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205B1 -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205B1
KR101956205B1 KR1020170028979A KR20170028979A KR101956205B1 KR 101956205 B1 KR101956205 B1 KR 101956205B1 KR 1020170028979 A KR1020170028979 A KR 1020170028979A KR 20170028979 A KR20170028979 A KR 20170028979A KR 101956205 B1 KR101956205 B1 KR 10195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dure
artificial tooth
guide
drill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396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02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2737 priority patent/WO2018097415A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52Implant; Prosthe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bo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피시술자에 대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선택신호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인공 치아의 시술 시작 신호이면, 시술 시에 사용할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시술 순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고, 시술 순서에 따라 시술 가이드의 화면을 전환하는 제어부 및 전환에 따른 시술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dure Supporting of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 치아 시술 시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시술 순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특히, 치과에서는 픽스츄어(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크라운(crown)을 포함하는 보철물을 이용하여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실제 치아의 위치에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여 천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융착되면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결합하는 형태로 시술된다. 시술자는 잇몸 제거, 치조골 위치 설정, 평탄화, 초기홀 형성 및 확장, 나사산 형성 등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천공을 형성한다. 아울러, 시술자는 상기의 각 과정별로 상이한 직경과 형상을 가진 드릴장치 및 드릴보조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각 과정에서 사용되는 드릴장치는 시술자의 경험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므로, 시술자의 실수에 의해 드릴장치의 사용순서가 바뀌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드릴장치의 사용순서가 바뀌지 않더라도 천공 형성 시의 드릴장치의 오작동으로 드릴장치의 삽입 깊이 조절 등의 오류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현재는 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에 필요한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이미지를 일일이 인쇄하여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도중에 확인하거나, 복수의 드릴장치의 사용순서를 외워서 인공 치아를 시술한다. 따라서, 시술자에게 시술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드릴장치의 사용순서가 바뀌거나, 깊이 조절 등 드릴장치 사용에 대한 오류가 발생될 경우, 치조골에 형성된 천공이 픽스츄어와 정확하게 매칭되지 못하여 골융착이 느려지거나 골융착 후에 픽스츄어가 틀어지는 등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되는 드릴장치에 대한 시술 순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되는 시술 가이드의 기반이 되는 플래닝 데이터의 이력 확인, 수정 및 컨펌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피시술자에 대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인공 치아의 시술 시작 신호이면, 상기 시술 시에 사용할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시술 순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고, 상기 시술 순서에 따라 상기 시술 가이드의 화면을 전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환에 따른 시술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술 순서에 따라 상기 시술 가이드를 전환한다.
또한, 제조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플랜 확인 신호이면, 상기 제조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공 치아의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이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력 데이터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이력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시술 가이드는, 상기 제조사 서버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강 내부에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를 표시한 치열궁 이미지, 상기 식립 위치에 사용될 상기 복수의 드릴장치의 종류, 각 드릴장치를 이용한 시술 순서, 각 드릴장치의 회전 속도 및 각 드릴장치의 시술 시간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피시술자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인공 치아의 시술 시작 신호이면, 상기 인공 치아의 시술 시에 사용할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시술 순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시술 순서에 따라 상기 시술 가이드의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시술 가이드의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일정 시간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술 가이드의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신호가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플랜 확인 신호이면, 제조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공 치아의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이력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력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확인된 이력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정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수정 데이터를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시술 가이드는, 상기 제조사 서버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강 내부에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를 표시한 치열궁 이미지, 상기 식립 위치에 사용될 상기 복수의 드릴장치의 종류, 각 드릴장치를 이용한 시술 순서, 각 드릴장치의 회전 속도 및 각 드릴장치의 시술 시간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은, 시술자가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시술 가이드를 시술 도중에 전자장치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시술자가 느끼는 시술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공 치아 시술 시의 복수의 드릴장치 사용 순서 및 드릴장치의 삽입 깊이 조절 등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은,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되는 시술 가이드의 기반이 되는 플래닝 데이터의 이력 확인, 수정 및 컨펌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플래닝 데이터를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플래닝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시술 가이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00)는 태블릿 PC, 휴대단말기 등 시술자가 피시술자 시술 시에 시술 시에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조사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인 시술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센서(sensor), 터치 키(touch key) 및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플래닝 데이터 및 시술 가이드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조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메모리(140)에 저장된 시술 가이드 확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부(150)는 시술 가이드 확인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로그인이 허가되면, 시술자가 제조사 서버에 기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 목록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인공 치아의 시술 시작 신호이면, 제어부(150)는 제조사 서버에 저장된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가이드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시술 가이드는,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술 과정을 가이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술 가이드는,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를 표시한 치열궁 이미지를 표시하고, 식립 위치에 천공을 형성할 때 수행하는 잇몸 제거 과정, 치조골 평탄화 과정, 포인트홀 형성 과정, 초기홀 형성 과정, 초기홀 확장 과정, 확장홀 정리 과정 및 나사산 형성 과정 각각에 사용하는 복수의 드릴장치의 종류, 각 드릴장치를 이용한 시술 순서, 각 드릴장치의 회전 속도 및 각 드릴장치의 시술 시간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화면으로 구성된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시술 가이드가 제조사 서버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면, 시술 가이드를 수신하여 시작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시작 화면을 표시하고 난 이후에 일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시술을 위한 드릴장치 정보를 나타내는 시술 과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화면(이하, 가이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시술 종료 신호가 수신되거나, 애니메이션인 시술 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 화면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이드 화면을 전환하면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가이드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가이드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시술이 종료되면, 시술이 종료됨을 알리는 종료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특정 피시술자의 시술 시에 전자장치(100)를 통해 시술 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시술 가이드에 따라 인공 치아 시술을 수행한다. 따라서, 시술자가 느끼는 시술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시술 도중에 가이드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되는 각각의 드릴장치의 종류, 각 드릴장치를 이용한 시술 순서, 각 드릴장치의 회전 속도 및 각 드릴장치의 시술 시간 등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플랜 확인 신호이면 제어부(150)는 제조사 서버에 저장된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플래닝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플래닝 데이터가 제조사 서버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면, 플랜 확인 신호에 따라 플래닝 데이터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상세플랜 확인 신호이면, 상세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상세플랜은, 플래닝 데이터를 상세하게 표시한 것이다. 플래닝 데이터는,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시술될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 및 드릴링가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상세플랜은, 3차원 이미지에 플래닝 데이터가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3차원 이미지에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예컨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가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식립 위치에 적합한 픽스츄어의 직경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이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세플랜은,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종류, 이미지, 명칭 등의 정보와,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에서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삽입 깊이정보,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드릴링가이드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개략플랜 확인 신호이면, 플래닝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개략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개략플랜은, 플래닝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인공 치아 시술이 필요한 위치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와,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가 표시된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개략플랜을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상세플랜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세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상세플랜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의 수정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이력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제조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력 데이터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력 데이터 중에서 플래닝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특정 이력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력 데이터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는 선택된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가이드를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플래닝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신호가 수신되면, 수정 신호를 기반으로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한다. 제어부(150)는 수정된 플래닝 데이터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는 수정된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가이드를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플래닝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되면, 컨펌 신호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는 컨펌 신호와 관련된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가이드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인공 치아 시술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제조사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 203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인 시술자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 목록을 제조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는 전자장치(100)외의 별도의 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등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제조사 서버에 적어도 하나의 피시술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205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피시술자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207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피시술자 목록 중에서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시작 신호이면 213동작을 수행한다. 213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제조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시술 가이드의 시작 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215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시술 가이드의 시작 화면을 표시하고 난 이후에 일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한다. 215동작의 확인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50)는 217동작을 수행한다. 217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시술 가이드의 시작 화면에서 시술을 위한 드릴장치 정보를 나타내는 가이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는 하기의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1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인공 치아의 시술이 종료되지 않으면, 215동작으로 회귀한다. 제어부(150)는 시술이 종료될 때까지 215동작 내지 219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일정 시간 경과시마다 가이드 화면을 전환하면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시술 종료 신호에 의해 시술이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고, 시술 가이드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 시술이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21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인공 치아의 시술이 종료되면 221동작을 수행한다. 22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시술 가이드의 표시를 종료하고, 인공 치아의 시술을 위한 인공 치아의 시술이 종료됨을 알리는 종료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207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시작 신호가 아니면, 209동작을 수행한다. 20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플랜 확인 신호이면 211동작을 수행한다. 20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플랜 확인 신호가 아니면 205동작으로 회귀한다. 21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플랜 확인 신호에 따라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플랜을 확인한다. 플랜을 확인하는 211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플래닝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수신된 플랜 확인 신호가 상세플랜 확인 신호인지 확인한다. 301동작의 확인결과, 도 2의 209동작에서 확인된 플랜 확인 신호가 상세플랜 확인 신호이면, 제어부(150)는 307동작을 수행한다. 301동작의 확인결과, 도 2의 209동작에서 확인된 플랜 확인 신호가 상세플랜 확인 신호가 아니면, 제어부(150)는 303동작을 수행한다. 303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개략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305동작을 수행한다. 305동작에서 제어부(150)는 개략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세플랜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307동작을 수행한다. 305동작에서 제어부(150)는 개략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세플랜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03동작으로 회귀하여 개략플랜을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략플랜은, 플래닝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인공 치아 시술이 필요한 위치가 표시된 치열궁 이미지와,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가 표시된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한다.
307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상세플랜을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309동작을 수행한다. 상세플랜은, 플래닝 데이터를 상세하게 표시한 것이다. 플래닝 데이터는,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시술될 픽스츄어의 식립 정보 및 드릴링가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상세플랜은, 3차원 이미지에 플래닝 데이터가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3차원 이미지에 픽스츄어의 식립정보 예컨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가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식립 위치에 적합한 픽스츄어의 직경 및 길이를 포함하는 규격이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세플랜은,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품번, 종류, 이미지, 명칭 등의 정보와,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에서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삽입 깊이정보,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사용순서정보를 포함하는 드릴링가이드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30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이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311동작을 수행한다. 31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이력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표시한다. 313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이력 데이터 중 특정 이력 데이터를 플래닝 데이터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321동작을 수행한다. 32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이력 데이터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는 특정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30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이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5동작을 수행한다. 315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신호가 수신되면, 317동작을 수행한다. 317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수정 신호를 기반으로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고, 321동작을 수행한다. 32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수정된 플래닝 데이터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는 수정된 플래닝 데이터를 이력 데이터에 저장할 수 있고,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315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수정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9동작을 수행한다. 31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되면, 321동작을 수행한다. 321동작에서 제어부(150)는 컨펌 신호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제조사 서버는 컨펌 신호에 대응되는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술 가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319동작에서 제어부(150)는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컨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09동작으로 회귀하여 상기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시술 가이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도 4와 같이 시술 가이드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도 4에 표시된 시술 가이드는, 시술 가이드의 시작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시술 과정을 가이드하기 위해 전환된 가이드 화면일 수 있다.
가이드 화면에는 특정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치열궁 이미지(410), 치열궁 이미지(410)에 시술이 필요한 식립 위치(410a)가 표시된다. 치열궁 이미지(410) 옆에는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번호(420)가 표시되고, 특정 피시술자에 대한 플래닝 데이터 중 식립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430)가 표시된다.
가이드 화면에는 식립 위치(410a)에 대응되는 잇몸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 이미지(440)가 표시되고, 인공 치아의 시술을 위한 천공을 형성할 때 사용할 복수의 드릴정보에 대응되는 드릴 이미지(450)가 구조 이미지(440)의 상부에 표시된다. 표시부(130)에는 제1 드릴 이미지(451)로 구조 이미지(440)에 천공을 형성하는 시술 과정을 포함하는 가이드 화면이 애니메이션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때, 드릴 이미지(450)는 드릴장치의 시술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화면에는 제1 드릴 이미지(451), 제2 드릴 이미지(452) 및 제3 드릴 이미지(453)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술자는 제1 드릴 이미지(451)에 대응하는 제1 드릴장치를 사용한 이후에, 제2 드릴 이미지(452) 및 제3 드릴 이미지(453) 각각에 대응하는 제2 드릴장치 및 제3 드릴장치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드릴장치로 천공을 형성하는 가이드 화면을 표시할 때, 가이드 화면의 일부에는 제1 드릴장치의 회전속도, 이용시간을 나타내는 포함하는 작동 정보(460)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드릴장치의 정보(470)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드릴장치를 이용한 가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 드릴장치를 이용한 가이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조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피시술자를 포함하는 피시술자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가이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피시술자 목록에서 피시술자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순서 및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할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드릴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되, 상기 시술 순서에 따라 상기 시술 가이드의 시술 가이드 화면을 전환하여 제공하고,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시술 플랜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공 치아의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시술 가이드 화면은,
    상기 피시술자 구강 내부에 대한 치열궁 이미지, 및 상기 치열궁 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식립 위치에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 이미지를 시술 순서대로 배치하는되, 상기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잇몸에 대한 구조 이미지, 상기 시술 순서에 대응하는 드릴 이미지 중에서 특정 시술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드릴 이미지를 상기 구조 이미지의 상부에 표시하고, 상기 드릴링 시간 동안 상기 제1 드릴 이미지가 상기 구조 이미지를 드릴링하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드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시술 순서에 대응하는 드릴 이미지에 대한 드릴장치의 회전 속도, 드릴 목적 및 드릴링 시간을 상기 제2 영역의 일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전자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의 번호 및 상기 플래닝 데이터 중 식립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이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력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력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력 데이터를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전자장치.
  7. 삭제
  8.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피시술자를 포함하는 피시술자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피시술자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피시술자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인공 치아 시술 시작 신호이면, 상기 피시술자의 인공 치아 시술 순서 및 인공 치아 시술 시에 사용할 복수의 드릴장치에 대한 드릴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술 순서에 따라 상기 시술 가이드의 시술 가이드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가 상기 피시술자에 대한 플랜 확인 신호이면, 상기 인공 치아의 시술을 위한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술 가이드 화면은,
    상기 피시술자 구강 내부에 대한 치열궁 이미지, 및 상기 치열궁 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식립 위치에 사용되는 복수의 드릴 이미지를 시술 순서대로 배치하되, 상기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잇몸에 대한 구조 이미지, 상기 시술 순서에 대응하는 드릴 이미지 중에서 특정 시술 순서에 대응하는 제1 드릴 이미지를 상기 구조 이미지의 상부에 표시하고, 상기 드릴링 시간 동안 상기 제1 드릴 이미지가 상기 구조 이미지를 드릴링하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복수의 드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시술 순서에 대응하는 드릴 이미지에 대한 드릴장치의 회전 속도, 드릴 목적 및 드릴링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공 치아의 식립 위치에 대응되는 치아의 번호 및 상기 플래닝 데이터 중 식립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이력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래닝 데이터가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력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이력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닝 데이터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정 신호에 따라 상기 플래닝 데이터에 대한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데이터를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치아 시술 가이드 제공 방법.
  14. 삭제
KR1020170028979A 2016-11-28 2017-03-07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10195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79A KR101956205B1 (ko) 2017-03-07 2017-03-07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PCT/KR2017/002737 WO2018097415A1 (ko) 2016-11-28 2017-03-14 인공 치아의 시술 보조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79A KR101956205B1 (ko) 2017-03-07 2017-03-07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96A KR20180102396A (ko) 2018-09-17
KR101956205B1 true KR101956205B1 (ko) 2019-03-08

Family

ID=6372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79A KR101956205B1 (ko) 2016-11-28 2017-03-07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530B1 (ko) * 2019-02-22 2021-04-29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지원 시스템
KR102376529B1 (ko) * 2020-05-12 2022-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 안내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35B1 (ko) 2015-11-16 2017-02-14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91B1 (ko) * 2011-05-24 2013-06-20 정제교 통합 치과 공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2685A (ko) * 2012-12-05 2014-06-13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맞춤형 개별 화장품 생산 시스템
US10350008B2 (en) * 2014-12-02 2019-07-16 X-Nav Technologies, LLC Visual guidance display for surgical proced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35B1 (ko) 2015-11-16 2017-02-14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96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8225B1 (en) Arrangement for using a template to form holes for implants in jaw bone
EP2259746B1 (en) Guided dental implantation system
US20140234804A1 (en) Assisted Guidance and Navigation Method in Intraoral Surgery
JP2005535395A (ja) インプラント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KR101956205B1 (ko)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102424096B1 (ko) 인공 치아 시술용 영상 정합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정합 방법
KR10195620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보조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80125790A (ko)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JP6741266B2 (ja) 歯科用治療機器とその操作方法
KR101934008B1 (ko) 인공 치아의 플랜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194109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06324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뮬레이션 방법
KR102351322B1 (ko) 서지컬 가이드의 기준 포인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83955B1 (ko) 구강 영상의 결손 치아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강 영상의 크라운 배치 방법
KR101870901B1 (ko) 인공 치아 시술을 위한 오브젝트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419010B1 (ko)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시술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방법
EP41591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missing tooth in oral image
KR101928985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376529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 안내방법 및 그 장치
KR102162541B1 (ko)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236973B1 (ko) 신경 검출 방법 및 장치
CN111448618B (zh) 用于牙科环境的信息和数据记录系统
WO2018097415A1 (ko) 인공 치아의 시술 보조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US20170265962A1 (en) Assisted guidance and navigation method in intraoral surgery
KR101913814B1 (ko) 피시술자의 플래닝 데이터를 수정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