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433B1 -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433B1
KR101956433B1 KR1020160171774A KR20160171774A KR101956433B1 KR 101956433 B1 KR101956433 B1 KR 101956433B1 KR 1020160171774 A KR1020160171774 A KR 1020160171774A KR 20160171774 A KR20160171774 A KR 20160171774A KR 101956433 B1 KR101956433 B1 KR 10195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ink
trunk
arm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519A (ko
Inventor
김한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4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or traction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은 인장에서 압축으로 전환에 따른 스프링력을 발생하는 스프링(40), 상기 스프링(40)의 압축 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 어셈블리(30), 상기 링크 어셈블리(30)의 회전방향에 연동되어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트렁크 룸(110)을 위로 올려주는 힌지 암(10), 상기 힌지 암(10)의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힌지 브래킷(20)을 포함하고, 트렁크 룸(11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트렁크 오픈 유닛(1-1,1-2)으로 구성됨으로써 토션 바 없이도 트렁크 리드(110-1)에 대한 팝업(pop-up)이 부여되고, 특히 토션 바와 같은 내구성능 저하 없는 내구성능 시험이 가능함으로써 트렁크 룸(110)의 개방 불량과 같은 고객의 필드 불만을 해소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Spring type Trunk Opening System}
본 발명은 트렁크 오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으로 트렁크 리드에 팝업(pop-up)을 부여하는 트렁크 오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오픈 시스템은 화물을 적재 또는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차량 뒤쪽의 트렁크 룸이 개방되도록 트렁크 리드(trunk lid)를 위로 올려준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트렁크 룸의 트렁크 리드에 한쪽 끝부위가 연결된 힌지 암, 힌지 암의 다른쪽 끝부위를 차체에 힌지 체결시켜주는 힌지브래킷, 힌지브래킷 쪽에서 힌지 암에 연결된 토션 바 링크, 트렁크 리드에 팝업을 부여하는 탄성력이 발생되는 토션 바를 구성요소로 한다.
일례로, 상기 힌지 암은 트렁크 룸의 좌우 양쪽으로 구비된 좌,우 힌지 암이 쌍을 이룸으로써 힌지브래킷과 토션 바 링크의 각각도 좌,우 힌지브래킷과 토션 바 링크로 쌍을 이루고, 상기 토션 바는 좌,우 토션 바 링크에 연결되도록 직선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2개로 한 쌍을 이룬다.
그러므로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토션 바의 작용으로 트렁크 룸 개방 시 트렁크 리드가 팝업량을 부여받아 신속히 올라가고, 특히 트렁크 룸 폐쇄 시 개방 상태의 트렁크 리드가 급속하게 닫히지 않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3-0016582(2003.03.03)
하지만 토션바 타입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품질 보증을 위한 토션바의 내구성능 시험 기간 동안 내구성능 저하를 가져오고, 이러한 내구성능 저하 상태에서 출고 차량에 적용됨으로써 필드에서 트렁크 리드에 대한 팝업량 축소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특히 트렁크 리드에 대한 팝업량 축소는 작동 횟수 증가로 심화됨으로써 필드에서 발생된 트렁크 룸 개방 불량은 고객 불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토션 바 대신 코일 스프링을 적용하여 트렁크 리드에 팝업(pop-up)을 부여함으로써 내구성능 저하 없이 품질 보증을 위한 내구성능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필드에서 고객 불만으로 나타나는 발생된 트렁크 룸 개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은 트렁크 리드의 닫힘에 의한 인장 상태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 시 압축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압축 상태의 전환에 따른 스프링력이 트렁크 룸을 개방하도록 상기 트렁크 리드를 위로 올려주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고정 자유단을 결합하여 상기 트렁크 룸의 바닥면에 고정된 바디 마운팅 브래킷, 상기 스프링의 링크 자유단을 결합하여 상기 인장 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상기 압축 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트렁크 리드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여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회전방향에 연동되는 힌지 암, 상기 힌지 암의 상기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힌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은 상기 트렁크 룸의 좌,우로 각각 구비되어 좌,우로 구분된 트렁크 오픈 유닛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과 결합된 스프링 링크, 상기 힌지 암과 결합된 힌지 암 링크, 상기 스프링 링크와 상기 힌지 암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 핀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프링 링크는 상기 힌지 브래킷과 회전 중심이 되는 꺾쇠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을 이루는 스프링 암과 핀 암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 암과 상기 핀 암의 길이 차는 링크비를 형성하고, 상기 링크비는 상기 힌지 암의 회전 세기를 결정한다. 상기 스프링 암은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고, 상기 핀 암은 상기 링크 핀과 결합된다. 상기 힌지 암 링크는 상기 힌지 암에 대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인장에서 압축으로 전환에 따른 스프링력을 발생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압축 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회전방향에 연동되어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트렁크 룸을 위로 올려주는 힌지 암, 상기 힌지 암의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힌지 브래킷으로 구성된 트렁크 오픈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트렁크 오픈 유닛이 트렁크 룸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은 상기 트렁크 룸을 가리는 트렁크 리드를 열고 닫아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은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코일 스프링으로 토션바의 고질적인 내구 불량을 해소함으로써 향상된 성능 개선 제공과 더불어 스프링 상수에 의한 튜닝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코일 스프링과오픈 링크 비를 갖는 링크를 연계함으로써 트렁크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특히 장기간 사용 후 팝업량 부족으로 트렁크 열린 상태 확인 어려움과 같은 필드 크레임을 축소 또는 해소한다. 셋째, 링크비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 열림으로 풀 오픈 및 팝업 트렁크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코일 스프링으로 토션 바가 차지하던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상품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트렁크 룸 용량 증대가 가능하다. 다섯째, 패키지 트레이에 적용됨으로써 토션바의 떨림음 발생 현상 없이 중잉 우퍼 스피커의 음향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이 차량 적용된 상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을 구성하는 링크연결구조의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의 닫힘(CLOSE)과 열림(OPEN) 시 스프링 작동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트렁크 룸(110)에 좌,우 트렁크 오픈 유닛(1-1,1-2)으로 한 쌍을 이루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1)이 적용된다.
일례로, 상기 좌 트렁크 오픈 유닛(1-1)은 힌지 암(10), 힌지 브래킷(20), 링크 어셈블리(30), 스프링(40), 바디 마운팅 브래킷(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 트렁크 오픈 유닛(1-2)은 힌지 암(10), 힌지 브래킷(20), 링크 어셈블리(30), 스프링(40), 바디 마운팅 브래킷(50)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좌,우 트렁크 오픈 유닛(1-1,1-2)은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좌 트렁크 오픈 유닛(1-1)은 트렁크 룸(110)의 좌측부위에서 차체와 트렁크 리드(110-1)에 연결되고, 상기 우 트렁크 오픈 유닛(1-2)은 트렁크 룸(110)의 우측부위에서 차체와 트렁크 리드(110-1)에 연결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암(10)은 상기 힌지 브래킷(20)과 함께 구성됨으로써 트렁크 룸의 트렁크 리드(110-1)에 한쪽 끝부위가 연결된 상태에서 힌지 브래킷(20)을 이용하여 다른쪽 끝부위가 차체에 힌지 체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 암(10)과 상기 힌지 브래킷(20)은 트렁크 리드(110-1)를 개폐(OPEN <-> CLOSE)시켜주기 위한 통상의 힌지 암과 힌지 브래킷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브래킷(20)은 힌지 암(10)과 링크 어셈블리(30)가 일체화되기 위한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 브래킷(20)은 기존의 힌지 브래킷과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고, 다만 링크 어셈블리(30)의 구성요소 체결을 위한 형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어셈블리(30)는 스프링 링크(31)와 힌지 암 링크(33) 및 링크 핀(35)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 링크(31)는 스프링(40)에서 발생되는 스프링력을 힌지 암 링크(33)에 전달하고, 상기 힌지 암 링크(33)는 스프링(40)의 스프링력과 스프링 링크(31)의 링크비를 발생하며, 상기 링크 핀(35)은 스프링 링크(31)와 힌지 암 링크(33)를 연결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40)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50)과 함께 구성됨으로써 한쪽끝부를 이루는 링크 자유단을 스프링 링크(31)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그 반대쪽 끝부위를 이루는 고정 자유단을 트렁크 룸(10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 결과 상기 스프링(40)은 트렁크 리드(110-1)의 닫힘에 따른 인장에서 트렁크 리드(110-1)의 열림 시 트렁크 리드(110-1)를 위로 올려주는 압축으로 스프링력을 발생시켜 준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40)은 힌지 암(10)에 의한 트렁크 리드(110-1)의 열림 경로에 맞춰 압축되고 닫힘 경로에 맞춰 인장이 용이하도록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진 압축 코일 스프링을 적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40)은 기존의 토션바와 동일한 작용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 마운팅 브래킷(50)은 트렁크 룸(100)의 바닥면에 볼트나 스크류 또는 용접 고정된 강태에서 스프링(40)의 고정 자유단이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바디 마운팅 브래킷(50)에는 볼트 홀 또는 스크류 홀과 함께 걸림 홀 또는 걸림 홈이 형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30)의 세부 결합 관계를 알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링크(31)는 힌지 핀이 힌지 브래킷(20)에 결합되는 힌지 핀 홀(31-1)을 뚫은 꺾쇠부가 형성되고, 상기 꺾쇠부의 한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스프링 홀(31-2)이 뚫려진 스프링 암(31a)과 함께 상기 꺾쇠부의 다른쪽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어 핀 홀(31-3)이 뚫려진 핀 암(31b)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 링크(31)는 꺾쇠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스프링 암(31a)에 대해 핀 암(31b)이 예각을 형성하는 "변형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스프링 암(31a)의 길이와 핀 암(31b)의 길이는 힌지 암 링크(33)에 전달되는 스프링 링크(31)의 링크비를 결정하고, 상기 링크비는 트렁크 리드(110-1)의 개폐력에 맞춰 조절된다.
상기 힌지 암 링크(33)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 힌지 암(10)이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 핀으로 고정되도록 힌지 핀 홀(33-1)을 뚫은 암 연결 엔드, 링크 핀(35)이 끼워져 고정되는 핀 슬롯(33-2)을 절개한 핀 연결 엔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핀(35)은 전체 길이를 대경부(35-1)와 소경부(35-2)로 구분하고, 상기 대경부(35-1)쪽을 스프링 링크(31)의 핀 암(31b)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소경부(35-2)쪽이 힌지 암 링크(33)의 핀 슬롯(33-2)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1)의 열림 동작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1)을 구성하는 좌,우 트렁크 오픈 유닛(1-1,1-2)은 작용이 동일하므로 좌우 구분 없이 설명된다.
차량(100)의 트렁크 룸(110)을 열고자 트렁크 리드(110-1)의 잠금을 해제하면, 바디 마운팅 브래킷(50)을 매개로 트렁크 룸(110)의 바닥면에 고정 자유단이 구속된 스프링(40)은 트렁크 리드(110-1)의 닫힘에 의한 "CLOSE"의 인장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110-1)의 열림에 의한 "OPEN"의 압축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OPEN" 상태로 전환되면, 스프링(40)의 링크 자유단에 구속된 스프링 링크(31)의 스프링 암(31a)이 스프링 압축력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스프링 링크(31)는 꺾쇠부의 힌지 핀 홀(31-1)에 결합된 힌지 핀을 회전 중심으로 한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밑으로(트렁크 룸 바닥쪽으로) 내려간다. 그러면 스프링 링크(31)의 핀 암(31b)은 꺾쇠부의 힌지 핀 홀(31-1)에 결합된 힌지 핀을 회전 중심으로 한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위로 올라간다.
상기 스프링 링크(31)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핀 암(31b)에 결합된 링크 핀(35)을 통해 힌지 암 링크(33)로 전달되고, 상기 힌지 암 링크(33)는 힌지 암(10)을 위로 올려줌으로써 힌지 암(10)이 힌지 브래킷(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힌지 암(1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완전한 "OPEN"상태까지 지속됨으로써 힌지 암(10)에 고정된 트렁크 리드(110-1)가 완전히 열려져 트렁크 룸(110)은 개방된다.
한편 트렁크 룸(110)의 닫힘은 트렁크 리드(110-1)를 아래로 눌러 이루어지고, 이러한 동작은 트렁크 리드(110-1)이 하강, 힌지 암(10)의 시계방향회전, 힌지 암 링크(33)의 하강, 스프링 링크(31)의 시계방향 회전, 스프링(40)의 인장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동작은 트렁크 룸(110)의 열림에 대한 반대작용으로 구현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은 인장에서 압축으로 전환에 따른 스프링력을 발생하는 스프링(40), 상기 스프링(40)의 압축 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 어셈블리(30), 상기 링크 어셈블리(30)의 회전방향에 연동되어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트렁크 룸(110)을 위로 올려주는 힌지 암(10), 상기 힌지 암(10)의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힌지 브래킷(20)을 포함하고, 트렁크 룸(11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트렁크 오픈 유닛(1-1,1-2)으로 구성됨으로써 토션 바 없이도 트렁크 리드(110-1)에 대한 팝업(pop-up)이 부여되고, 특히 토션 바와 같은 내구성능 저하 없는 내구성능 시험이 가능함으로써 트렁크 룸(110)의 개방 불량과 같은 고객의 필드 불만을 해소한다.
1 :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1-1,1-2 : 좌,우 트렁크 오픈 유닛
10 : 힌지 암 20 : 힌지 브래킷
30 : 링크 어셈블리 31 : 스프링 링크
31a : 스프링 암 31b : 핀 암
31-1,33-1 : 힌지 핀 홀 31-2 : 스프링 홀
31-3 : 핀 홀 33 : 힌지 암 링크
33-2 : 핀 슬롯 35 : 링크 핀
35-1 : 대경부 35-2 : 소경부
40 : 스프링 50 : 바디 마운팅 브래킷
100 : 차량 110 : 트렁크 룸
110-1 : 트렁크 리드

Claims (10)

  1. 트렁크 리드의 닫힘에 의한 인장 상태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 시 압축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압축 상태의 전환에 따른 스프링력이 트렁크 룸을 개방하도록 상기 트렁크 리드를 위로 올려주는 스프링;
    상기 트렁크 룸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기 스프링의 반대쪽 부위를 결합하여 상기 인장 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반면 상기 압축 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트렁크 리드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여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회전방향에 연동되는 힌지 암, 상기 힌지 암의 상기 차체 힌지 회전점을 형성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힌지 브래킷으로 구성된 트렁크 오픈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과 결합된 스프링 링크, 상기 힌지 암과 결합된 힌지 암 링크, 상기 스프링 링크와 상기 힌지 암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링크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상기 링크 핀을 통해 상기 힌지 암 링크를 위로 올려 주며,
    상기 힌지 암 링크와 상기 링크 핀의 링크연결은 상기 힌지 암 링크의 핀 연결 엔드에서 절개된 핀 슬롯에 상기 링크 핀의 소경부가 끼워져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트렁크 룸의 좌,우로 각각 구비되어 좌,우로 구분된 상기 트렁크 오픈 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링크는 상기 힌지 브래킷과 회전 중심이 되는 꺾쇠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을 이루는 스프링 암과 핀 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암과 상기 핀 암의 길이 차는 링크비를 형성하고, 상기 링크비는 상기 힌지 암의 회전 세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암은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고, 상기 핀 암은 상기 링크 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암 링크는 상기 힌지 암에 대해 회전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룸의 바닥면에는 바디 마운팅 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바디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KR1020160171774A 2016-12-15 2016-12-15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KR10195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74A KR101956433B1 (ko) 2016-12-15 2016-12-15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74A KR101956433B1 (ko) 2016-12-15 2016-12-15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19A KR20180069519A (ko) 2018-06-25
KR101956433B1 true KR101956433B1 (ko) 2019-03-08

Family

ID=6280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774A KR101956433B1 (ko) 2016-12-15 2016-12-15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836B1 (ko) * 2017-10-25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자동 개폐 장치
JP2022023336A (ja) * 2020-07-27 2022-02-08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イル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CN117605368A (zh) * 2024-01-23 2024-02-27 质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行李箱盖铰链组件以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092B1 (ko) 1998-06-30 2000-10-16 정주호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부의 구조
KR100368358B1 (ko) 2000-11-22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5224A (ja) * 1987-11-30 1989-06-07 Toyota Motor Corp ガスダンパステーを用いた開閉体支持構造
JP3226102B2 (ja) * 1991-04-30 2001-11-05 スズキ株式会社 トランクリッドのヒンジ部構造
KR100427213B1 (ko) 2001-08-21 2004-04-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092B1 (ko) 1998-06-30 2000-10-16 정주호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부의 구조
KR100368358B1 (ko) 2000-11-22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아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19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33B1 (ko) 스프링 타입 트렁크 오픈 시스템
US7735261B2 (en) Self-locking door assembly
US8251431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obile trunk lid
FR2948716A3 (fr) Charniere invisible avec reglage sur trois axes pour portes de meubles
EP1555372A1 (en) Hinge device
US2211581A (en) Hinge
US9849759B2 (en) Independently operating motor vehicle doors with an articulating door interface
US2799891A (en) Deck lid counterbalance and hold-open
JP2015526617A (ja) ドアヒンジ
US20110041290A1 (en) Strap for pivotably fastening a leaf of a door, of a window or the like to a fixed frame
US6611993B2 (en) Hinge mechanism
JPS63297680A (ja) ドア−クロ−ザ−
KR101198624B1 (ko) 단일화된 트렁크 리드 힌지 토션바
KR200489153Y1 (ko)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KR100869561B1 (ko) 팝업 기능을 가지는 트렁크 리드용 힌지 어셈블리
KR102429071B1 (ko) 모터 집약형 파워 트렁크 오픈 시스템 및 차량
US20080251305A1 (en) Engine hood door including variable door handle
KR101563598B1 (ko)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EP0728608B1 (fr) Système de portes articulées pour véhicules, conteneurs et applications analogues
US518626A (en) Spring-hinge
EP2459826A1 (fr) Procédé d&#39;assemblage d&#39;une poignée dans 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et poignée d&#39;ouvrant associée
KR101526741B1 (ko)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KR100320876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EP3423311B1 (fr) Agencement d&#39;un ensemble de gaines de protection sur un véhicule automobile
FR2469538A1 (fr) Paumelle anti-eff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