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769B1 -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 Google Patents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769B1
KR101959769B1 KR1020170066029A KR20170066029A KR101959769B1 KR 101959769 B1 KR101959769 B1 KR 101959769B1 KR 1020170066029 A KR1020170066029 A KR 1020170066029A KR 20170066029 A KR20170066029 A KR 20170066029A KR 101959769 B1 KR101959769 B1 KR 10195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vertical bar
protru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211A (ko
Inventor
장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라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라환경
Priority to KR102017006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7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상기 수직바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제1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작동바; 상기 수직바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결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로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에 결합되며 정면이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연결부재와 상기 상단연결부재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단연결부재와 상기 상단연결부재와 상기 하단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상기 제2돌출부재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주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Installation and removal equipment for agricultural holding}
본 발명은 지주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세워지는 본체부의 일측에 작동바를 결합하고, 작동바의 동작에 따라 연결부재와 승하강부재 및 지주고정부가 유기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지면에 박힌 지주목,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지주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을 재배함에 있어서, 직사광선으로부터 인삼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주목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위에 차양막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 차양막 설치에 사용되는 지주목은 고추 등의 식물을 재배할 때와 같은 작은 지지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2M 이상의 긴 지주목을 사용하기 때문에, 지주목이 지면에 30㎝ 이상 박히게 되는바, 이처럼 견고하게 박힌 지주목을 일일이 사람의 힘으로 뽑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일부 농가에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주목을 뽑기도 하나, 이 또한, 매우 힘이 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건물을 짓기 위한 기초공사 등에서, 지면에 말뚝을 박아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상기 말뚝은 지면에 타공을 형성시키고, 타격기 등을 사용하여 상기 타공에 말뚝을 박게 되는바, 지면에 견고하게 박히게 된다.
그러나 지면에 박히는 다수 개의 말뚝 중 일부 말뚝은 기초공사를 마무리 하면서 제거해야 되는데, 상기 말뚝은 타격기 등으로 지면에 견고하게 박힌 바, 이를 사람의 힘으로 뽑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일부 공사현장에서는 힘의 방향을 바꾸거나 힘의 크기를 줄이는 도르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말뚝을 뽑기도 하나, 이 또한, 매우 힘이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농가, 건축현장 등에서, 사람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면에 박힌 지주목, 말뚝, 철근, 비닐하우스 등의 각종 지지대를 수월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면에 박힌 지주목,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지주철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지주철거장치에서 지주등이 걸리도록 하는 지주고정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걸림홈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여 다양한 지주대에 용이하게 적용이 되도록 하고, 지주대와 걸림홈간의 마찰력을 높여 지주가 용이하게 철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지주철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는, 장방형의 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상기 수직바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제1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작동바; 상기 수직바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결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로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에 결합되며 정면이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연결부재와 상기 상단연결부재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단연결부재와 상기 상단연결부재와 상기 하단연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상기 제2돌출부재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주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에 의하면, 지면에 박힌 지주목,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철거장치에서 지주등이 걸리도록 하는 지주고정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걸림홈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여 다양한 지주대에 용이하게 적용이 되도록 하고, 지주대와 걸림홈간의 마찰력을 높여 지주가 용이하게 철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주철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는 지면에 세워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작동바(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300)와 상기 작동바(200)와 상기 승하강부재(3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300)에 결합되는 지주고정부(500)와 상기 승하강부재(3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스프링(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에 세워지도록 장방형의 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바(120)와 상기 수직바(120)의 상단에 상기 수직바(120)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130)와 상기 지지부재(110)와 상기 수직바(1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강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바(130)와 수직바(120)는 단단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져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되,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지주철거장치(1)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바(120)는 90~100cm, 바람직하게는 95cm의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지주가 용이하게 제거됨과 동시에 작업자가 직립하여 작업할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바(12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작동바(200)가 나사결합되도록 제1체결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200)가 상기 제1체결홀(121)에 결합되는 나사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바(120)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상기 지주고정부(500)를 받쳐 상기 지주고정부(500)의 수평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바(150)와 상기 받침바(150)의 끝단에 형성되는 받침부재(16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바(130)는 상기 수직바(120)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지주 철거작업을 할 때 상기 수평바(130)를 잡아 상기 본체부(100)가 흔들리는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바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상기 지주고정부를 받쳐 상기 지주고정부의 수평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바(150)와 상기 받침바(150)의 끝단에 형성되는 받침부재(1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110)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지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파이크 형상의 지면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
한편, 상기 작동바(200)는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통부재(210)와 상기 원통부재(210)의 끝단에서 장방형의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재(210)는 20~30mm, 바람직하게는 25mm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지주 철거작업을 할 때 상기 원통부재(210)가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원통부재(210)의 끝단에 고무재질의 손잡이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작동바(200)를 올리거나 내릴 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220)에는 상기 수직바(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홀(121)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체결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바(120)에 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홀(121)에 나사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홀(221)의 측면에 제3체결홀(22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하강부재(300)는 상기 수직바(120)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결합되도록 사각형상으로 돌출되는 끼움부재(310)와 상기 끼움부재(3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재(310)는 상기 수직바(120)의 외주를 감싸면서 결합되되, 상기 끼움부재(310)가 상기 수직바(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바보다 1mm오프셋(off set) 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310)의 내부에는 승하강시에 상기 수직바(120)와의 외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롤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20)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제4체결홀(321)과 제5체결홀(322)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4체결홀(321)에 후술되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5체결홀(322)에는 후술되는 상기 지주고정부(50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정면이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연결부재(410)와 상기 상단연결부재(410)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단연결부부재와 상기 상단연결부재(410)와 상기 하단연결부재(430)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연결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단연결부재(410)에는 제6체결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연결부재(430)에는 제7체결홀(431)이 형성되어 상기 제6체결홀(411)은 상기 제1돌출부재(220)에 형성되는 제3체결홀(222)과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7체결홀(431)은 상기 제2돌출부재(320)에 형성되는 제4체결홀(321)과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작동바(200)와 상기 승하강부재(30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바(200)와 상기 승하강부재(3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주고정부(500)는 상기 제2돌출부재(32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회동부재(510)와 상기 회동부재(5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재(520)와 상기 걸림부재(520)에 형성되는 걸림홈(5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510)에는 상기 제2돌출부재(320)에 형성되는 상기 제5체결홀(322)과 나사결합되도록 제8체결홀(511)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재(300)와 상기 지주고정부(5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520)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홈(521)은 철거대상인 지주가 걸려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걸림홈(521)에 요철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지주와 마찰력을 높여 지주의 걸림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600)은 상기 승하강부재(300)의 상기 끼움부재(31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바(120)의 일측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원통부재(210)가 하단방향으로 내려감으로 인해 상단방향으로 올라가는 상기 승하강부재(300)가 상기 스프링(600)의 탄성력으로 인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의 실시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거대상인 지주는 상기 지주고정부(500)의 상기 걸림홈(521)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홈(521)에 지주가 고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200)를 하단방향으로 눌러 상기 작동바(200)의 상기 제1돌출부재(220)가 상단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주고정부(500)는 지주가 끼워질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유지되고, 지주가 철거될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지주의 끼움작업이 이루어질 때는 지주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고, 지주의 철거작업이 이루어질때는 지주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작동바(200)를 하단으로 내리는 동작을 통해 상기 지주고정부(500)가 자연스럽게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장치 없어도 지주의 철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상태가 유지되다가 상기 작동바(200)가 하단방향으로 내려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600)이 인장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작업바(200)를 내린상태에서 상기 작업바(200)를 올릴 때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200)가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기 작동바(200)를 내리는 동작만 취하고 상기 작동바(200)를 올릴 때는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높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지주가 철거되는 과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돌출부재(220)가 상단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제1돌출부재(2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일측에 상기 제1돌출부재(22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단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2돌출부재(320)가 상기 연결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단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재(320)에는 상기 지주고정부(50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돌출부재(320) 상단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지주고정부(500)가 함께 상단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지주고정부(500)에 고정된 지주가 함께 상단방향으로 움직여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가 철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지주철거장치(1)에 형성되는 상기 지주고정부(500)의 상기 걸림홈(521)에 지주를 끼우고, 상기 작동바(200)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리는 동작을 통해 철거대상인 지주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주철거장치(1)에 의하면, 지면에 박힌 지주목, 말뚝 등과 같은 지지대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철거장치(1)에서 지주등이 걸리도록 하는 지주고정부(500)에 형성되는 걸림홈(521)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걸림홈(521)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여 다양한 지주대에 용이하게 적용이 되도록 하고, 지주대와 걸림홈(521)간의 마찰력을 높여 지주가 용이하게 철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철거장치(1)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지주철거장치 100 : 본체부
110 : 지지부재 120 : 수직바
130 : 수평바 140 : 보강대
150 : 받침바 160 : 받침부재
200 : 작동바 210 : 원통부재
220 : 제1돌출부재 300 : 승하강부재
310 : 끼움부재 320 : 제2돌출부재
400 : 연결부재 410 : 상단연결부재
420 : 중앙연결부재 430 : 하단연결부재
500 : 지주고정부 510 : 회동부재
520 : 걸림부재 521 : 걸림홈
600 : 스프링

Claims (5)

  1. 지주철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철거장치는 장방형의 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바(120)와 상기 수직바(120)의 상단의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바(120)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바(1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120)의 전면에는 지주고정부(500)를 받쳐 상기 지주고정부(500)의 수평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바(150)와 상기 받침바(150)의 끝단에 형성되는 받침부재(16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통부재(210)와 상기 원통부재(2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제1돌출부재(220)가 형성되는 작동바(200);
    상기 수직바(120)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결합되는 끼움부재(310)와 상기 끼움부재(3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320)로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300);
    상기 승하강부재(300)에 결합되며 정면이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연결부재(410)와 상기 상단연결부재(410)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단연결부재와 상기 상단연결부재(410)와 상기 하단연결부재(430)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연결부재(420)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400);
    상기 제2돌출부재(32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회동부재(510)와 상기 회동부재(5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재(520)와 상기 걸림부재(520)에 형성되는 걸림홈(5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홈(521)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주고정부(500)에 체결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고정부(500)간의 마찰력을 높여 지주와의 걸림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지주고정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00)는 일측이 상기 수직바(12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승하강부재(300)의 끼움부재(310)와 연결되는 스프링(6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원통부재(210)가 하단방향으로 내려감으로 인해 상단방향으로 올라가는 상기 승하강부재(300)를 상기 스프링(600)의 탄성력으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지면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철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310)의 내부에는 상기 수직바(120)와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롤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철거장치.
KR1020170066029A 2017-05-29 2017-05-29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KR10195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29A KR101959769B1 (ko) 2017-05-29 2017-05-29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29A KR101959769B1 (ko) 2017-05-29 2017-05-29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211A KR20180130211A (ko) 2018-12-07
KR101959769B1 true KR101959769B1 (ko) 2019-07-04

Family

ID=6466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29A KR101959769B1 (ko) 2017-05-29 2017-05-29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7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803A (ko) * 2021-02-19 2022-08-2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KR102553605B1 (ko) * 2023-01-18 2023-07-10 재단법인 한국환경측정분석원 오염토양 샘플 채취용 채취 관 추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416B1 (ko) * 2020-11-02 2021-04-26 손순임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407B2 (ja) 1992-10-21 2001-03-19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高固形分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高固形分型塗料ならびに塗装および焼き付け方法
JP2002348871A (ja) 2001-03-23 2002-12-04 Shizuo Arita 杭抜きバール2
US20120279737A1 (en) 2009-09-21 2012-11-08 Risoda Pty Ltd Post driver extractor
KR101582325B1 (ko) * 2015-04-27 2016-01-04 정다운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407U (ja) * 2008-11-28 2009-02-12 満夫 木股 農業用支柱抜取具
KR20130114891A (ko) * 2012-04-10 2013-10-21 이승택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 제거기
KR101807245B1 (ko) * 2015-10-28 2017-12-1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지주대 인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407B2 (ja) 1992-10-21 2001-03-19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高固形分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高固形分型塗料ならびに塗装および焼き付け方法
JP2002348871A (ja) 2001-03-23 2002-12-04 Shizuo Arita 杭抜きバール2
US20120279737A1 (en) 2009-09-21 2012-11-08 Risoda Pty Ltd Post driver extractor
KR101582325B1 (ko) * 2015-04-27 2016-01-04 정다운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803A (ko) * 2021-02-19 2022-08-2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KR102587030B1 (ko) 2021-02-19 2023-10-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KR102553605B1 (ko) * 2023-01-18 2023-07-10 재단법인 한국환경측정분석원 오염토양 샘플 채취용 채취 관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211A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769B1 (ko)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US9677297B2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a structural support apparatus
KR10160295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발전모듈의 지지장치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US20070084137A1 (en) Post support and stabilization
US111493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pile into the ground before lifting and stabilizing the foundation of a building
KR101582325B1 (ko)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US20200226962A1 (en) Sign Frame
KR101506953B1 (ko)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
KR101692203B1 (ko) 메쉬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면매설용 중심 가이드장치
KR200469905Y1 (ko)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KR200439508Y1 (ko) 인삼밭용 지주대
JP6795354B2 (ja) 支柱の立設装置
KR101934674B1 (ko)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KR101732683B1 (ko) 농작물 지주용 설치 및 철거장치
KR102087851B1 (ko) 지주 타격장치
JP3207504U (ja) 農業用ハウスの補強部材
JP6908811B2 (ja) ツーバイフォー建物のアンカーガイド工法
KR102034408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갖는 온실용 이중 기둥의 시공방법
JP2004211520A (ja) 耐震装置ならびにその施工方法
KR200460418Y1 (ko) 비닐하우스 천장 지지관체 받침 지주
KR102284782B1 (ko) 지반 강화를 위한 기초 파일 지중 고정 장치
CN209397941U (zh) 一种装配式建筑材料放置防护围盖
WO2010144944A1 (en) A post brace
CN214532018U (zh) 一种防霉的绿色建筑材料用遮雨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