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720B1 -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720B1
KR101453720B1 KR1020140093994A KR20140093994A KR101453720B1 KR 101453720 B1 KR101453720 B1 KR 101453720B1 KR 1020140093994 A KR1020140093994 A KR 1020140093994A KR 20140093994 A KR20140093994 A KR 20140093994A KR 101453720 B1 KR101453720 B1 KR 10145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ing
main body
body housing
predetermin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14009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with outwardly-movable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1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 A43C15/063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with ice-gripping means projecting from the front foot reg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평상시에는 평상화로 사용 가능함과 아울러 눈이 내린 평지를 걷거나 빙벽 등을 등산 시에는 아이젠 기능을 부여하여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신발의 사용 효율을 향상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ANTISLIDING DEVICE FOR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평상시에는 평상화로 사용 가능함과 아울러 눈이 내린 평지를 걷거나 빙벽 등을 등산 시에는 아이젠 기능을 부여하여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신발의 사용 효율을 향상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빙판길이나 눈이 많이 쌓인 눈길을 보행 시 또는 가파른 빙벽이나 눈이 내린 산을 등산 시에 평상화를 착용하게 되면 신발 바닥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어 충분한 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미끄러져 다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또한 이러한 경우 보행이나 등산을 하는 과정에서 착용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 특히 등산용 신발의 밑창에 일정한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 착용하기도 하고, 또는 신발 밑창에 아이젠을 별도로 부착하거나 일체되게 고정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이나 등산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돌기형 신발은 미끄럼 방지에 한계가 있었고, 아이젠 탈부착형 신발의 경우 아이젠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신발에 탈부착하기가 쉽지 않으며, 보행이나 등산 시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아이젠이 벗겨질 우려가 있어 이를 신발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아이젠 일체형 신발을 착용 시에는 아이젠 그 자체로도 무거운 편이어서 보행에 불편함을 줄 뿐 아니라 이를 그대로 일반도로나 실내의 바닥면에서 사용 시 도로 표면이나 바닥재의 파손, 소음 유발 및 착용자의 발목 부상을 초래하는 등 일상생활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이 등산화와 같은 신발의 바닥면에 별도의 미끄럼 방지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신발은 눈길을 걷거나 빙벽을 오를 때에는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일반도로나 실내 바닥면에서는 편하고 자유롭게 보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평상화와 기능성 신발을 모두 구입하는 일이 많아 추가 비용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미끄럼 방지수단은 돌기부가 지면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접첩이 불가능하거나 해체가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남아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464895호의 "신발의 미끄럼 방지부재" (2013.01.16) 한국 특허등록 제1165137호의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2012.07.05)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46309호의 "미끄럼 방지 신발" (2004.03.17)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71114호의 "신발의 미끄럼 방지용 착탈식 아이젠" (2002.03.26) 한국 특허공개 제2012-126162호의 "미끄럼방지 스파이크 신발" (2012.11.21) 한국 특허공개 제2001-88924호의 "미끄럼 방지 장치가 장착된 신발 밑창(뒷굽)" (2001.09.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평상 시에는 평상화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눈길을 걷거나 빙벽 등을 등산 시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아이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효율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평상화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성 신발의 상호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는, 신발 밑창에 장착되고 소정 공간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간격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근접하도록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는 다수의 돌기부재;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하면서 돌기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밀어주는 다수의 푸싱부재;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 간격 수평 이동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의 중앙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중앙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미는 힘을 전달받도록 소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재는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는 그 내부에 돌기부재가 지면과 평행하게 접히도록 내측을 향해 편향력을 가진 탄성체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싱부재는 상기 돌기부재를 밀어주는 라운드 형상의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돌기부재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내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따르면, 등산화 등 신발의 밑창에 절첩 가능하게 장착된 돌기부재를 가진 미끄럼 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일반도로나 실내 바닥면에서는 돌기부재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평상화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눈길이나 빙벽 등의 등산 시에는 수직으로 펼친 상태에서 기능성 신발로 사용하는 등 눈길 보행이나 빙벽 등의 등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평상화와 기능성 신발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저면의 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재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가로방향"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 시 좌우방향을 가리키며, "세로방향"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 시 전후방향을 가리킨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저면의 일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재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A)는, 신발 밑창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장치에 있어서, 소정 공간의 수납공간부(11)를 갖는 본체 하우징(10);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간격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재(20);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는 다수의 돌기부재(30);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수평 이동하면서 돌기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밀어주는 다수의 푸싱부재(40); 및 일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 간격 수평 이동시키는 조절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지며 신발 밑창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 하우징(10)은 그 상부면이 신발 밑창의 하부면에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신발 밑창의 보조적인 역할을 겸하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소정 공간의 수납공간부(11)가 형성되어 이동부재(20)가 수납된 상태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수납공간부(11)의 중앙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장방형 형상의 고정편부(12)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편부는 후술하는 고정홈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부재가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 하우징(10)의 외측면부에는 조절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이동부재(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2에서와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수납공간부(11)에 소정 간격만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20)는 수납공간부(11)와 가로길이는 일치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세로길이는 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의 수납공간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즉, 이동부재(20)의 중앙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고정편부(12)에 대응하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진 장방형 형상의 고정홈부(22)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부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편부를 고정홈부에 삽입 또는 분리함에 따라 이동부재가 본체 하우징에 탈부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홈부(22)는 고정편부(12)에 비해 가로길이는 짧게 형성됨과 아울러 세로길이는 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편부가 고정홈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로 이동부재(20)가 수납공간부(11)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0)는 후술하는 조절부재의 조작에 의해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위해 이동부재의 측면 소정 위치에는 조절부재(50)에 연결되도록 소정 길이로 된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조절부재로부터 미는 힘을 전달받게 된다. 이를 위해 본체 하우징(10)의 외측면부에는 연결부(23)가 위치한 상태로 소정 간격 이동하도록 연결홈부(14)가 형성된다.
돌기부재(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2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에 근접하도록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 즉 수납공간부(11)의 가장자리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삼각 형상의 돌기부재(30)는 하나의 변에 해당하는 부위에 힌지부(31)가 구비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회전 작동되고, 상기 돌기부재가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와 대향하는 모서리 부위(30a)가 지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힌지부(31)는 그 내부에 돌기부재(30)를 수평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체(미도시)가 설치되는데, 탄성체는 내측 즉, 신발 중심부를 향해 편향력을 가지고 있어 평상시에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일 수 있다.
푸싱부재(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의 하부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이동부재와 연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부재가 수평 이동 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하면서 상기 돌기부재를 밀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주게 된다.
이러한 푸싱부재(40)는 상기 돌기부재와 접하여 이를 밀어 수직으로 세워주는 라운드 형상의 푸싱부(41); 및 상기 푸싱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돌기부재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내측면부를 지지하는 수직부(42);를 포함한다.
상기 푸싱부재(40)는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하도록 이동부재 상에 전후좌우 사방으로 4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조절부재(50)는 상기 이동부재(20)를 소정 간격만큼 수평 이동시켜 푸싱부재(40)에 의해 돌기부재(30)를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조절부재(50)는 착용자가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체 하우징(10)의 외측면부에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되 이동부재(20)에 연결되어 이동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끄럼 방지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들 구성요소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를 차단하도록 본체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커버부재(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70) 상에는 상기 돌기부재(30)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다수의 돌출홈(7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돌출홈을 통해 돌기부재는 회전 작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부재(70)의 상부면 즉, 이동부재(20)와 대향하는 면에는 소정 공간의 이동홈부(72)가 형성되어 상기 푸싱부재가 수평 이동 시 그 정점(꼭대기) 부위가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돌기부재(30)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일 경우 푸싱부재(40)의 정점 부위는 돌기부재보다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이를 소정 두께로 된 커버부재(70) 상에 소정 공간으로 된 이동홈부(72)를 형성하여 푸싱부재(4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겨울철 빙판이나 눈길을 걷거나 또는 눈이 쌓인 겨울산의 등반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 또는 산행을 한다.
우선, 착용자가 신발 하부 측에 위치하는 본체 하우징(10) 측면의 조절부재(50)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조절부재는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이동부재(20)가 수납공간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때, 돌기부재(30)는 힌지부(31)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체에 의해 수평으로 접힌 상태에 있게 된다(도4a 참조).
이어서,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에 따라 푸싱부재(40)가 소정 간격 수평 이동하면서 돌기부재(30)에 접하게 되고, 이동부재가 수납공간부의 후방부까지 더욱 이동함에 따라 푸싱부재의 푸싱부(41)가 돌기부재를 밀어주며, 돌기부재(30)는 푸싱부의 곡면을 따라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펼쳐져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 이르게 된다(도4b 참조).
이때, 상기 수직으로 세워진 각 돌기부재(30)의 내측면부는 각 푸싱부재의 수직부(42)에 밀착 지지되면서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기부재(30)가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착용자는 눈길이나 빙판 등을 걷거나 겨울산을 등반 시 미끄러질 우려 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보행 또는 산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눈길 보행이나 겨울 산행을 마친 후 눈이 없는 평지나 실내로 들어서게 될 경우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하여 작동시킨다.
즉, 조절부재(50)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조절부재는 가이드홈(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이동부재(20)가 수납공간부(11) 내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 이동한다.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에 의해 푸싱부재(40)가 전방으로 소정 간격 수평 이동하면서 그 수직부(42)와 돌기부재의 내측면부와의 밀착된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돌기부재(30)는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수평으로 접힌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6에서와 같이 돌기부재(30)가 수평으로 접히어 지면과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보행 시 착용자는 발목 부상이나 실내 바닥면을 손상할 염려 없이 편안한 자세로 걸을 수 있다.
10 : 본체 하우징 11 : 수납공간부
12 : 고정편부 13 : 가이드홈
14 : 연결홈부 20 : 이동부재
22 : 고정홈부 23 : 연결부
30 : 돌기부재 31 : 힌지부
40 : 푸싱부재 41 : 푸싱부
42 : 수직부 50 : 조절부재
70 : 커버부재 71 : 돌출홈
72 : 이동홈부 A : 미끄럼 방지장치

Claims (7)

  1. 신발 밑창에 장착되고 소정 공간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소정 간격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근접하도록 본체 하우징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는 다수의 돌기부재;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하면서 돌기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밀어주는 다수의 푸싱부재;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 간격 수평 이동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수납공간부의 중앙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중앙에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미는 힘을 전달받도록 소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힌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그 내부에 돌기부재가 지면과 평행하게 접히도록 내측을 향해 편향력을 가진 탄성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재는 상기 돌기부재를 밀어주는 라운드 형상의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돌기부재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내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20140093994A 2014-07-24 2014-07-24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45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94A KR101453720B1 (ko) 2014-07-24 2014-07-24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94A KR101453720B1 (ko) 2014-07-24 2014-07-24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720B1 true KR101453720B1 (ko) 2014-10-22

Family

ID=5199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994A KR101453720B1 (ko) 2014-07-24 2014-07-24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39B1 (ko) * 2016-08-02 2016-12-27 김효진 구두 미끄럼방지 기구
KR200487305Y1 (ko) * 2018-03-26 2018-10-04 신명수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78Y1 (ko) 2006-03-06 2006-05-19 김영선 미끄럼방지용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KR20120094237A (ko) * 2011-02-16 2012-08-24 최윤환 버튼식 아이젠 및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78Y1 (ko) 2006-03-06 2006-05-19 김영선 미끄럼방지용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KR20120094237A (ko) * 2011-02-16 2012-08-24 최윤환 버튼식 아이젠 및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39B1 (ko) * 2016-08-02 2016-12-27 김효진 구두 미끄럼방지 기구
KR200487305Y1 (ko) * 2018-03-26 2018-10-04 신명수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0291A1 (en) Footwear with retractable studs
KR101453720B1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장치
US20070252351A1 (en) Wheeled footwear
KR101577048B1 (ko) 기능성 신발
KR101173797B1 (ko)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신발
WO2013136048A1 (en) Reconfigurable footwear item
KR200467045Y1 (ko) 미끄럼방지 덧신
KR20180002406U (ko) 낙상 방지용 신발
KR101591040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JP2009090032A (ja) 滑り止め具
KR200355557Y1 (ko) 아이젠을 구비한 미끄럼 방지화
KR20170055052A (ko) 착용이 간편한 미끄럼 방지구
KR101578505B1 (ko) 아이젠 탈착이 가능한 신발
KR200416578Y1 (ko) 미끄럼방지용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KR100576352B1 (ko) 미끄럼방지용 아이젠을 구비한 신발
KR101690039B1 (ko) 구두 미끄럼방지 기구
KR101652234B1 (ko)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KR20160028243A (ko) 빙판길 미끄럼 방지부재
KR101531277B1 (ko) 구두의 미끄럼 방지 장치
CN201929107U (zh) 防滑鞋套
KR20150098829A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CN203884800U (zh) 一种具有长度调节功能的雪地防滑鞋套
KR101188670B1 (ko) 아이젠이 장착된 신발밑창
JP3136273U (ja) 長靴サンダル
CN203121161U (zh) 一种防滑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