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992B1 - 코팅 및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팅 및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992B1
KR101958992B1 KR1020180113890A KR20180113890A KR101958992B1 KR 101958992 B1 KR101958992 B1 KR 101958992B1 KR 1020180113890 A KR1020180113890 A KR 1020180113890A KR 20180113890 A KR20180113890 A KR 20180113890A KR 101958992 B1 KR101958992 B1 KR 10195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drying
unit
ai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일
Original Assignee
(주)비전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비전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8011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4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 B05C11/048Scrapers, i.e. metering blades having their edge oriented in the upstream direction in order to provide a reverse angle of at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 B05C1/0869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the work contacting the p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코팅 시스템에 있어서 코팅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코팅대상물을 가압하는 장력조절부가 구비되고, 코팅 대상물의 코팅층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조절부 및 외부 대기를 흡입한 후 이를 건조에 필요한 온도로 변환하여 배출하는 건조부를 포함한 것으로, 이를 통해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코팅층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외부 대기를 이용하여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형성 및 배출하여 신속한 건조가 가능한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롤에 의해 이송되는 코팅 대상물을 코팅한 후 건조시키는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코팅 대상물이 권취된 피동롤러가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피동롤러에서 배출된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코팅 대상물을 도포하기 위한 코팅액이 수용된 코팅조와, 상기 코팅조에 배치되는 코팅롤러를 포함한 코팅부와, 코팅된 코팅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부에는 코팅 대상물에 도포된 코팅액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코팅 두께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팅 및 건조 시스템{Coating and drying system}
본 발명은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코팅 시스템에 있어서 코팅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코팅대상물을 가압하는 장력조절부가 구비되고, 코팅 대상물의 코팅층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조절부 및 외부 대기를 흡입한 후 이를 건조에 필요한 온도로 변환하여 배출하는 건조부를 포함한 것으로, 이를 통해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코팅층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외부 대기를 이용하여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형성 및 배출하여 신속한 건조가 가능한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 나이프 코팅(Air-knife coating)이란 층류(laminar flow) 공기를 필름의 표면에 출돌시켜 과잉의 코팅액을 제거하는 과정이 포함된 코팅법으로써, 이러한 에어 나이프 코팅은 물에 분산하여 사용하는 코팅 물질에 주로 적용되며, 따라서 필름의 일면에 도포된 코팅 물질을 건조하는 과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에어 나이프 코팅에서 필름에 도포된 코팅 물질의 건조를 위한 종래 방식 및 장치의 경우, 필름에 도포된 코팅 물질을 비교적 약한 열풍을 통해 건조시킨 다음 이러한 열풍 건조 과정에서 필름에 생긴 주름을 펴주기 위해 해당 필름에 다시 물을 묻힌 후 다림질 형태의 가공을 하는 것이었지만, 이미 주름이 생긴 필름을 주름이 생기기 전과 같은 상태로 펴주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즉, 에어 나이프 코팅은 코팅 대상에 얇은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코팅 대상에 비교적 두껍게 도포된 코팅층을 열풍 건조 시 해당 코팅 대상에 주름 등의 변형이 생기게 되고, 이렇게 변형이 생긴 코팅 대상을 다시 변형 전과 같은 상태로 펴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3116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에어 나이프 코팅장치의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코팅 대상의 수분 함유량을 실시간 감지하는 동시에 수분 함유량의 감지 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감지되는 수분 함유량에 따라 열풍 건조 중인 해당 코팅 대상에 대한 수분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열풍 건조 과정을 거친 코팅 대상이 주름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건조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코팅 과정의 각 단계마다 수분 함유량을 감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 배치되는 다수의 수분 감지 센서와 이에 매칭된 수분 공급 노즐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장비가 대형화될 수 밖에 없고,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분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건조시 발생하는 주름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31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코팅 시스템에 있어서 코팅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코팅대상물을 가압하는 장력조절부가 구비되고, 코팅 대상물의 코팅층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조절부 및 외부 대기를 흡입한 후 이를 건조에 필요한 온도로 변환하여 배출하는 건조부를 포함한 것으로, 이를 통해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코팅층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외부 대기를 이용하여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형성 및 배출하여 신속한 건조가 가능한 코팅 및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롤에 의해 이송되는 코팅 대상물을 코팅한 후 건조시키는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코팅 대상물이 권취된 피동롤러가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피동롤러에서 배출된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코팅 대상물을 도포하기 위한 코팅액이 수용된 코팅조와, 상기 코팅조에 배치되는 코팅롤러를 포함한 코팅부와, 코팅된 코팅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부에는 코팅 대상물에 도포된 코팅액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코팅 두께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 두께조절부는, 상기 코팅조의 상방에 결합되며, 코팅 대상물이 인입되는 인입공과, 코팅액이 도포된 코팅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면에서 상기 배출공을 기준으로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어 코팅 대상물에 도포된 코팅액의 두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코팅블레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덮개에는, 상기 코팅조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외기를 흡입하는 순환모터와, 흡입된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 후 이를 배출하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와 연통되어 열풍을 일정 압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 나이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 나이프는, 열풍이 인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고정브라켓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와 연통되며, 열풍이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 이동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베이스와 상판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기둥과,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와, 상기 압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 중 상방에 배치되는 압착플레이트가 저면에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에 나사체결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롤에 의해 이송되는 코팅 대상물이 이동하는 과정 중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코팅액이 저장된 코팅조에 코팅 대상물을 침지시켜 코팅액을 도포한 후, 침지과정에서 코팅 대상물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두께로 부착된 코팅액을 두께조절부를 통하여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코팅층의 불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기를 흡입한 후 가열하여 생성한 열풍을 통해 코팅액을 코팅 대상물에 흡착 및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인 코팅 및 건조시스템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및 건조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부 및 두께조절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부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및 건조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및 건조시스템(1)은, 베이스프레임(10)과, 장력조절부(20)와, 코팅부(30)와, 두께조절부(40) 및 건조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다수의 판재와 기둥들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한 것으로, 하단에 지면과 맞닿는 다리 및 이동 가능하도록 캐스터 등이 더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11)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12)와 대향되는 방향에는 코팅 대상물(S)이 권취되며 상기 코팅 대상물(S)의 일단이 구동롤러(12)에 감긴 상태에서 전달된 힘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동롤러(13)가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한 쌍의 롤러가 배치되되, 어느 일측의 롤러에 구동모터(11)를 체인 또는 벨트 등과 같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연결하여 회전시키고, 타측의 롤러는 코팅 대상물에 의해 전달된 힘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1)와 연결된 구동롤러(12)가 회전함으로써 코팅 대상물을 당기는 힘으로 피동롤러(13)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피동롤러(13)에 권취된 코팅 대상물(S)을 배출하도록 하여 양 롤러 사이에서 이동하는 코팅 대상물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이송되는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이송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보조롤러(14)가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20)는, 이동 중인 코팅 대상물(S)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구동롤러(12)와 피동롤러(13)의 거리 또는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코팅 대상물이 장력이 유지되지 않아 쳐질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절부(20)를 통하여 양 롤러 사이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부(20)는 피동롤러(13)와 후술하는 코팅부(30)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부(20)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판(22)과, 상기 베이스(21)와 상판(2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기둥(23)과, 상기 베이스(21)의 상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와, 상기 압착플레이트(24)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1)는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21)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기결합된 고정체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생산 및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 대상물의 크기(면적)에 상응하는 크기의 베이스를 고정체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판(22)은 상기 베이스(21)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21)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수직기둥(23)은 상기 베이스(21)와 상판(22) 사이에 다수개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21)와 상판(22)의 사이 공간을 유지한다.
상기 압착플레이트(24)는 상기 베이스(21)의 상방에 한 쌍이 사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로 코팅 대상물이 진입 및 배출되고,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가 통과하는 코팅 대상물과 맞닿아 마찰력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플레이트(24)는 맞닿은 코팅 대상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처리되는데, 이는 압착플레이트(24)를 연성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플레이트(24)는 통과하는 코팅 대상물의 이동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플레이트(24)는 통과하는 코팅 대상물의 두께 또는 재료에 따라서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승강수단(25)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25)은 상기 압착플레이트(24) 중 상기 상판(22)측에 배치되는 압착플레이트(2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착플레이트(24)가 결합되는 승강판(251)과, 상기 승강판(251)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기둥(23)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블록(252)과, 상기 승강판(251)의 상면에 배치되는 고정너트(253)와, 상기 고정너트(253)에 나사체결되는 장볼트(254)와, 상기 장볼트(254)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5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승강수단(25)은, 작업자가 핸들(255)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판(251)의 높이를 조절하고, 여기서 상기 핸들의 동작은 작업자의 수작업 또는 별도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한 제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장력조절부(20)의 동작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구동롤러(12)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코팅 대상물이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사이로 통과하는데, 이때 코팅 대상물이 압착플레이트(24) 사이에 맞닿아 저항력이 발생한다. 즉, 구동롤러(12)가 당기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여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유지한다.
여기서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 중 어느 하나의 높이를 승강수단(25)을 통하여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코팅 대상물의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서 요구되는 장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25)의 동작은 작업자가 핸들(255)을 회전시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제어가 용이하고 코팅 대상물(S)의 두께 및 재질에 따라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코팅부(30)는,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된 코팅 대상물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코팅액이 저장된 코팅조(31)와, 상기 코팅조(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코팅 대상물을 지지하는 코팅롤러(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조(3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며 코팅 대상물이 인입 및 배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내부 동작 상태 및 코팅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 형성되거나 투시창이 구비된다.
상기 코팅롤러(32)는 코팅조(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코팅 대상물을 지지하며 동시에 이동하는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하는 코팅 대상물의 이동력에 의하여 자전(自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팅조(31)에는 코팅 대상물에 형성된 코팅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두께조절부(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두께조절부(40)는 상기 코팅조(31)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41)과, 상기 덮개(41)의 상면에 배치되는 코팅블레이드(44)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41)는 코팅조(31)의 개구된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코팅 대상물이 코팅조(31)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관통 형성된 인입공(42)과, 코팅액이 도포된 코팅 대상물이 코팅조(31)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입공(42) 및 배출공(43)이 길이, 폭, 상호간의 간격은 코팅 대상물에 따라 조절되어야 하므로 상기 덮개(41)가 코팅조(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코팅블레이드(44)는, 상기 덮개(41)의 상면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배출공(43)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43)을 통해 배출되는 코팅 대상물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을 일정 두께만큼 걸러내어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한다.
즉, 상기 코팅블레이드(44)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형성된 간격으로 코팅액이 도포된 코팅 대상물이 통과하고, 이때 코팅블레이드(44)와 맞닿는 코팅액은 코팅 대상물로부터 이격 분리되면서 코팅 대상물에 동일한 두께의 코팅액이 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블레이드(44)는 상하로 연장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41)에 형성된 배출공(43)측을 향해 단부가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블레이드(44)는 상기 덮개(41)에 형성된 체결공(45)에 고정 나사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덮개(41)에는 코팅조(31)의 내부로 외부 공기 및 이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부(46)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에어커튼부(46)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에어탱크(도면 중 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인입공(42)의 상방으로 일정한 속도 및 압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해 줌으로써 외부 공기가 코팅조(3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코팅 대상물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표면에 남아 있는 습기 또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압축공기는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인 질소(窒素)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조부(50)는, 코팅 대상물에 도포된 코팅액을 흡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기를 흡입하는 순환모터(51)와, 흡입된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 후 이를 배출하는 열풍기(52)와, 상기 열풍기(52)와 연통되어 열풍을 일정 압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 나이프(53)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모터(5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를 통해 동작하면서 외기를 흡입하는 것이고,
상기 열풍기(52)는 순환모터(51)를 통해 흡입된 외기를 전달 받아 이를 일정한 온도를 가지는 열풍으로 가열한 후 상기 에어 나이프(53)측으로 가열된 공기를 이송한다.
상기 에어 나이프(53)는 이동된 열풍을 코팅 대상물측으로 배출하여 코팅액을 코팅 대상물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이를 건조시키는 것으로, 열풍이 인입되는 입구(532)가 형성되며 고정브라켓(533)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체(531)와, 상기 고정체(531)와 연통되며 열풍이 배출되는 출구(535)가 구비된 이동체(5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534)는 커버(536)와 상기 커버(536)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즐(도면 중 미도시됨)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536)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변위장공(537)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에는 상기 변위장공(53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변위나사(538)가 구비되어 상기 변위나사(538)의 조임 및 해제 그리고 이동에 따라 이동체(53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동체(534)의 출구(535)와 코팅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데, 이는 코팅 대상물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출구(535)와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출구(535)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압력 및 온도를 코팅 대상물에서 코팅층의 흡착 및 건조에 필요한 조건에 상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및 건조시스템
10 : 베이스프레임
11 : 구동모터 12 : 구동롤러
13 : 피동롤러 14 : 보조롤러
20 : 장력조절부
21 : 베이스 22 : 상판
23 : 수직기둥 24 : 압착플레이트
25 : 승강수단
251 : 승강판 252 : 승강블록
253 : 고정너트 254 : 장볼트
255 : 핸들
30 : 코팅부
31 : 코팅조 32 : 코팅롤러
40 : 두께조절부
41 : 덮개 42 : 인입공
43 : 배출공 44 : 코팅블레이드
45 : 체결공 46 : 에어커튼부
50 : 건조부
51 : 순환모터 52 : 열풍기
53 : 에어나이프
531 : 고정체 532 : 입구
533 : 고정브라켓 534 : 이동체
535 : 출구 536 : 커버
537 : 변위장공 538 : 변위나사

Claims (7)

  1. 롤에 의해 이송되는 코팅 대상물을 코팅한 후 건조시키는 코팅 및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모터(1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상기 구동롤러(12)에 대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며 코팅 대상물이 권취된 피동롤러(13)가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피동롤러(13)에서 배출된 코팅 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판(22)과,
    상기 베이스(21)와 상판(22)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기둥(23)과,
    상기 베이스(21)의 상방에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와,
    상기 압착플레이트(24)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5)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25)은,
    한 쌍의 압착플레이트(24) 중 상방에 배치되는 압착플레이트(24)가 저면에 결합되는 승강판(251)과,
    상기 승강판(251)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수직기둥(23)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블록(252)과,
    상기 승강판(251)의 상면에 배치되는 고정너트(253)와,
    상기 고정너트(253)에 나사체결되는 장볼트(254)와,
    상기 장볼트(254)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55)을 포함하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코팅 대상물을 도포하기 위한 코팅액이 수용된 코팅조(31)와, 상기 코팅조(31)에 배치되는 코팅롤러(32)를 포함한 코팅부(30)와,
    코팅된 코팅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부(50)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부(30)에는 코팅 대상물에 도포된 코팅액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코팅 두께조절부(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코팅 두께조절부(40)는,
    상기 코팅조(31)의 상방에 결합되며, 코팅 대상물이 인입되는 인입공(42)과, 코팅액이 도포된 코팅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공(43)이 형성된 덮개(41)와,
    상기 덮개(41)의 상면에서 상기 배출공(43)을 기준으로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어 코팅 대상물에 도포된 코팅액의 두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코팅블레이드(44)와,
    상기 코팅조(31)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부(46)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건조부(50)는,
    외기를 흡입하는 순환모터(51)와,
    흡입된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 후 이를 배출하는 열풍기(52)와,
    상기 열풍기(52)와 연통되어 열풍을 일정 압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 나이프(53)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나이프(53)는,
    열풍이 인입되는 입구(532)가 형성되며 고정브라켓(533)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체(531)와,
    상기 고정체(531)와 연통되며, 열풍이 배출되는 출구(535)가 구비되고, 커버(536)와, 상기 커버(5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변위장공(537)이 형성되고, 상기 변위장공(53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변위나사(538)에 결합된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변위나사의 조임 및 해제 그리고 이동에 따라 상기 노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체(5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및 건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3890A 2018-09-21 2018-09-21 코팅 및 건조 시스템 KR10195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890A KR101958992B1 (ko) 2018-09-21 2018-09-21 코팅 및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890A KR101958992B1 (ko) 2018-09-21 2018-09-21 코팅 및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992B1 true KR101958992B1 (ko) 2019-03-18

Family

ID=6594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890A KR101958992B1 (ko) 2018-09-21 2018-09-21 코팅 및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9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4203A (zh) * 2019-10-21 2019-12-27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极片刮涂机
CN111229493A (zh) * 2020-01-14 2020-06-05 重庆实创钢结构有限公司 钢结构上漆线
CN111774253A (zh) * 2020-05-27 2020-10-16 黄山天之都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分子筛转轮蜂窝胚体基材复卷装置
CN115999854A (zh) * 2023-02-22 2023-04-25 徐州谷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均匀涂胶功能的光伏组件生产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15Y1 (ko) * 2002-04-12 2002-08-30 정덕기 액체 코팅기
KR20050086360A (ko) * 2004-02-25 2005-08-30 가부시키카이샤 에스디아이 딥코팅 방법 및 장치
KR20150028986A (ko) * 2012-06-11 2015-03-17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용융 땜납 박막 피복 장치, 박막 땜납 피복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7272B1 (ko) * 2015-05-27 2016-08-09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도포 장치
KR20180043116A (ko) 2016-10-19 2018-04-27 고학석 에어 나이프 코팅장치의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15Y1 (ko) * 2002-04-12 2002-08-30 정덕기 액체 코팅기
KR20050086360A (ko) * 2004-02-25 2005-08-30 가부시키카이샤 에스디아이 딥코팅 방법 및 장치
KR20150028986A (ko) * 2012-06-11 2015-03-17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용융 땜납 박막 피복 장치, 박막 땜납 피복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7272B1 (ko) * 2015-05-27 2016-08-09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도포 장치
KR20180043116A (ko) 2016-10-19 2018-04-27 고학석 에어 나이프 코팅장치의 건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4203A (zh) * 2019-10-21 2019-12-27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极片刮涂机
CN110614203B (zh) * 2019-10-21 2024-02-09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极片刮涂机
CN111229493A (zh) * 2020-01-14 2020-06-05 重庆实创钢结构有限公司 钢结构上漆线
CN111774253A (zh) * 2020-05-27 2020-10-16 黄山天之都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分子筛转轮蜂窝胚体基材复卷装置
CN111774253B (zh) * 2020-05-27 2021-05-14 黄山天之都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分子筛转轮蜂窝胚体基材复卷装置
CN115999854A (zh) * 2023-02-22 2023-04-25 徐州谷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均匀涂胶功能的光伏组件生产设备
CN115999854B (zh) * 2023-02-22 2023-09-15 徐州谷阳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均匀涂胶功能的光伏组件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992B1 (ko) 코팅 및 건조 시스템
KR101647272B1 (ko) 액체 도포 장치
CA230817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insulated glass units with insulating gas
JP3200763B2 (ja) 両面塗工型塗工装置
KR101320895B1 (ko) 텐션 조절이 가능한 롤 코팅 장치
WO2016157357A1 (ja) フラックス塗布装置及びはんだ
US37885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nd tensioning a web
US5389187A (en) Apparatus for tire tread application
JPH0362995B2 (ko)
US266857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ating fabric on either or both faces
CN207132687U (zh) 一种数控微波薄膜烘干机
CN107323085B (zh) Uv上光机流平装置及其使用方法和应用
US3577653A (en) Web drying tunnel
CN1154298A (zh) 药用铝箔印刷涂布工艺及设备
KR102210074B1 (ko) 용액 제막 장치 및 방법
KR20090007669U (ko) 필름코팅장치
JP6660246B2 (ja) 乾燥装置、及び塗布システム
KR20110072646A (ko) 원단 코팅기용 원단 평활도 유지장치
KR101454272B1 (ko) 세정 장치
KR20150107298A (ko) 종이의 수분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오바코팅기
JP7402141B2 (ja) 処理炉
KR20140017094A (ko) 기판처리장치의 선형구동장치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102289427B1 (ko) 도어 포장 시스템
KR200204631Y1 (ko) 스폰지의 자동 압축장치
KR200268591Y1 (ko) 도포두께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필름도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