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30B1 -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30B1
KR102587030B1 KR1020210022722A KR20210022722A KR102587030B1 KR 102587030 B1 KR102587030 B1 KR 102587030B1 KR 1020210022722 A KR1020210022722 A KR 1020210022722A KR 20210022722 A KR20210022722 A KR 20210022722A KR 102587030 B1 KR102587030 B1 KR 102587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pport
vertical
lev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803A (ko
Inventor
심성보
박준우
한석우
강정균
천현우
박효제
신윤아
박용현
천세욱
이호섭
박민준
홍영걸
김보성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대 및 온실 제조시 사용되는 농업용 파이프가 흙에 묻혀지는 경우에, 작은 힘으로 상기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취출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있어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시에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100)와,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되어 수직 이동하는 받침 가이드(2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상측에서 설치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서 수직 이동하는 수직 이동장치(300)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며,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를 작동시키는 지렛대 발판(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Extraction devices for crop supports and agricultural pipe}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대 및 온실 제조시 사용되는 농업용 파이프가 흙에 묻혀지는 경우에, 작은 힘으로 상기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지지대나 농업용 파이프를 굳어진 농토 바닥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인력을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다양한 기구들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10-2002-0065453호(2002. 8. 13. 공개)에는, 철재 파이프를 캠록크로서 클램핑하고, 클램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패달을 밟으면 캠록크는 철재 파이프를 더욱 큰 압력으로 조이게 되고 패달에 작용하는 작업자의 체중에 의하여 제 1랙기어가 아랫쪽으로 내려가게 되면 제 2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피니언기어 주동치차가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피니언 기어 주동치차가 회전력을 받아 제 1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상대적으로 제 2랙기어가 랙기어 슬라이드 레일홈을 따라 윗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어 지반 깊이에 묻혀있는 온실구조물인 철재 파이프를 뽑아 올리게 되는 원리의 기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3-0114891호(2013. 10. 21. 공개)에는, 직육면체의 철괴로 형성되되 중앙부의 통공부와, 일측 가로면에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통공부의 좌, 우측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경사면인 좌, 우측 나선형 경사면과, 통공부 좌측면 하단부의 좌측 압착부와, 통공부 우측면 상단부의 우측 압착부와, 상면에 용접 결합되는 결합고리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파이프 걸쇠와; 상부 인양구와 하부 인양구와 결합 볼트로 이루어지는 인양 부재와; 상기 인양 부재를 상부로 인양하기 위한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와 축결합되는 지렛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닐 하우스 골조 파이프 제거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5-0115162호(2015. 10. 14. 공개)에는, 받침대 일측에 수직 고정대와 연결간을 설치하되, 연결간 전면받침대에 개방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수직 고정대와 연결간에 상도르래와 하도르래를 설치하여 와이어로프를 연결 설치하되, 와이어로프 일측 단부에는 결속구를 연결하고, 타측 단부에는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지렛대에 연결되게 함으로서, 지면에 박힌 철재파이프나 철재파이프 고정용 팩을 뽑아내고자 할 때, 받침대의 개방부에 파이프가 위치되게 한 다음 파이프에 결속구를 걸어 고정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지렛대 후단부를 누르면 상하도르래를 통하여 연결된 와이어로프가 수직 상승하여 지면으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되게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6952호(2013. 5. 10. 등록)에는, 지중에 매립된 지중 파이프를 인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 밀착 고정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걸림바를 갖는 환형의 고정띠; 상기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걸이부재 및 상기 걸이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높이 연장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돌출바를 갖추어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인발부; 및 상기 인발부의 길이중간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거치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인발부는 상기 돌출바가 구비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발부의 길이중간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고 상기 걸림바가 서로 이웃하는 돌출바 사이에 걸려진 상태에서 인발부의 일측에 힘을 가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중에 매립된 파이프를 인발하는 지중 파이프 인발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10-2002-0065453호(2002. 8. 13. 공개) 특허문헌 2 : 공개특허공보 10-2013-0114891호(2013. 10. 21. 공개) 특허문헌 3 : 공개특허공보 10-2015-0115162호(2015. 10. 14. 공개) 특허문헌 4 :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6952호(2013. 5. 10. 등록)
상기 종래기술들은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를 취출 제거하는데 있어서, 랙, 피니언, 도르래 등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를 통해 상, 하 이동을 하게 하는 것으로, 원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경하여, 굳은 흙에서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렌치와 비숫한 형태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굵기의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한 후에 초기화 레버를 사용하여 쉽게 다음의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한 후에 다음 작업을 위해 손잡이를 상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장치의 취급을 쉽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1]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취출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있어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시에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100)와,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되어 수직 이동하는 받침 가이드(2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상측에서 설치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서 수직 이동하는 수직 이동장치(300)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며,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를 작동시키는, 지렛대 발판(5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후면에는 제1 발판 조립부(210)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후면에는 제2 발판 조립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발판 조립부(210)에서는, 제1 힌지(211)에 의하여 상기 받침 가이드(200)와 힌지 가이드 판(600)를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2 발판 조립부(310)에서는, 제2 힌지(311)에 의하여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와 지렛대 발판(500)과 힌지 가이드 판(600)을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측면에는 "ㄴ"자 형상의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의 수직면에는, 가이드 고정축(222)과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의 외연을 감싸는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측면에는 "ㄴ"자 형상의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의 수직면에는, 이동장치 고정축(322)과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의 외연을 감싸는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에는 고정장치 조립부(340)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장치 조립부(340)에는, 제1 나사(341) 및 제2 나사(342)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연결바(430)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연결바(43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고정바(41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바(41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420)가 상기 연결바(430)의 가이드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 발판(500)은, 상기 제2 힌지(311)의 양측으로 좌, 우측 가이드 판(510, 520)을 설치하고, 상기 좌, 우측 가이드판(510, 520)에는 각각 좌, 우측 관절부(511, 521)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 관절부(511, 521)의 타측은, 각각 수직 이동장치(300)의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에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고정장치 조립부(340)를 통해서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이동바(4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측면에는 초기화 레버(700)를 설치하며, 상기 초기화 레버(700)는 상측에 레버 봉(710)을 형성하며, 하측에 레버 봉 가이드(720)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 봉 가이드(720)에는,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와 이동장치 지지돌기(740)가 상, 하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는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에 설치되는 제1 레버 고정홈(221)에 끼워지며, 상기 이동장치 지지돌기(740)는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에 설치되는 제2 레버 고정홈(321)에 끼워지며, 상기 초기화 레버(700)를 상기 수직 가이드(100)로부터 경사지게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 고정축(222)과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를 통해 상, 하 이동을 하게 하는 것으로, 원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경하여, 굳은 흙에서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렌치와 비숫한 형태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굵기의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한 후에 초기화 레버를 사용하여 쉽게 다음의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대 또는 농업용 파이프를 수직으로 취출한 후에 다음 작업을 위해 손잡이를 상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장치의 취급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 하부의 일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취출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있어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시에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100)와,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되어 수직 이동하는 받침 가이드(2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상측에서 설치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서 수직 이동하는 수직 이동장치(300)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며,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를 작동시키는 지렛대 발판(500) 및 상기 지렛대 발판(500)과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를 결합하는 힌지 가이드 판(600)과, 초기화 레버(700), 손잡이(800), 받침판(900)을 더 가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도면을 살펴보면서,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직 가이드(100)]
본 발명의 수직 가이드(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농작물 지지재 또는 농업용 파이프(P, 이하 '농업용 파이프'라 한다)를 지면으로부터 취출(제거)하는 경우에, 농업용 파이프(P)를 수직으로 취출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는 상하로 다수개의 가이드 구멍(110)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구멍(1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받침 가이드(200)의 가이드 고정축(222)과 수직 이동장치(300)의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기도 하며 빠지면서, 받침 가이드(200)와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의 상,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손잡이(800)를 상측에 설치하고, 받침판(900)을 하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휴대 및 사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 가이드(200)]
본 발명의 받침 가이드(200)는, 농업용 파이프(P)를 지면으로부터 취출(제거)하는 경우에,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고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장치(3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받쳐주는 것으로, 수직 가이드(100)에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와 함께 고정되기도 하고, 수직 이동장치(300)가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받쳐주기도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상측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직 이동장치(300)가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외측에서 조립된다.
또한, 상기 받침 가이드(20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발판 조립부(210)와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발판 조립부(210)는, 받침 가이드(200)의 후면(지렛대 발판(500)과 결합되는 면)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힌지 가이드 판(600)의 하측에 형성된 힌지공에 제1 힌지(21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는,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측면에 'ㄴ'자 형상으로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의 수평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레버 고정 홈(221)을 형성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초기화 레버(700)의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의 수직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가이드 고정축(222)과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의 외연을 감싸는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은,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의 외연에 끼워지는 것으로, 받침 가이드(200)가 수직 가이드(100)에 고정 설치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은,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되거나 빠질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 가이드(200)가 수직 가이드(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 가이드(200)가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작용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상기 지렛대 발판(500)과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힌지(311)에 의해 힌지 결합된 힌지 가이드 판(600)에 의해, 제1 힌지(211)로 결합된 상기 받침 가이드(200)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 이동장치(300)만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 가이드(200)는,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의 수직면에 가이드 고정축(222) 및 고정축 스프링(223)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수직 가이드(100)상에서 고정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은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빠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에 의해 가이드 구멍(110)에 대해서 입출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외측에서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받침 가이드(200)는,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초기화 레버(70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서 빠지면서, 상,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에는,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쉽게 삽입되고 빠질 수 있도록 가이드 고정축 돌기(2221)를 수평으로 더 설치한다. 즉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의 외연에 설치되는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이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빠질 때에서는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의 외연에 설치되는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수직 이동장치(300)]
본 발명의 수직 이동장치(300)는,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상측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수직 가이드(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지렛대 발판(500)이 원 위치되면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는 상기 받침 가이드(200)와 함께 수직 가이드(100) 상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 및 받침 가이드(20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초기화 레버(700)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직 가이드(10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2 발판 조립부(310),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 가이드 조립부(330) 및 고정장치 조립부(340)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수직 이동장치(300)의 상기 제2 발판 조립부(310)는, 수직 이동장치(300)의 후면(지렛대 발판(500)과 결합되는 면)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힌지 가이드판(600) 및 지렛대 발판(500)과 제2 힌지(31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제2 힌지(311)에서 힌지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고정장치 조립부(340)에 의하여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직 이동장치(300)의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는,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측면에 'ㄴ'자 형상으로 설치한다.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의 수평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2 레버 고정 홈(321)을 형성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초기화 레버(700)의 이동장치 지지돌기(74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의 수직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이동장치 고정축(322)과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의 외연을 감싸는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을 설치한다.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은, 상기 이동장칭 고정축(322)의 외연에 끼워지는 것으로,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고정 설치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은,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되거나 빠질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수직 이동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상기 지렛대 발판(500)과 힌지 가이드 판(600)과 제2 힌지(311)에 의해 결합된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는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 이동장치(300)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받게 되면,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는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명(110)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빠지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하기 위하여 도 4에 확대도로 표시한 것과 같이, 이동장치 고정축(322)의 끝 부분을 경사지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빠질 수 있는 것은,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에 의해 의해 가이드 구멍(110)에 대해서 입출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외측에서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는,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수직 가이드(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렛대 발판(500)이 원 위치되면, 수직 가이드(100) 상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초기화 레버(7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직 가이드(1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에는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쉽게 삽입되고 빠질 수 있도록 이동장치 고정축 돌기(3221)를 수평으로 더 설치한다. 즉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의 외연에 설치되는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이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빠질 때에서는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의 외연에 설치되는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수직 이동장치(300)의 상기 가이드 조립부(3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수직 이동장치(300)가 상기 수직 가이드(100)를 따라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수직 가이드(100)를 수용하는 관통부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면에는 제2 발판 조립부(31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고정장치 조립부(340)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직 이동장치(300)의 상기 고정장치 조립부(3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수직 이동장치(300)에 파이프 고정장치(400)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나사(341), 제2 나사(342),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33, 334) 및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33, 334)의 내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보호 스프링(3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33, 334)의 일측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이동바(420)에 고정 설치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파이프 보호 스프링(335)을 내장하여 신축 가능하게 지렛대 발판(500)에 힌지 결합되는 좌, 우측 관절부(511, 521)에 각각 조립된다.
상기 지렛대 발판(500)의 좌, 우측 관절부(511, 521)에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33, 334)이 신축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33, 334)을 이동바(420)에 고정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상기 이동바(420)가 고정바(410)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이프(P)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1 나사(331) 및 제2 나사(33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고정바(410)에 고정된 연결바(430)를 고정장치 조립부(340)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장치 조립부(340)에 연결바(430)를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바(430)를 고정장치 조립부(340)의 전, 후에서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430)의 외측으로는 복귀 스프링(44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으면, 복귀 스프링(440)이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파이프(P)를 고정하며, 파이프(P)를 취출한 후에는 지렛대 발판(500)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나사(331)와 제2 나사(332)의 고정 조립은, 사용자가 농업용 파이프(P)의 두께에 따라 임의로 조립하게 된다. 즉, 취출하려고 하는 농업용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 상기 고정바(410)에 고정된 연결바(430)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의 일측은 상기 이동바(420)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는 파이프 보호 스프링(335)을 끼우며, 다른 일측에 상기 지렛대 발판(500)의 좌, 우측 가이드판(510, 520)에 각각 설치되는 좌, 우측 관절부(511, 521)와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지렛대 발판(500)을 밟아 농업용 파이프(P)를 잡고 취출할 때, 농업용 파이프(P)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을 수직 이동장치(300)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400)을 밟는 동작을 하는 것에 의하여, 지렛대 발판(500)의 좌, 우측 가이드 판(510, 52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좌, 우측 관절부(511, 521)에 의하여 상기 이동바(420)를 고정바(41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에 고정된 이동바(420)가 고정바(410) 측으로 이동하여,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한 상태에서, 파이프 고정장치(400)를 수직 이동장치(300)와 함께 수직 가이드(100)의 상측으로 수직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농업용 파이프(P)가 지면으로부터 취출되게 된다.
[파이프 고정장치(400)]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장치(4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고, 수직 이동장치(300)와 함께 상측으로 가이드되며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400)는, 고정바(410)와 이동바(420)를 가지며, 상기 고정바(410)에 고정되면서, 이동바(420)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연결바(430)를 가지며, 상기 고정바(410)와 이동바(420) 사이의 연결바(430) 외측으로 복귀 스프링(440)을 끼워 넣는다.
상기와 같이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으면, 상기 이동바(420)가 고정바(410) 측으로 이동하면서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를 따라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농업용 파이프(P)를 취출(제거)하고, 농업용 파이프(P)를 취출(제거)한 후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440)에 의하여 지렛대 발판(500)을 원 위치로 쉽게 되돌릴 수 있게 한다.
[지렛대 발판(500)]
상기 본 발명의 지렛대 발판(50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좌, 우측 가이드 판(510, 520)과 상기 좌, 우측 가이드 판(510, 520)에 수직 이동장치(300)측으로 힌지 결합되는 좌, 우측 관절부(511, 521)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지렛대 발판(500)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힌지 가이드 판(600)과 제2 힌지(311)에 의하여 수직 이동장치(300)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판(600)은 제1 힌지(211)에 의하여 받침 가이드(200)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제1 힌지(211)에 의해 힌지 결합된 받침 가이드(200)는 수직 가이드(100) 상에서 고정 지지되고, 또한 제2 힌지(311)에 의해 힌지 결합된 수직 이동장치(300)는 수직 가이드(100) 상에서 상승 지지된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상승과 함께 파이프 고정장치(400)에 의한 파이프(P) 고정도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400)에 파이프(P)를 고정시키는 작용은, 상기 좌, 우측 가이드 판(510)에 수직 이동장치(300) 측으로 힌지 결합되는 좌, 우측 관절부(511, 52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수직 이동장치(300)의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을 전방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힌지 가이드판(600)]
본 발명의 힌지 가이드 판(60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측에는 제2 힌지(311)에 의하여 수직 이동장치(300)와 지렛대 발판(500)을 힌지 결합하며, 하측에는 제1 힌지(211)에 의하여 받침 가이드(200)와 힌지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힌지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으면, 수직 이동장치(300)에 결합된 파이프 고정장치(400)에 의해 파이프(P)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직 이동장치(300)를 수직 가이드(100) 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힌지 가이드 판(600)에 제1 힌지(211)에 의해 받침 가이드(2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 가이드(200)가 수직 가이드(100)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 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초기화 레버(700)]
본 발명의 초기화 레버(700)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레버 봉(710), 레버 봉 가이드(720),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 및 이동장치 지지돌기(7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기화 레버(700)는, 앞에서 설명한 수직 이동장치(300)와 받침 가이드(200)가 수직 가이드(100) 상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초기화시키기 위하여, 즉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와 받침 가이드(200)가 수직 가이드(10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초기화 레버(700)는, 수직 이동장치(300)의 이동장치 고정축(322) 및 받침 가이드(200)의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이동장치(300)의 이동장치 고정축(322) 및 받침 가이드(200)의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조작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직 이동장치의 이동장치 고정축(322)과 받침 가이드(200)의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초기화 레버(700)를 수직 이동장치(300) 및 받침 가이드(200)를 지지하고 있는 수직 가이드(100)로부터 경사지게 기울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 및 가이드 고정축(222)을 상기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빼내게 되며, 따라서 수직 이동장치(300)와 받침 가이드(200)는 수직 가이드(10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 봉(710)은 사용자가 작동하기 편리하도록 수직 가이드(100)측과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 봉 가이드(72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 및 이동장치 지지돌기(740)를 지지하면서, 레버 봉(710)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와 이동장치 지지돌기(74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레버 고정 홈(221) 및 제2 레버 고정홈(321)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초기화 레버(700)는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이용하여 파이프(P)를 고정하고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100)일측에 나란히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와 이동장치 지지돌기(740)는 제1 레버 고정 홈(221) 및 제2 레버 고정홈(32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받침 가이드(200)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를 아래쪽으로 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초기화 레버(700)를 수직 가이드(10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하여, 상기 상기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와 이동장치 지지돌기(740)가 제1 레버 고정 홈(221) 및 제2 레버 고정홈(321)으로부터 밀리게 되며, 그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가이드 고정축(222)과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각각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빠지게 되는 것에 의하여, 받침 가이드(200)와 수직 이동장치(300)가 각각 수직 가이드(10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잡이(800), 받침판(900)]
본 발명의 손잡이(80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상측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은 취출하고자 하는 농업용 파이프(P)의 위치로 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상기 손잡이(8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쉽게 잡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받침판(900)은, 도 1에 나타나 잇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을 취출하고자 하는 농업용 파이프(P)의 위치에 설치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농업용 파이프(P)의 측면 바닥에 설치하기 쉽게 평면 사각 형상으로 설치하였다. 다만, 상기 받침판(900)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잡아서 농업용 파이프(P) 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구성들에 의하여 파이프(P)를 쉽게 추출(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장치를 취출(제거)하고자 하는 파이프(P)에 설치하고,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지렛대 발판(500)과 힌지 가이드판(60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 상에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는, 지렛대 발판(500)의 좌, 우측 가이드 판(510)에 힌지 결합된 좌, 우측 관절부(511, 512)와 결합되는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을 가지며,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이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이동바(4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파이프(P)를 파이프 고정장치(400)가 고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지렛대 발판(500)을 밟게 되면, 파이프 고정장치(400)가 파이프(P)를 고정하면서,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가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받침 가이드(200)는 고정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직 이동장치(300)만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파이프(P)를 취출(제거)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파이프(P)를 취출(제거)하고 다른 새로운 파이프(P)를 취출(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초기화 레버(700)를 수직 가이드(100)로부터 경사지게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를 수직 가이드(100)의 하측으로 위치시킨 초기화 상태로 한 후에,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다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지렛대 발판(500)을 밟는 것)에 의하여 새로운 파이프(P)를 취출(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P :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100 : 수직 가이드
110 : 가이드 구멍
200 : 받침 가이드
210 : 제1 발판 조립부
211 : 제1 힌지
220 : 가이드 측면 지지부
221 : 제1 레버 고정 홈
222 : 가이드 고정축
2221 : 가이드 고정축 돌기
223 :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
300 : 수직 이동장치
310 : 제2 발판 조립부
311 : 제2 힌지
320 :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
321 : 제2 레버 고정 홈
322 : 이동장치 고정축
3221 : 이동장치 고정축 돌기
323 :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
330 : 가이드 조립부
340 : 고정장치 조립부
341: 제1 나사
342 : 제2 나사
343 : 좌측 고정정치 지지봉
344 :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
345 : 파이프 보호 스프링
400 : 파이프 고정장치
410 : 고정바
420 : 이동바
430 : 연결바
440 : 복귀 스프링
500 : 지렛대 발판
510 : 좌측 가이드 판
511 : 좌측 관절부
520 : 우측 가이드 판
521 : 우측 관절부
600 : 힌지 가이드 판
700 : 초기화 레버
710 : 레버 봉
720 : 레버 봉 가이드
730 :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
740 : 이동장치 지지돌기
800 : 손잡이
900 : 받침판

Claims (6)

  1.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취출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에 있어서,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시에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100)와,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지지되어 수직 이동하는 받침 가이드(2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상측에서 설치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서 수직 이동하는 수직 이동장치(300)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측에 설치되고,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와,
    상기 받침 가이드(200) 및 수직 이동장치(30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며,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P)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400)를 작동시키는, 지렛대 발판(5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후면에는 제1 발판 조립부(210)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후면에는 제2 발판 조립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발판 조립부(210)에서는, 제1 힌지(211)에 의하여 상기 받침 가이드(200)와 힌지 가이드 판(600)을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2 발판 조립부(310)에서는, 제2 힌지(311)에 의하여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와 지렛대 발판(500)과 힌지 가이드 판(600)을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가이드(200)의 측면에는 "ㄴ"자 형상의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의 수직면에는, 가이드 고정축(222)과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의 외연을 감싸는 가이드 고정축 스프링(223)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고정축(2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측면에는 "ㄴ"자 형상의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의 수직면에는, 이동장치 고정축(322)과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의 외연을 감싸는 이동장치 고정축 스프링(323)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상기 수직 가이드(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에는 고정장치 조립부(340)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장치 조립부(340)에는, 제1 나사(341) 및 제2 나사(342)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연결바(430)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연결바(430)의 타측은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고정바(41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바(41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420)가 상기 연결바(430)의 가이드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 발판(500)은, 상기 제2 힌지(311)의 양측으로 좌, 우측 가이드 판(510, 520)을 설치하고,
    상기 좌, 우측 가이드판(510, 520)에는 각각 좌, 우측 관절부(511, 521)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 관절부(511, 521)의 타측은, 각각 수직 이동장치(300)의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에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 고정장치 지지봉(343, 344)은, 상기 수직 이동장치(300)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고정장치 조립부(340)를 통해서 상기 파이프 고정장치(400)의 이동바(4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측면에는 초기화 레버(700)를 설치하며,
    상기 초기화 레버(700)는 상측에 레버 봉(710)을 형성하며,
    하측에 레버 봉 가이드(720)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 봉 가이드(720)에는,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와 이동장치 지지돌기(740)가 상, 하로 설치되며,
    상기 받침 가이드 지지돌기(730)는 상기 가이드 측면 지지부(220)에 설치되는 제1 레버 고정홈(221)에 끼워지며,
    상기 이동장치 지지돌기(740)는 상기 이동장치 측면 지지부(320)에 설치되는 제2 레버 고정홈(321)에 끼워지며,
    상기 초기화 레버(700)를 상기 수직 가이드(100)로부터 경사지게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 가이드(100)의 가이드 구멍(110)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 고정축(222)과 이동장치 고정축(322)이 가이드 구멍(110)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장치.
KR1020210022722A 2021-02-19 2021-02-19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KR102587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22A KR102587030B1 (ko) 2021-02-19 2021-02-19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22A KR102587030B1 (ko) 2021-02-19 2021-02-19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803A KR20220118803A (ko) 2022-08-26
KR102587030B1 true KR102587030B1 (ko) 2023-10-10

Family

ID=8311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722A KR102587030B1 (ko) 2021-02-19 2021-02-19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110B1 (ko) * 2022-11-07 2023-05-18 이주동 고추지지대 추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63B1 (ko) 2002-09-30 2005-08-3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건설용 다용도 폴장치
KR101959769B1 (ko) 2017-05-29 2019-07-04 주식회사 나라환경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53A (ko) 2002-07-18 2002-08-13 이권우 비닐하우스용 철재 파이프 해체장비
KR20130114891A (ko) 2012-04-10 2013-10-21 이승택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 제거기
KR200466952Y1 (ko) 2012-08-20 2013-05-16 지케이엔지니어링(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지중 파이프 인발장치
KR20150115162A (ko) 2014-04-03 2015-10-14 이대웅 비닐하우스용 철재파이프 분리기
KR20180130832A (ko) * 2017-05-30 2018-12-10 김규석 작물 지지대 인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63B1 (ko) 2002-09-30 2005-08-3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건설용 다용도 폴장치
KR101959769B1 (ko) 2017-05-29 2019-07-04 주식회사 나라환경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803A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030B1 (ko) 농작물 지지대 및 농업용 파이프 취출 장치
AU2010295254B9 (en) Post driver extractor
KR101582325B1 (ko)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CN211472494U (zh) 一种拔桩机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CN215889259U (zh) 一种装配式吊顶板搬运抬升工具
CN212359046U (zh) 便于拆卸的园林施工脚手架
CN213233451U (zh) 一种拔桩机
KR101959769B1 (ko)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KR102399918B1 (ko) 지주용 탈착 크레인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US20070183121A1 (en) Post puller and method
US6517042B1 (en) Stand for vertically receiving rod-shaped materials
KR200410232Y1 (ko)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CN110436023B (zh) 一种单品硅热场坩埚用组合式安装防护设备及其使用方法
CN210764221U (zh) 一种开井盖装置
KR101207782B1 (ko) 지주 매설 장치
CN111733815A (zh) 一种具有单向锁紧效果的多级拔桩装置
JP2021017780A (ja) マンホール蓋の開閉移動装置
CN219793998U (zh) 一种可滑动打开的连体防坠井盖
KR100975661B1 (ko) 맨홀 덮개
CN217053390U (zh) 一种房建地基开挖防坍塌用防护架
KR102634544B1 (ko) 치장물 결합모듈
CN218441999U (zh) 一种快捷安装的景观灯
CN209942374U (zh) 一种建筑施工用安全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