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02B1 - 콤비 블라인드 원단 - Google Patents

콤비 블라인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02B1
KR101957202B1 KR1020160136481A KR20160136481A KR101957202B1 KR 101957202 B1 KR101957202 B1 KR 101957202B1 KR 1020160136481 A KR1020160136481 A KR 1020160136481A KR 20160136481 A KR20160136481 A KR 20160136481A KR 101957202 B1 KR101957202 B1 KR 10195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unit
shielding
di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593A (ko
Inventor
이분도
Original Assignee
이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분도 filed Critical 이분도
Priority to KR102016013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D03D2700/0188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비 블라인드 원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출투광면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인테리어 기능과 상품성이 높아지는 콤비원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경사와 위사의 교차 직조로 차광면과 투광면을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 형성하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에 있어서, 상기의 원단을, 일자형 기본차광면과; 단위투광면 및 단위차광면이 교대로 형성되는 제1연출면과;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투광면 및 상기 단위투광면에서 하측의 일자형 투광면으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과; 일자형 기본차광면과;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차광면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 단위투광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연출면과; 상기 제2연출면의 단위투광면 및 상기 단위투광면에서 하측의 일자형 투광면으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이 상부에서 아래로 순차 구현되는 연출조합면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본차광면과 단위차광면(11)이 이어지도록 한 원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비 블라인드 원단{the blind fabric}
본 발명은 투시부분의 모양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이하 콤비원단으로 약칭함)이라 함은 콤비원단의 폭과 같은 폭으로 되고 길이는 짧은 가로띠 형태(누운 일자형) 의 차광면과 투광면이 교대로 형성되는 콤비원단을 반으로 접어 하단을 트랙 형태로 한 다음 콤비원단의 전면 상단은 권취봉 일 측에, 콤비원단의 후면 상단은 케이스 내 측면에 각 고정하고, 상기 전, 후면 콤비원단 하단의 트랙 부분에는 자유회전 중량 봉을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콤비원단은 권취봉을 정 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콤비원단 전면의 투광면과 후면의 투광면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면 일치된 전, 후 투광면을 통하여 외부의 빛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투시부분이 연출(표출)되고, 반대로 콤비원단 전면의 투광면과 후면의 차광면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면 전, 후면의 차광면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됨으로써 콤비원단 전체가 불 투시부분으로 된다.
위 콤비원단은 빛을 차단하고 유입하는 고유기능 이외 실내 인테리어 기능이 부여되어야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위 상품성은 차광면의 미려함과 투시부분의 모양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현재에는 차광면의 미려함은 차광면에 색채를 부여하거나 또는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하고는 있지만, 투시부분의 연출은 콤비원단 전, 후면의 차광면과 투광면을 서로 일치 혹은 어긋나게 하여 띠 형태의 투시부분이 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 대부분이어서 투시부분의 인테리어 기능이 극히 낮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사각, 원, 또는 꽃 모양으로 되는 단위투광면 여러 개를 콤비원단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하여 투광면이 되도록 하고, 상기 투광면을 콤비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혹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현한 다음 전, 후 단위투광면을 일치 또는 어긋나게 하여 위 모양과 같은 투시부분이 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긴 하나, 이는 단위투광면의 모양 이외의 모양으로 되는 투시부분을 연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KR)특허등록 제1638517호 (KR)특허등록 제1026569호
본 발명은 종래 콤비원단의 투시부분 연출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띠 형태의 투광면과 일정 모양의 단위투광면이 서로 연결되는 복합투광면을 콤비원단에 구현하여 다양한 모양의 투시부분을 연속 연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비원단은, 경사와 위사의 교차 직조로 차광면과 투광면을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 형성하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에 있어서, 상기의 원단을, 일자형 기본차광면과; 단위투광면 및 단위차광면이 교대로 형성되는 제1연출면과;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투광면 및 상기 단위투광면에서 하측의 일자형 투광면으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과; 일자형 기본차광면과;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차광면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 단위투광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연출면과; 상기 제2연출면의 단위투광면 및 상기 단위투광면에서 하측의 일자형 투광면으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이 상부에서 아래로 순차 구현되는 연출조합면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본차광면과 단위차광면이 이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콤비원단에 복합투광면을 구현함으로써 도면 도 3 및 도 5,6에서와 같이 연출투광면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인테리어 기능이 한층 높아진 콤비원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테리어 기능이 높아짐으로써 상품성이 우수한 콤비원단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가)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직조된 콤비원단 사시도
(나)는 (가)의 단위투광면 부분 평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정면 예시도
도 3의 (가) 내지 (다)는 도 1을 이용한 연출투광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의 정면 예시도
도 5의 (가) 내지 (다) 및 도 6의 (가), (나)는 도 4를 이용한 연출투광면 예시도
도 7의 (가)는 연출투광면에 대한 측면 예시도
(나)와 (다)는 연출차광면에 대한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콤비원단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9는 종래의 콤비원단 정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상세한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나 공지된 사항은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비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실시 예들은 도면 도 9에서와 같이 경사와 위사의 교차로 차광면과 망 형태의 투광면을 차례로 직조한 태양(態樣) 즉, 차광면과 투광면을 한 조로 하는 조합면을 연속 반복적으로 직조하는 통상의 직조방법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은 통상의 콤비원단 직조방법을 기본으로 한 것으로, 먼저 각 투광면(20)의 직 상부에 단위차광면 형성구간(B)과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을 교대로 연속 설정한다. 이때 상기 형성구간(A)(B)의 길이(C)는 차광면(10) 총 길이(10H)의 절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절반 이하 또는 절반 이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나, 이는 단위투광면(11)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단위투광면 및 단위차광면 형성구간(A)(B)을 설정한 후에는 투광면(20)의 직 상부 차광면(10) 하단을 직조하는 위사를 각 단위차광면 및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B)의 경사와 직조되도록 하되, 상기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을 직조하는 위사(211)들 중 일부 위사(212)는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의 경사와 직조되지 않도록 하면서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콤비원단의 직조를 완료한다.
위와 같이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 표면으로 비 직조 위사(212)가 노출된 상태의 콤비원단을 직조한 후에는 상기 콤비원단을 직조기에서 인출한 다음 각 단위투광면 형성구간(A) 표면의 비 직조 위사(212)를 제거하면 콤비원단에는 투광면(20) 상부에 투광면(20)과 이어지는 단위투광면(21)이 형성됨으로써 단위투광면(21)에서 투광면(20)으로 이어지는 경로 전체가 망 형태가 되는 복합투광면(30)(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1에 의해 제조된 콤비원단은, 차광면(10) 하단에 두 개 이상의 단위투광면(21)과 망 형태의 투광면(20)이 서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30)(3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콤비원단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자형 기본차광면, 단위투광면(21)과 단위차광면(11)이 교대로 형성되는 연출면 및 상기 연출면의 단위투광면(21)과 이어지는 일자(띠)형 투광면(20)이 상부에서 아래로 순차 구현되는 연출조합면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콤비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콤비원단 제조방법의 실시 예 2는, 실시 예 1을 진행하면서 하측 단위투광면 형성구간(B)과 상측 단위차광면 형성구간(B)을 수직(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설정한 다음 각 형성구간(A)(B)에 단위차광면(11)과 단위투광면(21)이 형성되도록 하되, 하측 단위투광면(21)의 폭(21W)을 상측 단위차광면(11)의 폭(11W) 보다 좁게 하는 것이다.
위 실시 예 2에 의해 제조된 콤비원단은, 일자형 기본차광면, 단위투광면(21)과 단위차광면(11)이 교대로 형성되는 제1연출면,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투광면(21)과 이어지는 일자(띠)형 투광면(20), 일자형 기본차광면,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차광면(11) 폭(11W)보다 좁은 폭(21W)을 가진 단위투광면(21)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연출면 및 상기 제2연출면의 단위투광면(21)과 이어지는 일자형 투광면(20)이 상부에서 아래로 순차 구현되는 연출조합면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콤비원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구현된 콤비원단을 반으로 접어 블라인드화하면 전면의 복합투광면(30)(30')과 후면의 복합투광면(30)(30')은 상하 대칭 형태로 된다. 그 후 블라인드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면 블라인드 전면에는 여러 형태의 연출투광면(40)을 연출할 수 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실시 예 1에 따른 연출투광면(40)의 형태들이고, 도 4 및 도 5는 실시 예 2에 따른 연출투광면(40)의 형태들인데, 이 도면들에서 좌측 도면은 콤비원단의 전면을, 중앙 도면은 콤비원단의 후면을, 우측 도면은 전면과 후면을 결합한 콤비원단의 정면 도면이다. 또 도면에서 초록색으로 표현한 망 부분은 투광면이지만 우측 도면의 초록색 부분은 전, 후면의 투광부분이 겹쳐지는 연출투광면(40)이다. 그리고 보라색 점선은 전면의 차광면 혹은 단위차광면에 의해 가려진 후면의 투광면 또는 단위투광면이며, 빨간색으로 표현된 망 부분은 블라인드를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식별되는 부분(눈으로 보이는 부분)이긴 하나, 후면의 단위차광면 혹은 차광면에 의해 투시되지 않는 연출차광면(50) 이다.
위의 연출투광면(40)은 전, 후면의 단위투광면(21)을 전부 또는 일부 일치시키거나(도 3의 (가), 도 5의 (가) 및 (나), 전, 후면의 투광면(20)을 일치시키거나(도 3의 (나), 도 5의 (다), 전, 후면의 단위투광면(21)을 전, 후면의 투광면(20)과 일치시키면(도 6의 (가)) 여러 형태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출차광면(50)은 일치되지 않는 전, 후면의 일부 또는 전체 투광면(20)과 전체 또는 일부 단위투광면(21)이 상대 면의 차광면(10) 혹은 단위차광면(11)과 겹침으로써(일치함으로써) 연출된다. 여기서 일치라 함은 콤비원단의 길이방향과 직각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게 하는 것을 말한다(도 7 참조). 그리고 상기의 연출투광면(40)은 블라인드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을 상부 또는 하부로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면 연출투광면(40)을 위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3의 (다) 및 도 6의 (나)에서와 같이 전, 후면의 복합투광면(30)(30') 전체를 서로 어긋나게 하면 블라인드의 전면 전체에 연출투광면(40)을 연출할 수 없어 시선이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경사를 위사로, 위사를 경사로 변경 등) 또는 변형(단위투광면의 형태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 : 단위투광면 형성구간 B : 단위차광면 형성구간
C : 길이 10 : 차광면
10H : 길이 11 : 단위차광면
11W : 폭 20 : 투광면
21 : 단위투광면 21W : 폭
211 : 직조 위사 212 : 비 직조 위사
30, 30': 복합투광면 40 : 연출투광면
50 : 연출차광면

Claims (3)

  1. 삭제
  2. 경사와 위사의 교차 직조로 차광면(10)과 투광면(20)을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연속 반복 형성하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에 있어서,
    상기의 원단을,
    일자형 기본차광면과;
    단위투광면(21) 및 단위차광면(11)이 교대로 형성되는 제1연출면과;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투광면(21) 및 상기 단위투광면(21)에서 하측의 일자형 투광면(20)으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30)과;
    일자형 기본차광면과;
    상기 제1연출면의 단위차광면(11) 폭(11W)보다 좁은 폭(21W)을 가진 단위투광면(21)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연출면과;
    상기 제2연출면의 단위투광면(21) 및 상기 단위투광면(21)에서 하측의 일자형 투광면(20)으로 이어지는 복합투광면(30')이 상부에서 아래로 순차 구현되는 연출조합면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기본차광면과 단위차광면(11)이 이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3. 삭제
KR1020160136481A 2016-10-20 2016-10-20 콤비 블라인드 원단 KR10195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481A KR101957202B1 (ko) 2016-10-20 2016-10-20 콤비 블라인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481A KR101957202B1 (ko) 2016-10-20 2016-10-20 콤비 블라인드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93A KR20180043593A (ko) 2018-04-30
KR101957202B1 true KR101957202B1 (ko) 2019-03-12

Family

ID=6208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481A KR101957202B1 (ko) 2016-10-20 2016-10-20 콤비 블라인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1439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빛과창 블라인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469Y1 (ko) * 2003-09-17 2004-03-10 신규태 디. 아이. 와이 직물
KR101026569B1 (ko) * 2009-03-23 2011-03-31 차기철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257305B1 (ko) 2011-10-21 2013-04-23 주식회사 빛과창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85B1 (ko) * 2009-12-01 2012-04-20 김재정 차광부와 채광부로 구성된 블라인드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38517B1 (ko) 2016-04-15 2016-07-12 남시우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469Y1 (ko) * 2003-09-17 2004-03-10 신규태 디. 아이. 와이 직물
KR101026569B1 (ko) * 2009-03-23 2011-03-31 차기철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257305B1 (ko) 2011-10-21 2013-04-23 주식회사 빛과창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1439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빛과창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93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5783T3 (es) Material textil 3D y preparación del mismo
ES2374618T3 (es) Arreglo para crear efectos luminosos.
US3696845A (en) Curtain
US20150204496A1 (en) Led illuminated decorative mesh assembly
US4002188A (en) Woven shade screen
US5164250A (en) Fabrics for curtains, sunshades and similar applications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1957202B1 (ko) 콤비 블라인드 원단
KR101137485B1 (ko) 차광부와 채광부로 구성된 블라인드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US9970132B2 (en) Woven cloth
KR101257305B1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537347B1 (ko)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KR101572141B1 (ko)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KR101373937B1 (ko) 블라인드 커튼지 및 그 제직방법
KR101081211B1 (ko) 투광조절용 블라인드지의 제직방법
JP2020005576A (ja) 遮熱ネット
US2021993A (en) Woven fabric
KR101796499B1 (ko)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CN209003502U (zh) 能消除摩尔纹的光线可调窗帘布
KR20120108115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지와 그 제조방법
CN204370117U (zh) 具有3d效果的立体感面料
KR101157789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1170021B1 (ko) 블라인드 커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