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048A -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 Google Patents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048A
KR20110059048A KR1020090115657A KR20090115657A KR20110059048A KR 20110059048 A KR20110059048 A KR 20110059048A KR 1020090115657 A KR1020090115657 A KR 1020090115657A KR 20090115657 A KR20090115657 A KR 20090115657A KR 20110059048 A KR20110059048 A KR 2011005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ustomer
unmanned
storage device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주식회사 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주식회사 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Priority to KR102009011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9048A/ko
Publication of KR2011005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상품구매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상기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상기 주문상품이 수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방문한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상품을 접수한 고객임을 확인하기 위한 고객확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의 거주지에 주문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이 주문상품이 배송되는 정해진 날짜 및 시간에 고객의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품판매, 무인상품보관, 온라인 쇼핑몰

Description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GOODS SELLING METHOD USING SELF-SERVICE DEPOSIT APPARATUS}
본 발명은,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의 유통 업체들은 오프라인 매장과 함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이들 유통 업체의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은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 방문하여 상품을 쇼핑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특히, 여러 가지 이유로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고객에게는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에 의한 상품 구매는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형 마트, 백화점 등의 유통 업체에서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이들 유통 업체가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 개인용 컴퓨터나 인터넷 기능이 갖춰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필요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 주문이 접수되면, 상품판매자인 유통 업체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집하여 고객의 주거지에 배송하는 방식으로 상품 판매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들 유통 업체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고객의 주거지에 직접 배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소정의 상품 배송료를 부과하여야 하는데, 이는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고객에게 소정의 상품 배송료를 부과하지 않는다면, 배송 인건비로 인해 상품 판매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품구매자인 고객 입장에서도 상품 배송료를 부담해야하는 금전적인 손해뿐만 아니라, 상품이 배송되는 정해진 날짜 및 시간에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상품을 온전하게 수령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불편함은 밤늦게 거주지에 귀가하는 고객이나 거주지에 동거인이 없는 1인 가구 고객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데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거주지에 주문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이 주문상품이 배송되는 정해진 날짜 및 시간에 고객의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상품구매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상기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상기 주문상품이 수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방문한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상품을 접수한 고객임을 확인하기 위한 고객확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은, 차량입구와 차량출구를 연결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는,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 마련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지 않고서도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상품수령 전용도로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품수령 전용도로는, 상기 주차장을 진입하기 위한 도로 및 상기 주차장을 진출하기 위한 도로와는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판매자가 오프라인 매장인 상기 영업점과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판매자가 휴대하고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통해 상기 상품판매자에게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하여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상품수령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구매정보는, 주문상품내역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수령정보는,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확인정보는, 상기 상품수령정보의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상품판매자가 상기 고객에게 발급한 회원카드에 담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상기 상품수령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통보한 이후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일정시간 내에 수령하지 않은 경우,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상품의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취소한 경우, 상기 상품판매자에게 상기 주문상품의 취소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는, 상기 주문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보관함;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상품수납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고객확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모듈; 상기 주문상품의 대금 결제를 위한 결제 모듈; 및 상기 상품판매자가 상기 고객에게 발급한 회원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보관함 중 일부는 냉장 및 냉동 보관을 위한 냉각 모듈이 내장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이 온라인 상에서 필요한 상품을 주문하되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 설치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거주지에 주문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이 주문상품이 배송되는 정해진 날짜 및 시간에 고객의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를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마련하고 상품수령 전용도로에 인접한 위치에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이 차량을 주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생략할 수 있고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이용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 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에서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서 상품수령 전용도로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100)은 상품구매자인 고객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필요한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주문단말기(110,120)와, 상품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 등의 통신 판매를 위해 운영하는 메인 서버(130)와,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품구매정보'는 주문상품내역, 고객정보 등 상품판매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이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하는 네트워크는 인터넷망, 유선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주문단말기(110,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고객의 개인용 컴퓨터(110) 또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통신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품주문단말기는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는 일반 전화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 전화기를 상품주문단말기로 사용하는 경우, 고객 은 유선전화망을 통해 예컨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방식으로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메인 서버(130)는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주문상품내역, 고객정보를 포함한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고, 접수된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한다. 또한, 메인 서버(130)는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한다. 이때, 메인 서버(130)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하여 고객의 핸드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품수령정보를 통보하는 것이 고객이 어느 장소에 있던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메인 서버(130)의 상품수령정보 통보 방법은 SMS(Short Message Service)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메일(e-mail) 통보 방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수령정보'는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서 무인상품보관장치(10)가 설치된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 무인상품보관장치(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보관함(11, 도 2 참조) 중에서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이 어느 것인지에 관한 정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서 해당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에 관한 정보, 해당 주문상품의 보관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판매자'는 상품판매자가 고용하고 있는 직원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접수된 상품구매정보의 주문상품내역에 따라 해당 영업점의 상품 판매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수집하여 무인상품보관장 치(10)에 수납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직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130)는 고객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를 메인 서버(130)에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다양한 판촉 활동 등의 고객 관리를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인상품보관장치(10)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단위보관함(11)과, 상품수납상황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3)과, 상품판매자 및 고객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14)과, 주문상품의 대금 결제를 위한 결제 모듈(15)과, 상품판매자 등이 발급한 회원카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모듈(16)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보관함(11)은 주문상품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미도시)과 그 내부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1a)를 포함한다. 단위보관함(11)의 도어(11a)는 입력 모듈(14) 및/또는 카드인식모듈(16)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면 그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단위보관함(11)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은 이동통신단말기(120)로 통보받은 비밀번호를 입력 모듈(14)을 통해 입력하거나 소지한 회원 카드를 카드인식모듈(16)에 접촉함으로써 단위보관함(11)의 도어(11a)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단위보관함(11)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수납되는 주문상품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보관함(11)의 배치 형태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 다.
복수의 단위보관함(11) 중 적어도 하나는 수납된 주문상품(특히, 음식 관련 상품)의 특성에 따라 냉장, 냉동 및 온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냉각 모듈(미도시) 또는 가열 모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단위보관함(11)에 마련되는 냉각 모듈은 통상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냉각 모듈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위보관함(11)에 마련되는 가열 모듈은 코일 형태의 니크롬선 등의 발열 저항체나 페이스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열 저항체 등을 포함한 히터(heater)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장 및 냉동 보관이 요구되는 주문상품은 냉각 모듈이 내장 설치된 단위보관함(11)에 수납되도록 하고, 온장 보관이 요구되는 주문상품은 가열 모듈이 내장 설치된 단위보관함(11)에 수납되도록 하여, 고객이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전까지 주문상품의 변질을 막는 등 주문상품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14)은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주문상품을 수납하는 상품판매자 및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는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 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혹은 터치 패널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 모듈(14)은 디스플레이 모듈(13)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카드인식모듈(16)은 '스마트 카드' 또는 '칩 카드'라고도 하는 IC 칩(integrated circuit chip)이 내장된 IC 카드 또는 IC 칩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판독할 수 있는 IC 카드인식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인상품보관장치(10)는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은 원하는 시간에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거주지에 주문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고객이 주문상품이 배송되는 정해진 날짜 및 시간에 고객의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인상품보관장치(10)는 상품판매자 영업점의 차량입구와 차량출구를 연결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R)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은 다양한 상품이 진열되어 실질적인 상품 판매가 이루어지는 상품 판매 매장과, 차량을 이용하여 영업점을 방문한 고객이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과, 상품판매자 영업점의 차량입구와 차량출구를 연결하고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R)를 포함한다. 이때, 상품수령 전용도로(R)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전용도로로,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품수령 전용도로(R)는 주차장을 진입하기 위한 도로 및 주차장을 진출하기 위한 도로와는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차량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을 방문한 고객 중 상품 판매 매장에서 쇼핑하고자 하는 고객은 차량입구를 통과한 후 주차장 진입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한 후 상품 판매 매장에서 쇼핑하는 반면, 무인상품보관장치(10)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차량입구를 통과한 후 차량을 주차장에 주차할 필요 없이 상품수령 전용도로(R)를 따라 무인상품보관장치(1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상품수령 전용도로(R) 상에 차량을 잠시 정차시킨 상태에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주문상품을 수령한 고객은 다시 차량에 탑승하여 상품수령 전용도로(R)를 따라 이동하여 상품수령 전용도로(R)의 후미에 연결된 차량출구를 통해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은 차량을 주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생략할 수 있고,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무인상품보관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R)를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마련함으로써,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S110)와, 상품구매정보가 접수되면,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20)와, 상품 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30)와,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주문상품이 수납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S140)와,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방문한 고객에게 주문상품을 접수한 고객임을 확인하기 위한 고객확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50)와,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하면, 고객이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먼저,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10). 이 단계(S110)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이 개인용 컴퓨터(110), 이동통신단말기(120) 등의 상품주문단말기를 통해 상품판매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쇼핑몰 등에 접속하여 상품구매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상품구매정보는 상품판매자의 메인 서버(13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으로 접수된다. 상품판매자의 메인 서버(130)는 인터넷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의 상품주문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구매정보'는 주문상품내역, 고객정보 등 상품판매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온라인 상에서 상품구매정보가 접수되면,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0). 이 단계(S120)는 메인 서버(130)에 의해 수행되는데, 예컨대 메인 서버(130)는 상품판매자가 휴대하고 있는 PDA를 통해 상품판매자에게 접수된 상품구매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판매자'는 상품판매자가 고용하고 있는 직원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접수된 상품구매정보의 주문상품내역에 따라 해당 영업점의 상품 판매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수집하여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직원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상품구매정보의 통보 방법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품구매정보를 통보받은 상품판매자는 상품구매정보에 포함된 주문상품내역에 따라 해당 영업점의 상품 판매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수집하여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복수의 단위보관함(11)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한다. 그리고 상품판매자는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입력 모듈(14)을 통해 상품수납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품수납정보'는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의 위치번호, 주문상품의 고객에 대응하는 코드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30). 이 단계(S130)는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주문상품을 수납한 상품판매자에 의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입력된 상품수납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130)로 전송되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주문상품이 수납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주문상품이 수납된 것으로 확인되면,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가 수행된 다(S140). 이 단계(S140)에서,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10)로부터 상품수납정보를 전송받은 메인 서버(130)는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한다. 이때, 메인 서버(130)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하여 고객의 핸드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품수령정보를 통보하는 것이 고객이 어느 장소에 있던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메인 서버(130)의 상품수령정보 통보 방법은 SMS(Short Message Service)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메일(e-mail) 통보 방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수령정보'는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서 무인상품보관장치(10)가 설치된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 무인상품보관장치(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보관함(11) 중에서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이 어느 것인지에 관한 정보(예컨대,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의 위치번호),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서 해당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방문한 고객에게 주문상품을 접수한 고객임을 확인하기 위한 고객확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50). 상품수령정보를 통보받은 고객은 원하는 시간(예컨대, 퇴근시간, 출근시간)에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여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 무인상품보관장치(1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한다. 이때,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는 다수의 무인상품보관장치(10)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고객은 상품수령정보에 포함된 해당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위치정보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도착한 고객은 무인상품보관장치(10)로부터 해당 주문상품을 접수한 고객임을 확인하는, 즉 신원 확인을 위한 고객확인정보 입력을 요청받는다. 여기서 '고객확인정보'는 전술한 S140 단계에서 고객에게 통보된 상품수령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 및/또는 고객의 주민등록번호이거나, 상품판매자가 발급한 회원카드에 담긴 정보일 수 있다. 무인상품보관장치(10)로부터 고객확인정보 입력을 요청받은 고객은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입력 모듈(14)을 통해 상품수령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 및/또는 고객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거나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카드인식모듈(16)에 상품판매자가 발급한 회원카드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상품 주문시 후결제를 선택한 고객은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결제 모듈(15)에 신용카드 등을 삽입함으로써 주문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에서, 무인상품보관장치(10)는 상품판매자 영업점의 차량입구와 차량출구를 연결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R)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므로(도 3 참조), 차량을 이용하여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을 방문한 고객은 차량을 주차장에 주차하지 않고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무인상품보관장치(1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 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은 차량을 주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하면, 고객이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60). 여기서 '고객확인정보의 일치'는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입력한 고객확인정보와 무인상품보관장치(10) 또는 메인 서버(130)에 저장된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와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해당 단위보관함(11)에 지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고객의 신원 확인을 위한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하면, 무인상품보관장치(10)는 고객확인정보를 입력한 고객이 해당 주문상품을 수령할 정당한 권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주문상품이 수납된 단위보관함(1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고객은 해당 단위보관함(11)의 도어(11a)를 열어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은 상품수령 전용도로(R) 상에 차량을 잠시 정차시킨 상태에서 해당 단위보관함(11)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꺼내어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납할 수 있다. 주문상품을 수령한 고객은 다시 차량에 탑승하여 상품수령 전용도로(R)를 따라 이동하여 상품수령 전용도로(R)의 후미에 연결된 차량출구를 통해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밖으로 나갈 수 있다. 한편, 고객이 온라인 상에서 상품 주문시 후결제를 선택한 경우,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함과 아울러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결제 모듈(15)을 통해 주문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무인상품보관장치(10)의 잠금 상태 를 해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객에 의한 상품수령이 완료되면, 무인상품보관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수령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메인 서버(13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한 이후,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일정시간 내에 수령하지 않은 경우에 고객에게 주문상품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고객이 주문상품을 취소한 경우에 상품판매자에게 주문상품 취소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문상품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예컨대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주문상품을 수납 후 48시간 이내에 고객이 주문상품을 수령하지 않은 경우에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하여 고객의 핸드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주문상품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한편, 주문상품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달받은 고객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주문상품을 취소하거나 주문상품의 보관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품판매자에게 주문상품 취소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는 전술한 주문상품 최소여부 확인 단계에서 고객이 주문상품을 취소한 경우에 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한다. 이 단계는 메인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예컨대 메인 서버(130)는 상품판매자가 휴대하고 있는 PDA를 통해 상품판매자에게 주문상품 취소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주문상품 취소사실을 통보받은 상품판매자는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거하여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주문상품을 취소한 고객에게는 소정의 취소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고객에게 주문상품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고객이 주문상품을 취소한 경우에 상품판매자에게 주문상품 취소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고객이 무인상품보관장치(10)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일정시간 내에 찾아가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보관 처리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고객이 온라인 상에서 필요한 상품을 주문하되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 설치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거주지에 주문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품 배송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이 주문상품이 배송되는 정해진 날짜 및 시간에 고객의 거주지에 머물러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은,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고객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를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마련하고 상품수령 전용도로에 인접한 위치에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주문상품을 수 령하고자 하는 고객이 차량을 주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생략할 수 있고 신속하면서도 손쉽게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이용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에서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서 상품수령 전용도로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인상품보관장치
R : 상품수령 전용도로
110 : 개인용 컴퓨터
120 : 이동통신단말기
130 : 메인 서버

Claims (7)

  1. 온라인 상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상품구매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설치된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상기 고객의 주문상품이 수납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상기 주문상품이 수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상품수령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에 수납된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하고자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에 방문한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상품을 접수한 고객임을 확인하기 위한 고객확인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확인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은, 차량입구와 차량출구를 연결하는 상품수령 전용도로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는,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판매자의 영업점 내에 마련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지 않고서도 상기 주문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상품수령 전용도로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령 전용도로는,
    상기 주차장을 진입하기 위한 도로 및 상기 주차장을 진출하기 위한 도로와는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판매자가 오프라인 매장인 상기 영업점과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상품판매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판매자가 휴대하고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통해 상기 상품판매자에게 상기 상품구매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수령정보를 고객에게 통보하는 단계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하여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상품수령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정보는, 주문상품내역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수령정보는,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위치정보 및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확인정보는, 상기 상품수령정보의 상기 비밀번호 및 상기 상품판매자가 상기 고객에게 발급한 회원카드에 담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수령정보를 상기 고객에게 통보한 이후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일정시간 내에 수령하지 않은 경우,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상품의 취소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이 상기 주문상품을 취소한 경우, 상기 상품판매자에게 상기 주문상품의 취소사실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 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는,
    상기 주문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보관함;
    상기 무인상품보관장치의 상품수납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고객확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모듈;
    상기 주문상품의 대금 결제를 위한 결제 모듈; 및
    상기 상품판매자가 상기 고객에게 발급한 회원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보관함 중 일부는 냉장 및 냉동 보관을 위한 냉각 모듈이 내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KR1020090115657A 2009-11-27 2009-11-27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KR20110059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57A KR20110059048A (ko) 2009-11-27 2009-11-27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57A KR20110059048A (ko) 2009-11-27 2009-11-27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48A true KR20110059048A (ko) 2011-06-02

Family

ID=4439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657A KR20110059048A (ko) 2009-11-27 2009-11-27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904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557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페이콕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KR20180042179A (ko) * 2018-03-13 2018-04-25 전대연 스마트 무인스토어 시스템
KR20190004479A (ko) * 2017-07-04 2019-01-14 오흥일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5646A (ko) * 2017-07-27 2019-02-14 주식회사 지오엔지스 쇼핑몰 구매상품 출고 시스템
KR102296924B1 (ko) * 2021-05-03 2021-09-01 (주) 더서비스플랫폼 온라인 구매 상품의 택스 리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87077B1 (ko)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9B1 (ko) 2021-10-18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6B1 (ko)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557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페이콕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KR20190004479A (ko) * 2017-07-04 2019-01-14 오흥일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5646A (ko) * 2017-07-27 2019-02-14 주식회사 지오엔지스 쇼핑몰 구매상품 출고 시스템
KR20180042179A (ko) * 2018-03-13 2018-04-25 전대연 스마트 무인스토어 시스템
KR102296924B1 (ko) * 2021-05-03 2021-09-01 (주) 더서비스플랫폼 온라인 구매 상품의 택스 리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O2022234996A1 (ko) * 2021-05-03 2022-11-10 (주) 더서비스플랫폼 온라인 구매 상품의 택스 리펀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87079B1 (ko) 2021-10-18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8B1 (ko) 2021-10-18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81B1 (ko) 2021-10-18 2022-04-19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7B1 (ko)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6B1 (ko)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3832B1 (en) Automated receiv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110059048A (ko)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US20220188765A9 (en) Automat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170169422A1 (en) Digital Token System for Physical Medium Digitalization and Physical Store Optimization
US201801018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Goods Incentivized by Rewards Program
US20130262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based vehicle registration and transactions
KR101486513B1 (ko) 푸드 코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48059A1 (en) System for Promoting Spontaneous Purchases of Goods Using Prestocked Lockers and Proximity Marketing
US20190057350A1 (en) Secure delivery bins
CN107004173A (zh) 改进的递送系统和方法
US10643173B2 (en) Smart delivery bins
KR20240023378A (ko) 마트 쇼핑용 상품 구매 시스템
JP2009211476A (ja) 車両向け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201803656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KR20070096757A (ko) 주차 요금 산출 방법
CN1208736C (zh) 自动收货及发货的系统
KR20090025091A (ko) 무인 택배 장치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246375A1 (ja) 情報処理装置
KR20050003678A (ko) 지역별 셔틀택배 시스템을 구비한 인터넷 b2c 상거래시스템과 방법
KR20010110608A (ko) 상품권을 매개로 한 면세품의 인터넷 예약 판매 방법 및시스템
KR20230156210A (ko) 호텔용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서비스 제공시스템
EP1667030A2 (en) Automated receiv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230065771A (ko) 배송정보 보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766029A (zh) 物品收容系统
AU2003262357B2 (en) Automated receiv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