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212B1 -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점착제, 디스플레이 및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점착제, 디스플레이 및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212B1
KR101960212B1 KR1020177032340A KR20177032340A KR101960212B1 KR 101960212 B1 KR101960212 B1 KR 101960212B1 KR 1020177032340 A KR1020177032340 A KR 1020177032340A KR 20177032340 A KR20177032340 A KR 20177032340A KR 101960212 B1 KR101960212 B1 KR 10196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birefringence
temperature
intrinsic birefrin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935A (ko
Inventor
야스히로 고이케
아키히로 다가야
스미히사 오다
Original Assignee
사이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filed Critical 사이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1Polarisation-affecting properties
    • G01N21/23Bi-refring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유리판과 광학필름을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 제로의 점착제로 맞붙임으로써, 온도 변화가 큰 환경하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디스플레이의 휨이나 광학필름의 벗겨짐이 없고, 온도 변화에 의하지 않는 점착제의 변형에 기인한 복굴절을 안정되게 억제할 수 있어, 광 누락 등의 발생을 억제한 광학 성능에 의해 우수한 디스플레이나, 점착제 부착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를 얻기 위해, 투명 기판에 광학필름이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맞붙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나, 점착제 부착 광학필름의 점착제층에 이용하는,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측정치가,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에 있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를,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점착제, 디스플레이 및 광학필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광학필름, 점착제,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및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유기 EL디스플레이 등에서는, 부재인 유리판과 광학필름을 맞붙이기 위하여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디스플레이의 보급·발전은 놀랄 만큼, 예를 들면, 각종의 모바일 단말용이나, 자동차용 등에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이들의 용도에서는, 계절이나 사용 장소 등의 환경 변화에 수반하여, 저온으로부터 고온의 환경하에서의 사용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시에, 상당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이 검토되어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구성 부재인, 유리판, 광학필름 및 점착제는 변형된 상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부재는 변형되면 복굴절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변형된 부재의 온도 변화에 따라, 이 복굴절도 변화한다. 복굴절의 변화는, 고품질화가 진행되는 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고 있어 환경 변화가 커지면, 디스플레이로서 안정된 높은 광학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변형된 상태의 부재를 이용한 제품에 대해서는, 특히 복굴절의 변화의 영향이 현저하게 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가 사용시에 온도 변화에 노출되는 것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은 대책이 이루어지고, 여러 가지의 검토도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있는 광학필름과 유리판과는 열팽창 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을 점착제로 맞붙인 구조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온도가 변화하면 팽창률에 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디스플레이의, 휨이나 광학필름의 벗겨짐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광학필름과 유리판을 맞붙이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는 점착제는, 가소성이 있으므로, 변형함으로써 상기의 휨이나 벗겨짐에 대응하여, 휨이나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점착제가 변형하면, 거기에 복굴절이 발생한다. 본 발명자들은, 점착제가 변형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제로 복굴절 점착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예의 검토를 행하고 있고, 그 일환으로서 점착제의 복굴절성의 평가방법을 찾아내어, 이것을 이용하여 제로 복굴절 점착제를 얻기 위하여 유용한 점착제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평가방법으로는, 고유 복굴절이 절대치로 1×10-3 이하이고, 광탄성 상수가 절대치로 1×10-12Pa-1 이하인 폴리머 필름, 즉, 연신시켜 변형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제로·제로 복굴절 폴리머(ZZBP) 필름을 지지체로서 이용하고, 이 폴리머 필름 2매로 점착제를 샌드위치한 복합(적층)필름을 연신하여 복굴절을 측정함으로써, 점착제의 복굴절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기술로 점착제의 복굴절의 측정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로 복굴절 점착제를 설계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필수로 되는 제로·제로 복굴절 폴리머 필름으로 해도 사용할 수 있는, 배향 복굴절과 광탄성 복굴절 양쪽 모두 매우 작은 광학수지를 확실히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이 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광학수지 재료의 배향 복굴절성과 광탄성 복굴절성을 동시에 감쇄하여, 거의 소거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배향 복굴절성과 광탄성 복굴절성이 거의 소거된 광학수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조공정에 압출성형, 연신성형(stretch forming), 사출성형 등, 폴리머 주쇄의 배향이 일어나는 프로세스가 포함되어 있어도 배향 복굴절을 대부분 나타내지 않고, 또한, 외력 등에 의해 탄성변형이 있어도 광탄성 복굴절이 대부분 출현되지 않는, 광학필름 등의 광학 부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국제 공개 제 2011/142325호 일본 특허공보 제 4624845호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새로운 과제를 인식하여, 더욱 더 검토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설계한 제로 복굴절 점착제는, 폴리머 필름 2매로 점착제를 샌드위치한 복합(적층)필름을 연신한 것을 실온(25℃)에서 측정했을 때의 복굴절이 제로의 것이며, 점착제의 온도가 변화한 경우에, 어떻게 점착제의 복굴절이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되어 있지 않았다. 이것에 대해, 다양한 환경하에 놓여지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점착제에 온도 변화가 생기는 것은, 실제 사용에 있어서 불가피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중요한 문제에 대한 검토가 되어 있지 않은 큰 이유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방법이 없었던 것에 의한다는 인식을 가졌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 점착제의 복굴절의 측정에 사용하고 있는, 연신시켜 변형하여 실온(25℃)에서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제로·제로 복굴절 폴리머(ZZBP) 필름에 대하여, 연신한 것을 고온(예를 들면, 60℃)에서 복굴절을 측정하면 복굴절은 제로에서 없어지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는 점착제의 고온에서의 복굴절은 측정할 수 없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연신시켜 변형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향 복굴절이 매우 작은 수지로서, 한층 더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는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을 고려하여,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저감된 광학필름이 얻어지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로, 온도 변화에 대응한 점착제의 복굴절의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2에서 얻어지는 광학필름 등으로서 유용한, 배향 복굴절과 광탄성 복굴절 양쪽 모두에 매우 작은 광학수지에 있어서의 광학 특성은, 실온에 있어서의 특성이며, 그대로 이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판과 광학필름을, 특히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 제로의 광학필름을,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 제로의 점착제로 맞붙임으로써, 온도 변화가 큰 환경하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디스플레이의 휨이나 광학필름의 벗겨짐 없이, 복굴절에 의한 광학 성능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우수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그 구성 부재인, 유리판, 광학필름, 점착제가 변형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곡면형 디스플레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고, 한층 더 변형한 부재가 온도 변화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실현하여, 광학적으로 고품질의 우수한 디스플레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기술로서, 온도를 변화시켜 복굴절을 측정해도 복굴절이 제로인, 온도 의존성 제로의 폴리머 필름(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라고 부른다)을 개발하고, 또한, 개발한 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를 이용하여 점착제를 평가함으로써,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점착제를 설계·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투명 기판에 광학필름이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맞붙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점착제층이, 점착제 고유 복굴절 및 그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측정치가,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에 있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광학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이, 점착제 고유 복굴절 및 그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측정치가,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에 있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부착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점착제 고유 복굴절 및 그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측정치가,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인 점착제로 형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어, 「제로」라고 할 수 있는 수치 범위를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또,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한 특유의 점착제층을 형성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즉,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서, 2매의 지지체 사이에 점착제를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 필름을 열 연신하는 공정과, 열 연신한 후의 적층 필름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을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두께로 나눈 값을 상기 점착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로 하고, 또한, 상기 리타데이션을 측정하는 공정에서, 상기 적층 필름의 온도를 15∼70℃의 범위로 단계적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개개의 온도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1℃당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 상기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를 구하고, 점착제의 복굴절치의 온도 의존성을 정량화하는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폴리머 필름이, 1축 연신했을 때의 고유 복굴절이 ±0.05×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1축 연신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의 온도를 25℃∼6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개개의 온도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Δn0)을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1℃당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 구한 25℃∼60℃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dΔn0/Dt)가, ±0.005×10-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이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이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점착제의 15∼70℃의 범위 내의 어느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값을, 상기 적층 필름을 덤벨 형상(dumbbell shape)으로 잘라낸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온도 102℃에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하며, 연신 후에 꺼내 실온에 24시간 방치 후, 15∼70℃의 범위 내의 어느 온도로 10분간 두고 조정한 2배 연신한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한 측정방법에 의하여,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설명을 했다.
또,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한 특유의 점착제층을 형성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서, 2매의 지지체 사이에 점착제를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을 덤벨 형상으로 잘라낸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온도 102℃에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하며, 연신 후에 꺼내 실온에 24시간 방치한 2배 연신한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인 실온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값이,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에 기재된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점착제를 구성하는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종류 및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점착제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또한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구체적인 예로서,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인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으로 개발된 기술로 가능하게 되는, 고유 복굴절이 제로인 것에 더하여,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유리판과,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 제로의 광학필름을 맞붙임으로써, 온도 변화가 큰 환경하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디스플레이의 휨이나 광학필름의 벗겨짐이 생기지 않고, 복굴절에 의한 광학 성능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우수한 디스플레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그 구성 부재인, 유리판, 광학필름, 점착제가 변형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 곡면형 디스플레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복굴절이 발생되지 않고, 한층 더 변형된 부재가 온도 변화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실현할 수 있어, 광학적으로 고품질의 우수한 디스플레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우수한 효과는,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새롭게 찾아낸, 온도를 변화시켜 복굴절을 측정해도 복굴절이 제로인, 온도 의존성 제로의 폴리머 필름(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라고 부른다)을 제공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점착제를 평가할 때에, 이 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점착제의 복굴절치의 온도 의존성을 정량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 새로운 정량화 기술을 이용한다고 하는, 일련의 축적된 기술에 의하여, 점착제의 고유 복굴절이 제로이며, 또한,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제로의 종래에 없는 특성의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이 처음으로 달성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고유 복굴절(Δn0)이 「제로」란, 제로 혹은 제로에 가까워, 거의 제로로 간주할 수 있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수치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저감된」이란, 수치적으로 나타내면, 1축 연신 필름의 온도를 15∼7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개개의 온도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을 각각 측정하고, 이들의 측정 결과로부터 1℃당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인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 「dΔn0/dT」를 산출하여, 그 절대치가 지극히 작은 값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가 되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에 대하여, 점착제나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제층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광학 특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1) 일반적으로, 복굴절의 위상차가 1㎚ 이상의 경우, 광 누락 등을 육안(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광 누락 등을 시인할 수 없으면 복굴절은 제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제로의 점착제」는, 점착제를 변형했을 때, 온도 변화시켰을 때의 어느 경우에도, 육안 관찰로 광 누락 등을 볼 수 없다. 이들의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변형했을 때, 온도 변화시켰을 때의 어느 경우에도 육안 관찰로 광 누락 등을 볼 수 없는 특성을 가지는 점착제의 것을,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로 칭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점착제 자체를 2배 연신했을 때의 변형은, 디스플레이의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통상의 변형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점착제 자체에 대한 2배 연신으로 복굴절이 제로이면, 디스플레이의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복굴절도 제로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점착제 고유 복굴절 ±0.2×10-4의 값은, 예를 들면, 20㎛의 두께의 점착제층에서 위상차가 ±0.4㎚인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온도 의존성 ±0.02×10-5의 값은, 예를 들면, 20㎛ 두께의 점착제층에서 100℃ 온도가 변화했을 때에 위상차 ±0.4㎚가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광 누락 등이 없고,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라고 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고유 복굴절(Δn0)의 값은, 구체적으로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실온에 있어서의 샘플에 대한 값이다.
즉, 점착제의 고유 복굴절(Δn0)의 값은,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서, 2매의 지지체 사이에 점착제를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을 덤벨 형상으로 잘라낸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102℃의 온도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하며, 연신 후에 꺼내 실온에 24시간 방치하여 얻은 2배 연신한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이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지지체로서 이용한 폴리머 필름의 복굴절은 거의 제로이므로 무시할 수 있어, 상기에서 측정한 값은 「점착제의 고유 복굴절」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dΔn0/dT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이 하여 각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을 각각 구하고, 이들의 값을 이용함으로써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측정방법으로,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는 대상의 2배 연신한 샘플을, 가열하면서 연신한 샘플을 실온에 방치 후, 복굴절 측정장치로 측정할 때에, 샘플을 15∼70℃의 범위 내의 어느 온도로 10분간 두고, 그 후에 리타데이션을 측정한 이외는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값을, 그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로 했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함으로써, 확실히 안정되게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즉, 우선, 미리, 각종 모노머 중에서 선택한 1종의 모노머를 중합한 여러 가지의 호모폴리머에 대한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의 데이터, 얻어진 호모폴리머의 데이터로부터 종류와 양의 조합을 생각한 복수종의 모노머를 중합한 여러 가지의 코폴리머에 대한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의 데이터, 또한 상기에 더하여 가교제의 종류와 양의 조합을 바꾼 경우에 대해서의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의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이들 데이터의 경향을 보면서,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 점착제의 조성을 결정하여, 점착제를 얻는다. 얻어진 점착제가,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것인지에 대한 평가는, (1)∼(3)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광 누락 등을 육안(눈)으로 판단함으로써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계·제조하여 얻은 점착제를 구성 재료로서 이루는 디스플레이는, 계절이나 사용 장소 등의 환경변화에 수반하는, 저온부터 고온의 환경하에서 사용했다고 해도, 점착제의 변형에 기인한 복굴절의 발생이 억제되어, 광학 특성에 의해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이 된다. 이들의 점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1은, 부틸아크릴레이트(BA)와 아크릴산(AAc)을 100/1로 하여 합성한 공중합체에 각종 가교제(경화제)를 첨가하여 조제한 점착제에 있어서의, 각종 경화제의 첨가량과, 그 때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BA/AAc=100/1의 공중합체로 첨가한 각종 경화제의 첨가량과, 그때의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BA/AAc=100/1로서 합성한 공중합체에 각종 경화제를 첨가하여 조제한 점착제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아크릴산 페녹시에틸(PHEA)과 부틸아크릴레이트(BA)와 아크릴산(AAc)을, 80/20/1로서 합성한 공중합체에 각종 경화제를 첨가하여 조제한 점착제에 있어서의, 각종 경화제의 첨가량과,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PHEA/BA/AAc=80/20/1의 공중합체에 첨가한 각종 경화제의 첨가량과, 그때의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PHEA/BA/AAc=80/20/1로서 합성한 공중합체에 각종 경화제를 첨가하여 조제한 점착제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BA와 PHEA와의 모노머비를 변화시켜, 첨가하는 경화제를 2종류로 한 경우의, 각각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BA와 PHEA와의 모노머비를 변화시켜, 첨가하는 경화제를 2종류로 한 경우의, 각각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BA의 배합량과,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BA와 PHEA와의 모노머비를 변화시켜, 첨가하는 경화제를 2종류로 한 경우의, 각각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BA의 배합량과,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3종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3원계의 공중합체 P(MMA/TFEMA/BzMA=52.0/42.0/6.0)로 형성한, 25℃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의 폴리머로 형성한 필름의 배향 복굴절(Δnor)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도이다. MMA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약기, TFEMA는 2,2,2-트리플로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약기, BzMA는 벤질 메타크릴레이트의 약기.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3종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25℃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의 폴리머로 형성한 필름의 고유 복굴절(Δn0)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 도이다.
다음으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제가 변형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제로 복굴절 점착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광학 특성을 가지는 점착제인 것을 확인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우선, 평가에 필요하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던, 연신한 폴리머 필름에 대하여 온도를 변화시켜 복굴절을 측정해도 복굴절이 제로인, 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TZBP)를 개발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원계 이상의 공중합계나 1원계 이상의 (공)중합계를 포함하는 2성분 이상의, 복합 성분계를 가지는 광학수지 재료에 대하여, 상기 복합 성분계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종류의 조합 및 그 성분비(조성비)를 설계할 때에,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는 고유 복굴절(즉, 폴리머 고유의 배향 복굴절성)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을 저감시키는 수법을 찾아냈다. 하기에 그 개요를 서술한다.
여기서, 「배향 복굴절」이란, 일반적으로 쇄상의 폴리머(폴리머쇄)의 주쇄가 배향됨으로써 발현하는 복굴절이며,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의 압출성형·연신 등에 의한 제조 과정, 또, 사출성형 등에 의한 여러 가지의 폴리머 광학 소자·부품의 제조 과정에서 생긴다. 이들의 성형 과정에서 응력에 의해 배향한 폴리머쇄는, 일반적으로 냉각 고화하는 동안에 다 완화할 수 없어, 폴리머 필름 중에 주쇄가 배향한 상태로 존재하고, 이것이 배향 복굴절의 근원이 된다.
이 「배향 복굴절」은, 일반적으로, 측정 대상의 폴리머 필름을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연화시킨 상태로 1축 연신하며, 계속하여 냉각 고화(固化)시킨 후, 실온하에서 시판의 복굴절 측정장치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그때, 하기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축 연신방향으로 평행방향 및 직교방향으로 편파면(빛의 진행방향과 전계의 진동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가지는 직선 편광의, 폴리머 주쇄의 평행방향의 굴절률(np)과 직교방향의 굴절률(nd)의 차이(np-nd)를, 배향 복굴절(Δnor)로 정의한다.
Δnor=( np-nd)
그리고, 이 Δnor이 제로가 아닌 경우를 「복굴절이 생기고 있다」라고 하고, 그 값을 「배향 복굴절」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Δnor이 양의 값의 경우, 즉, 평행방향의 굴절률이 큰 경우를 「양의 배향 복굴절」이라고 칭하며, Δnor이 음의 값의 경우, 즉, 직교방향의 굴절률이 큰 경우를 「음의 배향 복굴절」이라고 칭한다.
상기에 있어서, 연신 필름에 직선 편광이 입사했을 때에, 통과하는 빛을 직교하는 2개의 직선 편광으로 분해하여 생각하면, 복굴절에 의해 위상차(리타데이션)가 생긴다. 리타데이션(Re)은, 필름의 배향 복굴절 및 두께(d)와, 하기식과 같은 관계에 있으므로, 측정하여 얻은 리타데이션의 결과를 필름 두께(d)로 나눔으로써, 배향 복굴절(Δnor)을 계산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머 분자가 연신방향으로 신장하여 전부 가지런한 상태인, 배향도가 1일 때의 배향 복굴절에 상당하는 것이 「고유 복굴절」Δn0이며, 폴리머 종류에 고유한 성질이다.
Re=Δnor×d
상술한 바와 같이, 배향 복굴절은, 폴리머를 용융 후, 냉각 고화하는 동안에 다 완화할 수 없어, 필름·광학소자 중에 주쇄가 배향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에 기인하는 값이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이 폴리머종에 고유의 「고유 복굴절」의 값을 상세하게 검토함으로써, 편광을 이용하는 광학 용도에 있어서 이상적인, 배향 복굴절이 생기지 않는 재료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 여러 가지의 검토를 행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의 과정에서, 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한 바, 고유 복굴절의 값은 온도에 대하여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며, 특히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그 변화가 커진다고 하는, 종래, 전혀 인식되지 않은 새로운 지견을 얻었다. 지금까지 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은, 통상, 실온에서 측정되고 있고, 이것을 가지고 폴리머에 고유의 값으로 되어, 여러 가지 논의가 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먼저 설명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로 복굴절 접착제를 얻는 접착제의 설계방법에 있어서의 평가방법에서도, 지지체에 사용하는, 고유 복굴절이 절대치로 1×10-3 이하이며, 광탄성 상수가 절대치로 1×10-12Pa-1 이하인, 연신시켜 변형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제로·제로 복굴절 폴리머(ZZBP)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값은, 실온에 있어서의 것이며, 이 지지체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점착제의 복굴절성은, 어디까지나 실온에 있어서의 것으로 된다. 이것에 대해,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제로 복굴절 폴리머가 얻어지면, 그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서 이용함으로써,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정밀도 좋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세한 검토의 결과, 고유 복굴절의 온도에 대한 변화율(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도 폴리머 고유의 성질이다고 하는 새로운 지견을 얻고, 이것을 이용하면, 고유 복굴절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을 고려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억제한 폴리머 설계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하기의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제로 복굴절 폴리머(TZBP)의 설계 수법을 달성했다. 구체적으로는, 호모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이 각각 양 혹은 음을 나타내는 것이 있는 것에 착안하여, 그들의 모노머 조성으로 구성되는 반복 단위 구조를 적당히 선택하여, 적절한 공중합 조성비로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고유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공중합체(폴리머)를 얻는 기술을 찾아냈다.
우선, 실온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이며, 또한, 광탄성 계수가 제로인 공중합체인 제로·제로 복굴절 폴리머(ZZBP) 필름을 얻는 경우의 설계 수법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2,2,2-트리플로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TFEMA)와, 벤질메타크릴레이트(BzMA)로 이루어지는 3원계의 공중합체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3종의 모노머 성분을, 각각 WPMMA, WPTFEMA, WPBzMA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합성한 3원계 공중합체의 고유 복굴절(Δn0)은, 각각의 모노머로부터 합성한 호모폴리머의 각 고유 복굴절을 이용하여, 하기 식(1)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또, 상기 모노머 성분을, WPMMA, WPTFEMA, WPBzMA의 질량비율이 되도록 합성한 3원계 공중합체의 광탄성 상수 C는, 각각의 모노머로부터 합성한 호모폴리머의 각 광탄성 상수를 이용하여 하기 식(2)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하기 식(3)은, 3원계 공중합체의 모노머 조성을 나타내는 식이며, 3종의 모노머 성분이 WPMMA, WPTFEMA, WPBzMA의 질량비율(%)로 공중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7110779085-pct00001
상기 식(1)에 있어서, Δn0 PMMA는, MMA의 호모폴리머(PMMA)의 고유 복굴절을 표시하고, Δn0 PTFEMA는, TFEMA의 호모폴리머(PTFEMA)의 고유 복굴절을 표시하며, Δn0 PBzMA는, BzMA의 호모폴리머(PBzMA)의 고유 복굴절을 표시한다. 또, 상기 식(2)에 있어서, CPMMA는, MMA의 호모폴리머의 광탄성 상수를 표시하고, CPTFEMA는, TFEMA의 호모폴리머의 광탄성 상수를 표시하며, CPBzMA는, BzMA의 호모폴리머의 광탄성 상수를 표시한다.
상기 식(1)에 있어서, 좌변의 3원계 공중합체의 고유 복굴절(Δn0)의 값을 제로(Δn0=0)로 하고, 상기 식(2)에 있어서, 좌변의 3원계 공중합체의 광탄성 상수 C의 값을 제로(C=0)로 하며, 식(3)과 연립시킴으로써 방정식을 푸는 것으로, 고유 복굴절(Δn0)과 광탄성 상수 C의 양쪽이 제로가 되는 폴리머(이하, 제로·제로 복굴절 폴리머라고도 칭한다)의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MMA와 TFEMA와 BzMA의 모노머 조성, WPMMA/WPTFEMA/WPBzMA=52.0/42.0/6.0이 구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모노머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3원 공중합체를 실제로 합성하고, 그 고유 복굴절과 광탄성 상수를 측정하면, 25℃의 온도 조건하에서는 거의 제로가 된다.
(복굴절의 측정방법)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우선, 적당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하고, 상기 용액으로 필름을 제작하며, 얻어진 필름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하여, 배향 복굴절과, 그 배향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이들의 측정치로부터 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을 구했다. 상기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3 성분계의 폴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우선, 얻어진 폴리머를, 질량비로 4배량의 테트라히드로푸란과 함께 유리제의 샘플관에 넣어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 그리고, 상기 폴리머 용액을, 유리판 상에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약 0.3㎜의 두께로 전개하고, 1일 실온에서 방치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얻어진 필름을 유리판으로부터 벗기고, 60℃의 감압 건조기 내에서 다시 48시간 건조시켜, 얻어진 두께 약 40㎛의 폴리머 필름을 덤벨 형상으로 가공하여, 텐시론 범용 시험기(주식회사 오리엔테크제)에 의해 1축 연신을 행하였다. 이때, 연신 온도를 120∼140℃, 연신 속도를 2∼30㎜/min, 연신 배율 1.1∼3.0 등의 범위로 조정하여, 몇 개의 배향도의 필름을 제작했다. 그리고, 연신 후의 필름의 배향 복굴절을 자동 복굴절 측정장치 ABR-10A(유니오프트(주) 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 연신 후의 필름의 배향도를 적외흡수 이색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한 배향 복굴절의 값을, 연신 후의 필름의 배향도로 나누어(혹은, 외삽하여), 상기 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을 구했다. 한편,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상기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고유 복굴절은, 25℃에 있어서 0.16×10-3이며, 실온에서, 거의 제로로 간주할 수 있는 크기였다.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3원계의 공중합체(MMA/TFEMA/BzMA=52.0/42.0/6.0) 로 이루어지는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102℃, 40㎜/min로 40㎜열 연신하고, 연신 후, 24시간 실온에 보존한 샘플에 대하여, 15℃∼70℃로 온도 제어하면서, 그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을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온도를 온도 제어장치에 의해 온도상승시켰을 때의 리타데이션(Re)을 측정했다. 도 10에, 배향 복굴절의 측정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측정한 리타데이션을 필름 두께 28㎛로 나누어 구한 것이다. 또한, 이것을 폴리머 필름 중의 폴리머 분자쇄의 배향도 f=0.107으로 나눈 것이, 도 11에 나타내는 고유 복굴절이다. 이들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5℃의 실온 부근에서는 복굴절이 제로였지만, 온도가 증가할수록 복굴절이 증가했다. 이들의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온도 의존성은, 비교적으로, 온도와 선형인 관계에 있었다. 또, 배향 복굴절 0.10×10-3의 값을, 일반적인 편광판 보호필름의 두께 80㎛로 곱하면, 리타데이션으로 8㎚에 상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의 리타데이션은, 직교 니콜(직교시킨 편광판) 사이에 배치하면 시인(視認)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온도 변화에 따른 복굴절 변화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폴리머의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검토)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모노머 조성의 광학필름에 대하여, 같은 시험을 행하여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실온에서 양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폴리머도, 실온에서 음의 고유 복굴절을 가지는 폴리머도, 모두 온도 의존성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 예를 들면, 모두 온도에 대하여 양의 상관을 나타내는 경우에서도, 그 정도는 같지 않고,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조성에 따라서 다른 것을 알았다. 그 정도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노머에 대응한 호모폴리머에 대하여, 1℃당 Δn0의 변화량으로 상관의 정도를 비교했다. 표 1에, 각 폴리머의 25℃(실온)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Δn0)의 값과, 15℃∼70℃로 온도를 제어하면서 측정하여 얻어진, 1℃당 Δn0의 변화량인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dΔn0/dT)의 결과를 예시했다. 그 결과, 온도에 대한 상관의 정도는, 각 폴리머의 측쇄 구조에 의존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예를 들면, 부피가 큰 측쇄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에서는 낮고, 부피가 크지 않아, 분극율 이방성의 큰 구조를 가지는 폴리머에서는 높은 것이 시사되었다. 표 1 중의 PPhMA는 페닐메타크릴레이트의 호모폴리머의 약어이고, PMI는 폴리말레이미드에 대응하는 호모폴리머의 약어이며, PMeMI는, 폴리메틸말레이미드에 대응하는 호모폴리머의 약어이고, PEMI는, 폴리에틸말레이미드에 대응하는 호모폴리머의 약어이며, PCHMI는, 폴리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에 대응하는 호모폴리머의 약어이고, 그 외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은, 호모폴리머의 약기이다.
[표 1]
Figure 112017110779085-pct00002
본 발명에서,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점착제를 설계·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저감되고 있는 폴리머 필름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이며, 또한, 이들의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을 저감한 폴리머 필름에 유용한 수지 재료는, 3종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의 경우, 하기와 같은 수법으로 얻을 수 있다. 우선, 먼저 서술한 수법으로,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의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는 모노머 성분의 종류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1번째부터 제3번째까지의 3종의 모노머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이들 3종의 모노머의 각각에 대응하는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각 필름에 대하여, 각각,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을 조사하여, 각각의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dΔn0/dT) 를 구했다. 그리고 제1번째부터 제3번째까지의 3종의 모노머의 질량분율(%)을 각각 W1, W2, W3이라고 가정하고, 하기의 (i)∼(ⅲ)의 연립 방정식을 세운다. 그리고, 예를 들면, (i)식의 좌변을 제로(Δn0=0), (ⅱ)식의 좌변을 제로(dΔn0/dT=0)로 하여, W1, W2, W3의 답을 구함으로써,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의 폴리머이며, 게다가,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가 제로의, 배향 복굴절에 온도 의존성이 없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또, 이때, (i)식의 좌변의 값과, (ⅱ)식의 좌변의 값을 원하는 값으로 하면, 배향 복굴절이 원하는 값으로 조정되며, 게다가, 그의 온도 의존성이 저감된, 폴리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7110779085-pct00003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연신시켜 변형한 경우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이 매우 작은 수지이며, 또한,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저감된 폴리머 필름을 이용하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여 점착제를 평가함으로써,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점착제의 설계·제조를 가능하게 하도록, 한층 더 검토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 하고, 상기 지지체에 점착제를 부여한 적층 필름을 준비하고, 이 적층 필름을 열 연신하며, 열 연신한 후의 적층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한편으로, 상기 점착제의 층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두께로 나눈 값을 상기 점착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로 했다. 그때, 폴리머 필름으로서 상기의 수법에 따라 조제한 1축 연신했을 때의 고유 복굴절이 ±0.05×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1축 연신 필름을 이용하고, 상기 필름의 온도를 25℃∼6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개개의 온도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Δn0)을 각각 측정하여,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1℃당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 구한 25℃∼60℃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dΔn0/dT)가, ±0.005×10-5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머 필름을 이용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연신시켜 변형해도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고, 게다가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이 저감된, 복굴절이 제로이며, 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TZBP)를 지지체로서 이용하고, 이 폴리머 필름 2매로, 측정 대상의 점착제를 샌드위치한 복합(적층) 필름을 연신하여 복굴절을 측정함으로써, 지지체에 있어서의 온도 의존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점착제의 복굴절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검토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의 공중합 조성, 가소제 등의 첨가제, 가교제의 종류와 양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없는 것을 조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점착제의 구성 재료는, 종래 공지의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아무런 다를 것은 없고,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에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한 구성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의 구성 재료인 모노머 성분의 종류 및 양을 조정하고, 또한, 가교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종류와 양을 조정한다고 하는 방법으로, 상기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측정치가,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의 규정을 만족하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는, 환언하면, 점착제를 변형시켰을 때, 온도 변화시켰을 때의 어느 경우도, 육안으로 광 누락 등을 볼 수 없는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점착제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만∼200만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에 사용하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반응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하기에 드는 모노머를 적당하게 선택하여 구성성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 말레산 또는 무수 푸말산 등의 산무수물 모노머,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스티렌, 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기 함유 모노머나, 초산비닐,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열거한 바와 같은 모노머로부터 형성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그 모노머의 배열 규칙에 특히 제한은 없고,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 외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하기에 드는 가교제를 첨가한 구성의 것으로 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첨가하는 가교제의 종류와 사용량에 따라서,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이나,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교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 점을 감안하여 점착제를 설계·제조할 필요가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계 가교제 및 아지리딘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분자 중에 글리시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1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분자 중에 아지리디닐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폴리아지리딘 화합물, 1분자 중에 옥사졸린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폴리옥사졸린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또는 부틸화 멜라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시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코올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 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 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다관능 글리시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로부터 변성된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아지리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1'-(메틸렌-디-p-페닐렌)비스-3,3-아지리딜 우레아, 1,1'-(헥사메틸렌)비스-3,3-아지리딜 우레아, 에틸렌 비스-(2-아지리디닐 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아지리디닐-1,3,5-트리아진,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스-(2-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너무 적으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져, 점착제로서의 내구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가교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은 경우는, 얻어지는 점착제가 응집력 과다가 되고, 점착하는 광학 기능성 필름의 벗겨짐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가교제를 사용한 점착제를,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가 되도록 설계할 때에는, 이들의 점도 고려하여 양을 결정하는 것이, 점착제로서의 성능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문장 중 「부」 또는 「%」라고 있는 것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1) 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의 폴리머 필름의 제조
우선, 하기와 같이 하여, 연신한 폴리머 필름에 대하여 온도를 변화시켜 복굴절을 측정해도 복굴절이 제로인, 온도 의존성 제로 복굴절 폴리머(TZBP)를 제작했다. 한편, 이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3원계의 모노머 조성은, 상기한 수법에서 유도해 냈다.
모노머 조성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페닐메타크릴레이트(PhMA)/벤질메타크릴레이트(BzMA)의 질량부 비를 43.5/23.5/33으로 하고, 이것을 아세톤 5부, 초산에틸 70부 중에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1부를 중합 개시제로서 중합했다. 중합 후, 초산에틸을 158.1부 첨가하여, 공중합 폴리머 용액을 제작했다.
이것을 세퍼레이터 상에, 건조 막 두께가 40㎛가 되도록 도포하여, 50℃에서 10분간 건조했다. 건조 후, 세퍼레이터를 벗겨, 얻어진 폴리머 필름의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측정했다. 이 결과, 얻어진 폴리머 필름의, 고유 복굴절은, Δn0=-0.01×10-4였다. 또, 고유 복굴절 온도 의존 계수는, dΔn0/dT=0.004×10-5이며, 얻어진 폴리머 필름은, 고유 복굴절, 복굴절 온도 의존성 모두 거의 제로의 폴리머(TZBP) 필름이었다.
(2) 폴리머 필름의 고유 복굴절,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상기에서 조제한 폴리머 필름에 대한 고유 복굴절, 복굴절 온도 의존성은, 하기 방법으로 구했다. 조제한 필름을 덤벨 형상으로 형태를 뽑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로 108℃에 2분 방치 후, 인장 스피드 40㎜/min로 2배 연신 후, 실온(25℃)으로 되돌렸다. 이것을, 유니오프트사(Uniopt Co.,Ltd) 제의 광탄성 측정장치(PEL-3A-102 C(상품명))를 사용하여, He-Ne레이저 633㎚로, 25℃, 40℃, 60℃에서 위상차를 측정하고, 연신한 후의 필름의 두께로 나누어, 배향 복굴절(Δnor)을 측정했다. 또한, 이것을 폴리머 필름중의 폴리머의 분자쇄의 배향도로 나눈 것이 고유 복굴절(Δn0)이다. 또한, 25℃, 40℃, 60℃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의 값으로부터, 1℃당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의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 계수(dΔn0/dT)를 구했다. 본 발명에서는,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기 위한 복굴절 측정장치로서, 어느 경우도 상기한 광탄성 측정장치를 이용했다.
(3) 점착제의 제작과, 상기 점착제의 복굴절 측정방법
우선, 복수종의 소정의 모노머를 소정의 조성비로 계량하여, 초산에틸 중에서 개시제로서 AIBN을 사용하고, 복수종의 모노머를 중합시켜, 폴리머 용액을 제조했다. 이 폴리머 용액에, 소정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점착제를 제작했다. 그리고, 조제한 점착제를 건조 막 두께가 25㎛가 되도록 PET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고, 90℃에서 3분 건조 후, PET 세퍼레이터를 맞붙여 23℃ 50%RH의 실내에서 숙성했다.
숙성 후, 이 점착제의 세퍼레이터를 벗기고, 먼저 얻은 TZBP 필름을 양면에 맞붙였다. 이 적층(복합)필름의 두께는 105㎛가 된다. 그리고,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한 배향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하기와 같이 하여 구했다. 여기서, 측정에 이용한 적층 필름을 구성하고 있는 TZBP 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유 복굴절, 복굴절 온도 의존성은 모두 제로이므로,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한 연신한 복합 필름의 위상차(리타데이션)는, 점착제만의 복굴절이 된다. 따라서, 이 값을 연신 후의 점착제의 두께로 나눈 값은, 점착제의 2배 연신한 복굴절로 간주할 수 있다. 그래서, 하기와 같이 하여 구한 값을 실온(25℃)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로 했다.
상기에서 제작한, 2매의 건조 막 두께가 40㎛의 TZBP 필름에 측정 대상의 점착제가 끼워 넣어진 두께 105㎛의 적층 필름을, 덤벨 형상으로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을 조제했다. 상기로부터, 점착제층의 두께는 25㎛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덤벨 형상의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온도 102℃에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시켰다. 그 후, 2배로 연신한 샘플을 꺼내어 실온(25℃)에 방치하고, 24시간 경과 후의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했다. 이 2배 연신했을 때의 실온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의 측정치를,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을 구하고, 이 값을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로 했다.
또한,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의 측정을 행할 때에, 상기와 같이 하여 조제한 2배로 연신한 실온의 샘플을, 40℃ 또는 60℃의 온도로 10분간 유지한 후에 각각 측정을 행함으로써, 40℃ 또는 60℃의 각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을 구했다. 이들의 값과, 먼저 얻은 실온(25℃)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로부터, 1℃당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구했다. 한편, 2배 연신 후의 점착제의 두께는, 연신한 적층 필름의 두께로부터 계산했다. 연신 후의 적층 필름의 두께가 80㎛의 경우, 연신 후의 점착제의 두께는, 25㎛×80/105=19㎛가 된다.
〈점착제를 구성하는 가교제의 종류와 양의 차이에 의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으로의 영향에 대한 검토〉
상기한 점착제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머 용액을 제조할 때의 모노머 조성을, 부틸아크릴레이트(BA)와 아크릴산(AAc)을 이용하고, 그 질량부 비를 100/1로 했다. 얻어진 폴리머 용액에 첨가하는 가교제의 종류와 첨가량을 표 2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꾸어, 점착제를 각각 제작했다. 얻어진 각 점착제의 겔분율을 측정하여, 표 2중에 나타냈다. 그리고, 얻어진 각 점착제에 대하여, 먼저 서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구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중에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제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 영향의 정도는,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가교제의 첨가량이 많아지면 그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상기 검토에 이용한 가교제 중에서는, K-130과 M-2는, 다른 가교제와 비교하여,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으로의 영향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375와 TPA-100은, 다른 가교제와 비교하여,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으로 영향이 컸다.
상기 시험에서 사용하고, 표 2∼4 중에 약기한 가교제는, 각각 하기의 것이다.
AL:콜로네이트 L-45E(상품명, 토소 가부시키가이샤(TOSOH CORPORATION)제, T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A375:테트랏드C(상품명, 미츠비시가스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제, 다관능 에폭시 수지)의 2% 초산에틸/톨루엔 희석품
M-2:알루미늄 킬레이트 A(상품명, 카와켄파인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KAWAKENN FINE CHEMICALS Co., Ltd.)제,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트네이트)의 5%톨루엔/IPA/아세틸아세톤 희석품
TPA-100:듀라네이트 TPA-100(상품명,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H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K-984:Desmodur IL-1451(상품명, 바이엘 사제, T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K-130:듀라네이트 E-405-80T(상품명,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HDI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소제:아데카사이더 PN-6120(상품명, ADEKA제 아데카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표 2]
Figure 112017110779085-pct00004
〈점착제를 구성하는 공중합체의 원료 모노머의 조성을 바꾸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종류와 양의 차이에 따라,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으로의 영향에 대한 검토〉
상기한 점착제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머 용액을 제조할 때의 모노머 조성을, 아크릴산 페녹시에틸(PHEA)과 부틸아크릴레이트(BA)와 아크릴산(AAc)을 이용하고, 그 질량부 비를 80/20/1으로 했다. 얻어진 폴리머 용액에 첨가하는 가교제의 종류와 첨가량을 표 3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꾸고, 점착제를 각각 제작했다. 얻어진 각 점착제의 겔분율을 측정하여, 표 3중에 나타냈다. 그리고, 얻어진 각 점착제에 대하여,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하고,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구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중에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제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경향은, 도 3에 나타낸 경우와 비교하면, 많은 경우, 다르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복굴절 및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모두 제로의 점착제를 얻기 위해서는, 가교제 종류의 선택과 동시에, 폴리머 용액을 제조할 때의 모노머 조성의 선택도 중요한 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폴리머 용액을 이용한 경우도, 가교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가교제의 첨가량이 많아지면 그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이 경우도, 상기 검토에 이용한 가교제 중에서는, A375와 TPA-100은, 다른 가교제와 비교하여,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으로의 영향이 컸다. 또, 상기 검토에 이용한 가교제 중에서는, M-2와 K-130과 K-984는, 다른 가교제와 비교하여,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으로의 영향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
Figure 112017110779085-pct00005
〈점착제를 구성하는 공중합체의 원료 모노머의 종류와 양을 바꾼 경우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으로의 영향에 대한 검토〉
상기한 점착제의 제작에 있어서, 폴리머 용액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BA), 아크릴산 페녹시에틸(PHEA), 아크릴산(AAc) 및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로부터 선택하여 이용하고, 그 질량부 비를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상기한 방법으로 조성이 다른 폴리머 용액을 각각 얻었다. 그리고, 경화제로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A375를 0.2%의 양으로 이용한 A375계와, 0.2%의 A375에 AL를 병용한 A375/AL계와, 0.2%의 A375에 가소제를 병용한 A375계로 접착제를 각각 제작했다. 얻어진 각 점착제의 겔분율을 측정하여, 표 4중에 나타냈다. 그리고, 얻어진 각 점착제에 대하여,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하고,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복굴절 온도 의존성을 구하고, 얻어진 결과를 표 4중에 나타냈다. 그 결과,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제로서는 A375/AL계의 쪽이, 복굴절으로의 영향이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 폴리머 용액을 조제할 때에,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배합량이 많아짐에 따라 복굴절으로의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보였다.
[표 4]
Figure 112017110779085-pct00006
점착제 고유 복굴절과 온도 의존성의 관계를 그래프화 한 도 3, 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점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기 위한 모노머의 종류와 배합, 또한 가교제의 종류와 배합을 적합하게 조정함으로써, 고유 복굴절이 거의 제로이며, 또한, 복굴절 온도 의존성이 없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의 고유 복굴절의 절대치(│Δn0〈0│)가 0.2×10-4 이하, 즉,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절대치(│dΔn0/dT│)가 0.02×10-5 이하, 즉, ±0.02×10-5/℃의 범위 내에 있는 복굴절 온도 의존성 제로의 점착제의 설계·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 복굴절 온도 의존성 제로의 점착제를, 액정 디스플레이나 OLED에 사용하면, 광학필름 등의 신축에 의해 점착제가 변형한 경우라도, 점착제의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광 누락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변형한 점착제의 온도가 변화한 경우라도, 점착제의 복굴절은 제로이므로, 광 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5)

  1.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서, 2매의 지지체 사이에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 필름을 열 연신하는 공정과, 열 연신한 후의 적층 필름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을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두께로 나눈 값을 상기 점착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로 하고,
    또한, 상기 리타데이션을 측정하는 공정으로, 상기 적층 필름의 온도를 15∼7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개개의 온도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1℃당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 상기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를 구하여, 점착제의 복굴절치의 온도 의존성을 정량화하는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의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폴리머 필름이, 1축 연신했을 때의 고유 복굴절이 ±0.05×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1축 연신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의 온도를 25℃∼6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개개의 온도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Δn0)을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1℃당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 구한 25℃∼60℃에 있어서의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dΔn0/dT)가, ±0.005×10-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며,
    상기 점착제의 복굴절치의 온도 의존성을 정량화할 때에 이용하는 상기 점착제의 15∼70℃의 범위 내의 어느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값을, 상기 적층 필름을 덤벨 형상(dumbbell shape)으로 잘라낸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온도 102℃에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하며, 연신 후에 꺼내 실온에 24시간 방치 후, 15∼70℃의 범위 내의 어느 온도로 10분간 두고 조정한 2배 연신한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2.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점착제 고유 복굴절 및 그의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측정치가,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고유 복굴절이 ±0.05×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고유 복굴절 온도 계수(dΔn0/dT)가, ±0.005×10-5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서 이용하고, 이 2매의 지지체 사이에,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액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을 덤벨 형상으로 잘라낸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온도 102℃에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하며, 연신 후에 꺼내 실온에 24시간 방치한 2배 연신한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상기 리타데이션을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인, 실온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Δn0)의 값이, ±0.2×10-4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의 온도를 15∼70℃의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어느 온도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을 개개로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1℃당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변화량으로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를 구하는 복굴절치의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을 이용하며, 상기 온도 계수를 구할 때에 이용하는 상기 어느 온도에 있어서의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값을, 상기 샘플을, 항온조 부착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온도 102℃에서 120초간 가열 후, 인장 속도 40㎜/min로 표선이 2배가 될 때까지 연신하고, 연신 후에 꺼내 실온에 24시간 방치 후, 상기 어느 온도로 10분간 두고 조정한 2배 연신한 샘플에 대하여, 복굴절 측정장치로 측정한 리타데이션을,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로 나눈 값으로 하는, 상기 복굴절치의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점착제 고유 복굴절의 온도 계수(dΔn0/dT)가, ±0.02×10-5/℃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점착제를 구성하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종류 및 양, 및, 상기 경화제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7032340A 2016-03-22 2017-03-16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점착제, 디스플레이 및 광학필름 KR10196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7624 2016-03-22
JP2016057624A JP6115975B1 (ja) 2016-03-22 2016-03-22 ディスプレイ、光学フィルム、粘着剤、粘着剤の複屈折温度依存性の測定方法及び粘着剤を設計・製造する方法
PCT/JP2017/010803 WO2017164088A1 (ja) 2016-03-22 2017-03-16 粘着剤の複屈折温度依存性の測定方法、粘着剤を設計・製造する方法、粘着剤、ディスプレイ及び光学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935A KR20170135935A (ko) 2017-12-08
KR101960212B1 true KR101960212B1 (ko) 2019-03-19

Family

ID=5866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340A KR101960212B1 (ko) 2016-03-22 2017-03-16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점착제, 디스플레이 및 광학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98248A1 (ko)
JP (1) JP6115975B1 (ko)
KR (1) KR101960212B1 (ko)
CN (1) CN107960128B (ko)
WO (1) WO2017164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8494B2 (ja) 2019-09-18 2024-02-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繰り返し屈曲積層部材および繰り返し屈曲デバイ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901A (ja) * 2010-05-10 2012-11-29 Yasuhiro Koike 粘着剤の複屈折性の評価方法、粘着剤の設計方法及び製造方法、粘着剤、偏光板、液晶表示装置、並びに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4845B2 (ja) 2005-04-26 2011-02-02 康博 小池 非複屈折性光学樹脂材料及び光学部材
US20070191506A1 (en) * 2006-02-13 2007-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compositions for optical articles
US20070228586A1 (en) * 2006-03-31 2007-10-04 Merrill William W Process for making an optical film
US20080083999A1 (en) * 2006-10-06 2008-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optical film
CN105384865B (zh) * 2014-09-02 2019-02-19 小池康博 光学树脂材料、该光学树脂材料的制造方法、含该材料的光学树脂构件及含该构件的偏振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901A (ja) * 2010-05-10 2012-11-29 Yasuhiro Koike 粘着剤の複屈折性の評価方法、粘着剤の設計方法及び製造方法、粘着剤、偏光板、液晶表示装置、並びに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8248A1 (en) 2018-10-18
JP6115975B1 (ja) 2017-04-19
KR20170135935A (ko) 2017-12-08
CN107960128A (zh) 2018-04-24
JP2017173459A (ja) 2017-09-28
WO2017164088A1 (ja) 2017-09-28
CN107960128B (zh)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037B1 (ko) 점착형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그들의 제조 방법
US9382456B2 (en)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868880B2 (en)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96073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
KR101665166B1 (ko)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134681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KR101991974B1 (ko) 점착제 조성물
JP2012128099A (ja) 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9247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8002500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886401B2 (ja) 偏光板用の粘着剤層および粘着剤組成物
KR10185450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60212B1 (ko) 점착제의 복굴절 온도 의존성의 측정방법, 점착제를 설계·제조하는 방법, 점착제, 디스플레이 및 광학필름
KR100405311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80059202A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30149802A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CN114631135A (zh) 图像显示装置及光学构件组
KR101542620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H0990125A (ja) 偏光板及び楕円偏光板粘着シート
KR20180062902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24494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
KR20240011751A (ko) 점착 시트, 광학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TW202248021A (zh) 圓偏光板及使用其之圖像顯示裝置
CN117930413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具有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Ito et al. 52.4: Proposal of Zero‐Birefringenc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Preventing the Light Leakage of LC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