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644B1 -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644B1
KR102588644B1 KR1020230001207A KR20230001207A KR102588644B1 KR 102588644 B1 KR102588644 B1 KR 102588644B1 KR 1020230001207 A KR1020230001207 A KR 1020230001207A KR 20230001207 A KR20230001207 A KR 20230001207A KR 102588644 B1 KR102588644 B1 KR 10258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message
serve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콘즈
Priority to KR102023000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는 음식의 주문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공통 설정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CORESET 정보를 분석하여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확인 요청 메시지를 음식 제공 주체로 전송하여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의 주문에 대한 결과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주문 확인 메시지를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ING SERVER OF INTEGRATED ORDER SYSTEM USING APPLICATION BASED ON PLATFORM}
본 발명은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이 등록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음식의 주문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설치 및 실행이 용이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랫폼에 접근하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은 연령층에 속하는 대학생 등은 대학교와 같은 교육 기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식당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식당을 방문해야 하고, 더욱이 방문하기 전에는 해당 식당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종류나 각 음식의 제공까지 소요되는 시간 등을 확인하기 어려워 자신과 근접한 식당만을 이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대학생이 대학교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식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방문해야함에따라 직접 방문했을 경우,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 줄을 서서 대기하거나 주문 후에도 음식을 대기하는 시간을 식당에서 보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을 낭비하거나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5258호(2022.06.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이 등록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음식의 주문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이 등록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음식의 주문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같은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는 음식의 주문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공통 설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CORESET 정보를 분석하여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음식 제공 주체로 전송하여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식의 주문에 대한 결과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 설정 정보는 상기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 중 상기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 제공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는 음식 제공 주체 및 UUID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공통 설정 정보에 포함된 UUID를 가지는 음식 제공 주체를 상기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ORESET 정보는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음식을 준비하여 제공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의미하는 제1 CORESET 정보 및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을 출입하는 방식인 출입 방식을 의미하는 제2 CORESE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소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기 주문된 음식이 제공되는 방식을 자율 배식 방식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기본(default) 값인 경우,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상기 소요 시간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상기 소요 시간의 값이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CORESET 정보에 상기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에 출입하기 위해 정해진 출입 방식이 존재하지 않은 공간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 중 하나인 경우,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상기 출입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은 QR코드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 및 인증 번호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QR코드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인증에 사용되는 QR코드의 발급을 요청하는 지시자가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생성된 인증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방식이 지시하는 값이 인증 번호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번호의 발급을 요청하는 지시자가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 확인 메지시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의 주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음식 제공 주체의 주체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주체 정보의 내용이 반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는 각 음식 제공 주체의 명칭 및 로고, 각 음식 제공 주체가 소속된 기관의 명칭 및 로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에 대한 주체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음식 제공 주체와 같은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을 사용자가 주문, 예약 및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관련된 인력을 감축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인건비를 절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 제공 주체와 같은 식당에서 사용자가 줄을 서는 등 대기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고, 대학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이를 통해 음식 제공 주체의 사업과 관련하여 회전율과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하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라 할 수도 있음)은 플랫폼의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음식 제공 주체(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폼의 서버(100)의 주도적인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플랫폼을 관리하거나 운영하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는 단순히 단일의 서버(100)(즉, 하나의 서버)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에 기초하여 결제를 지원하는 결제 서버 및 정보의 중계를 지원하는 중계 서버 등과 같이 구분되어 복수의 서버들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 및 음식 제공 주체(300)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음식 제공 주체의 명칭, 로고, 음식의 종류 및 UUID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되거나 관리되는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플랫폼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을 기반으로 서버(100)와 서로 연동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서버(100)와 연동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을 기반으로 음식 제공 주체(300)와 직접 연동될 수도 있다.
한편, 음식 제공 주체(300)는 음식을 제공하는 주체의 서버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의 서버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식 제공 주체(300)는 플랫폼에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음식 제공 주체(300)의 명칭, 로고, 제공하는 음식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미리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 제공 주체(300)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을 기반으로 서버(100)와 서로 연동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서버(100)와 연동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식 제공 주체(300)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과 직접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음식 제공 주체(300)가 단일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음식 제공 주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와 통신을 기반으로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음식 제공 주체(300)의 물리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4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의 서버(100)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플랫폼의 서버(400)의 하드웨어적인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 단말(200) 및 음식 제공 주체(300)에도 유사 또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4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420) 및 저장 장치(4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의 서버(4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의 서버(4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4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450) 및 저장 장치(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4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폼의 서버(400)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음식 제공 주체(300)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의 서버(400)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구체적인 과정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의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음식 제공 주체(300)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플랫폼의 서버(4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100, 400)의 주도적인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플랫폼의 서버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는 음식의 주문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여기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 상에서 발생되는 음식의 선택이나 주문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 단말 상에서 발생되는 음식의 선택이나 주문과 관련하여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서버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상으로 음식의 선택이나 주문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랫폼에 접근하거나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음식들 중 하나의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선택되거나 주문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식의 주문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는 음식의 주문과 관련된 정보 및 주문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포함된 음식의 주문과 관련된 정보 및 주문된 음식에 대한 정보는 공통 설정 정보 및 CORESET 정보(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공통 설정 정보는 주문된 음식에 대한 정보로써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 중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 설정 정보와 관련된 UUID는 플랫폼에 등록된 음식 제공 주체와 서로 연계되어 미리 매칭되어 서버에 구축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 중 하나인 제1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공통 설정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확인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서버는 공통 설정 정보에 포함된 음식 제공 주체의 UUID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확인된 음식 제공 주체의 UUID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된 음식 제공 주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통 설정 정보에 포함된 UUID에 상응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 중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되거나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주체를 특정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CORESET 정보를 분석하여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300).
여기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는 단계 S10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공통 설정 정보와 함께 CORESET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정보는 음식의 주문과 관련된 정보로써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RESET 정보는 음식 제공 주체에서 주문된 음식을 준비하여 제공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의미하는 제1 CORESET 정보 및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을 출입하는 방식인 출입 방식을 의미하는 제2 CORESE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버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소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주문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인 소요 시간의 확인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서버는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기본(default) 값인 경우, 확인 요청 메시지에 소요 시간의 확인을 요청하는 지시자가 포함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주문된 음식에 대한 소요 시간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에 출입하기 위해 정해진 출입 방식이 존재하지 않은 공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인증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서버는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 중 하나인 경우, 확인 요청 메시지에 출입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에 대한 출입을 위해 필요한 인증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은 QR코드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 및 인증 번호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버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QR코드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인증에 사용되는 QR코드의 발급을 요청하는 지시자가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서버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출입 방식이 지시하는 값이 인증 번호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번호의 발급을 요청하는 지시자가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는 제1 CORESET 정보 및 제2 CORESET 정보를 분석하여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음식 제공 주체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확인 요청 메시지를 통해 확인되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음식 제공 주체로 전송하여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기본 값인 경우, 주문된 음식에 대한 소요 시간의 값에 대하여 확인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음식 제공 주체로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음식에 대한 소요 시간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 중 하나인 경우, 출입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음식 제공 주체로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출입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의 주문에 대한 결과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500).
구체적으로,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이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소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문 확인 메시지에 주문된 음식이 제공되는 방식이 자율 배식 방식임을 지기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이 지시하는 값 미리 설정된 기본 값인 경우,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된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소요 시간의 값이 주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문 확인 메시지에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에 출입하기 위해 정해진 출입 방식이 존재하지 않은 공간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저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 중 하나인 경우,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된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인증 정보가 주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제2 CORESET 정보와 관련하여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생성된 인증 정보 및 음식 제공 주체에 대한 주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의 서버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의 주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제2 데이터베이스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과 관련하여 각 음식 제공 주체의 명칭 및 로고, 각 음식 제공 주체가 소속된 기관의 명칭 및 로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에 대한 주체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체 정보 중 각 음식 제공 주체의 명칭은 맛나샘, 고를샘 및 어울샘 등과 같이 음식을 제공하는 주체인 식당의 이름을 의미할 수 있고, 음식 제공 주체의 로고는 각 식당을 표현하는 상표 등과 같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체 정보 중 각 음식 제공 주체가 소속된 기관의 명칭은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및 고대학교 등과 같이 음식을 제공하는 주체인 식당이 소속된 대학교 등과 같은 교육 기관의 이름을 의미할 수 있고, 기관의 로고는 교육 기관을 식별하기 위한 표장 등과 같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확인된 음식 제공 주체의 주체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주체 정보의 내용이 반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S520).
즉, 서버는 음식 제공 주체의 명칭, 로고, 음식 제공 주체가 소속된 기관의 명칭 및 로고의 내용이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미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CORESET 정보와 관련하여 확인된 정보(예를 들어, 주문된 소요 시간의 값) 및 제2 CORESET 정보와 관련하여 확인된 정보(예를 들어, 주문된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의 출입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의 내용이 함께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후, 플랫폼의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30).
이를 위해서,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에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지시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음식이 선택되거나 주문과 관련하여 생성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계 S200 내지 S500을 수행하여 생성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어플리케이션 상으로 선택되거나 주문된 음식과 관련하여 주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응하여 서버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포함되는 CORESET 정보로써 제1 CORESET 정보 및 제2 CORESET 정보만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며, 제1 CORESET 정보 및 제2 CORESET 정보를 동시에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단일의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상으로 음식이 최초 선택되는 경우, 제1 CORESET 정보만 포함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1 CORESET 정보만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제1 CORESET 정보만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식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서버로 해당 음식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 CORESET 정보만 포함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2 CORESET 정보만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포함된 CORESET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는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제1 CORESET 정보 및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제2 CORESET 정보 외 다양한 정보를 지시하는 CORESET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을 지시하는 제3 CORESET 정보, 조리 완료 여부를 지시하는 제4 CORESET 정보, 음식의 수령 방식을 지시하는 제5 CORESET 정보 및 결제 방식을 지시하는 제6 CORESET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제3 내지 제6 CORESET 정보의 확인 방식은 미리 설명된 제1 내지 제2 CORESET 정보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6 CORESTE 정보의 확인 방식은 이하의 표 1과 같이 정의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구분 확인 방식
제1 CORESET 정보 0: 자율 배식 방식
1: 확인 요청 메시지 반영 필요
제2 CORESET 정보 0: 출입 방식 없음
1: QR코드 기반의 출입 방식
2: 인증 번호 기반의 출입 방식
제3 CORESET 정보 0: 수령 제한 없음
1: 확인 요청 메시지 반영 필요
제4 CORESET 정보 0: 미완료
1: 완료
제5 CORESET 정보 0: 자율 배식 방식
1: 직접 수령 방식
2: 서빙 방식
제6 CORESET 정보 0: 현장 결제 방식
1: 플랫폼 결제 방식
표 1을 참조하면, 제1 CORESET 정보 및 제3 CORESET 정보에서 확인 방식 '1'은 미리 설정된 기본 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미리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 제공 주체로 확인이 필요한 값으로 확인 요청 메시지를 통해 음식 주체로 확인의 요청이 필요한 정보임을 의미할 수 있다.
표 1과 같이 정의되거나 미리 설정된 정보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으로 확인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확인되어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구체적인 과정과 관련된 실시예는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음식의 예약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응답이 가능한 CORESET 정보 중 제3 CORESET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3 CORESET 정보가 지시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5(b)를 참조하면 서버는 선택된 음식에 상응하는 제3 CORESET 정보가 지시하는 값이 '1'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확인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제3 CORESET 정보와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선택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음식 제공 주체는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값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값을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생성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의 값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음식에 대한 주문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4 CORESET 정보가 지시하는 조리 완료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음식에 대한 주문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4 CORESET 정보가 지시하는 조리 완료 여부의 값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제4 CORESET 정보가 지시하는 조리 완료 여부의 값이 표 1에 기재된 '1'로 확인되는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문자 메시지 외 카카오 알림톡 및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푸시 등의 방식을 통해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 도 5(d)를 참조하면 서버는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된 음식을 사용자가 수령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음식의 수령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도 5(d)에 도시돤 바와 같은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음식의 주문 번호, 음식의 명칭 및 수량, 제5 CORESET 정보에 상응하는 수령 방식, 음식을 제공한 음식 제공 주체의 명칭 및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레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 중 하나인 음식 제공 주체에서 제공하는 음식을 선택하거나 주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을 선택하거나 주문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식의 수량이 선택되거나 주문되는 경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의 CORESET 정보들 중 음식의 수량과 관련된 CORESET 정보(예를 들어, 표 1에 설명된 바 있는 제3 CORESET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음식의 선택이나 주문된 수량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의 가능 여부 또는 주문의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주문 확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는 음식을 선택하거나 주문하기 위한 방식이 '식권형'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식권의 수량이 선택되거나 주문될 수 있고, 도 6(b)는 음식을 즉시 선택하거나 주문할 수 있는 '즉시 주문형'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음식의 수량이 선택되거나 주문될 수 있다.
한편, 도 6(c)는 도 6(a)와 같은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을 완료한 '식권'의 사용이나 주문에 대한 내역을 서버에서 미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관리하거나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식권'의 사용이나 주문의 내역에 대한 확인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미리 저장하고 있는 '식권'의 사용이나 주문의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d)는 사용자 단말에서 음식의 주문이 완료된 경우, 서버에서 생성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d)를 참조하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이 완료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에서 생성된 인증 정보(예를 들어, QR코드 등과 같은 인증 정보를 의미할 수 있음)가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음식 제공 주체에서 생성된 주문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를 의미할 수 있는 번호(도 6(d)의 '5231'를 의미할 수 있음)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음식 제공 주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권의 수량에 대한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음식 제공 주체 400: 서버
410: 프로세서 420: 메모리
430: 송수신 장치 4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4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460: 저장 장치
470: 버스

Claims (5)

  1. 플랫폼(platform)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는 음식의 주문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공통 설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의 CORESET 정보를 분석하여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음식 제공 주체로 전송하여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식의 주문에 대한 결과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정보 블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설정 정보는,
    상기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식 제공 주체들 중 상기 주문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제공 주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ORESET 정보는,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로써 음식을 준비하여 제공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의미하는 제1 CORESET 정보,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을 출입하는 방식인 출입 방식을 의미하는 제2 CORESET 정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에 제공 가능한 음식의 수량을 의미하는 제3 CORESET 정보, 조리 완료 여부를 지시하는 제4 CORESET 정보, 음식의 수령 방식을 지시하는 제5 CORESET 정보 및 결제 방식을 지시하는 제6 CORESET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은 QR코드 기반의 인증 통한 출입 방식 및 인증 번호 기반의 출입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소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상기 주문된 음식이 제공되는 방식을 자율 배식 방식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CORESET 정보에 소요 시간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기본(default) 값인 경우,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상기 소요 시간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상기 소요 시간의 값이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식이 제공되는 공간에 출입하기 위해 정해진 출입 방식이 존재하지 않은 공간임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CORESET 정보에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출입 방식들 중 하나인 경우,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상기 출입 방식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음식의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식 제공 주체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주문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출입 방식을 지시하는 값이 QR코드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인증에 사용되는 QR코드 발급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입 방식이 지시하는 값이 인증 번호 기반의 인증을 통한 출입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음식을 제공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번호 발급을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01207A 2023-01-04 2023-01-04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8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207A KR102588644B1 (ko) 2023-01-04 2023-01-04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207A KR102588644B1 (ko) 2023-01-04 2023-01-04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644B1 true KR102588644B1 (ko) 2023-10-12

Family

ID=8829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207A KR102588644B1 (ko) 2023-01-04 2023-01-04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6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46A (ko) * 2015-06-26 2017-01-04 이원삼 근거리무선통신 기기 환경하에서의 음식메뉴 주문방법
KR20180101759A (ko) * 2017-03-06 2018-09-14 이성빈 메시지 시스템
KR20190004479A (ko) * 2017-07-04 2019-01-14 오흥일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3005A (ko) *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레이월드 음식점의 무인주문 및 결제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103983A (ko) * 2019-02-26 2020-09-0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도착 예정시간을 고려한 음식 선주문 시스템
KR20220025354A (ko) * 2020-08-24 2022-03-03 김승연 무인점포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형 무인점포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75258A (ko) 2020-11-29 2022-06-08 주식회사 와이콘즈 집단감염병 예방용 출입안전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46A (ko) * 2015-06-26 2017-01-04 이원삼 근거리무선통신 기기 환경하에서의 음식메뉴 주문방법
KR20180101759A (ko) * 2017-03-06 2018-09-14 이성빈 메시지 시스템
KR20190004479A (ko) * 2017-07-04 2019-01-14 오흥일 식음료 매장 주문 및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3005A (ko) * 2018-12-13 2020-06-23 주식회사 레이월드 음식점의 무인주문 및 결제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103983A (ko) * 2019-02-26 2020-09-0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도착 예정시간을 고려한 음식 선주문 시스템
KR20220025354A (ko) * 2020-08-24 2022-03-03 김승연 무인점포환경에 따라 제공되는 맞춤형 무인점포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75258A (ko) 2020-11-29 2022-06-08 주식회사 와이콘즈 집단감염병 예방용 출입안전확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6999B2 (en) Customer interaction manager on a point of sale computer
JP6297008B2 (ja) リアルタイム会話を基盤とした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870555B2 (en) Customer interaction manager on a restaurant computer
US20120173350A1 (en) Mobile application facilitating restaurant activities and methods thereof
US20170186112A1 (en) End to end user device platform
KR101342204B1 (ko) 서버, 기업간 정보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163094B2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US10311382B2 (en) Online object reservation system and online object reservation method
KR20190018290A (ko)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33468B1 (ko)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129112B1 (ko) 블록체인 간편결제 플랫폼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비대면 원스탑 주문예약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JP5706999B1 (ja) 店舗用装置、店舗用装置の制御方法、店舗用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588644B1 (ko)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통합 주문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9996828B2 (en) Customer interaction manager on a mobile smart device
JP6453950B1 (ja) 顧客管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顧客管理システム
JP6600896B1 (ja) 情報転送情報処理装置、情報転送情報処理装置を用いた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転送システム
JP2017130018A (ja) サーバ装置、予約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99987B1 (ja) アクション制御システム、アクション制御サーバ及びアクション制御方法
JP7350377B2 (ja) 宿泊施設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施設端末、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36099A (ja) 順番管理システム、順番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18459A (ko) 실시간 예약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3122398A (ja) 注文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947032B2 (en) Customer interaction manager
KR100731258B1 (ko) 의전(儀典)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