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58B1 -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 Google Patents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58B1
KR101958158B1 KR1020187023249A KR20187023249A KR101958158B1 KR 101958158 B1 KR101958158 B1 KR 101958158B1 KR 1020187023249 A KR1020187023249 A KR 1020187023249A KR 20187023249 A KR20187023249 A KR 20187023249A KR 101958158 B1 KR101958158 B1 KR 10195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composition
preparing
external prepar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136A (ko
Inventor
아케미 야마토야
마사루 사라이에
료스케 니시
Original Assignee
아이비티제이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비티제이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이비티제이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0Carbonates; Bi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이상의 제의 혼합 직후부터 피부 상으로의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지 않아 펴짐이 좋고, 사용 종료 시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피부에 남김없이 박리 가능하게 젤화되고, 또한 사용 시간 내는 종래부터 알려진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초과하는 양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신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 신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적어도 마그네슘염, 수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탄산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COMPOSITION FOR PREPARING CARBON DIOXIDE FORMULATION FOR EXTERNAL USE, METHOD FOR PRODUCING SAME, CARBON DIOXIDE FORMULATION FOR EXTERNAL USE, AND COSMETIC PACK}
본 발명은, 2 이상의 제(劑)를 사용 시에 혼합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의 조제에 이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이나 의료 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탄산염을 함유하는 염기성 조성물과 수용성산 등의 산성 조성물을 물의 존재하에 있어서 혼합하여, 탄산 가스를 발생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등 참조).
또,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탄산염, 증점제, 물,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및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칼슘염을 필수 성분으로 함으로써, 이산화 탄소가 지속적으로 경피·경점막 흡수되어, 미용 및 의료 효과가 보다 강력한 이산화 탄소 외용제를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등 참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2 이상의 제를 사용 시에 혼합하고 반응시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화장용 팩제에 사용하는 경우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에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와,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칼슘염을 첨가함으로써,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굳히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젤화제와 상기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칼슘염의 종류나 배합비에 의하여,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젤화의 속도나 젤의 굳기가 알맞게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젤화가 지나치게 빠르면,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피부 등에 대한 도포 시에 펴짐이 나빠지고, 또한 충분한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젤화가 지나치게 느리면,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피부 표면으로부터 손으로 깨끗하게 떼어낼 수 없어, 팩제로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4248878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4595058호
본 발명은, 2 이상의 제의 혼합 직후인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에는 펴짐이 좋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량보다 많은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며, 또한 사용 시간 경과까지 굳는 신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 신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마그네슘염, 수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탄산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슘염, 수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탄산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적어도 상기 탄산염 및 상기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별도로 배합하도록 2 이상의 제로 나눈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혼합 후에 피부 상에 도포한 경우, 혼합부터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을 접촉한 손에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 부착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 그 도포 표면이 굳지 않고, 또한 사용 종료 시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피부에 남김없이 박리 가능하도록 젤화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에는 펴짐이 좋고, 사용 시간 경과 후에는 손으로 박리 가능한 정도로 굳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의하면, 마그네슘염, 수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탄산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특허문헌 2 등으로 알려져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량을 초과하는 양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있어서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있어서의 pH값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2 이상의 제를 사용 시에 혼합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를 조제하는 것이며, 마그네슘염, 수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탄산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다가 알코올 및 물을 적어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더 함유시켜도 된다.
상기 마그네슘염은, 그 화학 구조식 중에 마그네슘을 갖는 것으로서 수중에서 마그네슘 이온을 생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황산 마그네슘, 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L-아스코브산-2-인산 에스터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아세트산 마그네슘, 말산 마그네슘, 시트르산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며, 탄산염 등의 다른 필수 성분과 겸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탄산 마그네슘이나 산화 마그네슘 등이 바람직하고,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필수인 탄산염을 겸하는 탄산 마그네슘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염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12질량%를 초과하면,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도 젤 전체를 피부에 남김없이 떼어낼 수 있을 정도로 굳는 시간도 지나치게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0.3질량% 미만이면,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도 젤 전체를 피부에 남김없이 떼어낼 수 있을 정도로 굳는 시간도 지나치게 길어지기 때문에, 0.3질량% 이상 12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11질량%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칼슘염은, 그 화학 구조식 중에 칼슘을 갖는 것으로서 수용성을 갖고 수중에서 칼슘 이온을 생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화 칼슘, 락트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며, 다른 필수 성분과 겸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사용 종료 시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손으로 박리 가능하게 젤화되는 칼슘염이 바람직하고, 물에 대한 용해도의 면에서 염화 칼슘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칼슘염(그 수용성 칼슘염 중의 물을 제외함)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0.003질량% 미만이면, 사용 종료 시간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 충분히 젤화되지 않아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0.05질량%를 초과하면, 혼합부터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이 굳기 쉬워지기 때문에, 0.003질량% 이상 0.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3질량% 이상 0.03질량%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는, 상기 마그네슘염으로부터 발생하는 마그네슘 이온이나 상기 수용성 칼슘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칼슘 이온 등에 의하여 젤화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라기난, 잔탄 검, 타라 검, 알진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도포 상태의 매끄러움이나 사용 용이성의 면에서, 알진산 나트륨이나 잔탄 검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면,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젤화가 충분하지 않아, 피부 외용제로서의 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7질량%를 초과하면 혼합부터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을 접촉한 손에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 부착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 그 도포 표면이 굳기 쉬워지기 때문에, 1.0질량% 이상 7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염은,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를 발생하는 탄산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산 암모늄, 탄산 수소 암모늄, 탄산 칼륨, 탄산 수소 칼륨,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탄산 마그네슘, 탄산 수소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수소 칼슘, 탄산 바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며, 마그네슘염이나 칼슘염 등의 다른 필수 성분과 겸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마그네슘 이온의 생성을 겸하는 탄산 마그네슘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염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0.3질량% 미만이면, 이산화 탄소의 발생량이 적어져 이산화 탄소 발생에 의하여 얻어지는 외용제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12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pH가 높아져 발생한 이산화 탄소가 탄산 이온으로서 존재하기 쉽고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0.3질량% 이상 1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11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은,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루코노델타락톤, 판토락톤, D,L- 또는 L-락타이드(3,6-다이메틸-1,4-다이옥세인-2,5-다이온), D,L- 또는 L-글리콜라이드, 무수 프탈산, 무수 말레산, 무수 석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글루코노델타락톤이나 D,L-락타이드 등이 바람직하고, 가수분해 속도 및 탄산염과 반응하는 산의 생성 속도의 면이나 화합물의 입수 용이성의 면에서도 글루코노델타락톤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면, 가수분해한 산과 탄산염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 탄소의 발생량이 적어져, 이산화 탄소 발생에 의하여 얻어지는 외용제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 교반 혼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1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질량% 이상 18질량%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그 분자 구조 내에 수산기를 2 이상 갖는 알코올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3-뷰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1,8-옥테인다이올이나, 당(糖)알코올이기도 한 글리세린, 소비톨, 당이기도 한 트레할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젤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나 보습의 면에서, 1,3-뷰틸렌글라이콜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5질량% 미만이면,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에 젤화되는 시간이 길어져, 사용 종료 시간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손으로 박리 가능하게 젤화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25질량%를 초과하면, 혼합부터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을 접촉한 손에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 부착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 그 도포 표면이 굳기 때문에, 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은, 통상의 화장품, 의약품 등에 이용되는 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류수, 막투과수, 이온 교환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되며, 염화 칼슘 수용액 등 다른 성분의 수용액으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물의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함유량은, 상기 물 및 상기 수용성 칼슘염 등의 다른 성분에 포함되는 물을 합계한 것이며,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이 100질량%가 되도록 조제된다. 또, 상기 함유량이 55질량% 미만이면 점성이 높아져 유동성, 유연성, 나아가서는 다른 성분의 용해성 등이 결여되기 때문에, 상기 함유량은 5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기타 성분은,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에 이용되는 성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보습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향료,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의 사용 형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젤상의 2 이상의 제를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에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하는 형태, 젤상 및 과립상의 2 이상의 제를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에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하는 형태, 과립상의 제를 물로 용해 후에 젤상의 제를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에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의 펴짐의 우수성의 평가 방법은, 도포한 젤의 펴짐의 우수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 피부 등으로 도포하고 나서 "도포 표면을 접촉했을 때에 젤이 손가락에 부착되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이라고 정의하고, 그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의 길고 짧음으로 펴짐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피부 등으로의 도포 후, 사용 종료 시점에서의 박리 용이성의 평가 방법은, 도포한 젤의 박리 용이성, 경화 용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 피부 등으로 도포하고 나서 "떼어냈을 때에 젤이 피부에 남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이라고 정의하고, 그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의 길고 짧음을 사용 시간과 대비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의 발생량의 평가 방법은, 사람의 피부 환경을 모방한 막을 투과하는 이산화 탄소량을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공성 고분자막을 유지(油脂)에 침지하고, 그 막을 투과하는 이산화 탄소량을 계측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사람의 피부 환경에 근접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에는 마이크로포러스 필름(스미토모 3M사제, 3M 마이크로포러스 필름, 구멍 직경 0.3μm 이하)을 사용하고, 상기 유지에는 올리브 스쿠알레인(기시모토 도쿠슈 간유 고교쇼제, 식물 스쿠알레인)을 사용하며, 상기 막투과 이산화 탄소량 계측에는 탄산 가스 농도계(도아 DKK(주)제, 상품 번호 CGP-31)를 이용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의 발생량의 평가는, 구체적으로는, 2 이상의 제를 교반 혼합한 젤 1g을 탄산 가스 농도계 전용 용기에 넣고, 그 위로부터 올리브 스쿠알레인 0.1g을 도포한 마이크로포러스 필름을 씌우며, 그 전용 용기에 탄산 가스 농도계의 검출기를 장착한다. 상기 용기와 검출기의 사이를 채우도록 주사기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물을 첨가하고, 직후부터 1분마다 60분간,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을 측정하고 기록하여 행한다.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평가 방법으로서,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 시에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pH를 추가로 측정함으로써,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pH의 측정 방법은,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pH의 경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이상의 제를 교반 혼합하고, 생활 방수형 pH계(HANNA instruments제, pHep4 HI98127)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pH를 경시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
표 1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또한, 마그네슘염 및 탄산염을 겸하는 탄산 마그네슘을 배합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 중에 기재된 탄산 마그네슘의 배합량으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조제했지만, 청구항 4, 단락 0034 및 0035 등의 필수 성분의 배합 조건에 있어서는, 마그네슘염 및 탄산염이 각각 동량 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표 2에 기재한 배합량에 따라, 2개로 나눠진 제를, 사용 직전에 육안으로 보아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 혼합했다.
Figure 112018079572496-pat00001
Figure 112018079572496-pat00002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에서 조제하여 얻어진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 방법에 의하여, 그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혼합 후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의 펴짐의 우수성 및 사용 종료 시점에서의 박리 용이성의 평가를 행했다.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 피부 등으로 도포하고 나서 "도포 표면을 접촉했을 때에 젤이 손가락에 부착되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으로 하고, 그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을 계측했다. 다음으로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 피부 등으로 도포하고 나서 "떼어냈을 때에 젤이 피부에 남지 않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떼어낼 수 있는 시간"으로 하고, 그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을 계측했다. 그리고,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 피부 등으로 도포하는 시간을 바탕으로 적절한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을 규정하고, 또 사용 시간을 바탕으로 적절한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을 규정했다.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 및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의 양쪽 모두가 규정 시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우수(◎)"라고 평가하고, 양쪽 모두 규정 시간 내에 없는 경우는 "나쁨(△)"이라고 평가하며, 한쪽이 규정 시간 내에 있고 다른 한쪽이 규정 시간에 없는 경우는 "보통(○)"이라고 평가하고, 혼합 후 60분 경과해도 굳지 않거나 혹은 떼어낼 수 없는 경우는 "사용 불가(×)"라고 평가했다.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2 이상의 제를 혼합 후 피부 등으로 도포하는 시간은 5분 이내였으므로, 상기 적절한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은 5~10분이라고 규정했다. 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사용 시간은 10~15분이었으므로, 상기 적절한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은 10~15분이라고 규정했다.
혼합 후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의 펴짐의 우수성 및 사용 종료 시점에서의 박리 용이성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79572496-pat00003
표 3으로부터, 우수(◎) 평가였던 실시예 1, 2 및 6과 비교하여, 수용성 칼슘염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2에서는 사용 종료 후에 떼어낼 수 없고, 또, 수용성 칼슘염인 염화 칼슘의 배합량이 많아지는 실시예 3 및 4에서는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이 짧아 도포 시의 펴짐이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탄산 마그네슘을 염화 수소 나트륨으로 변경한 비교예 1에서는 도포 표면도 내부도 굳지 않고, 또한 탄산 마그네슘의 배합량을 늘린 실시예 7 및 8에서는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도 떼어낼 수 있는 시간도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서 조제하여 얻어진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에 대하여,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행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표 2에 기재된 2제를 혼합한 젤 1g을 탄산 가스 농도계 전용 용기에 넣고, 그 위로부터 올리브 스쿠알레인 0.1g을 도포한 마이크로포러스 필름을 씌우며, 그 전용 용기에 탄산 가스 농도계의 검출기를 장착한다. 상기 용기와 검출기의 사이를 채우도록 주사기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물을 첨가하고, 직후부터 1분마다 60분간, 막투과 이산화 탄소 발생량을 측정하여 기록했다.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의 시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79572496-pat00004
표 4에 근거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의 경시 변화를 도 1에 나타낸다.
표 4 및 도 1로부터, 실시예 1과, 마그네슘 이온 및 수용성 칼슘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을 비교한 경우, 혼합 후 실시예 1의 상정 사용 시간인 15분까지에 있어서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은 비교예 3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의 약 1.2배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pH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행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기재된 2제를 교반 혼합하고, 생활 방수형 pH계(HANNA instruments제, pHep4 HI98127)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pH를 경시적으로 측정했다.
pH의 측정 결과를 표 5 및 도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79572496-pat00005
표 5 및 도 2로부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2제의 혼합 후 직후에 pH가 내려가고, 60분 경과될 때까지,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가 발생하기 쉬운 pH 4.0~6.5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5 및 도 1~2로부터, 2 이상의 제로 나눈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혼합 후에 피부 상에 도포한 경우, 혼합부터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을 접촉한 손에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 부착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 그 도포 표면이 굳지 않고, 또한 사용 종료 시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손으로 박리 가능하게 젤화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피부 등으로의 도포 시에는 펴짐이 좋고, 사용 시간 경과 후에는 손으로 박리 가능한 정도로 굳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마그네슘염, 수용성 칼슘염,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탄산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사용 개시 직후부터 사용 종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pH가 4~6.5로 유지되고, 또한 특허문헌 2 등으로 알려져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량을 초과하는 양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효과는 몇 가지 요인에 근거한다. 먼저, 상기 효과는, 탄산 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칼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을 배합한 경우보다, 알진산 나트륨이나 잔탄 검 등의 젤화제의 이온 가교를 느리게 하는 것에 근거한다. 마그네슘 이온의 배합은, 혼합 직후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펴짐을 좋게 하고, 또 젤 전체를 굳히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효과는, 칼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으로서 수용성 칼슘염인 염화 칼슘을 배합함으로써,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의 탄산 칼슘을 배합한 경우보다, 알진산 나트륨이나 잔탄 검 등의 젤화제의 이온 가교를 빠르게 하는 것에 근거한다. 수용성 칼슘 이온의 배합은, 혼합 직후부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도포 표면을 굳히는 것에 기여한다. 또, 상기 효과는, 다가 알코올인 뷰틸렌글라이콜의 배합량을 많게 함으로써, 젤화제의 이온 가교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에 근거한다. 뷰틸렌글라이콜의 배합은, 혼합 직후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펴짐의 우수성이나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의 조절에 기여한다.
그리고, 상기 효과는, 탄산 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 및 수용성 칼슘염을 적당량 배합함으로써, 도포 표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이나 떼어낼 수 있는 시간을 조절하고,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밖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에 근거한다. 마그네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 및 수용성 칼슘염의 적당량의 배합은, 칼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으로서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칼슘염의 적당량으로 배합하고 마그네슘 이온을 발생하는 성분을 배합하지 않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부터 발생하는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량보다 많은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2 이상의 제의 혼합 조제가 용이한 데다가, 혼합 직후 피부 상으로의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이 굳지 않아 펴짐이 좋고, 또한 사용 시간 종료까지 피부에 남지 않도록 떼어낼 수 있으며, 그리고, 사용 시간 내에는 충분한 양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의 발생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적당한 자극을 계속할 수 있는 화장용 팩에 있어서는, 도포 시에는 펴짐이 좋고, 종료 시에는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또한 이른바 탄산 가스 팩으로서의 효과를 갖지만, 화장용 팩뿐만 아니라, 필링제 등의 화장품, 피부용 외용제, 모발용제 등의 의약부외품, 의약품, 애완동물 용품 중 어느 것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특히, 미용업계에 있어서의 젤상의 이른바 탄산 가스 팩에서는 양립되지 않는다고 했던, 도포 시에 펴짐이 좋고 사용 종료 시에 떼어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지금까지는 사용 종료 시에 다 떼어내지 못한 덜 굳은 젤을 타월로 닦아낼 필요가 있어, 덜 굳은 젤을 닦아낸 타월의 세탁 처리에도 부차적인 과제가 발생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부차적 과제도 해결하는 것이기도 하다.

Claims (6)

  1. 적어도 탄산 마그네슘, 수용성 염화 칼슘,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며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로서,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상기 탄산 마그네슘의 함유량은 0.3질량% 이상 12질량% 이하이고,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상기 수용성 염화 칼슘의 함유량은 0.003질량% 이상 0.05질량% 이하이며,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상기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7질량% 이하이고,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상기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며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고,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이며,
    상기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며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은 글루코노델타락톤, 판토락톤, D,L- 또는 L-락타이드(3,6-다이메틸-1,4-다이옥세인-2,5-다이온), D,L- 또는 L-글리콜라이드, 무수 프탈산, 무수 말레산 및 무수 석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고,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2 이상으로 나뉜 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산 마그네슘 및 상기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며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은, 별도의 제에 배합되고,
    모든 상기 2 이상으로 나뉜 제는, 물을 함유하고,
    상기 수용성 염화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는 동일한 제에 배합되며,
    상기 2 이상으로 나뉜 제를 혼합하여 사용 개시 직후부터 사용 종료 시까지 pH를 4~6.5로 유지시키고,
    상기 2 이상으로 나뉜 제를 혼합 후 10분에서 15분 사이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이, 탄산 마그네슘을 제외하고 염화 칼슘을 탄산 칼슘으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의 막투과성 이산화 탄소 발생량을 초과하도록, 탄산 마그네슘 및 염화 칼슘을 배합하며,
    상기 2 이상으로 나뉜 제를 혼합 후에 피부 상에 도포한 경우, 혼합부터 도포 시까지 도포 표면이 굳지 않고, 또한 사용 종료 시까지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이 피부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젤화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은 2개로 나뉜 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로 나뉜 제 중 하나의 제에는 적어도 물, 탄산 마그네슘, 수용성 염화 칼슘,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가 포함되고, 다른 하나의 제에는 적어도 물,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며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이 포함되는,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3. 삭제
  4. 적어도 탄산 마그네슘, 수용성 염화 칼슘, 마그네슘 이온 또는 칼슘 이온에 의하여 젤화되는 젤화제, 가수분해되어 산을 발생하는 물질이며 그 분자 구조 내에 환상 에스터 결합을 1 이상 갖는 것, 다가 알코올 및 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이산화 탄소 외용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용 팩.
KR1020187023249A 2014-07-11 2014-10-09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KR101958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3729 2014-07-11
JP2014143729A JP6080810B2 (ja) 2014-07-11 2014-07-11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評価方法、並びに二酸化炭素外用剤
PCT/JP2014/077043 WO2016006127A1 (ja) 2014-07-11 2014-10-09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評価方法、並びに二酸化炭素外用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71A Division KR20170030583A (ko) 2014-07-11 2014-10-09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136A KR20180093136A (ko) 2018-08-20
KR101958158B1 true KR101958158B1 (ko) 2019-03-13

Family

ID=550637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71A KR20170030583A (ko) 2014-07-11 2014-10-09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KR1020187023249A KR101958158B1 (ko) 2014-07-11 2014-10-09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471A KR20170030583A (ko) 2014-07-11 2014-10-09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80810B2 (ko)
KR (2) KR20170030583A (ko)
CN (1) CN106535864B (ko)
HK (1) HK1231368A1 (ko)
SG (1) SG11201610558PA (ko)
WO (1) WO2016006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0083B (zh) * 2018-09-07 2021-11-02 广州华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两亲物质构成的层状结构体的二氧化碳复合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555212A (zh) * 2019-11-29 2022-05-27 三菱重工工程株式会社 二氧化碳的固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615A (ja) 2001-09-18 2003-03-28 Pola Chem Ind Inc マシュマロタッチのパック化粧料
JP2013079203A (ja) 2011-10-03 2013-05-02 Ken Hirohashi 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5493A3 (en) * 1980-07-31 1982-08-11 Syntex (U.S.A.) Inc. Composition useful for preparing face masks and process preparing such composition
TWI327474B (en) 2001-04-06 2010-07-21 Neochemir Inc Kit for preparation of carbon dioxide agent for external use.
JP4595058B2 (ja) 2005-01-28 2010-12-08 ネオケミア株式会社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
JP4756265B2 (ja) * 2005-10-19 2011-08-24 ネオケミア株式会社 二酸化炭素外用剤剥離除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二価陽イオン含有水性溶液
JP2009108007A (ja) *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KR100854017B1 (ko) * 2007-12-12 2008-08-26 (주)이노페이스 편리성이 향상된 피부 마스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615A (ja) 2001-09-18 2003-03-28 Pola Chem Ind Inc マシュマロタッチのパック化粧料
JP2013079203A (ja) 2011-10-03 2013-05-02 Ken Hirohashi 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35864B (zh) 2020-06-23
KR20170030583A (ko) 2017-03-17
JP6080810B2 (ja) 2017-02-15
HK1231368A1 (zh) 2017-12-22
KR20180093136A (ko) 2018-08-20
SG11201610558PA (en) 2017-01-27
WO2016006127A1 (ja) 2016-01-14
JP2016020309A (ja) 2016-02-04
CN106535864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8000581A (es) COMPOSICION PARA DECOLORACION QUE COMPRENDE UN ESTER LIQUIDO RAMIFICADO NO VOLATIL DE ACIDO CARBOXILICO A PUNTO DE SOLIDIFICACION INFERIOR A 4ºC.
EP3166692B1 (en) Oral care formulation system providing amorphous calcium phosphate
JP2013209331A (ja) スキンケアセット
CN108348429A (zh) 具有改善的氟化物摄取的牙粉组合物
KR101958158B1 (ko) 이산화 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이산화 탄소 외용제, 및 화장용 팩
CN101801334B (zh) 口腔用组合物以及提高口腔用组合物的收敛性的方法
WO2011132699A1 (ja) アルギン酸類含有水性組成物、歯科用アルジネート印象材および歯科用アルジネート印象材用の基材
KR101909321B1 (ko) 치마제 조성물 및 치아의 재석회화 촉진제
JP6340683B2 (ja) 二酸化炭素発生組成物
JP2013213013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TWI535459B (zh) 化妝料
JP202310526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WO2009020104A1 (ja) アデニン化合物を含有するゲル状外用組成物
JP6152368B2 (ja) 二酸化炭素外用剤調製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用パック
TWI687234B (zh) 口腔用發熱組合物及其牙膏組成物
JP2009120552A (ja) 練歯磨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5157794A (ja) 二剤式固化組成物
CN108096105A (zh) 一种强效止血、清利湿热牙膏及其制备方法
JP5275666B2 (ja) 歯磨剤組成物
JP2007291021A (ja) 口腔用組成物
JP2020033291A (ja) 練歯磨組成物
KR102102130B1 (ko) 치마제 조성물 및 치아의 재석회화 촉진제
JP7152842B2 (ja) パック剤用組成物、パック剤及びパック剤キット
JP2017226604A (ja) シート状パックキット
JP5720416B2 (ja) ゲル状口腔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