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494B1 -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494B1
KR101955494B1 KR1020170171530A KR20170171530A KR101955494B1 KR 101955494 B1 KR101955494 B1 KR 101955494B1 KR 1020170171530 A KR1020170171530 A KR 1020170171530A KR 20170171530 A KR20170171530 A KR 20170171530A KR 101955494 B1 KR101955494 B1 KR 10195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range
main frame
bottom plate
seated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효성하나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하나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하나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induction), 일반 전기레인지, 하이라이트 전기레인지, 할로겐 레인지 등에 설치되는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레인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용기에 소정의 경사를 제공하여 다양한 조리법에 활용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SUPPORT STAND FOR ELECTRIC RANGE AND COOKWARE}
본 발명은 인덕션(induction), 일반 전기레인지, 하이라이트 전기레인지, 할로겐 레인지 등에 설치되는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레인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용기에 소정의 경사를 제공하여 다양한 조리법에 활용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발전에 힘입어 가정의 주방에도 혁신적인 조리기구 등이 개발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제품이 가열기기에 해당한다. 음식을 가열하는 가열기기는 종래에는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 다양한 가열기기가 개발되었다.
먼저 일반적으로 자력(magnetic field)을 이용한 인덕션이 있다. 인덕션에 사용되는 가열용기는 자력(magnetic field)이 통하여 유도될수 있는 자성성분이 함
유된 금속용기만 사용하여야 한다. 이 금속용기는 인덕션 렌지내에 설치된 고주파 자성판상의 유도가열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교류전류에 의해 자력선이 발생하고 이 자력선이 용기바닥 자체에 전자분열을 가져오는 전기 소용돌이(Eddy effect)를 유도하여 직접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내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인 전기레인지가 있다. 전기레인지는 열원에 따라 하이라이트, 핫플레이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해 니켈과 크로뮴을 합성한 강철을 달구는 방식과 전자기 유도에 따른 자기장으로 열을 내는 형태가 주로 쓰인다.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전기 공급이 끊기는 등 안전성과 열 이용 효율이 높고, 일산화탄소와 그을음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가전제품으로 인식돼 찾는 이가 늘었다.
이와 같은 인덕션이나 전기레인지 등은 일반적으로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상면이 매끄러운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강화유리와 조리용기 사이에 소량의 물이 존재하면 물이 가열되면서 강화유리와 조리용기 상호간 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가열된 조리용기가 쉽게 미끌어져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조리용기와 전기레인지 사이에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여 미끄러짐과 소음의 발생을 억제히키고, 전기레인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레인지용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하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950 '인덕션 렌지용 석쇠구이판' (출원일자 2004.1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고, 요리의 목적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거치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육류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이에 거치되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거치대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전기레인지에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바닥판에 형성된 거치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교차 막대기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바닥판에 형성된 거치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각각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양 측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의 하단이 바닥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 또는 상기 전기레인지가 안착된 탁자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전기레인지의 열원을 조리용기에 전달하는 재질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레인지 또는 상기 조리용기의 열을 차단하거나 외부로 빨리 방출하는 재질의 차단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거치대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안착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전기레인지(10)에 고정시키는 제1 브라켓(200); 및 상기 제1 브라켓(200)과 마주보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전기레인지(10)에 고정시키는 제2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1 브라켓(200)에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단이 바닥면 또는 상기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되는 제1 고정대(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브라켓(300)에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단이 바닥면 또는 상기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제2 고정대(31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2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사이에는 제1 연장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브라켓(3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사이에는 제2 연장부(5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연장부(400) 및 제2 연장부(500)는 상기 전기레인지(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3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전기레인지(10)의 발열부로부터 열원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열전달(heat transfer, 熱傳達)체로 이루어진 지지바(110); 와 상기 지지바(1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가열된 지지바(110)의 열원이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00,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heat insulation, 斷熱)체로 이루어진 차단바(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함입 형성되어, 전기레인지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이 배치되는 거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그 단면이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 및 상기 바닥판 중 적어도 상기 용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용기부(1000); 상기 용기부(10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판(2000); 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2000)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부(1000)가 상기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삽입되는 거치홈(2100)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며의 조리용기는 상기 용기부(1000)의 바닥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용기부(100)의 하면과 접촉되는 상기 바닥판(1000)의 상면이 상기 바닥판(100)의 하면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되, 상기 전기레인지(10)의 상면과 인접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용기부(1000)의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S)과 연통되는 배출공(120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어 전기레인지와 조리용기 상호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의 크기 및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매우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기부의 형상이 모양이 다양하도록 제작되어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에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장착을 나타낸 사신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및 거치홈의 다양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 및 전기레인지에 안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전력을 이용하여 조리용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일체의 조리기구를 의미한다. 전기레인지는 열선을 통해 용기에 직접 열을 전달하는 핫플레이트, 하이라이트, 할로겐, 패스트라이트, 노말라이트 등의 라디에이팅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핫플레이트 전기레인지는 열선 히터에 금속판을 덧붙여 용기와 발열체가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는 조리기구를 의미하며, 할로겐 전기레인지는 세라믹의 상판을 가열하는 방식의 조리기구를 의미하며, 할로겐 램프의 강한 적외선 열로 용기를 가열하는 조리기구를 의미한다. 전기레인지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조리용기 자체의 발열을 이용하는 전기유도 방식(인덕션 방식)인 인덕션 전기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의 열원으로 열선 히터, 코일타입의 레디언트 히터, 할로겐 히터, 및 고주파 파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의 인턱션 전기레인지의 경우, 전자기 유도를 일으키는 워킹코일도 열원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열부는 열원 및 열원의 상단부에 배치딘 세라믹이나 내열성이 강한 유리재질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레인지 및/또는 조리용기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전기레인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용 거치대는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기레인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가 외력이나 기타 다른 환경요인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레인지용 거치대는, 메인프레임(100),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단면이 원형이거나, 삼각형, 오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인 막대기일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의 단면 모양이나 크기는 후술하는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프레임(100)은 전기레인지(10)의 상면 즉, 전기레인지(10)의 발열부에 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며 안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기레인지용 거치대는 보조프레임(10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101)은 메인프레임(100)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교차 막대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101)은 메인프레임(100)과 교차하지 않는, 예를 들어, 평행한 비교차 막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비교차 막대기는 메인프레임(100) 및/또는 교차 막대기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01)을 구성하는 막대기는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고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및 배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100) 및 보조프레임(101)은 도 1과 같이 'T' 자 형상을 이루거나, '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결합례는 방사형, 비방사형, 대칭형, 및 비대칭형 중 하나 또는 앞서 언급한 형상들의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은 메인프레임(100)의 양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은 메인프레임(100)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레인지(1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도록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의 전기레인지(10)에 접촉 고정되는 것은 메인프레임(100)이 전기레인지(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프레임(100)이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이동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과 메인프레임(100)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거나,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과 메인프레임(100)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전기레인지(10)은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이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결합 부재는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이 메인프레임(10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의 가변 거리를 위해,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은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결합의 경우,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300)은 중앙에 메인프레임(100)이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의 각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프레임(100)은 각 관통홀과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300)의 연결되는 구조는 상기의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의 설계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 각각은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은 메인프레임(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의 하단이 바닥에 안착되도록,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제1 고정대(210)의 하단이 바닥에 안착되어, 메인프레임(100)이 전기레인지(10)에 고정되는 정도(이하, '고정력')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의 하단은 메인프레임(100)과 반대측 끝단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레인지(1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메인프레임(100)의 고정력이 생기도록 하거나 더 안정적인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는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11, 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의 삽입으로, 메인프레임(100)은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안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전기레인지(10)가 식탁에 매립된 경우, 전기레인지(10)의 삽입홀(11, 12)은 전기레인지(10)와 전기레인지용 거치대가 쉽게 결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매립형 식탁의 경우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의 몸체(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을 제외한 부분) 또는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가 전기레인지(10)의 측면에 배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고정대(210, 310)는 식탁의 상면에 삽입홀이 있는 경우, 식탁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메인프레임(100)의 고정력을 생성시킬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레인지용 거치대는 제1 및 제2 연장부(400, 5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400, 500) 각각은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제1 및 제2 연장부(400, 500)는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및 제2 브라켓(200, 300)을 각기 이격시키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연장부(400, 500)는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중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안테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레인지(10)의 크기 및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전기레인지(10)의 종, 횡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메인프레임(100)을 전기레인지(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지지바(110) 및 차단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110)는 메인프레임(100)의 중간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지지바(110)는 전기레인지(10)의 발열부에 안착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지지바(110)는 발열부의 열원을 전기레인지(10)에 안착되는 조리 용기에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열부가 고온의 열을 생성하는 경우, 지지바(110)는 열전도체 재질이어야 열효율이 높을 수 있다. 발열부가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발열부인 경우, 지지바(110)는 강자성체 성분을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바(120)는 지지바(110)의 양단에 배치되어 지지바(110)에 연결될 수 있다. 차단바(120)는 전기레인지(10)의 발열부 및/또는 조리 용기에 의한 열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바(120)는 열전도도가 낮은 열부도체 재질이거나, 방열이 빠른 재질 또는 구조(넓은 표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바(120)는 화상이나 화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용 거치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용기부(1000), 바닥판(2000), 및 거치홈(2100)을 구비할 수 있다.
용기부(100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공간(S)은 음식 조리를 위한 내용물을 수용한다.
바닥판(2000)은 용기부(10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판(2000)은 용기부(1000)와 접착 고정되거나, 용기부(10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2000)과 용기부(1000)는 서로 탈부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탈부착 구조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바닥판(2000)이 용기부(1000)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바닥판(2000)은 전기레인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에이팅 방식의 경우 바닥판(2000)은 열전도도가 좋은 열전도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덕션 방식의 경우 강자성체 재질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전자기 유도를 잘 발생시키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부(1000)와 바닥판(2000)이 탈부착 구조인 경우, 인덕션용 아닌 조리용기를 인덕션 전기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조리용기는 용기부(1000)과 바닥판(2000) 사이에 배치되어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전자기 유도에 잘 반응하는 강자성체의 재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바닥판(2000)은 전자기장이 잘 투과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닥판(2000)이 강자성체인 경우 거치홈(2100)이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전자기 유도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 유도에 반응하는 플레이트를 별도로 제공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거치홈(2100)은 바닥판(2000)의 하면에 함입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00)은 바닥판(2000)이 상술한 전기레인지용 거치대의 메인프레임(100)을 덮으면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이 거치홈(2100)에 삽입될 수 있다. 거치홈(2100)에 의해, 바닥판(2000)의 하면이 조리용기의 상면 즉, 발열부에 밀착될 수 있다. 거치홈(2100)은 메인프레임(100)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상기 끼워맞춤은 헐거운 끼워맞춤 또는 중간 끼워맞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홈(2100)은 메인프레임(10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고, 메인프레임(100)의 높이 보다 조금 더 깊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조리용기의 바닥판(2000)이 전기레인지(10)의 상면에 안착된 경우, 거치홈(2100)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00)은 스탑퍼 역할을 하여, 조리용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용 거치대가 보조프레임(101)을 더 포함하는 경우, 거치홈(2100)은 메인프레임(100)과 대응되어 탈부착하는 것과 같은 구조로 보조프레임(101)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바닥판(2000)에 함입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00) 및 보조프레임(101)의 단면 형상은 원형, 반구형,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거치홈(2100)의 단면 또한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판(2000)은 전기레인지(10)에 완벽하게 밀착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바닥판(2000) 또는 용기부(1000)의 바닥면의 단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판(20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판(2000)의 하면이 지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그 상면이 하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은 용기부(1000)의 바닥면을 기울게 할 수 있다. 조리용기가 고기 굽는 구이판일 경우, 기름을 한 쪽으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조리용기는 배출공(1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배출공(1200)은 용기부(1000)의 측면을 관통하거나 용기부(1000)와 바닥판(20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배출공(1200)은 용기부(1000)의 바닥면이 경사진 경우 유체가 고이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공(1200)은 고인 기름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거치홈(2100) 중 메인프레임(100)과 대응하는 홈은 바닥판(20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할 수 있다. 바닥판(2000)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우, 거치홈(2100) 중 메인프레임(100)과 대응하는 홈(이하, '메인 대응홈')은 바닥판(2000)의 중앙선을 벗어나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바닥판(2000)이 원형인 경우, 메인 대응홈은 원형의 지름이 아닌 현인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메인 대응홈은 바닥판(2000)의 두꺼운 단면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은 단면에 홈이 없도록 하여, 열전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는 전기레인지와 조리용기 상호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음식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전기레인지
100 : 메인프레임 101 : 보조프레임
110 : 지지바 120 : 차단바
200 : 제1 브라켓 210 : 제1 고정대
300 : 제2 브라켓 310 : 제1 고정대
400 : 제1 연장부 500 : 제2 연장부
1000 : 용기부 1200 : 배출공
2000 : 바닥판 2100 : 거치홈

Claims (10)

  1.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전기레인지에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바닥판에 형성된 거치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전기레인지의 열원을 조리용기에 전달하는 재질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레인지 또는 상기 조리용기의 열을 차단하거나 외부로 빨리 방출하는 재질의 차단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레인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레인지용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교차되어 연결되는 교차 막대기를 구비하는 보조프레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바닥판에 형성된 거치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전기레인지용 거치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각각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양 측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의 하단이 바닥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 또는 상기 전기레인지가 안착된 탁자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전기레인지용 거치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71530A 2017-12-13 2017-12-13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KR10195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30A KR101955494B1 (ko) 2017-12-13 2017-12-13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30A KR101955494B1 (ko) 2017-12-13 2017-12-13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494B1 true KR101955494B1 (ko) 2019-03-11

Family

ID=6575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530A KR101955494B1 (ko) 2017-12-13 2017-12-13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4886A (zh) * 2020-06-01 2020-08-28 葫芦岛智多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安装式炉盘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6288U (ko) * 1985-06-13 1986-12-26
JP2937768B2 (ja) * 1994-10-03 1999-08-23 関西電力株式会社 高周波電磁調理器
KR200373950Y1 (ko) 2004-11-03 2005-01-21 주식회사 대일엠앤쿡 인덕션 렌지용 석쇠구이판
KR200478348Y1 (ko) * 2015-08-04 2015-09-21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인덕션 히터용 고기구이기
KR20170002454U (ko) * 2015-12-29 2017-07-07 (주)피스월드 인덕션용 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6288U (ko) * 1985-06-13 1986-12-26
JP2937768B2 (ja) * 1994-10-03 1999-08-23 関西電力株式会社 高周波電磁調理器
KR200373950Y1 (ko) 2004-11-03 2005-01-21 주식회사 대일엠앤쿡 인덕션 렌지용 석쇠구이판
KR200478348Y1 (ko) * 2015-08-04 2015-09-21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인덕션 히터용 고기구이기
KR20170002454U (ko) * 2015-12-29 2017-07-07 (주)피스월드 인덕션용 고기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4886A (zh) * 2020-06-01 2020-08-28 葫芦岛智多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安装式炉盘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63B1 (ko)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
CN104603543A (zh) 耐火烹饪装置
CA2943281A1 (en) High performance surface unit for heating
KR101955494B1 (ko)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
JP2015052446A (ja) ヒータユニット及びこのヒータユニット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20130062038A (ko) 음식물 보온용 가열장치
CN101797122A (zh) 具有硅树脂手柄的热扩散器
JP2014154533A (ja) 電磁誘導機器
JP2017118937A (ja) 加熱調理装置
CN107920686A (zh) 与烹饪炉箅直接接触的烹饪器具
KR20070118952A (ko) 가열 조리 가대
CN212037240U (zh) 烤箱
KR100819592B1 (ko) 조리기기
JP6167282B2 (ja) 電磁誘導機器
US10292530B2 (en) Heating and cooking apparatus
JPH09171890A (ja) 誘導加熱調理用の調理容器
KR100918423B1 (ko) 전기 쿡탑
KR101445665B1 (ko) 열기 유도장치
CN201303833Y (zh) 电磁炉炒锅
CN218895430U (zh) 一种电磁炉的防干烧探温结构
CN203723871U (zh) 一种斜面加热防糊底食品烹调电器
KR20140131757A (ko) 조리용기 가열부가 별도로 구성된 전기그릴
KR102192162B1 (ko) 화구 안전 가이드 장치
KR101594671B1 (ko) 조리용기
CN202277247U (zh) 铁板烤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