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825B1 -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825B1
KR101958825B1 KR1020180034437A KR20180034437A KR101958825B1 KR 101958825 B1 KR101958825 B1 KR 101958825B1 KR 1020180034437 A KR1020180034437 A KR 1020180034437A KR 20180034437 A KR20180034437 A KR 20180034437A KR 101958825 B1 KR101958825 B1 KR 10195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idiary material
subsidiary
punching
material shee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플렉스
김신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플렉스, 김신, 김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플렉스
Priority to KR102018003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Punching of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언와인더 롤;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상기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를 타발하는 타발커터와,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로 공급된 상기 타발커터를 가압하여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모터 장착 롤러와,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비젼 카메라를 포함하는 부자재 타발부;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타발된 부자재를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분리 후 회수하는 부자재 회수부; 상기 부자재 타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리와인더 롤; 및 상기 언와인더 롤, 상기 부자재 타발부, 상기 부자재 회수부, 및 상기 리와인더 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부자재 시트의 공급 및 타발커터의 공급과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의 탈거 및 회수를 자동화함으로써 부자재의 양산 속도를 증가시키고 부자재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적자원을 절감시켜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발작업 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Punchingdevice of supporting members onto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를 부자재 시트에서 타발하는 공정을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자동화된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섬유, 수지 필름, 금속 시트, PCB, FPCB, 광학 필름 등의 시트형 소재에 일정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성형하는 성형장치는 일정 패턴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가 외주면에 장착된 절단 롤러를 이용하여 소재를 절단한다.
이러한 절단 롤러는 공급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트형 소재의 이송 경로 중간에 지지 롤러와 맞대어지도록 설치되며, 시트형 소재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시트형 소재의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회전하는 절단 롤러를 이용하면 시트형 소재를 절단하기 위해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시트형 소재에 대한 성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절단 롤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는 대상물에 형성될 성형 패턴에 따라 다양한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고, 블레이드의 종류에 따라 시트형 소재를 다양한 형태로 절단하여 성형할 수 있다. 즉,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는 시트형 소재에 일정 패턴의 구멍을 형성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시트형 소재로부터 일정 패턴의 절단 성형물을 획득하는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구조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1594호(2010.12.16. 공개)에는 원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는 원재료가 감겨져 있는 스토리지 릴과, 스토리지 릴로부터 풀려진 원재료를 공급 또는 회수할 수 있도록 원재료가 사이에 끼워져 이송되는 상하 공급롤러와, 상하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원재료가 끼워져 이송되되 서로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원재료를 붙들거나 풀어주게 되는 상하 홀딩롤러와, 홀딩롤러를 통과한 원재료가 컷팅되는 패턴이 형성된 커팅 시트가 부착된 실린더 롤러와, 키팅 시트의 패턴이 원재료에 인쇄되도록 실린더 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는 카운터 롤러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는 절단 롤러의 커팅 시트가 시트형 소재에 밀착하여 시트형 소재를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이 절단 롤러와 부착되거나 시트형 소재에서 분리되지 않고 달라붙은 상태로 시트형 소재와 함께 이송됨으로써 불량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폭이 넓은 시트형 소재를 절단 시에는 대형의 절단 롤러가 사용됨으로써 커팅장치가 무거워지고, 다른 패턴을 절단 시 절단 롤러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의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의 타발 시 비젼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정밀한 타발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부자재 시트에서 타발된 부자재를 탈지필름 및 부자재 회수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언와인더 롤;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상기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를 타발하는 타발커터와,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로 공급된 상기 타발커터를 가압하여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모터 장착 롤러와,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비젼 카메라를 포함하는 부자재 타발부;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타발된 부자재를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분리 후 회수하는 부자재 회수부; 상기 부자재 타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리와인더 롤; 및 상기 언와인더 롤, 상기 부자재 타발부, 상기 부자재 회수부, 및 상기 리와인더 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는,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 및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 조절 롤과,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 조절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부자재 타발부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모터 장착 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이송을 단속하는 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자재 타발부는 상기 타발커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타발커터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타발커터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롤러는 가압롤러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 이동부재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가압롤러를 연결하며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 롤러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모터 장착롤로 이루어지는 전단 이동 롤러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모터 장착롤로 이루어지는 후단 이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 클램프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단 클램프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 클램프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을 단속하는 후단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자재 회수부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측으로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타발되는 부자재가 부착되는 롤 형태로 감긴 탈지필름을 풀면서 공급하는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과,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과 대응되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을 지나면서 일면에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타발된 부자재가 부착된 탈지필름을 감으면서 회수하는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과,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과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탈지필름의 장력을 조절하는 탈지필름 장력조절 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제1언와인더 롤; 상기 제1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하부 테이블과,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내측에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지지하며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면서 회수하는 제1타발커터부재와,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 의해 타발된 후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 보관되는 부자재를 회수하는 제1부자재 회수부재를 포함하는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되어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제1리와인더 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와 상기 제1가압롤러의 사이에 보호필름을 공급한 후 회수하는 제1보호필름 이송부; 및 상기 제1언와인더 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1리와인더 롤,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는,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 및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상기 제1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는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제1비젼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는 상기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며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1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는 피나클 칼날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서 이격시키는 시트 이격모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 이격모재는 상기 피나클 칼날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피나클 칼날에 의해 타발된 부자재가 이동되는 이동유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부자재 회수부재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피나클 칼날에 의해 타발된 부자재가 상기 이동유로를 통해 상기 제1부자재 회수부재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는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와 상기 제1가압롤러의 사이로 보호필름을 공급하는 제1보호필름 공급롤과,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를 통과한 상기 보호필름을 회수하는 제1보호필름 회수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제2언와인더 롤; 상기 제2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하부 테이블과,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내측에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지지하며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면서 회수하는 제2타발커터부재와,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에 의해 타발된 후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에 보관되는 부자재를 회수하는 제2부자재 회수부재와,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제2모터 장착 롤러와,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제2비젼 카메라와, 상기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며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2클램프부재와,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테이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되어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제2리와인더 롤;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사이에 보호필름을 공급한 후 회수하는 제2보호필름 이송부; 상기 제2언와인더 롤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2리와인더 롤, 상기 제2보호필름 이송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에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 및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상기 제2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부자재 시트의 공급 및 타발커터의 공급과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의 탈거 및 회수를 자동화함으로써 부자재의 양산 속도를 증가시키고 부자재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적자원을 절감시켜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발작업 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자재 타발부가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서 부자재 시트가 타발커터에 의해 타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타발커터가 장착되는 제판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가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 후 회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하부 테이블이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1000)는 언와인더 롤(1100)과, 부자재 타발부(1200)와, 부자재 회수부(1300)와, 리와인더 롤(1400)과, 제어부(1500)를 포함하고, 장력조절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와인더 롤(1100)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20)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10)를 후술되는 부자재 타발부(1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언와인더 롤(1100)에는 부자재 시트(10)가 롤 형태로 감기며, 상기 언와인더 롤(11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부자재 시트(10)가 풀리면서 부자재 타발부(120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언와인더 롤(1100)에서 공급되는 부자재 시트(10)는 부자재 타발부(1200)로 이송되어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가 타발된 후 부자재(20)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10)는 후술되는 리와인더 롤(1400)로 회수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언와인더 롤(1100)에서 공급되는 부자재 시트(10)는 부자재 타발부(1200)에서 부자재(20)가 부자재 시트(10)에서 타발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는 하부 테이블(1210), 타발커터(1220), 가압롤러(1230), 가압롤러 이동부재(1240), 모터 장착 롤러(1250)와, 비젼 카메라(1260)와, 회전모터(1270)와, 클램프부재(1280)와, 타발커터 이동부재(1290)를 포함한다.
상기 언와인더 롤(1100)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10)는 하부 테이블(1210)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상부로는 타발커터(1220)가 공급된다. 상기 타발커터(1220)에는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타발되는 부자재(20)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타발커터(1220)는 가압롤러(1230)에 의해 가압되어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를 타발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1230)는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상부로 공급된 타발커터(1220)를 가압하여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를 타발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가압롤러(1230)는 가압롤러 이동부재(1240)에 의해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1230)는 가압롤러 회전모터(1232)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압롤러(1230)가 상기 가압롤러 회전모터(1232)에 의해 부자재 시트(1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부자재 시트(10)가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모터 장착 롤러(125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 장착 롤러(1250)는 부자재 시트(10)를 파지하여 하부 테이블(12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모터 장착 롤러(1250)는 전단 장착 롤러(1251)와 후단 장착 롤러(1253)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장착 롤러(1251)는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1210)로 이동되는 부자재 시트(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모터 장착롤(12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모터 장착롤(1252)은 제1상부모터 장착롤(1252a) 및 제1하부모터 장착롤(1252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모터 장착롤(1252a)과 제1하부모터 장착롤(1252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기 부자재 시트(10)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타단에는 후단 장착 롤러(1253)가 구비되며, 상기 후단 장착 롤러(1253)는 후술되는 리와인더 롤(1400)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모터 장착롤(1254)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모터 장착롤(1254)은 제2상부모터 장착롤(1254a) 및 제2하부모터 장착롤(1254b)을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모터 장착롤(1254a)과 제2하부모터 장착롤(1254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타단에서 리와인더 롤(1400)로 상기 부자재 시트(10)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에는 비젼 카메라(1260)가 구비되며, 상기 비젼 카메라(1260)는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타발되는 부자재(20)의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비젼 카메라(1260)에서 촬영된 영상된 별도의 모니터(미도시)로 전송되어 작업자가 모니터(미도시)를 확인하여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의 타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 롤러(1250)와 인접하게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클램프부재(1280)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부재(1280)는 전단 클램프부재(1281)와 후단 클램프부재(1285)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부재(1280)는 부자재 시트(10)를 파지하여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10)의 이송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전단 클램프부재(1281)와 후단 클램프부재(1285)에는 상하이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전단 클램프부재(1281)는 전단 상부 클램프부재(1282)와 전단 하부 클램프부재(1283)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 클램프부재(1285)는 후단 상부 클램프부재(1286)와 후단 하부 클램프부재(1287)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 상부 클램프부재(1282)와 전단 하부 클램프부재(1283) 및 후단 상부 클램프부재(1286)와 후단 하부 클램프부재(1287)가 이격 또는 밀착됨으로써 부자재 시트(10)를 이송하거나 단속하게 되며, 상기 전단 하부 클램프부재(1283)와 상기 후단 하부 클램프부재(1287)가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부자재 시트(10)를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로 공급되는 부자재 시트(10)를 타발하는 타발커터(1220)는 타발커터 이동부재(1290)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를 타발하는 칼날은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발커터 이동부재(1290)는 상기 타발커터(1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타발커터(1220)를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발커터 이동부재(129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타발커터(1220)는 제판(P)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판(P)을 회전시킴으로써 하부로 돌출되는 칼날을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판(P)은 후술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2000)의 제1타발커터부재(2220)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하부에는 회전모터(127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테이블(1210)는 상기 회전모터(12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 테이블(1210)는 공급되는 부자재 시트(10)의 폭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를 타발하기 위해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상부에 위치되는 타발커터(122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1230)는 가압롤러 이동부재(1240)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가압롤러 이동부재(1240)는 제1프레임(1241), 제2프레임(1242), 제3프레임(1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241)은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에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이동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1242)은 상기 제1프레임(1241)에 수직되게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이동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프레임(1242)과 이격되게 제3프레임(1243)이 구비되며 상기 제3프레임(1243)은 상기 제2프레임(1242)와 상기 가압롤러(1230)를 연결하면서 상기 가압롤러(1230)를 상기 제2프레임(1242)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프레임(1241)에는 상기 제2프레임(1242)를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이동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프레임(1242)에도 상기 제3프레임(1243)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롤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의 하부에는 부자재 회수부(1300)가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회수부(1300)는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에서 부자재 시트(10)에서 타발된 부자재(20)를 부자재 시트(10)에서 탈거 후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자재 회수부(1300)는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과,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과, 탈지필름 장력조절 롤(13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이 구비되며,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은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일측으로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타발되는 부자재(20)가 부착되는 롤 형태로 감긴 탈지필름(30)을 풀면서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에서 공급되는 탈지필름(30)은 상기 하부 테이블(1210)과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사이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과 대응되는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하부 타측에는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이 구비되며,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은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을 지나면서 일면에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타발된 부자재(20)가 부착된 탈지필름(30)을 감으면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과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 사이에는 복수개의 탈지필름 장력조절 롤(1330)이 구비되며, 상기 탈지필름 장력조절 롤(1330)은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에서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로 이송되는 탈지필름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1310)에서 공급되어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로 회수되는 탈지필름(30)은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와 상기 부자재 시트(10)의 하부 사이로 이송되며 상기 타발커터(1220)가 상기 가압롤러(123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상기 부자재(20)를 타발하게 되면 타발된 상기 부자재(20)는 상기 탈지필름(30)에 부착되어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1320)로 회수되게 된다.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를 중심으로 상기 언와인더 롤(110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리와인더 롤(1400)이 구비되며, 상기 리와인더 롤(1400)로는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에서 상기 타발커터(1220)에 의해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가 타발되어 상기 부자재(20)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10)가 회수되게 된다.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의 전단과 후단에는 장력조절부(1600)가 구비되며, 상기 장력조절부(1600)는 상기 언와인더 롤(1100)에서 공급되어 상기 리와인더 롤(1400)로 회수되는 부자재 시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장력조절부(1600)는 제1장력 조절 롤(1610)과, 제2장력 조절 롤(1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장력 조절 롤(1610)은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언와인더 롤(1100)에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로 이송되는 부자재(20)를 포함하는 부자재 시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장력 조절 롤(1620)는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에서 상기 리와인더 롤(1400)로 이송되는 부자재(20)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장력 조절 롤(1610)과 상기 제2장력 조절 롤(1620)는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장력 조절 롤(1610)과 제2장력 조절 롤(1620)이 부자재 시트(10)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하부 테이블(1210)의 상부에 팽팽하게 당겨진 부자재 시트(10)가 공급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를 정확하게 타발함으로써 부자재(20)의 타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언와인더 롤(1100),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 상기 부자재 회수부(1300), 상기 리와인더 롤(1400), 및 상기 장력조절부(1600)의 동작은 제어부(15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500)에 의해 상기 언와인더 롤(1100), 상기 부자재 타발부(1200), 상기 부자재 회수부(1300), 상기 리와인더 롤(1400), 및 상기 장력조절부(1600)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자동으로 부자재 시트(10)에서 부자재(20)의 정밀한 타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2000)는 제1언와인더 롤(2100)과,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와, 제1리와인더 롤(2300)과, 제1보호필름 이송부(2400)와, 제1제어부(2500)를 포함하며, 제1장력조절부(2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20a)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10a)를 후술되는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에는 부자재 시트(10a)가 롤 형태로 감기며,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부자재 시트(10a)가 풀리면서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10a)는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로 이송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10a)에서 부자재(20a)가 타발된 후 상기 부자재(20a)이 탈거된 부자재 시트(10a)는 후술되는 제1리와인더 롤(2300)로 회수되게 된다.
상기 부자재 시트(10a)는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에서 부자재(20a)가 타발되며,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는 제1하부 테이블(2210), 제1타발커터부(2220), 제1가압롤러(2230), 제1가압롤러 이동부재(2240), 제1부자재 회수부재(2250), 제1모터 장착 롤러(2260), 제1비젼 카메라(2270), 제1클램프부재(228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에서 공급되는 부자재 시트(10a)는 제1하부 테이블(2210)로 공급되어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에 의해 부자재 시트(10a)의 하부면이 지지된다.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의 내측에는 제1타발커터부재(22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는 부자재 시트(10a)를 지지하면서 부자재 시트(10a)에서 타발된 부자재(20a)가 회수한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상부면에는 상기 부자재 시트(10a)에서 부자재(20a)를 타발하는 피나클 칼날(2222)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피나클 칼날(2222)은 상기 부자재 시트(10a)에서 타발되는 부자재(20a)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상부면에는 시트 이격모재(2224)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 이격모재(2224)는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부자재 시트(10a)를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에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트 이격모재(2224)는 접지편(2224a)과 스프링(2224b)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이격모재(2224)는 상기 피나클 칼날(2222)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에는 상기 시트 이격모재(2224)가 장착되는 장착홈(2220b)이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1가압롤러(2230)가 상기 부자재 시트(10a)를 가압 시 상기 시트 이격모재(2224)는 상기 장착홈(2220b)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가압롤러(2230)가 가압을 해제 시 상기 스프링(2224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지편(2224a)이 상기 장착홈(2220b)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부자재 시트(10a)를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10a)는 제1가압롤러(2230)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제1가압롤러(2230)는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가압롤러 이동부재(2240)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상부로 공급된 부자재 시트(10a)를 가압하여 부자재(20a)를 타발하게 된다. 상기 제1가압롤러 이동부재(2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1000)에 개시된 가압롤러 이동부재(1240)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와 상기 제1가압롤러(2230)에 의해 부자재 시트(10a)에서 타발된 부자재(20a)는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부자재 회수부재(2250)로 회수되며,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의 내부에는 피나클 칼날(2222)에 의해 타발된 부자재(20a)이 이동하는 이동유로(222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유로(2220a)로 이동된 부자재(20a)는 상기 이동유로(2220a)와 연통된 상기 제1부자재 회수부재(2250)로 회수되며 상기 제1부자재 회수부재(2250)는 흡입팬(225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2252)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회수부재(225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피나클 칼날(2222)에 의해 타발된 인쇄회로기판(20')이 상기 이동유로(2220a)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 회수부재(2250)로 이동되면서 회수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1모터 장착 롤러(226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의 상부에는 제1비젼 카메라(227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모터 장착 롤러(2260)와 인접한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1클램프부재(22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 장착 롤러(2260), 상기 제1비젼 카메라(2270) 및 제1클램프부재(22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1000)에 개시된 모터 장착 롤러(1250), 비젼 카메라(1260), 및 클램프부재(1280)와 그 역할이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과 대응되게 제1리와인더 롤(230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리와인더 롤(2300)은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에서 부자재(20a)이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20a)가 탈거되어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10a)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의 전단과 후단에는 제1보호필름 이송부(2400)가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10a)의 상부와 상기 제1가압롤러(2230)의 사이로 제1보호필름(30a)을 공급한 후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2400)는 제1보호필름 공급롤(2410)과 제1보호필름 회수롤(2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필름 공급롤(2410)은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의 전단에 구비되며, 부자재 시트(10a)의 상부와 상기 가압롤러(2230)의 사이로 제1보호필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보호필름 회수롤(2420)은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를 통과한 상기 제1보호필름(30a)을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보호필름(30a)이 상기 제1보호필름 공급롤(2410)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하부 테이블(2210)를 지나 상기 제1보호필름 회수롤(2420)로 회수됨으로써 상기 제1가압롤러(2230)에 의해 가압되는 부자재 시트(10a)를 보호하여 부자재(20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2220)에 형성된 피나클 칼날(2222)이 상기 제1가압롤러(2230)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의 전단과 후단에는 제1장력조절부(26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력조절부(2600)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부(1600)과 그 역할 및 기능이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 상기 제1리와인더 롤(2300),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2400), 및 상기 제1장력조절부(2600)의 동작은 제1제어부(25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1제어부(2500)에 의해 상기 제1언와인더 롤(2100),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 상기 제1리와인더 롤(2300),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2400), 및 상기 제1장력조절부(2600)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자동으로 부자재 시트(10a)에서 부자재(20a)의 정밀한 타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3000)는 제2언와인더 롤(3100),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3200), 제2리와인더 롤(3300), 제2보호필름 이송부(3400), 제2제어부(3500), 제2장력조절부(3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언와인더 롤(3100), 제2리와인더 롤(3300), 제2보호필름 이송부(3400), 제2제어부(3500), 및 제2장력조절부(3600)는 본 발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2000)에 설명된 제1언와인더 롤(2100), 제1리와인더 롤(2300), 제1보호필름 이송부(2400), 제1제어부(25000, 및 제1장력조절부(2500)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3200)는 제2하부 테이블(3210), 제2타발커터부재(3220), 제2가압롤러(3230), 제2가압롤러 이동부재(3240), 제2부자재 회수부재(3250), 제2모터 장착 롤러(3260), 제2비젼 카메라(3270), 제2클램프부재(3280), 및 테이블 이동부재(3290)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부 테이블(3210), 제2가압롤러(3230), 제2가압롤러 이동부재(3240), 제2부자재 회수부재(3250), 제2모터 장착 롤러(3260), 제2비젼 카메라(3270), 제2클램프부재(3280)는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2200)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테이블 이동부재(3290)는 제2하부 테이블(3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하부 테이블(32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3220)의 상부면에는 피나클 칼날(3222)이 형성되는 점은 제1타발커터부재(2220)과 동일하나, 제1타발커터부재(2220)에는 피나클 칼날(2222)의 외측에 시트 이격모재(2224)가 구비되나,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3220)에는 시트 이격모재와 대응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테이블 이동부재(3290)에 의해 제2하부 테이블(321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부자재 시트(10b)를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3220)에 이격시키거나 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100 : 언와인더 롤
1200 : 부자재 타발부 1210 : 하부 테이블
1220 : 타발커터 1230 : 가압롤러
1240 : 가압롤러 이동부재 1250 : 모터 장착 롤러
1260 : 비젼 카메라 1270 : 회전모터
1280 : 클램프부재 1290 : 타발커터 이동부재
1300 : 부자재 회수부 1400 : 리와인더 롤
1500 : 제어부 1600 : 장력조절부
2000 :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2100 : 제1언와인더 롤
2200 :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 2210 : 제1하부 테이블
2220 : 제1타발커터부재 2230 : 제1가압롤러
2240 : 제1가압롤러 이동부재 2250 : 제1부자재 회수부재
2260 : 제1모터 장착 롤러 2270 : 제1비젼 카메라
2280 : 제1회전모터 2290 : 제1클램프부재
2300 : 제1리와인더 롤 2400 : 제1보호필름 이송부
2500 : 제1제어부 2600 : 제1장력조절부
3000 :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3100 : 제3언와인더 롤
3200 :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 3300 : 제2리와인더 롤
3400 : 제2보호필름 이송부 3500 : 제2제어부
3600 : 제2장력조절부

Claims (19)

  1.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언와인더 롤;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상기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를 타발하는 타발커터와,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로 공급된 상기 타발커터를 가압하여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 테이블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모터 장착 롤러와,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비젼 카메라를 포함하는 부자재 타발부;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타발된 부자재를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분리 후 회수하는 부자재 회수부;
    상기 부자재 타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리와인더 롤; 및
    상기 언와인더 롤, 상기 부자재 타발부, 상기 부자재 회수부, 및 상기 리와인더 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 및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 조절 롤과,
    상기 부자재 타발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타발부에서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 조절 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모터 장착 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이송을 단속하는 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타발부는,
    상기 타발커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타발커터를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타발커터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는 가압롤러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 이동부재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가압롤러를 연결하며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장착 롤러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모터 장착롤로 이루어지는 전단 이동 롤러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모터 장착롤로 이루어지는 후단 이동 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제1상부 클램프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을 단속하는 전단 클램프와,
    상기 하부 테이블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리와인더 롤로 이동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제2상부 클램프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의 이동을 단속하는 후단 클램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회수부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테이블의 일측으로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타발되는 부자재가 부착되는 롤 형태로 감긴 탈지필름을 풀면서 공급하는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과,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과 대응되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테이블을 지나면서 일면에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타발된 부자재가 부착된 탈지필름을 감으면서 회수하는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과,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과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탈지필름 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탈지필름 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탈지필름의 장력을 조절하는 탈지필름 장력조절 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1.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제1언와인더 롤;
    상기 제1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하부 테이블과,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내측에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지지하며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면서 회수하는 제1타발커터부재와,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 의해 타발된 후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 보관되는 부자재를 회수하는 제1부자재 회수부재를 포함하는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되어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제1리와인더 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와 상기 제1가압롤러의 사이에 보호필름을 공급한 후 회수하는 제1보호필름 이송부; 및
    상기 제1언와인더 롤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1리와인더 롤,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 및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상기 제1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는,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제1비젼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는,
    상기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며 상기 제1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1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는 피나클 칼날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에서 이격시키는 시트 이격모재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 이격모재는 상기 피나클 칼날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타발커터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피나클 칼날에 의해 타발된 부자재가 이동되는 이동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부자재 회수부재는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피나클 칼날에 의해 타발된 부자재가 상기 이동유로를 통해 상기 제1부자재 회수부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필름 이송부는,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와 상기 제1가압롤러의 사이로 보호필름을 공급하는 제1보호필름 공급롤과,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자재 타발회수부를 통과한 상기 보호필름을 회수하는 제1보호필름 회수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19.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도전성을 갖는 패턴을 보호하는 부자재가 타발되는 부자재 시트를 풀면서 공급하는 제2언와인더 롤;
    상기 제2언와인더 롤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하부 테이블과,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내측에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지지하며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를 타발하면서 회수하는 제2타발커터부재와,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가압롤러 이동부재와,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에 의해 타발된 후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에 보관되는 부자재를 회수하는 제2부자재 회수부재와,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제2타발커터부재의 상부면에 밀착시키는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상부로 이송되는 상기 부자재 시트에서 부자재가 타발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제2비젼 카메라와, 상기 제1모터 장착 롤러와 인접하게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 및 타단에 구비되어 부자재 시트를 파지하며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2클램프부재와, 상기 제2하부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테이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언와인더 롤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부자재가 회수되어 상기 부자재가 탈거되어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를 회수하는 제2리와인더 롤;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부와 상기 제2가압롤러의 사이에 보호필름을 공급한 후 회수하는 제2보호필름 이송부;
    상기 제2언와인더 롤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 상기 제2리와인더 롤, 상기 제2보호필름 이송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의 전단에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언와인더 롤에서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로 이송되는 부자재 시트 및 상기 제2부자재 타발회수부에서 상기 제2리와인더 롤로 이송되는 부자재가 탈거된 부자재 시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KR1020180034437A 2018-03-26 2018-03-26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KR10195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37A KR101958825B1 (ko) 2018-03-26 2018-03-26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37A KR101958825B1 (ko) 2018-03-26 2018-03-26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825B1 true KR101958825B1 (ko) 2019-03-18

Family

ID=6594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37A KR101958825B1 (ko) 2018-03-26 2018-03-26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8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756A (ko) * 2014-08-04 2016-02-17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부자재 부착장치
KR101748379B1 (ko) * 2015-08-12 2017-06-16 (주)우리엔지니어링 비젼 펀칭 머신
KR20170140572A (ko) * 2016-06-13 2017-12-21 엄진철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하프 컷팅용 칼날의 가공방법 및 그 정밀 하프 컷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756A (ko) * 2014-08-04 2016-02-17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부자재 부착장치
KR101748379B1 (ko) * 2015-08-12 2017-06-16 (주)우리엔지니어링 비젼 펀칭 머신
KR20170140572A (ko) * 2016-06-13 2017-12-21 엄진철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하프 컷팅용 칼날의 가공방법 및 그 정밀 하프 컷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0684B2 (ja) 半導体ウエハの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装置
CN100459055C (zh) 保护带贴附方法和其装置以及保护带分离方法和其装置
KR101453699B1 (ko) 웨브 기재를 프로세싱하는 유닛 보호 방법, 공급 스테이션, 및 패키징 유닛 제조 기계
US7900677B2 (en) Sheet sticking apparatus
JP2014034111A (ja) ラベル原紙の粕上げ方法及び粕上げ装置
JP2002522301A (ja) ライナーなしラベルを貼付ける装置及び方法
JP4749033B2 (ja) ロール物製造装置
KR101958825B1 (ko) 인쇄회로기판의 부자재 타발 장치
KR20160126122A (ko) 연성회로기판 보호용 커버레이 천공장치
JP5132212B2 (ja) ラベルのカス上げ装置
JP2002035982A (ja) レーザー加工装置
CN112249792B (zh) 自动高速不干胶商标模切机及模切工艺
US8562778B2 (en) Tape adhering apparatus and tape adhering method
KR101720876B1 (ko) 포장지 개구 스티커 리드 자동 부착 장치
JP366632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巻回シートの供給方法及びその供給装置
JP2001341097A (ja) ロール状シートの穿孔装置
CN109148325B (zh) 带粘贴机和带取下方法
JP2013232583A (ja) 半導体ウエハの保護テープ切断方法および保護テープ切断装置
TWI450804B (zh) 黏著帶貼附方法及使用此方法的裝置
JP2012209395A (ja)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JP3765893B2 (ja) 板材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I652218B (zh) 片切斷裝置、片切斷方法以及片狀器件的製造方法
CN115069858A (zh) 复合模内冲压及贴片的自动化生产设备
JP4400974B2 (ja) ラベル連続体の送り孔加工方法及び装置
JPH1160002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