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474A -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474A
KR20100120474A KR1020090039307A KR20090039307A KR20100120474A KR 20100120474 A KR20100120474 A KR 20100120474A KR 1020090039307 A KR1020090039307 A KR 1020090039307A KR 20090039307 A KR20090039307 A KR 20090039307A KR 20100120474 A KR20100120474 A KR 2010012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e
air cushion
shoe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주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주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주공
Priority to KR102009003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474A/ko
Publication of KR2010012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의 눈쌓인 도로나 빙판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곳에서 안전하게 걸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빙판길이 아닌 길에서도 신고 다닐 수 있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일정한 형태로 다수개의 안착홈(12)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12) 각각의 내측에 핀홀(14)이 관통형성된 밑창(10)과;상기 핀홀(14)에 대응하며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유동가능토록 삽입되되, 안착홈(12)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돌출핀(30)과; 상기 돌출핀(30)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고 에어튜브(4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40)과; 상기 에어쿠션(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에어튜브(42)의 일단에는 펌프작동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각각의 에어쿠션(40)에 주입되도록 하는 에어공급펌프(44)와; 상기 밑창의 상부에 적층되되, 하부면에는 에어쿠션과 에어튜브의 외주면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이 형성된 중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미끄럼, 방지, 에어공급펌프, 에어쿠션, 신발

Description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EFFECTIVELY SLIP OF SHOES ON THE SNOW OR THE ICE}
본 발명은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의 눈쌓인 도로나 빙판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곳에서 안전하게 걸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빙판길이 아닌 길에서도 신고 다닐 수 있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신고 다니는 신발의 맡창 저면부에는 보행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형상의 요철면 또는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놓았는데 이는 고무재에 형성시킨 것이어서 겨울철 지면에 쌓인 눈이나 빙판 등에는 효과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지 못해 착용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당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됨으로 겨울철이면 종종 걸음으로 보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의 미끄럼 방지구조는 요철면 또는 돌기만으로 충분한 마찰력을 주지 못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돌기가 마모되 면 미끄럼 방지의 역할을 전혀 할 수 없으며, 또한 개개인의 보행 습관이나 발의 구조 등에 의해 돌기가 편마모되면서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어 미끄럼 방지의 기능 상실이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파이크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산악 등반시에 미끄럼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아이젠을 부착할 경우 특수지형에서만 착용이 가능하므로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보행이 불편하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가 한국특허공개 제00680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밑창(6)내에 형성된 안내홀(7)과, 안내홀(7)과 동일한 위치에 천공부(11)를 갖도록 형성된 고정지지판(8)과, 고정지지판(8)의 천공부(11)에 고정되며 밑창(6)의 안내홀(7)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안내봉(20)과, 고정지지판(8)의 안내봉(20)에 끼워져 상하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18)와, 고정지지판(8)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이동되도록 끼워지게 형성되며, 돌기부(18)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밀침수단(30)을 갖는 이동상판(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18)는 상부측으로상시 밀침되도록 끼워지게 형성된 스프링부(16)로 구성되고, 상기 밀침수단(30)은 돌기부(18)의 상단부와 상시 맞닿음되며, 이동상판(4)의 수평이동시 돌기부(18)를 돌출 및 인입시키도록 평면적으로 상단 멈춤부(28) 및 하단 멈춤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멈춤부(28) 및 하단 멈춤부(26)의 사이에 사선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슬라이딩부(24)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이동상판(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작동부가 형성되되, 상기 작동부는 이동상판(4)의 양단에 당김줄(4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발의 미끄럼 방지장치는 이동상판(4)의 전후면에 형성된 당김선(42)을 당기게 되면, 이동상판(4)의 끼움부(22)가 고정지지판(8)의 가이드부(1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전후로 이동되면 고정지지판(8)에 장착된 돌기부(18)는 고정지지판(8) 상에서 밑창(6)으로 돌출 및 인입시키도록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돌기부(18)을 밑창(6)의 외부로 돌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해 이동상판(4)의 전후단에 형성된 당김줄(42)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상판(4)이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발창(2)이 착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여야만 이동상판(4)이 신발창(2)에 간섭됨이 없이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신발창(2)에 내설된 이동상판(4)이 슬라이딩가능토록 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강성재질로 이루어져야 되는데, 이러한 재질로 인해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배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신발창(2) 및 밑창(6) 사이에 내설되는 이동상판(4)과 고정지지판(8)은 돌기부(18)를 지지하며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강성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와 같은 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신고 보행할 경우 신발의 굽힘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신축성 및 착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겨울철에 눈 쌓인 도로나 빙판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곳에서 에어공급펌프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과 돌출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밑창의 하부로 돌출핀을 소정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의 밑창 하부로 돌출된 돌출핀이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신발의 밑창과 중창 사이에 구비된 에어쿠션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행시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쿠션과 에어공급펌프의 상호작용을 통해 돌출핀의 인출 및 인입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겨울철의 눈 쌓인 도로나 빙판길이 아닌 길에서도 일반 신발과 같이 신고 다닐 수 있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일정한 형태로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 각각의 내측에 핀홀이 관통형성된 밑창과;
상기 핀홀에 대응하며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유동가능토록 삽입되되,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돌출핀과;
상기 돌출핀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고 에어튜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적층되되, 하부면에는 에어쿠션과 에어튜브의 외주면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이 형성된 중창;으로 구성된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는, 겨울철에 눈 쌓인 도로나 빙판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곳에서 에어공급펌프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과 돌출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밑창의 하부로 돌출핀을 소정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 하부로 돌출된 돌출핀이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신발의 밑창과 중창 사이에 구비된 에어쿠션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행시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쿠션과 에어공급펌프의 상호작용을 통해 돌출핀의 인출 및 인입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겨울철의 눈 쌓인 도로나 빙판길이 아닌 길에서도 일반 신발과 같이 신고 다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상면에 일정한 형태로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 각각의 내측에 핀홀이 관통형성된 밑창과, 상기 핀홀에 대응하며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유동가능토록 삽입되되, 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돌출핀과, 상기 돌출핀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고 에어튜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적층되되, 하부면에는 에어쿠션과 에어튜브의 외주면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이 형성된 중창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쿠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에어튜브를 통해 연장설치되어 펌프작동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각각의 에어쿠션에 주입되도록 하는 에어공급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밑창의 상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안착되는 에어튜브가 대응하며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쿠션의 하부 내측에는 돌출핀의 걸림돌부가 수용되도록 일체로 돌출형성된 제1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쿠션의 하부 가장자리부에는 안착홈의 외측 상부에 지지토록 하는 제2돌기부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 사이에는 에어공급펌프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부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요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핀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하부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돌출거리를 나타낸 동작상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일정한 형태로 다수개의 안착홈(12)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12) 각각의 내측에 핀홀(14)이 관통형성된 밑창(10)과; 상기 핀홀(14)에 대응하며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유동가능토록 삽입되되, 안착홈(12)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돌출핀(30)과; 상기 돌출핀(30)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고 에어튜브(4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40)과; 상기 밑창(10)의 상부에 적층되되, 하부면에는 에어쿠션(40)과 에어튜브(42)의 외주면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52)이 형성된 중창(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쿠션(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에어튜브(42)를 통해 연장설치되어 펌프작동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각각의 에어쿠션(40)에 주입되도록 하는 에어공급펌프(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창(10)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안착홈(12)이 다수개로 형성되며, 안착홈 각각의 내측 중심에는 밑창의 상부와 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홀(14)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홈(12)은 보행시 보행자의 하중이 가장 많이 전달되는 발앞꿈치와 발뒤꿈치가 면접 대응하는 밑창(10)의 상부면에 밀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홈(12)의 상단부에는 에어쿠션(40)이 안착되어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지니며 외력에 의해 상태변형이 이루어지되, 외력이 해제되면 자체적으로 상태복원되는 탄성스프링(20) 또는 탄성고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성스프링(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핀(30)은 강성재질로 이루어져 안착홈(12) 각각의 핀홀(14)에 대응하며 관통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핀(32)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핀(32)의 선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돌부(34)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핀(30)은 물과 같은 유체에 부식되지 않도록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강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스프링(20)은 돌출핀(30)의 하부로부터 걸림돌부(34)에 이르기까 지 삽입되며, 이 같이 탄성스프링(20)이 결합된 돌출핀(30)은 안착홈(12)의 핀홀(14)에 소정의 깊이로 안착 삽입된다.
아울러, 돌출핀(30)은 핀홀(14)에 관통삽입되되, 탄성스프링(20)에 의해 안착홈(1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돌출핀(30)의 상부로부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핀(32)의 하단부가 밑창(10)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돌출핀(30)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핀(30)의 일단부까지 소정의 이격높이로 이격되게 된다.
에어쿠션(4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돌출핀(30)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며, 이때, 각각의 에어쿠션(40)에는 상호간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에어튜브(42)로 연결된다.
또한, 에어쿠션(40) 하부 내측에는 돌출핀(30)의 걸림돌부(34)가 안정적으로 안착수용되도록 일체로 돌출형성된 제1돌기부(40a)가 형성되며, 하부 가장자리부에는 안착홈(12)의 걸림턱(12a)에 지지토록 하는 제2돌기부(40b)가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제1돌기부(40a)와 제2돌기부(40b) 사이에는 하기 에어공급펌프(44)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내부팽창이 이루어지되, 에어쿠션(40)의 하방향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요부(40c)가 형성된다.
또한, 에어쿠션(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연장형성된 에어튜브(42)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에어공급펌프(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에어공급펌프(44)는 밑창(10)의 발뒤꿈치부위에 형성된 에어쿠 션(4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에어튜브(42)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에어공급펌프(44)는 에어쿠션(40)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에어튜브(42)를 통해 신발(S)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신발(S)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으로 펌핑(pumping)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펌핑(pumping)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밝혀둔다.
중창(5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의 상부로 적층되는 것으로, 보행자가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부면에는 밑창(10)의 상부에 안착설치된 에어쿠션(40)과 에어튜브(42)의 외주면 일측부를 대응하며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52)이 형성된다.
즉, 제1수용홈(52)은 밑창(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쿠션(40)과 에어튜브(42)의 외주면 상부를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창(50)이 이격됨이 없이 밑창(10)의 상부면에 밀착력 있게 적층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에어공급펌프(44)의 펌핑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에어튜브(42)를 따라 공급되면 상호간 에어튜브(42)를 통해 연결된 에어쿠션(40)이 공기압에 의해 부피 팽창하여 하부에 형성된 돌출핀(3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탄성스프링(20)에 의해 지지되던 돌출핀(30)이 안착홈(12)의 핀홀(14)을 따라 밑창(10)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밑창(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12)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안착 되는 에어튜브(42)가 대응하며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수용홈(16)이 형성된다.
또한, 제2수용홈(16)은 중창(50)에 형성된 제1수용홈(52)과 상호 대향하며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수용홈(52)과 제2수용홈(16) 사이에 에어튜브(42)가 내설되어 중창(50)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외형이 상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겨울철의 눈쌓인 도로나 빙판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곳에서 보행해야 할 경우, 신발(S)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성된 에어공급펌프(44)를 사용자가 손으로 펌핑(pumping)하여 외부의 공기가 에어튜브(42)를 통해 밑창(10)과 중창(50) 사이에 내설된 다수개의 에어쿠션(4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에어쿠션(40) 각각에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압에 의해 부피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에어쿠션(40)의 제1돌기부(40a)와 제2돌기부(40b) 사이에 형성된 요부(40c)에 의해 하부팽창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에어쿠션(4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핀(30)의 상부를 하부팽창에 의해 가압하게 됨으로써, 탄성스프링(20)에 의해 지지되어 핀홀(14)의 내측에 소정의 이격높이로 위치하던 돌출핀(30)의 하단부가 밑창의 하부로 돌출된다.
이때,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핀(30)은 에어쿠션(40)의 하부팽창에 의해 1차돌출거리(h1)만큼 밑창의 하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보행시 보행자의 하중이 발(F)로 전달되어 중창의 상부로부터 가압력(HF)이 전달되어 하부팽창이 이루어진 에어쿠션(40)을 재차 가압하게 되어 2차돌출거리(h2)만큼 밑창의 하부로 더 돌출되게 된다.
아울러, 보행자가 미끄럽지 않은 길을 보행해야할 경우에는, 신발(S)의 일측에 구비된 에어공급펌프(44)를 통해 에어쿠션(40)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토록 함으로써, 돌출핀(30)이 밑창(10)의 핀홀(14) 내측으로 인입토록 하여 일반 신발처럼 신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을 통해 겨울철에 눈 쌓인 도로나 빙판길 등과 같은 미끄러운 곳에서 에어공급펌프(44)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40)과 돌출핀(30)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밑창(10)의 하부로 돌출핀(30)을 소정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안전하게 걸을 수 있으며, 신발(S)의 밑창(10) 하부로 돌출된 돌출핀(30)이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신발의 밑창(10)과 중창(50) 사이에 구비된 에어쿠션(40)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행시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쿠션(40)과 에어공급펌프(44)의 상호작용을 통해 돌출핀(30)의 인출 및 인입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겨울철의 눈 쌓인 도로나 빙판길이 아닌 길에서도 일반 신발과 같이 신고 다닐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 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핀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창의 하부에 형성된 제1수용홈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돌출거리를 나타낸 동작상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밑창
12 : 안착홈 12a : 걸림턱
14 : 핀홀 16 : 제2수용홈
20 : 탄성스프링
30 : 돌출핀
32 : 핀 34 : 걸림돌부
40 : 에어쿠션
40a : 제1돌기부 40b : 제2돌기부
40c : 요부 42 : 에어튜브
50 : 중창
52 : 제1수용홈
HF : 가압력
S : 신발

Claims (6)

  1.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일정한 형태로 다수개의 안착홈(12)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12) 각각의 내측에 핀홀(14)이 관통형성된 밑창(10)과;
    상기 핀홀(14)에 대응하며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유동가능토록 삽입되되, 안착홈(12)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격설치되는 돌출핀(30)과;
    상기 돌출핀(30)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고 에어튜브(4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피팽창이 이루어지는 에어쿠션(40)과;
    상기 에어쿠션(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에어튜브(42)의 일단에는 펌프작동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각각의 에어쿠션(40)에 주입되도록 하는 에어공급펌프(44)와;
    상기 밑창의 상부에 적층되되, 하부면에는 에어쿠션과 에어튜브의 외주면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이 형성된 중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30)은 일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걸림돌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12)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안착되는 에어튜브(42)가 대응하며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수용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장치가 구비된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며 외력이 해제되면 자체적으로 상태복원이 이루어지는 탄성스프링(S) 또는 탄성고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장치가 구비된 신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40)의 하부 내측에는 돌출핀(30)의 걸림돌부(34)가 수용되도록 일체로 돌출형성된 제1돌기부(40a)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쿠션(40)의 하부 가장자리부에는 안착홈(12)의 외측 상부에 지지토록 하는 제2돌기부(40b)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부(40a)와 제2돌기부(40b) 사이에는 에어공급펌프(44)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하부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요부(40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2)의 상단부에는 에어쿠션(40)이 안착되어 걸리도록 걸림턱(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20090039307A 2009-05-06 2009-05-06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100120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07A KR20100120474A (ko) 2009-05-06 2009-05-06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07A KR20100120474A (ko) 2009-05-06 2009-05-06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74A true KR20100120474A (ko) 2010-11-16

Family

ID=4340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07A KR20100120474A (ko) 2009-05-06 2009-05-06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047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9478A (zh) * 2011-10-14 2012-03-21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矿区用雨靴
KR101469554B1 (ko) * 2014-03-25 2014-12-05 장지성 쿠션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밑창
KR20160131135A (ko) * 2015-05-06 2016-11-16 (주)익산하이테크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N108078056A (zh) * 2017-12-21 2018-05-29 河南赛琪实业有限公司 一种除雪防滑减震鞋
CN109123901A (zh) * 2018-08-13 2019-01-04 广州市鸿峥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柔软防滑耐磨功能的鞋底的生产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9478A (zh) * 2011-10-14 2012-03-21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矿区用雨靴
CN102379478B (zh) * 2011-10-14 2013-08-14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矿区用雨靴
KR101469554B1 (ko) * 2014-03-25 2014-12-05 장지성 쿠션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밑창
KR20160131135A (ko) * 2015-05-06 2016-11-16 (주)익산하이테크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CN108078056A (zh) * 2017-12-21 2018-05-29 河南赛琪实业有限公司 一种除雪防滑减震鞋
CN109123901A (zh) * 2018-08-13 2019-01-04 广州市鸿峥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柔软防滑耐磨功能的鞋底的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631B2 (en) Extendable spikes for shoes
EP1621093A2 (en) Footwear with retractable studs
EP2353425A1 (en) Footwear including a self-adjusting midsole
KR20100120474A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279698B1 (ko) 갑피를 가진 신발을 위한 신발창
KR101494885B1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WO2009067615A1 (en) Footwear with retractable members
CA2528753A1 (en) Outer sole having resilient mid-sole with floating hinges
US20070283595A1 (en) X-Shaped Pillar Sole for Footwear Traction and Comfort
CN115397279A (zh) 鞋跟高低可变换的鞋
US20010034957A1 (en) Shoe heel
KR20090060970A (ko) 미끄럼방지 신발
JP2008093016A (ja) シューズ
KR910001750B1 (ko) 충격흡수 신발
KR20180002406U (ko) 낙상 방지용 신발
KR100576352B1 (ko) 미끄럼방지용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KR20130128372A (ko) 신발
KR101453720B1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130122357A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및 이러한 밑창을 갖는 신발.
KR101302707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의 교체형 신발
KR102667616B1 (ko) 미끄럼방지구를 갖는 신발
CN111480942A (zh) 一种耐磨防滑鞋
CN210809507U (zh) 一种抓地力强的耐磨鞋底
KR20080030730A (ko) 다용도 신발
EP0766932A1 (en) Outer sole for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