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829A -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829A
KR20150098829A KR1020140020162A KR20140020162A KR20150098829A KR 20150098829 A KR20150098829 A KR 20150098829A KR 1020140020162 A KR1020140020162 A KR 1020140020162A KR 20140020162 A KR20140020162 A KR 20140020162A KR 20150098829 A KR20150098829 A KR 20150098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liding
wheel
mode conversion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006B1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14002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006B1/ko
Priority to CN201580008608.1A priority patent/CN105980022A/zh
Priority to PCT/KR2015/001649 priority patent/WO2015126170A1/ko
Publication of KR2015009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5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movements during use of the foot plate or shoe relative to the chassis, e.g. inline clap sk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8Production or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63C17/141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with radial movement against the roll surface of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2017/1481Leg or ankle operat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발판의 뒷굼치부분에 순차적인 하중을 가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모드와,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보행할 수 있는 보행모드와, 상기 보행모드에서의 주행모드로의 작동 모드의 변환을 실행할 수 있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로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휠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휠 프레임과, 변환돌기를 구비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휠 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이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면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된 발목 고정부와, 상기 발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휠 중 최후방의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발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편과, 상기 브레이크편이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산형돌기와 복수의 보행모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 프레임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모듈과, 상기 작동모드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모드변환핀을 상기 휠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서 이동시키는 모드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ATTACHABLE INLINE SKATE}
본 발명은 구성과 조립이 간단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의 바닥면에 휠이 마련되고 또한 휠이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지면을 주행하도록 하는 장비로서, 체력단련용인 피트니스용, 경주를 위해 제작된 레이싱용, 묘기를 위한 어그레시브용, 하키를 위한 하키용, 경사를 오르내리기 위한 다운힐용 등 그 사용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 시 보행이 곤란하기 때문에 스케이팅 시에만 착용하게 됨으로써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쌕 등과 같은 별도의 운반 가방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인라인 스케이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는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휠에 의해 지지되는 특성상 사고를 유발시키기가 쉬우므로 안전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 하며, 이로 인해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른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하는 경우 보행을 곤란하게 하므로 사용 전 또는 사용 후에는 별도의 가방을 사용하여 운반하게 됨으로써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자세가 흐트러져서 넘어지는 경우 심한 부상을 초래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휠의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보행을 어렵게 하며, 특히 계단이나 경사진 장소를 보행하고자 하는 경우 안전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한 하기 특허문헌들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는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계단이나 기타 장소를 보행 시 휠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보행을 가능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터는 확장편의 신장 수축으로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하고, 보행 모드 시의 가압 노브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특허문헌 2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터 또한 작동 모드의 변환 시 높이 조절이 어렵고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7653호(2010.06.2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20349호(2013.11.11.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브레이크 모드와, 보행 모드의 변환이 수행되어 조립이 간편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발판의 뒷굼치부분에 순차적인 하중을 가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모드와,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보행할 수 있는 보행모드와, 상기 보행모드에서의 주행모드로의 작동 모드의 변환을 실행할 수 있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휠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휠 프레임과, 변환돌기를 구비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휠 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이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면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된 발목 고정부와, 상기 발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휠 중 최후방의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발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편과, 상기 브레이크편이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산형돌기와 복수의 보행모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 프레임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모듈과, 상기 작동모드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모드변환핀을 상기 휠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서 이동시키는 모드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휠 프레임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한쌍의 프레임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홈은 수직부와 수평부가 "L"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 본체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모드해제 스프링이 안착되는 브라켓과, 힌지축이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모듈이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편과 이탈방지편, 및 상기 이탈방지편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바를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발판의 변환돌기에 맞닿아지도록 형성된 산형돌기와, 상기 산형돌기에 이어지는 측면에 형성된 모드변환핀 수용부과, 서로 다른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휠의 후방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한쌍의 보행모드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드변환핀 수용부에는 상기 모드변환핀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휠 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 노출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의 변환돌기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산형돌기는 각각 수직면과 경사면을 가지되,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면은 상기 휠의 상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은 마지막 휠을 향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 1 스프링은 한쌍으로, 그 탄성은 상기 제 2 스프링의 탄성보다 작고, 각각의 일단은 상기 모드변환핀에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스프링 수용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드변환핀을 원래의 위치로 가압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제 1 스프링의 사이에 위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돌출바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가압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드변환 모듈은 상기 발판에 나사체결되는 한쌍의 모드변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드변환부재의 각각은 나사체결부와 상기 나사체결부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상기 모드변환핀이 이동되는 모드변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모드변환부의 내부에 부착된 모드변환편과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편은 수직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행모드에서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의 접점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경사부에 눌림에 따라 상기 제 1 스프링에 탄성이 가해지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의 접점부위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부와 수평부의 경계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스프링에 탄성이 가해지며, 상기 모드변환편은 이동된 상기 모드변환핀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상기 발판의 변환돌기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산형돌기와 상기 변환돌기는 서로의 수직면이 맞닿아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탄성이 가해져 있던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변환돌기와 산형돌기의 각각의 경사면이 서로 접하게 되고, 상기 보행모드돌기는 각각 상기 휠과 맞닿게 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부와 수평부의 경계로 이동되어 있던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면에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모드변환핀의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던 상기 모드변환편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면에 지지된 상기 모드변환핀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와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발판의 뒷굼치부분에 순차적인 하중을 가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모드와, 이 브레이크 모드에서 계단이나 기타 장소를 보행 시 휠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보행모드와, 보행모드에서의 주행모드로의 작동 모드의 변환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 인라인 스케이트의 밑판과 휠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행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은 도 4 주행모드 상태에서 브레이크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 브레이크모드 상태에서 보행모드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항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인라인 스케이트의 밑판과 휠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신발을 신지 않고 맨발로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발에 신발을 신고 착용할 수 있으므로, 신발 또는 발이 안착되는 발판(200)과, 발판(200)의 후면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된 발목 고정부(300)와, 복수개의 휠(111a)-(111c)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발판(200)의 하부에 부착된 휠 프레임(400)과, 사용자의 발 뒷꿈치에 의한 하방 가압에 의해 상기 휠(111)의 회전을 억제하여 브레이크모드를 수행하도록 휠 프레임(400)내에 수납된 슬라이딩 모듈(500)과, 브레이크모드에서 사용자의 발 뒷꿈치에 의한 2차 하방 가압에 의해 보행모드를 수행하도록 휠 프레임(400)의 측면에 부착되는 모드 변환 모듈(600)을 포함하며, 보행모드에서 사용자의 발 뒷꿈치에 의한 3차 하방 가압에 의해 주행모드로 돌아가게 된다.
휠 프레임(400)은 주행을 위해 다수의 휠,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휠(111a)-(111c)을 일렬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휠((111a)-(111c)은 주행하는 경우 전진 시에만 회전하도록 휠의 각각의 축에 일방향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행 시 전진에 대한 추진력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앞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발판(200)은 대략 발의 형태를 이루며, 상면(202)에는 신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뒷꿈치 부분의 중앙에는 휠 프레임(400)을 고정하도록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공(206)이 형성되어 있고, 뒷굽부분에는 발목 고정부(300)가 부착되며, 신발이 발판(200)으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뒷굽지지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뒷굽지지부(208)에는 발목 고정부(30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스톱부재(21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발판(200)의 하면(220)의 후방에는 브레이크편(230)이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는 삽입부(222)가 돌출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 모드해제 스프링(240)이 삽입되는 스프링 안착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편(230)은 휠(111)에 밀착됨으로써 휠(111)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 예를 들면 휠(111c)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휠(111c)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일부 또는 전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면에 나사홈(232)이 형성되며, 삽입부(222)에 브레이크 스프링(234)과 함께 삽입되어 발판(200)의 나사체결공(206)과 연통하여 나사체결되며, 발판(200)이 가압되어 브레이크 스프링(234)에 의해 가압되도록 부착된다.
또한 모드해제 스프링(240)이 삽입되는 스프링 안착홈(224)의 전방에는 힌지축(260)이 삽입되는 힌지돌기부(2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220)의 전방에는 모드 변환 모듈(600)이 부착되도록 2개씩의 나사홈(272)이 형성된 한쌍의 부착부(27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의 앞에 변환돌기(274)가 형성되어 있다.
발목 고정부(300)는 발판(200)의 뒷굽지지부(208)에 일정각도 회동하여 접을 수 있게 부착된 수직 프레임(340)를 포함하며, 수직 프레임(34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발목을 부드럽게 감싸도록 연질 커버(36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340)을 힌지부(35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으면 부피가 작아져서 이동이 편리하며, 이와 반대로 사용을 위해 회동하여 세우면, 뒷굽지지부(208)의 스톱부재(210)에 수직 프레임(340) 하부의 돌기(342)가 접촉됨에 따라 발목 고정부(300)가 수직으로 유지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고 서있게 되면, 발이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을 안쪽으로 눕히게 되면, 자연스럽게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발판(200)은 하면(220)과 휠 프레임(400)이 수평을 이룰 때, 즉 휠 프레임(400)이 지면과 수직을 이룰 때, 외측에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안쪽을 바깥쪽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수직 프레임(340)은 외측으로 약간의 각도만큼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판(200)에는 사용자의 발등과 발목을 체결하는 체결수단(140)이 발판(200)과 수직 프레임(34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수단(140)으로, 암수 클립 또는 벌크로 테이프 등을 사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휠 프레임(400)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한쌍의 프레임 본체(420)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슬라이딩 모듈(500)이 수납된다.
프레임 본체(420)의 각각은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휠(111)이 회전되도록 삽입되는 휠축(410)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공(426)이 상부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후면에는 발판(200) 하면(220)의 힌지돌기부(228)에 삽입되는 힌지축(260)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공(424)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공(424)(426)의 중간에는 수직부와 수평부가 서로 "L"자 형상을 이루는 슬라이딩홈(428)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 본체(420)는 한쌍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모드해제 스프링(240)이 안착되는 브라켓(430)과, 힌지축(260)이 삽입되는 브라켓(432)과, 슬라이딩 모듈(500)이 수납되는 슬라이딩편(434)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편(434)의 상부에는 이탈방지편(436)이 돌출되도록 제공되어, 슬라이딩 모듈(500)이 슬라이딩편(434)과 이탈방지편(436)의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편(436)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바(438)가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520)와, 발판(200) 하면(220)의 전면에 형성된 변환돌기(274)에 맞닿아지도록 슬라이딩부재(520)의 상부 전면에 형성된 산형돌기(522)와, 산형돌기(522)에 이어지는 측면에 형성된 모드변환핀 수용부(530)과, 서로 다른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540)(542)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532)와, 휠(111a)(111b)의 후방에 각각 위치되도록 슬라이딩부재(520)의 하면에 형성된 한쌍의 보행모드돌기(550)를 포함한다.
모드변환핀 수용부(530)에는 모드변환핀(534)이 각각 삽입된다. 모드변환핀(534)은 휠 프레임(400)의 슬라이딩홈(428)에 노출된다.
하면(220)에 부착된 변환돌기(274)와 슬라이딩부재(520)의 산형돌기(522)는 직삼각형의 돌기이지만, 각각의 수직면과 경사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고, 하면(220)에는 제 2 휠(111b)의 상부가 간섭되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스프링(540)(542)은 항상 마지막 휠, 즉 제 3 휠(111c)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으며, 제 1 스프링(540)의 탄성이 제 2 스프링(542)의 탄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스프링(540)은 한쌍으로, 각각의 일단이 모드변환핀(534)에 부착되며, 그 타단은 술라이딩부재(520)의 스프링 수용부(532)에 고정되어, 모드변환핀(534)을 원래의 위치로 가압한다.
제 2 스프링(542)은 제 1 스프링(540)의 사이에 위치되며, 그 일단이 스프링 수용부(532)에 고정되고, 타단이 돌출바(438)에 부착되어 슬라이딩부재(520)를 원래의 위치로 가압한다.
모드변환 모듈(600)은 2개씩의 나사홈(272)이 매립된 발판(200)의 부착부(270)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한쌍의 모드변환부재(620)로 이루어지며, 이 모드변환부재(620)의 각각은 나사홈(272)에 나사체결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나사체결부(622)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나사체결부(622)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모드변환핀(534)이 이동되는 모드변환부(630)로 구성되며, 모드변환부(630)의 내부중심에는 형상의 모드변환편(626)과, 가이드편(628)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편(628)은 수직부(628a)와 경사부(628b)로 이루어지며, 주행모드에서 모드변환핀(534)은 수직부(628a)와 경사부(628b)의 접점부위에 위치되며, 경사부(628b)에 눌림에 따라 제 1 스프링(540)에는 약간 탄성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사용자가 발판(200)에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는 주행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주행 정지를 행하는 브레이크모드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의 뒷꿈치부분에 힘을 주어 가압하게 되면, 모드해제 스프링(240)과 발판(200)의 삽입부(222)에 삽입된 브레이크 스프링(234)이 압축되면서, 발판(200)은 힌지돌기부(228)의 힌지축(260)을 중심으로 뒷꿈치부분이 내려가게 되고, 발판(200) 하면(220)에 나사체결된 브레이크편(230)은 복수의 휠(111)중에서 가장 마지막 휠(111c)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주행을 멈추게 된다.
이때, 발판(200) 하면(220)의 변환돌기(274)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되는 동시에, 슬라이딩부재(520)의 산형돌기(522)와 변환돌기(274)의 각각의 수직면은 서로 상하로 이동되어 꼭지점에 인접하여 접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628a)와 경사부(628b)의 접점부위에 위치되어 있던 모드변환핀(534)은 변환돌기(274)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약간 위로 상승되어 "L"자형 슬라이딩홈(428) 쪽으로 이동되며, 제 2 스프링(542)에도 약간 탄성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모드변환편(626)은 이동된 모드변환핀(534)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뒷꿈지부분에 가했던 힘을 빼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모드해제 스프링(240)과 브레이크 스프링(234)의 탄성에 의해, 발판(200)은 힌지축(260)을 중심으로 원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브레이크모드를 해제함에 따라 모든 구성요소들이 다시 주행모드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발판(200)의 뒷꿈치부분에 힘을 가하여 브레이크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강하게 뒷꿈치부분에 힘을 가하게 되면, 보행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상세히는, 압축되어 있던 모드해제 스프링(240)과 브레이크 스프링(234)이 더욱 압축되면서, 발판(200)은 힌지돌기부(228)의 힌지축(260)을 중심으로 뒷꿈치부분이 더욱 내려가게 되고, 그 결과, 발판(200) 하면(220)의 변환돌기(274)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더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딩모듈(500)의 산형돌기(522)와 하면(220)의 변환돌기(274)는 서로의 수직면이 맞닿아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탄성이 가해져 있던 제 1 및 제 2 스프링(540)(542)에 의해 슬라이딩모듈(500)의 슬라이딩부재(520)가 전방으로 더욱 슬라이딩되어 변환돌기(274)와 산형돌기(522)의 각각의 경사면이 서로 접하게 되며, 또한 슬라이딩부재(520) 하면 전후의 보행모드돌기(550)는 각각 휠(111a)(111b)의 후면과 맞닿게 된다.
이때 "L"자형 슬라이딩홈(428) 쪽으로 이동되어 있던 모드변환핀(534)은 슬라이딩홈(428)의 더욱 상부로 이동되어 상부면에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520)의 하면에 형성된 보행모드돌기(550)는 각각 휠(111a)(111b)의 후면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모드변환핀(534)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던 모드변환편(626)은 슬라이딩홈(424)의 상부면에 지지된 모드변환핀(534)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휠(111a)(111b)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모드변환핀(534)의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계단 등에서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보행모드의 해제에 대해 설명하면, 이러한 보행모드의 상태에서, 다시 강하게 뒷꿈치부분에 힘을 가하게 되면, 발판(200) 하면(220)의 변환돌기(27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변환돌기(274)와 산형돌기(522) 각각의 경사면이 서로 맞닿아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제 2 스프링(542)의 탄성이 제 1 스프링(540)의 탄성보다 세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재(5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이어서 모드변환핀(534)이 주행모드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및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뒤로 넘어지는 경우 등과 같이 자세가 불안정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계단이나 기타 장소를 보행 시 휠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한 보행을 가능하면서도, 또한 발판을 가압함에 따르는 작동 모드의 변환이 모드변환부재의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하게 실행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11a-111c : 휠 200 : 발판
202 : 상면 206 : 나사체결공
208 : 뒷굽지지부 210 : 스톱부재
220 : 하면 222 : 삽입부
224 : 스프링 안착홈 228 : 힌지돌기부
230 : 브레이크편 232 : 나사홈
234 : 브레이크 스프링 240 : 모드해제 스프링
260 : 힌지축 270 : 체결부
272 : 나사홈 274 : 변환돌기
300 : 발목 고정부 340 : 수직 프레임
342 : 돌기 350 : 힌지부
360 : 연질커버 400 : 휠 프레임
410 : 휠축 420 : 프레임 본체
424,426 : 나사공 428 : 슬라이딩홈
430,432 : 브라켓 434 : 슬라이딩편
436 : 이탈방지편 438 : 돌출바
500 : 슬라이딩 모듈 520 : 슬라이딩부재
522 : 산형돌기 530 : 모드변환핀 수용부
532 : 스프링 수용부 534 : 모드변환핀
540 : 제 1 스프링 542 : 제 2 스프링
550 : 보행모드돌기 600 : 모드변환 모듈
620 : 모드변환부재 622 : 나사체결부
626 : 모드변환편 628 : 가이드편
630 : 모드변환부

Claims (9)

  1. 사용자가 발판의 뒷굼치부분에 순차적인 하중을 가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모드와,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보행할 수 있는 보행모드와, 상기 보행모드에서의 주행모드로의 작동 모드의 변환을 실행할 수 있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휠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휠 프레임과,
    변환돌기를 구비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휠 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이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면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된 발목 고정부와,
    상기 발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휠 중 최후방의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발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편과,
    상기 브레이크편이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산형돌기와 복수의 보행모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 프레임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모듈과,
    상기 작동모드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모듈의 슬라이딩에 따라 모드변환핀을 상기 휠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서 이동시키는 모드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프레임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한쌍의 프레임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홈은 수직부와 수평부가 "L"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 본체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모드해제 스프링이 안착되는 브라켓과, 힌지축이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 모듈이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편과 이탈방지편, 및 상기 이탈방지편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바를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발판의 변환돌기에 맞닿아지도록 형성된 산형돌기와,
    상기 산형돌기에 이어지는 측면에 형성된 모드변환핀 수용부과,
    서로 다른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휠의 후방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한쌍의 보행모드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모드변환핀 수용부에는 상기 모드변환핀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휠 프레임의 슬라이딩홈에 노출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변환돌기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산형돌기는 각각 수직면과 경사면을 가지되, 서로 대향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면은 상기 휠의 상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은 마지막 휠을 향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 1 스프링은 한쌍으로, 그 탄성은 상기 제 2 스프링의 탄성보다 작고, 각각의 일단은 상기 모드변환핀에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스프링 수용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드변환핀을 원래의 위치로 가압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제 1 스프링의 사이에 위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돌출바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가압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 모듈은
    상기 발판에 나사체결되는 한쌍의 모드변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드변환부재의 각각은
    나사체결부와 상기 나사체결부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상기 모드변환핀이 이동되는 모드변환부로 구성되며,
    상기 모드변환부의 내부에 부착된 모드변환편과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편은 수직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행모드에서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의 접점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경사부에 눌림에 따라 상기 제 1 스프링에 탄성이 가해지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의 접점부위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부와 수평부의 경계로 이동되며, 상기 제 2 스프링에 탄성이 가해지며,
    상기 모드변환편은 이동된 상기 모드변환핀의 바로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드에서 상기 발판의 변환돌기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산형돌기와 상기 변환돌기는 서로의 수직면이 맞닿아 있던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탄성이 가해져 있던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변환돌기와 산형돌기의 각각의 경사면이 서로 접하게 되고,
    상기 보행모드돌기는 각각 상기 휠과 맞닿게 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부와 수평부의 경계로 이동되어 있던 상기 모드변환핀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면에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모드변환핀의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던 상기 모드변환편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수직면에 지지된 상기 모드변환핀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140020162A 2014-02-21 2014-02-21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157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62A KR101574006B1 (ko) 2014-02-21 2014-02-21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CN201580008608.1A CN105980022A (zh) 2014-02-21 2015-02-17 可拆卸式直排轮滑鞋
PCT/KR2015/001649 WO2015126170A1 (ko) 2014-02-21 2015-02-17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62A KR101574006B1 (ko) 2014-02-21 2014-02-21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29A true KR20150098829A (ko) 2015-08-31
KR101574006B1 KR101574006B1 (ko) 2015-12-02

Family

ID=5387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162A KR101574006B1 (ko) 2014-02-21 2014-02-21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74006B1 (ko)
CN (1) CN105980022A (ko)
WO (1) WO2015126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625A1 (en) * 2017-07-10 2019-01-17 Hendrik Heukers BRAKE SYSTEM WITH BRAKE SYSTEM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WHOLE OF THE SHOE IN RELATION TO THE FRAME
CN113022767B (zh) * 2021-04-12 2022-05-24 窦嘉琨 一种多功能漂移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597U (ja) * 2007-09-19 2007-11-29 陳旺川 サイズ調整ができるホイールシューズ
KR100967653B1 (ko) 2009-07-16 2010-07-07 김광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1182489B1 (ko) * 2010-10-19 2012-09-12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1320349B1 (ko) * 2010-12-24 2013-11-22 김광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CN102068805B (zh) * 2011-01-27 2012-07-04 段龙华 步行轮滑两用鞋
CN202169078U (zh) * 2011-07-02 2012-03-21 河海大学 遥感轮滑步行两用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006B1 (ko) 2015-12-02
CN105980022A (zh) 2016-09-28
WO2015126170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10604A1 (en) Rocking exercise device
KR101574006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US20070252351A1 (en) Wheeled footwear
KR100967653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1635920B1 (ko) 인공발
CN113117309B (zh) 轮式移动装置
EP1994966A1 (en) Roller skate
KR101772843B1 (ko) 승하강식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슈즈
KR101320349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WO2012100680A1 (zh) 步行轮滑两用鞋
US5820138A (en) Convertible in-line roller skates
CN111491703B (zh) 具有可移除滑动系统的外鞋底
JP2008036414A5 (ko)
KR20080030514A (ko) 풋 바이크
JP2013504382A (ja) 車輪付き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及び車輪付き履物と併せて使用するための方法
KR101430211B1 (ko) 신발착용이 가능한 인라인스케이트
KR101430212B1 (ko) 제동수단을 갖는 인라인스케이트
KR200330176Y1 (ko) 힐링 슈즈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51652Y1 (ko) 인라인스케이트의 안전장치
KR200364894Y1 (ko) 신발 겸용 변신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04616B1 (ko) 운동화 착탈 2열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30270Y1 (ko) 브레이크장치 겸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150027509A (ko) 슬라이딩 신발
KR200323054Y1 (ko) 착탈식 구조를 지닌 구름장치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