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355B1 -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355B1
KR101959355B1 KR1020170084747A KR20170084747A KR101959355B1 KR 101959355 B1 KR101959355 B1 KR 101959355B1 KR 1020170084747 A KR1020170084747 A KR 1020170084747A KR 20170084747 A KR20170084747 A KR 20170084747A KR 101959355 B1 KR101959355 B1 KR 10195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tray
tag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79A (ko
Inventor
오흥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앤디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앤디솔루션스 filed Critical (주)에이앤디솔루션스
Priority to KR102017008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c system for ordering and servicing foods and beverages in sto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NFC 태그, RFID 태그 등의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을 주문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이러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준비된 상품을 매장을 방문하여 직접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매장 내 고객이 많은 경우 자신이 주문한 상품의 준비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고, 매장 내 진열되는 상품이 자신의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동일한 제품을 주문한 복수의 고객이 있는 경우, 해당 제품이 자신이 주문한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급자 입장에서도 상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 진동벨을 이용하는 방법, 주문번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고객을 호출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가 해당하는 주문번호를 정확히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착오의 우려가 있고, 관리자가 복수일 경우 일원화된 서비스 제공에 혼선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616호 [명칭: 식음료 예약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복수의 그릇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및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 또는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에 의해,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은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주문 장치;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복수의 그릇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매장 단말;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리더기; 상기 리더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상품 수령 인증 장치; 및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문 장치는, 주문 단말, 키오스크 및 POS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인 주문 번호나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주문자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로,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하거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장치로,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매장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캐비닛 통신부; 및 캐비닛의 부속 장치와 상기 캐비닛에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품의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은 주문 장치(100), 매장 단말(200), 그릇(300), 태그(400), 트레이(500), 리더기(600), 디스플레이부(700) 및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주문 장치(100)는 사용자(또는 주문자)가 소지한 주문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 매장 내 구비된 키오스크, 매장 내 구비된 POS(point of sales) 단말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결제 완료 후, 상기 주문 장치(100)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는 상품명,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직접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결제 완료 후, 상기 주문 장치(100)는 주문 정보를 해당 매장과 관련한 매장 단말(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매장 단말(200)은 매장 내(예를 들어 매장 내 서빙 영역, 매장 내 조리 영역 등 포함)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200)은 매장 내 상품을 준비하는 곳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장 단말(200)(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표시부(230), 음성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매장 단말(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매장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매장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주문 장치(100), 상기 태그(400), 상기 리더기(600), 상기 디스플레이부(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주문 장치(100), 상기 태그(400), 상기 리더기(600), 상기 디스플레이부(700),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또는 메모리)(2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매장 단말(2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매장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매장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되고, 매장 단말(200)에 설치되어, 제어부(250)에 의하여 상기 매장 단말(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2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2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매장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엔진(engin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장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2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문이 완료된 이후(또는 정상 결제가 완료된 이후),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주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상기 표시부(2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
즉,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이 배달인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배달 단말(미도시)에 상품명과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해당 배달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명과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명과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해당 배달 단말을 소지한 배달자는 상기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시각에 상기 매장 단말(200)과 관련한 매장에 방문하여,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한 후 배달지 정보에 따라 배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에 따라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배달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배달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배달 단말을 소지한 배달자는 상기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에게 확인받은 후,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고, 상기 수령한 상품을 배달지 정보에 따라 배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방문 포장)에 따라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또는 주문자)는 상기 상품 준비 완료 정보(또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등)를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에게 확인받거나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에 인증한 후,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한다.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예약)에 따라 예약 일시에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매장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예약 시각에 따른 상품 준비가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상품 준비 완료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또는 주문자)는 상기 해당 예약 시각에 따른 상품 준비 완료 정보(또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등)를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에게 확인받거나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에 인증한 후, 상기 준비된 상품을 수령한다.
또한, 상기 매장 내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또는 주문 상품)이 준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또는 기록)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 위에는 상기 준비된 상품이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400)는 NFC 태그,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
즉,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매장 내에 구비된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한다.
상기 그릇(300)은 매장 내에서 사용하는 유리 그릇, 플라스틱 그릇, 스테인리스 그릇, 알루미늄 그릇, 멜라민 수지 그릇, 1회용 용기(또는 1회용 포장 용기)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릇(300)은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릇(300)의 일면(또는 일측)에는 상기 태그(40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그릇(300) 상에는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상기 준비된 상품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상품 수령 방식이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인 경우, 상기 준비된 상품은 상기 그릇(300)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상기 태그(tag)(또는 전자 태그)(400)는 NFC 태그, RFID 태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그(400)는 상기 그릇(300)의 일면(또는 일측)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태그(400)는 상기 그릇(3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경우, 상기 태그(400)는 상기 매장 단말(200)에 의해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가 설정된다.
상기 트레이(tray, 칸막이 상자)(500)는 N×M 형태(여기서 상기 N, M은 자연수)로 제작되는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등 포함) 형태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500)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상품을 포함하는(또는 구비하는) 그릇(30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500)는 상기 상품이 포함된 그릇(300)을 임시로 수납(또는 저장)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는 리더기(600), 디스플레이부(700),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트레이(500) 내부에 구성되는 그릇(300)의 일측에 형성된 태그(400)를 태깅(또는 리딩)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500)가 복수로 구성된 경우, 각 트레이(500)에 구성되는 리더기(600)는 인접한 다른 트레이(500)에 대해 태깅하지 않도록(또는 간섭하여 태깅하지 않도록) 트레이(500)에서의 특정 위치에 구성하고,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를 커버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트레이(500)에 위치한 상기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를 태깅한다(또는 리딩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6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트레이(500) 내의 영역에 대한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태그(400)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400)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해당 트레이(500)에 위치한 태그(400)를 태깅하며, 트레이(500) 상에 태그(400)가 구비된 그릇(300)이 주문자에 의해 수령되어 더 이상 위치하지 않을 때 해당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의 표시를 중단한다.
또한, 주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 및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고,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를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에 인증하여 해당 트레이(500) 상에 위치하는 상품이 준비된 그릇(300)을 가져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문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문 번호, 상품 등 포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리더기(600)의 제어에 의해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와 관련된 트레이(500)에 위치한 태그(400)를 포함하는 그릇(300)이 사용자에 의해 수령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리더기(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주문 번호의 표시를 중단한다.
또한, 상기 주문 번호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미리 저장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매장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인증하는 장치로 상기 트레이(5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상기 트레이(500)를 수납하는 캐비닛(미도시)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트레이(500)를 수납하는 장치로, 수납된 상기 트레이(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상기 매장 단말(200) 또는 서버(미도시)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캐비닛 통신부(미도시)와, 캐비닛의 부속 장치와 캐비닛에 수납된 상기 트레이(500)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 제어부(미도시)를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관련된 트레이(500)에 인증자가 주문한 상품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는 인증이 완료된 후 관련된 트레이(500)에 상품 보관을 위한 개폐 장치(미도시)가 있을 경우, 개폐 장치(미도시)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주문 장치(100)는 사용자(또는 주문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주문 단말(또는 사용자 단말), 매장 내 구비된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 장치(100)는 결제 완료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배달 예정 시각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등의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는 상품명,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며 매장 내 구비된 키오스크(미도시)는 주문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카페라떼 2잔에 대한 주문 및 현금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현금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오스크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0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7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7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등을 해당 키오스크 상에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410)하고 영수증 형태로 출력한다.
다른 일 예로, 주문 장치(100)에 포함되며 원격지의 사용자가 구비한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결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배달 주문 기능을 사용하여 딸기 빙수 1개, 팥빙수 1개, 망고 주스 3잔에 대한 주문 및 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카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3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10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23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74), 주문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배달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45분) 등을 표시한다(S310).
주문이 완료된 이후(또는 정상 결제가 완료된 이후), 매장 단말(200)은 상기 주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방문 포장, 배달, 예약 등 포함),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매장 내 상품을 준비하는 곳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전송되는 상품명과 수량(예를 들어 카페라떼 2잔),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0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7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7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등을 포함하는 제 1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제 1 주문 정보(510)를 표시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품명과 수량(예를 들어 딸기 빙수 1개, 팥빙수 1개, 망고 주스 3잔),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13분), 대기 시간 정보(예를 들어 10분),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23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74), 주문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 배달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45분), 배달지 정보(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234-5678),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예를 들어 010-9876-5432) 등을 포함하는 제 2 주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제 2 주문 정보를 표시한다(S320).
이후,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확인된 상품 수령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각각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제 1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매장 내 수령)을 확인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제 2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배달 단말(미도시)에 상품명과 수량(예를 들어 딸기 빙수 1개, 팥빙수 1개, 망고 주스 3잔), 상품 수령 방식(예를 들어 배달),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23분),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74), 배달 예정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17년 5월 1일 오후 1시 45분), 배달지 정보(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234-5678),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예를 들어 010-9876-5432) 등을 전송한다(S330).
이후,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된 경우,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또는 상품 준비자/요리사)에 의해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릇(300) 위에는 상기 준비된 상품이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400)는 NFC 태그, RFID 태그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주문 정보에 따른 카페라떼 2잔이 준비된 상태일 때, 상기 매장 단말(200)은 상기 매장 단말(200)의 관리자에 의해 복수의 그릇(300) 중에서 선택된 제 3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제 3 태그(400)에 상기 제 1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를 설정한다(S340).
이후, 상기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 의해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400)를 구비한 그릇(300)이 복수의 트레이(500)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500) 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500)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600)는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 상에 위치한 그릇(300)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400)를 태깅한다.
또한,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태그(400)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400)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한다.
일 예로, 매장 내의 특정 위치에 구비된 복수의 트레이(500) 중에서 제 2 트레이(500) 상에 상기 카페라떼 2잔이 올려진 제 3 그릇이 위치될 때, 상기 제 2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리더기(6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상에 위치한 제 3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제 3 태그를 태깅한다.
또한, 상기 제 2 리더기는 상기 제 3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를 확인한다(S350).
이후, 상기 리더기(600)는 상기 리더기(600)와 관련한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리더기(6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해당 트레이(500)에 위치한 태그(400)를 태깅하며, 트레이(500) 상에 태그(400)가 구비된 그릇(300)이 주문자에 의해 수령되어 더 이상 위치하지 않을 때 해당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의 표시를 중단한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리더기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제 2 디스플레이부(700)를 통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610)를 표시한다(S360).
이후, 주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 및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와 관련한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또는 상기 트레이(500)를 수납하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로 주문 시 발행된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 바코드 등 포함) 또는 상기 주문 장치(100)의 NFC 정보를 인증한 후 해당 트레이(500) 상에 위치하는 상품이 준비된 그릇(300)을 가져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주문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0)에 표시되는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610) 및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번호(예를 들어 1357)를 확인한 후, 상기 트레이(5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800)를 통해 상기 영수증 형태로 출력된 주문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인증한 후 해당 트레이(500) 상에 위치하는 상품이 준비된 그릇(300)을 수령한다(S37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문 단말, 키오스크, POS 단말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을 준비한 후, 매장 내 상품 수령인 경우 태그가 부착된 그릇에 준비된 상품을 올려놓고, 매장 단말을 사용하여 해당 주문 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주문에 사용되는 그릇의 태그를 설정하고, 설정이 완료된 그릇을 복수의 픽업 트레이 중 하나의 픽업 트레이에 올려놓으면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서 해당 그릇의 태그를 태깅하고, 해당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정보를 해당 픽업 트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로 주문자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매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분야, 단말 분야, 매장 관리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100: 주문 장치 200: 매장 단말
300: 그릇 400: 태그
500: 트레이 600: 리더기
700: 디스플레이부 800: 상품 수령 인증 장치

Claims (9)

  1.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주문 장치에 의해,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복수의 그릇 중에서 상기 준비된 상품을 담는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각각 리더기를 구비한 복수의 트레이 중 임의의 하나에 위치될 때, 상기 그릇이 위치된 트레이에 구비된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그릇의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더기와 관련한 트레이의 다른 일측 또는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품 수령 인증 장치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의 그릇을 가져갈 수 있도록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품명 및 수량, 상품 수령 방식,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 배달지 정보 및 주문자의 연락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방법.
  3. 삭제
  4.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주문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이 완료된 후, 결제 기능 수행 결과 정보, 주문 일자 및 시각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상품 준비 완료 예정 시각 정보, 주문 번호, 주문 코드 및 배달 예정 시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영수증 형태로 출력하는 주문 장치;
    상기 주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상품 수령 방식이 매장 내 직접 수령인 상태에서 상기 주문 정보에 따른 상품이 준비될 때 복수의 그릇 중에서 상기 준비된 상품을 담는 어느 하나의 그릇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에 상기 주문 정보 내의 주문 번호를 설정하는 매장 단말;
    상기 주문 번호가 설정된 태그를 구비한 그릇이 복수의 트레이 중 임의의 트레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태그의 태깅에 따라 상기 태그에 설정된 주문 번호를 확인하는, 각 트레이 마다 구성된 리더기;
    상기 리더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확인된 주문 번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트레이 상의 그릇을 가져갈 수 있도록 주문자에게 발행된 주문 코드 또는 상기 주문 장치의 NFC 정보를 인증하여 주문자를 확인하는 상품 수령 인증 장치; 및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장치는,
    주문 단말, 키오스크 및 POS 단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그릇에 구비된 태그를 태깅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인 주문 번호나 상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령 인증 장치는,
    복수의 주문자들이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주문자 여부를 인증하는 장치로, 상기 선택된 트레이 상의 다른 일측에 형성하거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트레이를 수납하는 장치로,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매장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캐비닛 통신부; 및
    캐비닛의 부속 장치와 상기 캐비닛에 수납된 상기 트레이에 포함된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캐비닛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KR1020170084747A 2017-07-04 2017-07-04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47A KR101959355B1 (ko) 2017-07-04 2017-07-04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47A KR101959355B1 (ko) 2017-07-04 2017-07-04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79A KR20190004479A (ko) 2019-01-14
KR101959355B1 true KR101959355B1 (ko) 2019-07-02

Family

ID=6502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47A KR101959355B1 (ko) 2017-07-04 2017-07-04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44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퀸즈스마일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8729A (zh) * 2019-06-04 2019-10-01 口碑(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IoT设备实现的饮品订单处理方法及订单控制器
KR20230061901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사운드그래프 사물인식 인공지능을 활용한 픽업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523137B1 (ko) * 2022-08-18 2023-04-18 주식회사 유스풀제스트 반려동물용 맞춤형 음식 자동 판매장치 및 시스템
KR102588644B1 (ko) * 2023-01-04 2023-10-12 주식회사 와이콘즈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843A (ja) * 2008-03-06 2009-09-17 Ishino Seisakusho Co Ltd 注文飲食物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53B1 (ko) * 2007-11-27 2010-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KR20110059048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KR20140109162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스마트 오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4616A (ko) 2014-10-15 2016-04-26 전민우 식음료 예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843A (ja) * 2008-03-06 2009-09-17 Ishino Seisakusho Co Ltd 注文飲食物搬送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음블로그) '美 샌프란시스코에 무인 자동화 레스토랑 등장' (2016.03.01.)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44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퀸즈스마일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1513B1 (ko) * 2019-11-01 2021-11-29 주식회사 퀸즈스마일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79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355B1 (ko)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9117231B2 (en)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US11544772B2 (en) Intelligent item tracking and expedited item reordering by stakeholders
US10740814B2 (en) Detector tags to determine perishability of food items
KR102011836B1 (ko) 식재료 안내 방법
EP2828816A1 (en) Customer assistance request system using smart device
KR10170797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US201800253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e or more inventories
US20180240205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O2015030675A1 (en) Electronic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retail shops
WO2017059480A1 (en) Improvements in food storage
JP6475287B2 (ja) 注文受付システム
JP2019138493A (ja) 冷蔵庫、商品発注方法及び商品発注システム
KR101662153B1 (ko) 지역 특산물 기반 자동 판매기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93273B1 (ko) 스마트폰 결제기반 차세대 키오스크형 주문 시스템 및 결제 방법
EP2928809A1 (en) Vending apparatus for beverages by the glass provided with remote user interface
JP6293603B2 (ja) 商品情報閲覧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8156994A1 (en) Associating tags with a user and assigning such tags to products
KR101614760B1 (ko) 메뉴 주문 시스템
KR20200031273A (ko) 자동 판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매 시스템
AU2016330891B2 (en) Managing notifications of a delivery method based on an active device
KR20140011999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2048677A (ja) 商品情報提供装置、商品情報提供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715441B2 (ja) 注文入力端末、注文入力システム、注文入力方法
KR2023000561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