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57A -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57A
KR20180021557A KR1020160106280A KR20160106280A KR20180021557A KR 20180021557 A KR20180021557 A KR 20180021557A KR 1020160106280 A KR1020160106280 A KR 1020160106280A KR 20160106280 A KR20160106280 A KR 20160106280A KR 20180021557 A KR20180021557 A KR 2018002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terminal
merchant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905B1 (ko
Inventor
권해원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콕
Priority to KR102016010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9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 구매 비용의 결제 완료 후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직접 제공하여 가맹점은 주문을 관리하는 별도의 종업원없이도 가맹점을 운영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인식 여부로 상품 수령 여부를 판단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알려주며 구매자의 주문 상품 수령에 상응하여 가맹점의 주문 리스트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가맹점의 주문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Method for managing order of consumer at order server}
본 발명은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직접 제공하여 가맹점은 주문을 관리하는 별도의 종업원없이도 가맹점을 운영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인식 여부로 상품 수령 여부를 판단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알려주며 구매자의 주문 상품 수령에 상응하여 가맹점의 주문 리스트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가맹점의 주문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맹점에서는 카드 결제를 위해 반드시 카드 리더기 또는 결제 단말기를 구비하여야 하며, 구매자는 상품 주문시 또는 비용 결제시 직접 결제 단말기가 배치되어 있는 계산대로 이동하여 카드 결제를 수행하여야 한다.
가맹점에서 구매자는 비용 결제 후 본인이 주문한 상품이 서비스 준비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 주문 상품을 받을 수 있는데, 가맹점은 주문 상품이 서비스 준비 완료되었는지를 구매자에 알려주기 위하여 구매자에게 주문 상품에 해당하는 순번을 등록한 진동자 등의 알림 수단을 제공하며 구매자는 할당받은 알림 수단이 진동하는 경우 구매한 주문 상품을 정해진 장소에서 수령한다.
최근에는 유무선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결제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온라인 결제 방식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모바일 결제방식과 카드 결제방식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12249호(이하 선행기술)에서는 모바일 결제방식과 카드 결제방식을 혼합하여 QR코드를 이용한 휴대폰 결제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모바일 단말기에서 가맹점 QR코드를 스캔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운영서버에서 가맹점 QR코드에 해당하는 결제창을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결제창에 결제 데이터를 입력하고, 결제 방식을 선택하여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운영서버에서 결제 데이터 및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금액의 승인을 결제서버로 요청하고, 결제서버에서 결제금액을 승인처리하고, 운영서버를 거쳐 모바일 단말기로 승인번호 및 결제완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가맹점은 QR 코드만을 이용하여 판매 비용을 결제하여 별도의 카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직접 결제서버로 연결되어 간편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나, 가맹점으로 결제 완료 후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가맹점에서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없으며, 구매자의 주문 상품 수령에 상응하여 가맹점의 주문 리스트를 자동으로 갱신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선행기술의 경우 가맹점에서 구매자가 주문한 상품이 서비스 준비 완료시,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 완료를 알려주기 위한 별도의 알림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기 때문에 알림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비용이 소모되며, 다수의 알림 수단을 계산대에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계산대가 복잡하여 미관상 또는 작업상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직접 제공하여 가맹점은 주문을 관리하는 별도의 종업원없이도 가맹점을 운영할 수 있는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인식 여부로 상품 수령 여부를 판단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알려주며 구매자의 주문 상품 수령에 상응하여 가맹점의 주문 리스트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가맹점의 주문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 완료시 구매자의 단말기로 직접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별도의 알림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가맹점 식별자와, 가맹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가맹점 식별자와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주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주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 결제 비용,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결제 정보와,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의 주문 내역,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 테이블 식별자를 구비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정보에서 결제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결제 정보는 결제 서버로 송신하고 서비스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결제 서버에서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의 결제 완료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결제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비스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가맹점에서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 완료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후, 상품 수거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수거 확인 단말기와 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수거 확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구비하는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기로 삭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삭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후, 수거 확인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상품 대기 메시지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1개의 가맹점에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 중 1개의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로 주문 현황을 상품 대기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여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현황을 서로 동기화 제어하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동시에 삭제 제어하여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상품 구매 비용의 결제 완료시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직접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은 비용의 결제 완료와 동시에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서비스 준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인식 여부로 상품 수령 여부를 판단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알려주며 구매자의 주문 상품 수령에 상응하여 가맹점의 주문 리스트를 자동으로 갱신함으로써, 가맹점에서 주문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의 주문 관리 방법은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 완료시 구매자의 단말기로 직접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별도의 알림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상품의 주문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주문 코드를 인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10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주문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에서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였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 확인 단말기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30)에는 구매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0),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가맹점 단말기(50),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를 인식하는 수거 확인 단말기(90),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하는 결제 서버(70) 및 주문 관리 서버(10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결제 서버(70) 또는 주문 관리 서버(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와 결제 서버(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가맹점 단말기(50)와 결제 서버(70) 또는 주문 관리 서버(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와 수거 확인 단말기(9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수거 확인 단말기(90)와 주문 관리 서버(100) 사이에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구매자가 소지하며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주문 코드를 식별하여 상품을 주문하고 주문 상품의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단말기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PD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10)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1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주문 코드를 식별하고 주문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 식별자를 이용하여 가맹점이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구매자가 별도로 가맹점 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상품 구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주문 코드를 인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맹점에는 주문 코드(1)가 배치되어 있으며, 구매자는 가맹점에서 상품을 주문하고자 하는 경우 가맹점의 주문 코드(1)를 카메라 모듈(11)을 통해 먼저 인식한다. 여기서 주문 코드는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코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QR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가맹점 단말기(50)는 가맹점에 배치되어 구매자가 주문한 상품의 주문 정보를 주문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며, 주문 정보에 따라 상품을 서비스 준비한 후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주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구매자가 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가맹점 단말기(50)는 스마트폰(51), 개인용 컴퓨터 또는 포스(POS)단말기(53),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상품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이를 주문 관리 서버로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거 확인 단말기(90)는 가맹점에 배치되어 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에 서비스 준비 완료된 상품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며, 서비스 준비 완료된 상품의 구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경우 구매자가 구매 상품을 수거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서버(70)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신용카드 등의 결제 수단의 결제를 처리하는 서버로, 결제 서버(70)는 구매자가 상품 구매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또는 주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수신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주문 상품의 비용을 결제 처리하며, 결제 완료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0), 가맹점 서버(50) 또는 주문 관리 서버(100)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가맹점의 상품 주문을 요청받는 경우 가맹점이 판매하는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 가맹점 단말기(50) 및 결제 서버(70)를 서로 중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가맹점에서 구매자의 구매 상품을 실시간으로 확인 후 구매 상품의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 상품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어 별도의 알림 시스템을 갖추기 않고 가맹점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10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구매자 정보 또는 가맹점 정보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등록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가맹점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의 요청시 송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가맹점 단말기로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관리부(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가맹점 식별자, 가맹점주, 가맹점 연락처 등의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하며, 각 가맹점별로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와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데이터베이스(153)에 저장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130)는 주문 관리 서버에 사용자를 등록시 송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 연락처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5)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주문 관리 서버(100)를 통해 상품 주문시 상품 주문 내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5)에 저장한다.
주문 관리부(17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정보 중 주문 상품 종류, 수량 등의 주문 내역을 구비하는 서비스 정보와 결제 비용, 신용카드 정보 등을 구비하는 결제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하고 추출한 결제 정보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결제 서버로 송신하며, 서비스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주문 관리부(170)는 추출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한해 저장한 서비스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거 관리부(190)는 구매자의 주문 상품이 서비스 준비 완료된 경우 구매자에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 완료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거확인 단말기에 근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다시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구매자가 상품을 수령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주문 관리부(170)는 동일한 가맹점에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 중 어느 1개의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나머지 가맹점 단말기로 주문 상품의 현재 상태를 서비스 준비 상태로 동기화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서버는 가맹점에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가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경우 가맹점 단말기를 서로 동기화 제어하여 가맹점에서 다수의 관리자가 용이하게 주문 상태를 동일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문 관리부(17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삭제하여 주문 리스트를 갱신 제어하거나, 가맹점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동시에 삭제 제어하여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를 동일하게 동기화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S110), 주문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S130), 검색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50). 주문 코드는 가맹점의 테이블 또는 계산대 등에 QR 코드의 형식으로 작성되어 배치되어 있는데, 주문 코드에는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는 가맹점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다. 주문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 중 주문 코드의 가맹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170), 주문 정보에서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 종류 및 수량 등을 구비하는 서비스 정보와 사용자가 구매 비용을 결제할 신용카드 번호 및 금액 등을 구비하는 결제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한다(S180). 추출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로 송신하며 결제 정보에 응답하여 결제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한다(S190). 바람직하게, 결제 완료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결제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5는 주문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주문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가맹점의 판매 상품의 종류,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구매자는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b)는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결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로, 앞서 설명한 주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수량이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한 결제 비용을 계산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되어 있는 또는 구매자가 입력한 신용카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을 최종 주문 요청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관리 방법에서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였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맹점에서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주문 상품을 주문한 사용자 단말기로 주문 상품이 서비스 준비 완료되었음을 알려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S210). 여기서 주문 상품이 음식인 경우 주문 음식이 조리 완료된 경우 서비스 준비가 완료된 것이며, 주문 상품이 제조물인 경우 제조물이 제작 완료된 경우 서비스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 후, 수거 확인 단말기로부터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며(S230), 인식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S250). 수거 확인 단말기는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데,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구비하는 인식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수거 확인 단말기는 주문 상품을 수령 대기하고 있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주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와 일치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임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인식 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문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데(S270), 경우에 따라 수거 확인 단말기로부터 임계 범위 이내에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는 것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수거 확인 단말기 근처를 지나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한해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정확하게 수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기로 삭제 메시지를 송신하여 구매자가 상품 수거 완료한 주문 상품을 주문 리스트 또는 대기 리스트에서 삭제 제어한다(S290).
그러나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정한 임계 시간이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며(S280),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정한 임계 시간이 초과한 경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재송신하여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도록 독려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 확인 단말기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맹점(S)에서 계산대 또는 주문 상품을 수령하는 장소(T)에 수거 확인 단말기(90)가 배치되어 있다. 수거 확인 단말기(90)의 통신 영역(R)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수거 확인 단말기(90)와 사용자 단말기는 서로 통신을 수행하여 수거 확인 단말기(9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한다.
수거 확인 단말기(9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구비하는 인식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 관리 서버로 송신하며, 주문 관리 서버는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 후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구매자가 주문 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수거 확인 단말기 근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30: 네트워크
50: 가맹점 단말기 70: 결제 서버
90: 수거 확인 단말기 100: 주문 관리 서버
110: 송수신부 130: 정보 관리부
150: 주문 관리부 170: 수거 관리부

Claims (7)

  1. 가맹점 주문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의상품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주문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가맹점 식별자와, 상기 가맹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식별자와 상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주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가맹점 식별자,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 결제 비용,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결제 정보와,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의 주문 내역,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 테이블 식별자를 구비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주문 정보에서 결제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상기 결제 서버에서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의 결제 완료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결제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서비스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상기 가맹점에서 주문 상품의 서비스 준비 완료시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후, 상품 수거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수거 확인 단말기와 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거 확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를 구비하는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수거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삭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삭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후, 상기 수거 확인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인식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품 대기 메시지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은
    1개의 가맹점에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 중 1개의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품 대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로 주문 현황을 상품 대기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상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현황을 서로 동기화 제어하며,
    상기 상품수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에서 상기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동시에 삭제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의 주문 리스트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코드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KR1020160106280A 2016-08-22 2016-08-22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KR10199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80A KR101994905B1 (ko) 2016-08-22 2016-08-22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80A KR101994905B1 (ko) 2016-08-22 2016-08-22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57A true KR20180021557A (ko) 2018-03-05
KR101994905B1 KR101994905B1 (ko) 2019-07-01

Family

ID=6172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80A KR101994905B1 (ko) 2016-08-22 2016-08-22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540B1 (ko) * 2020-08-05 2021-02-04 (주)샐러디 스마트 오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048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KR20120106121A (ko) * 2011-03-17 2012-09-26 코나아이 (주) 메뉴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한 스마트 단말 장치 및 모바일 밴 서버
KR20140125090A (ko) * 2013-04-18 2014-10-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7943A (ko) * 2014-05-07 2015-11-18 양찬웅 모바일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3674A (ko) * 2015-01-02 2016-07-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048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무인상품보관장치를 이용한 상품판매방법
KR20120106121A (ko) * 2011-03-17 2012-09-26 코나아이 (주) 메뉴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한 스마트 단말 장치 및 모바일 밴 서버
KR20140125090A (ko) * 2013-04-18 2014-10-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7943A (ko) * 2014-05-07 2015-11-18 양찬웅 모바일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3674A (ko) * 2015-01-02 2016-07-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540B1 (ko) * 2020-08-05 2021-02-04 (주)샐러디 스마트 오더 시스템
KR102361489B1 (ko) * 2020-08-05 2022-02-15 (주)샐러디 2차원 영상 정합에 기반한 상품 수령 인증을 지원하는 스마트 오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905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2895A (zh) 自动售货系统
US11263609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ally providing items based on item preferences
JP7485152B2 (ja) 売価管理装置、売価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21250970A1 (en) NFC mobile walle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53377B1 (ko) 모바일 주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76517A (ja) 購入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購入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523957A (zh) 商品数据处理装置及控制方法、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JP2023115311A (ja)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1994905B1 (ko)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KR20200000606A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160007986A (ko) 모바일 매출향상 지원 시스템 및 모바일 매출향상 지원 방법
KR20190061989A (ko) 식당 선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US20210056528A1 (en) Checkout system and checkout method
KR20210134541A (ko) 무선충전기
KR20130113299A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21079720A1 (ja)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7461261B2 (ja) 棚卸し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685281B1 (ko) 모바일 메신저와 연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판매 방법 및 그 장치
JP7480888B2 (ja) サーバ装置、購入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304193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e device
KR20020022261A (ko) 상품 구매를 위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구매 방법
JP7400530B2 (ja) 購入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購入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079764A1 (ja) 購入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購入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230021687A (ko)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70104793A (ko) Nfc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68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31

Effective date: 2019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