기 하우징(31)의 사이공간에 상기 임펠러(10)가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최상부에서 상기 태양전지(4)를 통해 태양광발전을 하도록 되며; 상기 연장봉(33)들의 사이간격을 통해 공급되는 풍압에 의해 풍력발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봉(1)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상에서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거나 차선들의 분리구분 및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는 바닥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를 통해 도로상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4)를 통해 외부에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한 태양광발전과, 상기 임펠러(10)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에너지를 통한 풍력발전에 의한 자가발전을 구현하여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제어하여 야간에 광을 방출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야간에도 안정적으로 안전운전을 구현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내유도봉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도로용 안전유도봉(1)에서, 상기 몸체(3)는, 상기 회로패널(8)이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5) 및 제어수단(6)이 배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31)이 배치되도록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32)는,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중앙을 포용하면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조명광을 전도받아 균일한 조도의 광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도광성재질로 이루어진 '봉' 형상의 도광체들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조명램프(7)는, 상기 회로패널(8)에서, 상기 지주들에 각각 조명광을 인가하도록 다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명램프(7)들에서 방출된 조명광을 상기 지주들을 통해 균질한 조도를 형성하면서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은, 상기 하우징(31)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1)에는, 상기 지주(32)들의 사이공간을 회전반경으로 하는 보조임펠러(13)가 결합되어, 상기 지주(32)들의 사이간격을 통래 유입되는 풍압을 통해 회전에너지를 생성하여 풍력발전을 구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풍력발전효율이 극대화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안전유도봉 2 : 베이스플레이트
3 : 몸체 31 : 하우징
32 : 지주 33 : 연장봉
34 : 상판 4 : 태양전지
5 : 축전지 6 : 제어수단
7 : 조명램프 8 : 회로패널
9 : 도광봉 10 : 임펠러
11 : 회전축 12 : 발전기
13 : 보조임펠러

Claims (1)

  1.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상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상부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인가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태양전지(4)와; 상기 몸체(3)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전지(4)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5)와, 상기 축전지(5)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설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과, 상기 제어수단(6)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도록 된 조명램프(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패널(8)과; 상기 몸체(3)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3)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임펠러(10)와 연결되어 회전에너지를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된 회전축(11)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11)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도록 된 발전기(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안내유도봉(1)에 있어서;
    상기 몸체(3)는,
    상기 회로패널(8)이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5) 및 제어수단(6)이 배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31)이 배치되도록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32)는,
    상기 하우징(3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중앙을 포용하면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며 조명광을 전도받아 균일한 조도의 광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도광성재질로 이루어진 '봉' 형상의 도광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11)은,
    상기 하우징(31)의 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1)에는,
    상기 지주(32)들의 사이공간을 회전반경으로 하는 보조임펠러(1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안전유도봉.
KR1020170086373A 2017-07-07 2017-07-07 도로용 안내유도봉 KR10196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73A KR101960263B1 (ko) 2017-07-07 2017-07-07 도로용 안내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73A KR101960263B1 (ko) 2017-07-07 2017-07-07 도로용 안내유도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49A KR20190005549A (ko) 2019-01-16
KR101960263B1 true KR101960263B1 (ko) 2019-07-15

Family

ID=6528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73A KR101960263B1 (ko) 2017-07-07 2017-07-07 도로용 안내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124B1 (ko) * 2019-01-23 2019-06-20 주식회사 미래 전기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시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79Y1 (ko) * 2001-03-13 2001-10-08 이계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안전유도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239U (ko) 2006-11-17 2008-05-21 삼성물산 주식회사 직류 에너지원을 이용한 전원공급 시스템
KR20100011532U (ko) 2010-11-02 2010-11-26 이세훈 가정의 방문 장착용 방음 커버
JP5975625B2 (ja) 2011-11-21 2016-08-2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71431B1 (ko) 2013-11-19 2016-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필름
KR20150118757A (ko) * 2014-04-15 2015-10-23 도로교통공단 차량 시선 유도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79Y1 (ko) * 2001-03-13 2001-10-08 이계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안전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49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171B1 (ko) 태양광 볼라드
KR100992851B1 (ko)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20120058235A (ko)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KR102227584B1 (ko) 조명 안전 볼라드
KR101960263B1 (ko) 도로용 안내유도봉
KR20090010218U (ko) 솔라타입 다기능 차선규제봉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101433718B1 (ko) 가로등주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100000567U (ko) Led발광체가 구비된 트래픽콘
KR20110004639U (ko) 통합형 도로교통 시설물
KR102274056B1 (ko)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KR20040014049A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80109539A (ko) 가로등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KR100915173B1 (ko)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KR200453268Y1 (ko) 쏠라 볼라드
GB2403499A (en) Solar powered illuminated bollard
KR20090035304A (ko) 자전거 표시판이 구비된 신호등
KR20120096319A (ko) 태양발전조명겸용 볼라드
KR200410350Y1 (ko) 볼라드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JP5558169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JP3229928U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