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77B1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 Google Patents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477B1
KR101959477B1 KR1020170138181A KR20170138181A KR101959477B1 KR 101959477 B1 KR101959477 B1 KR 101959477B1 KR 1020170138181 A KR1020170138181 A KR 1020170138181A KR 20170138181 A KR20170138181 A KR 20170138181A KR 101959477 B1 KR101959477 B1 KR 10195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act
socket
hold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아
Original Assignee
이명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아 filed Critical 이명아
Priority to KR102017013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와 이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바닥 플레이트; 외부로부터의 외부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와 접촉한 상태로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구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은 후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지렛대 운동을 실시 가능한 복수의 지렛대바;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아이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보행)시 지형변화 또는 유사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헤드(핸들)에 위치한 버튼으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면 등에 접촉시키고 상부에서 가압할 경우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서 아이젠이 돌출되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배가된 충격흡수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접지면에 경사가 있어도 그 경사의 방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령자의 보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CONTACTING LEGS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본 발명은, 길이조절장치의 접촉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보행)시 지형변화 또는 유사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헤드(핸들)에 위치한 버튼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리를 지면에 접촉시키고 상측에서 가압할 경우 다리의 하측으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아이젠이 돌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서 접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 조절 장치는 등산용 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편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도 1을 참고하면, 특허문헌 1에는 스틱을 지칠시에 노상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로서 최하측부에 구비되는 지침부(1)와, 상기 지침부(1)가 고정되는 하측폴대(2c)가 상측폴대(2a)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조절됨과 동시에 조절 완료후에는 너트(2b)로서 조임 고정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조절수단(2)과, 상기 상측폴대(2a)의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5)에 내설되어지고 일정부위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누름부(3a)의 접속유무에 따라 동작되는 경음기(3)와, 상기 상·하측폴대(2a, 2c)를 둘러서 장식하게 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야광띠(4)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의 길이 조절 장치는 길이 조절시 많은 힘이 필요하여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여성이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건장한 남성의 경우에도 쉽게 조작할 수 없으며, 시간도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제품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신축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048호(2001. 04. 0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보행)시 지형변화 또는 유사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헤드(핸들)에 위치한 버튼으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면 등에 접촉시키고 상부에서 가압할 경우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서 아이젠이 돌출되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배가된 충격흡수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접지면에 경사가 있어도 그 경사의 방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령자의 보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행자가 헤드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보행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사용이 용이하도록 전체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 누름 동작을 해제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길이가 복원되도록 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행자의 보행시 지렛대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스틱, 신발 등 다양한 곳에 마련하여 보행할 때마다 항시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안전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바닥 플레이트; 외부로부터의 외부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와 접촉한 상태로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구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은 후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지렛대 운동을 실시 가능한 복수의 지렛대바;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아이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외부 가압력이 작용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에는 지렛대 운동시 상기 복수의 아이젠부와 구름 접촉하면서 푸시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젠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캠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바닥 플레이트; 외부로부터의 외부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와 접촉한 상태로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구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은 후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지렛대 운동을 실시 가능한 복수의 지렛대바;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아이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아이젠 관통홀이 형성되는 착탈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젠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에 그 상부면이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착탈 소켓 내측에 걸림되고 상기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에 연동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아이젠 홀더;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의 승강에 연동하여 승강하며 아이젠 승강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2 아이젠 홀더; 및 상기 아이젠 승강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와의 사이에 배치된 아이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의 하강시 상기 복수의 다리부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아이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와 이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에 의하면, 이동(보행)시 지형변화 또는 유사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헤드(핸들)에 위치한 버튼으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면 등에 접촉시키고 상부에서 가압할 경우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서 아이젠이 돌출되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배가된 충격흡수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접지면에 경사가 있어도 그 경사의 방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령자의 보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헤드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보행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사용이 용이하도록 전체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 누름 동작을 해제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길이가 복원되도록 이루어져 사용하기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이동하면서 항시 하측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을 전달받아 지렛대 운동을 통해 아이젠이 지면과 접촉하여 접지력을 향상하는 구조를 채용하므로, 사용자의 특별한 동작없이 헤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단순 동작만으로도 상당한 접지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마모 발생, 아이젠 부분의 손상 발생시 손쉽게 교체하여 새로운 것으로 재장착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주요 부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주요 부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의 전체 길이가 감소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의 상부 폴대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누름 버튼의 푸시 동작시 연동하여 상승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레버 고정 블록과 레버 승강블록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고정 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레버 고정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레버 승강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고정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에서 볼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의 지렛대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이하, '접촉다리')와 이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장치는, 바닥에 위치하여 지면 등에 접촉 가능한 접촉다리와 접촉다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 장치로 이루어진다. 길이 조절 장치는 등산용 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편의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한자리 지팡이, 다각 지팡이, 로프스트랜드 지팡이, 목발, 절첩식 지팡이 등에 적용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다리는 일반사용자, 노인 및 산악용 신발의 앞뒤 굽 등에 미끄럼방지를 위해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이동(보행)시 지형변화 또는 유사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고 빠르게 헤드(핸들)에 위치한 버튼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면 등에 접촉시킬 경우 지렛대를 이용한 충격흡수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접지면에 경사가 있어도 그 경사의 방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령자의 보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길이 조절 장치가 4발 지팡이로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은 4발에 각각의 지렛대를 이용하여 대상 지면과의 압착력을 배가시키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특히 근력이 약한 고령자가 사용함에 있어서도 적은 힘(지면을 향하는 방향의 압력)으로 압착력을 향상시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헤드(100), 상부 폴대(200), 하부 폴대(300) 및 접촉다리(400)를 포함한다.
먼저, 헤드(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하여 사용하는 부분으로서, 헤드 본체(101)와, 헤드 본체(101) 내부에서 복귀 스프링(101)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누름버튼(103)과, 누름버튼(103)의 동작에 연동하여 헤드 본체(101) 내부에서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레버(104)를 포함한다.
헤드 본체(101)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레버 고정블록(105), 레버 승강블록(106)이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마운팅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전체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누름버튼(103)이 마련된다. 누름버튼(103)의 하부에는 힌지레버(104)가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힌지레버(104)의 일측은 누름버튼(103)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힌지레버(104)의 타측은 레버 승강블록(106)에 걸림된 상태를 갖도록 마련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03)을 푸시할 경우 지렛대 원리에 의해 힌지레버(104)의 타측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술한 걸림 관계를 통해 레버 승강블록(106)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본체(101) 내에는 힌지레버(104)를 초기 위치로 위치복원하기 위한 복귀 스프링(102)이 마련되어 있으며, 누름버튼(103) 푸시 상태가 해제된 경우 스프링 탄성에 의해 누름버튼(103)은 위치 복원된다.
한편, 우기 때 사용자가 누름버튼(103)을 푸시할 경우 헤드 본체(101)와 누름버튼(103) 사이의 틈을 통해 헤드 본체(101) 내부로 빗물(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헤드 본체(101)에는 빗물을 외부 배출하기 위한 수분 배출홀(미도시)이 마련된다. 수분 배출홀(미도시) 주변에는 빗물이 복귀 스프링(10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수분 이동차단벽이 마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폴대(200)는 하부 폴대(300)의 상측에 마련되어 하부 폴대(300)가 상부 폴대(200) 내부로 인출입됨으로써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레버파이프(201), 상단 지지파이프(202), 볼커버(203), 볼바디(204), 고정축(205), 상부 신장스프링(206)을 포함한다.
레버파이프(201)는 상부 폴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헤드(100)와 연결되어 누름버튼(103)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단 지지파이프(202)는 레버파이프(201) 내부에 마련되어 레버파이프(201)의 승강시 동시에 승강 이동한다. 레버파이프(201), 상단 지지파이프(202)는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레버파이프(201)의 상부는 후술하는 고정 바디(140)와 볼트, 용접, 후크 결합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그 하부는 후술하는 볼커버(203)와 마찬가지로 볼트, 용접, 후크 결합 방식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름버튼(103)을 누르게 되면 지렛대 원리를 통해 고정 바디(14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동하여 레버파이프(201), 볼커버(203)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볼커버(203)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볼바디(204)와의 사이에 배치된 고정볼(220)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100)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 폴대(300)가 상부 폴대(200)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체 길이가 감소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전체 길이를 다시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헤드(100)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부 폴대(200)와 하부 폴대(300) 내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신장스프링(206)과 하부 신장스프링(302)의 탄성력을 통해 원래의 초기 위치로 길이 조절된다. 이러한 길이 증감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단 지지파이프(202)는 그 상단이 고정 바디(1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상부에는 상부 지지판(230)이 볼트, 후크 결합 방식 등을 통해 고정된다. 상부 지지판(230)의 중앙에는 마운팅홀이 형성되고 마운팅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고정축(205)의 상부는 상부 지지판(230)의 마운팅홀에 나사 결합을 통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단 지지파이프(202)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지지판(230), 고정축(205)은 동시에 하강 이동하게 된다.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하단은 후술하는 볼바디(204)의 내측에 삽입되어 볼트, 후크 등의 결합 방식을 통해 고정되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승강시 볼바디(204) 또한 동시에 승강된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커버(203)는 레버파이프(20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함께 승강 이동하면서 고정볼(220)에 대한 가압력이 작용하거나 미작용하게 되고 그 하측에 상대적으로 내경이 축소 형성된 축소부(241)를 갖는다. 볼바디(204)는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하부에 연결되어 함께 승강 이동하며 그 하측에 상대적으로 외경이 확장된 확장부(242)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163)에 원호 형상의 고정볼(220)이 장착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누름버튼(103)의 누름 동작에 의해 레버파이프(201)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볼(220)의 배치위치와 대응하는 그 측방향 상에 볼커버(203)의 축소부(241)가 위치하게 되며, 이때 고정볼(220)과 축소부(241) 사이에 일정 이상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가 헤드(100) 부분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할 경우,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상단 지지파이프(202)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순간 현재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다수의 걸림홈(303)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303) 상에 걸림되어 있는 고정볼(220)이 이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는 고정볼(220)의 측방향 상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볼커버(203)의 후두부가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축소부(241)가 위치하여 고정볼(220)의 측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03)을 누른 상태에서 헤드(100) 가압을 일정 이상 지속하면 하단 지지파이프(301)가 상단 지지파이프(202) 내측으로 인입되며, 사용자가 누름버튼(103)을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후술하는 볼커버 복귀 스프링(109)에 의해 볼커버(203)가 다시 하강이동하여 볼커버(203)의 후두부가 고정볼(220)을 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고정볼(220)이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또 다른 걸림홈(303) 내측으로 장착되어 전체 폴대 길이가 조절완료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바디(204)의 외주면 하단은 볼커버(203)의 축소부(241)와 대응 접촉하도록 볼록하게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차부가 마련된다.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하단부는 볼바디(204)의 단차부에 안착되어 볼트, 후크 등의 결합 방식을 통해 고정된다. 볼바디(204)의 단차부, 즉 내주면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간에 고정홀(163)이 볼바디(20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로 관통 형성되고, 고정홀(163)에는 고정볼(220)이 삽입 장착된다. 여기서, 고정홀(163)과 고정볼(220)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걸림홈(303)에 대한 밀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볼(220)은 대략 바나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걸림홈(303)에 걸림되어 밀착 면적이 증가하므로 잠금력이 증대되어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이동도 원활하게 이루어져 길이 조절 장치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고정볼(220)이 걸림홈(303)에 걸림되어 하단 지지파이프(301)를 고정하고, 누름버튼(103)의 누름 또는 해제에 따라 레버파이프(201)와 볼커버(203)가 승강 이동하여 고정볼(220)을 매개로 볼커버(203)의 하단 지지파이프(301)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 신축과 고정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즉,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볼(220)이 볼커버(203)에 의해 가압되어 하단 지지파이프(301)에 형성된 임의의 걸림홈(303)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다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03)을 누르면 레버파이프(201)와 연결된 볼커버(203)가 상승하고, 볼커버(203)가 상승하면 고정볼(22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어 고정볼(220)이 걸림홈(303)에서 이탈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홈(303)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므로 길이 조절 장치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103)의 누름 동작을 중지하면 눌려진 누름버튼(103)이 상측으로 복귀하고 따라서 볼커버(203)가 레버파이프(201)와 함께 다시 하강하게 되며 볼커버(203)의 후두부가 고정볼(220)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볼(220)이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걸림홈(303) 내에 밀착되어 길이 조절 장치의 조절된 전체 길이가 고정되어 유지 가능하게 된다.
다음, 고정축(205)은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내측에 마련되어 동시에 승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지지판(230)에 나사 결합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부 신장스프링(206)은 하부 신장스프링(302)과 더불어 누름버튼(103)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고 사용자에 의한 헤드(100) 가압력(헤드를 손으로 잡고 지면을 향해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상부 폴대(200)를 하부 폴대(300)의 외측으로 더욱 인출시켜 초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내측에는 상부 신장스프링(206)과 하부 신장스프링(302) 사이에 마련되어 각각의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스프링 지지판(245)이 마련된다. 고정축(205)이 관통되는 링 형상의 스프링 지지판(245)이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프링 지지판(245)은 상부 신장스프링(206)과 하부 신장스프링(302)의 탄성 압축력 차이로 스프링 압축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두께로 마련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폴대(300)는 하단 지지파이프(301)와 하부 신장스프링(302)을 포함한다.
하단 지지파이프(301)는 상단 지지파이프(202) 내부로 인출입되며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303)이 형성되어 고정볼(220)의 걸림 여부에 따라 이동이 잠금 또는 해제된다. 하부 신장스프링(302)은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내측에 설치된다.
하단 지지파이프(301)의 상부에는 중공의 하부 지지판(304)이 고정 설치되고, 고정축(205)은 하부 지지판(304)의 중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고정축(205)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상부가 헤드(100) 내부에 설치되고 오목홈(121)이 마련되는 레버 고정블록(105)과, 힌지레버(104)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오목홈(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오목홈(121) 내에 마련되는 레버 승강블록(106)과, 레버파이프(201)의 상부에 고정되며 레버 승강블록(106)과 연결되는 고정 바디(140)를 더 포함한다.
레버 고정블록(105)은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측에 오목홈(121)이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레버 고정블록(105)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장공(151)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공(151)은 서로 마주보도록 레버 고정블록(10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레버 승강블록(106)은 힌지레버(104)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오목홈(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한다. 레버 승강블록(106)의 상부에는 힌지레버(104)의 타단이 걸림되도록 레버 걸림 장공(152)이 마련되며, 레버 승강블록(106)의 하부에는 관통공(153)이 형성된다.
고정 바디(140)는 상하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레버파이프(201)의 상부에 볼트, 후크 결합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되며 레버 승강블록(106)과 연결된다. 고정 바디(140)는 상하 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단차부에는 레버파이프(201)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되고 또 다른 단차부에는 상단 지지파이프(202)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 바디(140)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결합홀(154)이 마련된다. 고정 바디(140)의 외면에는 고정 바디(140)를 커버하도록 별도의 고정 바디 커버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레버 고정블록(105)의 장공(151), 레버 승강블록(106)의 관통공(153), 고정 바디(140)의 결합홀(154)을 모두 관통하도록 결합핀(155)이 결합되며, 따라서 힌지레버(104)가 지렛대 원리를 통해 레버 승강블록(106)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결합핀(155) 결합을 통해 고정 바디(14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레버파이프(201), 볼커버(203)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순간 고정볼(220)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전체 장치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레버 승강블록(106)의 승강 이동 거리는 레버 고정블록(105)의 장공(151)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본체(101) 내부에서 레버 고정블록(105)의 상단에는 결합블록(160)이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된다. 결합블록(160)은 중공의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 관통홀을 따라 레버 승강블록(106)이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레버 고정블록(105)의 내부에서 결합블록(160)과 레버 승강블록(106)의 사이에는 볼커버(203)의 이동을 복귀하도록 볼커버 복귀 스프링(109)이 마련된다.
길이 조절 장치의 전체 길이 증감에 관계없이 결합블록(160)은 레버 고정블록(105)의 상단에 고정되고 볼커버 복귀 스프링(109)의 일단은 결합블록(16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가지므로 볼커버 복귀 스프링(109)은 항시 레버 승강블록(106)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가하게 되며, 즉 볼커버 복귀 스프링(109)은 누름버튼(103)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헤드(100)의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 장치의 현재 길이,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승강블록(106)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버 걸림 장공(152)이 마련되고, 힌지레버(104)의 단부는 레버 걸림 장공(152)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이룸으로써 누름버튼(103)의 동작시 레버 승강블록(106)이 승강 가능하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고정 바디(140), 레버파이프(201), 볼커버(203)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도 2,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장치는, 하부 폴대(3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다리(400)는 한자리 지팡이, 다각 지팡이, 로프스트랜드 지팡이, 목발, 절첩식 지팡이의 하부, 구체적으로 지면에 접촉 가능한 최하단부에 장착 가능하고, 이 뿐 아니라 신발의 밑창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신발 밑창에 마련되는 경우, 보행자의 보행시 발바닥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 예를 들면 발가락 위치에 대응하는 하측이나 발뒤꿈치 위치에 대응하는 하측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다리(400)는, 상부 하우징(401), 바닥 플레이트(402), 가압구(403), 지렛대바(404), 다리부(405), 아이젠부(406)를 포함한다.
먼저, 상부 하우징(401)과 바닥 플레이트(402)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401)은 가압구(40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고무, 에폭시,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401)의 중앙부에는 하부 폴대(300), 가압구(403)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바닥 플레이트(402)는 상부 하우징(401)에 스크루 결합, 후크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되어 바닥 외관을 형성한다. 바닥 플레이트(402)에는 지면과의 접촉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한 별도의 접촉부(407)가 마련되며 접촉부(407)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가압구(403)는 외부로부터의 외부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401)에 걸림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는 하부 폴대(300)가 삽입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폴대 삽입홈(40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압구(403)의 하면은 복수의 지렛대바(404)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접촉 대상면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구체적으로 그 하부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가압돌부(409)가 마련된다. 가압구(403)는 사용자가 헤드(100) 상부를 하측으로 푸시하는 외부 가압력이 하부 폴대(300)까지 전달될 시 하부 폴대(300)에 의해 가압되어 결국 복수의 지렛대바(404)를 지렛대 운동시키는 것으로서, 외부 가압력을 복수의 지렛대바(404) 측으로 전달하여 지렛대바(40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부 가압력에 일정 이상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구(403)는 하부 폴대(300)와 핀 결합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압구(403)와 하부 폴대(300)에는 각각 핀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렛대바(404)는, 가압구(403)와 접촉한 상태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가압구(403)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은 후 상부 하우징(401)과의 접촉에 의해 지렛대 운동을 하게 된다. 지렛대바(404)는 후술하는 다리부(405), 아이젠부(406)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가압구(403)와 접촉하는 전방부와 아이젠부(406)와 접촉하는 후방부와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지렛대바(4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구(403)에 의해 가압될 시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지렛대운동을 하게 되는데 형상 변형 및 지렛대 운동이 더욱 원활하게 실시되도록 복수의 함몰홈(410)이 마련될 수 있다. 지렛대바(404)는 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변형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렛대바(404)의 상부에는 가압구(403)의 가압돌부(409)가 삽입 또는 안착되도록 가압돌부(409)와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홈(411)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압구(403)의 가압돌부(409)는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가압홈(411) 내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 가압력이 작용할 시 지렛대바(404)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상부면과 상부 하우징(401)의 내부에는 각각 외부 가압력이 작용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제1 접촉면(412)과 제2 접촉면(413)이 마련된다. 또한, 지렛대바(404)의 후방부에는 지렛대 회전운동시 지렛대바(404)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돌기(414)가 마련되며, 상부 하우징(401)에는 회전돌기(414)가 걸림 또는 삽입 가능한 걸림구 같은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렛대바(404)에는 지렛대 운동시 복수의 아이젠부(406)와 구름 접촉하면서 푸시하여 복수의 아이젠부(406)를 다리부(405)의 외측(하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캠 돌출부(420)가 돌출되어 있다.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외부 가압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제1 접촉면(412)과 제2 접촉면(413)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데 외부 가압력에 의해 가압구(403)가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제1 접촉면(412)과 제2 접촉면(413)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면서 지렛대 운동을 위한 지렛대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지렛대바(404)의 하부에 마련된 캠 돌출부(420)가 일정 이상 회전하면서 아이젠부(406)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아이젠부(406)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의 압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렛대바(404)와 바닥 플레이트(402) 사이에는 외부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전방부를 상승시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지렛대바 복원부(421)가 마련된다. 지렛대바 복원부(421)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렛대바(404)의 하부에는 스프링 단부가 삽입되어 접촉 지지되도록 스프링 삽입홈(422)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405)는 상부 하우징(401) 및 바닥 플레이트(402)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다리부(405)는,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하며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리(430)와, 다리(43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술하는 바텀 소켓(480)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다리 분리부(431)를 포함한다. 다리 분리부(431)는 바텀 소켓(480)과 나사 결합 등의 방식을 통해 결합 가능하며 다리(430) 부분의 마모시 사용자는 다리 분리부(431)와 바텀 소켓(480)을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 장착할 수 있다. 다리(430)의 하부에는 지면과의 접촉 면적 증대를 위해 다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다리 분리부(431)에는 결합돌부(432)가 마련되고 다리(430)에는 결합돌부(432)가 삽입 가능하도록 결합돌부 삽입홈(433)이 마련되어 다리 분리부(431)는 다리(430)에 강제 압입 방식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5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402)의 하부에는 복수의 착탈 소켓(440)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착탈 소켓(440)은 그 중앙부에 아이젠 관통홀(441)이 마련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착탈 소켓(440)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바닥 플레이트(402)의 착탈 소켓 결합홀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간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착탈 소켓(440)의 중앙부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에는 후술하는 하부 착탈 소켓(442)이 나사 결합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사용자는 착탈 소켓(440)을 바닥 플레이트(402)로부터 분리하여 아이젠부(406)의 이상 및 파손시 새로운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착탈 소켓(440)의 하부에는 하부 착탈 소켓(442)이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 착탈 소켓(442)의 중앙부에는 아이젠(470)이 관통하도록 제1 관통홀(443)이 마련된다.
다음, 아이젠부(406)는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지렛대 운동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지렛대 운동시 복수의 다리부(405)의 외측(하측)으로 그 하부가 돌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리부(405)의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보행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부분이다.
도 25,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젠부(406)는 각각, 제1 아이젠 홀더(450), 제2 아이젠 홀더(460), 아이젠(470)을 포함한다.
제1 아이젠 홀더(450)는 복수의 지렛대바(404)의 캠 돌출부(420)에 각각 그 상부면이 접촉 가능하도록 착탈 소켓(440) 내측에 걸림되고 지렛대바(404)의 지렛대 운동에 연동하여 승강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젠 홀더(450)는 하단이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는 제1 아이젠 홀더 돌출부(471)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아이젠 홀더 돌출부(471)가 착탈 소켓(440) 내측에 걸린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제2 아이젠 홀더(460)는 제1 아이젠 홀더(450)의 하측에 마련되어 제1 아이젠 홀더(450)의 승강에 연동하여 승강하며 아이젠 승강홀(472)이 관통 형성된다.
제1 아이젠 홀더(45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이와 대응하는 제2 아이젠 홀더(46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나사 결합을 통해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바텀 소켓(480)과 제2 아이젠 홀더(460)에는 제2 아이젠 홀더(460)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하강 제한부(481)가 마련되며, 하강 제한부(481)는 바텀 소켓(48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1 하강제한단턱(482)과 제2 아이젠 홀더(460)의 외면에 마련된 제2 하강제한단턱(483)을 포함한다. 지렛대 운동시 제1 아이젠 홀더(450)와 제2 아이젠 홀더(460)가 하강 이동하게 되며 제2 하강제한단턱(483)이 제1 하강제한단턱(482)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하강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아이젠 홀더(460)가 최하측으로 하강 이동하여 아이젠(470)의 하단부는 다리부(405)의 하측으로 돌출될 때 마찬가지로 제2 아이젠 홀더(460)의 최하단부도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중으로 돌출되어 불규칙한 지면에 대해 지면 접지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제2 아이젠 홀더(460)의 하단부는 외주면이 단부로 갈수록 외주면이 점차 감소하도록 이루어져 제2 아이젠 홀더(460)의 승하강 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젠 홀더(460)의 내주면에는 제2 아이젠 홀더의 관통홀 하측으로 아이젠(47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이젠 걸림턱(484)이 마련되고, 아이젠(470)에는 아이젠 걸림턱(484)에 걸림 가능하도록 그 상부가 그 하부에 대해 단면적이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 아이젠(470)은 아이젠 승강홀(472) 내에 마련되고 제1 아이젠 홀더(450)와의 사이에 배치된 아이젠 스프링(48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제1 아이젠 홀더(450)의 하강시 복수의 다리부(405) 외측으로 돌출하여 지면 접지력을 증대시킨다.
아이젠(470)은 그 상부가 아이젠 걸림턱(484)에 걸린 상태에서 아이젠 스프링(485)에 의해 항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갖고 있으며, 지렛대 운동에 의해 제1 아이젠 홀더(450)와 제2 아이젠 홀더(460)가 하측으로 이동할때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5,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 착탈 소켓(442)의 제1 관통홀(443) 내측에 걸림되도록 바텀 소켓(480)이 마련된다. 하부 착탈 소켓(442)은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텀 소켓(480)은 하부 착탈 소켓(442)의 하부 단턱에 걸림 상태를 갖는다. 바텀 소켓(480)은 외주면 및 내주면에 다수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하 관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아이젠(470)이 관통하도록 제2 관통홀(486)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바텀 소켓(480)에는 하부 착탈 소켓(442)의 내측에 걸림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출부(487)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스프링 지지를 위한 스프링지지단턱(488)과 전술한 제1 하강제한단턱(482)이 바텀 소켓(4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텀 소켓(480), 제1 아이젠 홀더(4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착탈 소켓(440)과 바텀 소켓(480) 사이에는 제1 탄성 스프링(490)이 마련되어 바텀 소켓(48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착탈 소켓(440)의 상측 하면과 바텀 소켓(480)의 상면에 제1 탄성 스프링(490)의 양단이 접촉 지지되어 바텀 소켓(480)을 항시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제1 아이젠 홀더(450)와 바텀 소켓(480) 사이에는 아이젠 복원 스프링(491)이 마련되어 제1 아이젠 홀더(450)를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젠 홀더(450)의 제1 아이젠 홀더 돌출부(471) 하면과 바텀 소켓(480)의 스프링지지단턱(488)의 상면 사이에 아이젠 복원 스프링(491)의 양단이 접촉 지지된 상태로 마련되며, 지렛대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1 아이젠 홀더(450)를 상측으로 밀어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때, 아이젠(470) 또한 다리부(405) 내측으로 이동하여 외부 노출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헤드 104: 힌지 레버
105: 레버 고정블록 106: 레버 승강블록
109: 볼커버 복귀 스프링 140: 고정 바디
200: 상부 폴대 201: 레버파이프
202: 상단 지지파이프 203: 볼커버
204: 볼바디 205: 고정축
206: 상부 신장스프링 220: 고정볼
241: 축소부 242: 확장부
243: 고정홀 300: 하부 폴대
301: 하단 지지파이프 302: 하부 신장스프링
303: 걸림홈 400: 접촉 다리
403: 가압구 404: 지렛대바
405: 다리부 406: 아이젠부
407: 접촉부 409: 가압돌부
412: 제1 접촉면 413: 제2 접촉면
420: 캠 돌출부 421: 지렛대바 복원부
430: 다리 440: 착탈 소켓
442: 하부 착탈 소켓 450: 제1 아이젠 홀더
460: 제2 아이젠 홀더 470: 아이젠
480: 바텀 소켓 481: 하강 제한부
485: 아이젠 스프링 490: 제1 탄성 스프링
491: 아이젠 복원 스프링

Claims (8)

  1. 삭제
  2.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바닥 플레이트;
    외부로부터의 외부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와 접촉한 상태로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구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은 후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지렛대 운동을 실시 가능한 복수의 지렛대바;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아이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외부 가압력이 작용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에는 지렛대 운동시 상기 복수의 아이젠부와 구름 접촉하면서 푸시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젠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캠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3.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 및 바닥 플레이트;
    외부로부터의 외부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와 접촉한 상태로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압구에 의한 가압력을 전달받은 후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접촉에 의해 지렛대 운동을 실시 가능한 복수의 지렛대바;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아이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아이젠 관통홀이 형성되는 착탈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젠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지렛대바에 그 상부면이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착탈 소켓 내측에 걸림되고 상기 지렛대바의 지렛대 운동에 연동하여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아이젠 홀더;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의 승강에 연동하여 승강하며 아이젠 승강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2 아이젠 홀더; 및
    상기 아이젠 승강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와의 사이에 배치된 아이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의 하강시 상기 복수의 다리부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아이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소켓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아이젠이 관통하도록 제1 관통홀이 마련되는 하부 착탈 소켓; 및
    상기 하부 착탈 소켓의 제1 관통홀 내측에 걸림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아이젠이 관통하도록 제2 관통홀이 마련되는 바텀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다리와, 상기 다리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바텀 소켓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다리 분리부를 포함하는 다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소켓과 상기 바텀 소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바텀 소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제1 아이젠 홀더와 상기 바텀 소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아이젠 홀더를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시키는 아이젠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38181A 2017-10-24 2017-10-24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KR10195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81A KR101959477B1 (ko) 2017-10-24 2017-10-24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81A KR101959477B1 (ko) 2017-10-24 2017-10-24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477B1 true KR101959477B1 (ko) 2019-03-18

Family

ID=6594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181A KR101959477B1 (ko) 2017-10-24 2017-10-24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4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048Y1 (ko) 2000-09-14 2001-04-02 이학선 스틱
JP3114577U (ja) * 2005-07-08 2005-10-27 株式会社梅田金属 杖用石突
JP3150382U (ja) * 2009-02-26 2009-05-07 株式会社キザキ 出没可能なスパイク棒を有する杖
CN204469142U (zh) * 2015-03-31 2015-07-15 张玲 一种旅游用爬山辅助装置
KR20170090684A (ko) * 2016-01-29 2017-08-08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048Y1 (ko) 2000-09-14 2001-04-02 이학선 스틱
JP3114577U (ja) * 2005-07-08 2005-10-27 株式会社梅田金属 杖用石突
JP3150382U (ja) * 2009-02-26 2009-05-07 株式会社キザキ 出没可能なスパイク棒を有する杖
CN204469142U (zh) * 2015-03-31 2015-07-15 张玲 一种旅游用爬山辅助装置
KR20170090684A (ko) * 2016-01-29 2017-08-08 이명아 높낮이 조절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14577 UR*
JP3150382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218B2 (en) High-heeled shoe with exchangeable high-heels
US20070283596A1 (en) Crampon
GB2369551A (en) Footwear with shoehorn
EP1386552A1 (en) Shoe with members for slope walk
KR101959477B1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접촉다리
KR101742148B1 (ko) 착용이 간편한 미끄럼 방지구
KR100954343B1 (ko) 다기능을 겸비한 키높이 조절 신발
KR20100120474A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9005345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CN113577718B (zh) 一种电力施工用的安全登杆器
CN204351180U (zh) 可调式高跟鞋的鞋跟及其高跟鞋
KR101271466B1 (ko) 접이식 미끄럼방지장치가 구비된 신발
US10794531B2 (en) Tripod foot
KR101652234B1 (ko)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KR200408541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CN218164453U (zh) 防滑脚垫及具有防滑脚垫的拐杖
RU2814724C1 (ru) Посошковый антискользитель
CN217091336U (zh) 一种偏瘫助行装置
CN216455944U (zh) 一种多功能助行手杖
KR200463321Y1 (ko) 미끄럼 방지 신발
CN216393214U (zh) 一种可调节鞋跟高度的鞋子
CN217339988U (zh) 一种电力安装用脚扣
KR100589718B1 (ko) 등산화의 아이젠 자동작동장치
KR20180055769A (ko) 높이 조절 구두 굽, 이를 구비한 구두 및 이의 사용 방법
JPH10262706A (ja) バネ付き履物並びにバネ付き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