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82B1 -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382B1
KR101955382B1 KR1020170082015A KR20170082015A KR101955382B1 KR 101955382 B1 KR101955382 B1 KR 101955382B1 KR 1020170082015 A KR1020170082015 A KR 1020170082015A KR 20170082015 A KR20170082015 A KR 20170082015A KR 101955382 B1 KR101955382 B1 KR 10195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group
inspection
support
floor panel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48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명성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명성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8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single longitudin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Abstract

이 발명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정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그군을 일괄적으로 이송시켜서 측정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삼각로드의 공전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1개의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분배하여 사용하며, 베벨기어와 연동되는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대 래크기어와,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상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 테이블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과 함께 전후진 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승하강 운동을 하는 지주대와, 상기한 지주대의 상부에 양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승하강 운동을 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한 센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센터 프레임과 함께 상승하강 운동을 하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그군 래크기어와,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상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과,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이동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피니언기어와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피니언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와, 상기한 모터부로부터 지주대 테이블의 피니언기어와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동력 차단부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Inspection table unit of vehicle center floor panel assembly}
이 발명은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정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그군을 일괄적으로 이송시켜서 자동 측정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삼각로드의 공전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1개의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분배하여 사용하며, 베벨기어와 연동되는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 사이드 바디,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포함하는 바디와,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등을 포함하는 새시를 각각 제작한 후 이를 조립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는 철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각각의 부품을 제작하게 된다.
참고로,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로서, 터널부에 머플러 유닛이 일체로 결합 가능하여 차체 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터널부의 높이를 축소시켜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17692호(공개일자 2013년 02월 20일)의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에서 개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는, 각각의 부품을 성형한 후에는 치수대로 정확하게 성형되었는지를 검사하게 되는데, 각 부품별로 미리 지정된 측정점에 대하여 작업자가 길이, 두께 등을 검사하게 된다. 즉,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외주변의 길이와 성형된 부분의 높낮이를 체크하는 다수의 측정점이 설정되어 있으며, 측정될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치수에 맞추어 미리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형태대로 제작된다. 기준면이 다수 설치된 측정다이에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를 안착시킨 후, 상기한 측정 다이의 끝면으로 돌출되는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길이를 검사지그로 측정하여 외곽 치수를 측정하고, 기준면에 의해 측정 다이에서 일정 높이 떠있는 공간에 테이퍼형의 갭검사지그를 넣어서 성형된 부분의 성형 치수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정작업시 10-30매 정도의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측정시의 오차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오차 범위를 넘는 성형물이 산출되는 프레스의 금형은 수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는,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정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그군을 일괄적으로 이송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176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정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그군을 일괄적으로 이송시켜서 자동 측정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각로드의 공전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1개의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분배하여 사용하며, 베벨기어와 연동되는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대 래크기어와,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상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 테이블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과 함께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와, 상기한 지주대의 상부에 양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승하강 운동을 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한 센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센터 프레임과 함께 상승하강 운동을 하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그군 래크기어와,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상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과,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이동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피니언기어와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피니언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와, 상기한 모터부로부터 지주대 테이블의 피니언기어와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동력 차단부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지주대는,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 몸체와, 상기한 지주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베어링과, 상기한 제1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축과, 상기한 제1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서 센터프레임 래크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모터와, 상기한 제1 회전축에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라켓과, 상기한 제1 스프라켓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과, 상기한 지주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베어링과, 상기한 제2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축과, 상기한 제2 회전축과 체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프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모터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부 로드와, 상기한 상부 로드의 타단에 상부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는 삼각 로드와, 상기한 삼각 로드의 좌측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좌측 로드와, 상기한 삼각 로드의 우측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우측 로드와, 상기한 좌측 로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좌측 회전풀리와, 상기한 우측 로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우측 회전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동력 차단부는, 모터부로부터 제1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전달방향을 90도 변경하며 내주면에 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베벨기어와, 상기한 제2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조립되며 상기한 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홀이 통공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웜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웜기어 샤프트와, 상기한 볼홀에 조립되어 있는 볼과,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볼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돌출핀이 형성되어 있는 볼플런저와,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와 볼플런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돌출핀은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볼플런저가 웜기어 샤프트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볼플런저 캡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돌출핀을 눌러줌으로써 볼플런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암과, 상기한 회전암의 연결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프링과, 상기한 제2 스프링과 대응하여 회전암의 연결핀에 로드가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플런저와,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볼베어링과, 상기한 볼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웜기어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 및 지그군 래크기어의 주변에는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 및 이동 지그군 테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 및 이동 지그군 테이블에는 상기한 록킹부와 록킹되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록킹장치는, 측면에 'ㄱ'자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한 홀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한 커버와 홀더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 조립되는 'T"자형 핸들과, 상기한 핸들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록킹부와 결합되는 록킹핀과, 상기한 핸들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홀더의 걸림홈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편과, 상기한 걸림편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센터 프레임은, 측면에 지지판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판넬에는 센터 프레임 래크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지주대 몸체와 연결되는 쇽업쇼버가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정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그군을 일괄적으로 이송시켜서 자동 측정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삼각로드의 공전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1개의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분배하여 사용하며, 베벨기어와 연동되는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승강 검사 지그군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승강 검사 지그군과 관련된 부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승강 검사 지그군과 베이스 테이블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를 전방측에서 바라다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를 후방측에서 바라다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모터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동력 차단부의 동력전달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동력 차단부의 동력차단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록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록킹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승강 검사 지그군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구성은, 베이스 테이블(1)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1)의 상부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대 래크기어(2a, 2b)와,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2a, 2b)상에 피니언기어(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2a, 2b)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 테이블(3a, 3b)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3a, 3b)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3a, 3b)과 함께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4a, 4b)와, 상기한 지주대(4a, 4b)의 상부에 양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승하강 운동을 하는 센터 프레임(5)과, 상기한 센터 프레임(5)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센터 프레임(5)과 함께 상승하강 운동을 하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 검사 지그군(6)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1)의 상부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그군 래크기어(7a, 7b)와,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7a, 7b)상에 피니언기어(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7a, 7b)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과,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이동 검사 지그군(9a, 9b)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1)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 검사 지그군(10)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와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54)와, 상기한 모터부(54)로부터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와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동력 차단부(55)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1)의 저면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1)와, 고정시 높이 조절을 위한 고정지지대(12)와, 견인을 위한 지지부(13)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부에는 승강 이송을 위한 걸고리(14)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2a, 2b)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래크기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2a, 2b)의 끝부분 주위에는 지주대 테이블(3a, 3b)이 지주대 래크기어(2a, 2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2c, 2d)가 설치되어 있고, 지주대 테이블(3a, 3b)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2e, 2f)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3a, 3b)에는 상기한 록킹부(2e, 2f)와 록킹되기 위한 록킹장치(3c, 3d)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7a, 7b)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레일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7a, 7b)의 끝부분 주위에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이 지그군 래크기어(7a, 7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7c, 7d)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7e, 7f)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에는 상기한 록킹부(7e, 7f)와 록킹되기 위한 록킹장치(8c, 8d)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승강 검사 지그군과 관련된 부분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승강 검사 지그군과 베이스 테이블을 제외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를 전방측에서 바라다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를 후방측에서 바라다 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지주대(4a, 4b)는,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3a, 3b)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 몸체(41)와, 상기한 지주대 몸체(41)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베어링(42)과, 상기한 제1 베어링(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축(43)과, 상기한 제1 회전축(43)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서 센터프레임 래크기어(52)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모터(44)와, 상기한 제1 회전축(43)에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라켓(45)과, 상기한 제1 스프라켓(45)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46)과, 상기한 지주대 몸체(41)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베어링(47)과, 상기한 제2 베어링(4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축(48)과, 상기한 제2 회전축(48)과 체인(4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프라켓(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센터 프레임(5)은, 측면에 지지판넬(5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판넬(51)에는 센터프레임 래크기어(52)가 설치되어 있고, 지주대 몸체(41)와 연결되는 쇽업쇼버(53)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모터부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모터부(54)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541)와, 상기한 모터(541)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부 로드(542)와, 상기한 상부 로드(542)의 타단에 상부 회전축(543c)이 연결되어 있는 삼각 로드(543)와, 상기한 삼각 로드(543)의 좌측 회전축(543a)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좌측 로드(544a)와, 상기한 삼각 로드(543)의 우측 회전축(543b)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우측 로드(544b)와, 상기한 좌측 로드(544a)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좌측 회전풀리(545a)와, 상기한 우측 로드(544b)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우측 회전풀리(54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좌측 회전풀리(545a)와 우측 회전풀리(545b) 대신에 회전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동력 차단부의 동력전달시 단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동력 차단부의 동력차단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동력 차단부(55)의 구성은, 모터부(54)로부터 제1 베벨기어(555)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전달방향을 90도 변경하며 내주면에 볼홈(556a)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베벨기어(556)와, 상기한 제2 베벨기어(556)의 중심부에 조립되며 상기한 볼홈(556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홀(551a)이 통공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웜기어(551b)가 형성되어 있는 웜기어 샤프트(551)와, 상기한 볼홀(551a)에 조립되어 있는 볼(557)과,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5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볼안착홈(55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돌출핀(553b)이 형성되어 있는 볼플런저(553)와,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551)와 볼플런저(55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552)과, 상기한 돌출핀(553b)은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볼플런저(553)가 웜기어 샤프트(551)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볼플런저 캡(554)과, 회전축(56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돌출핀(553b)을 눌러줌으로써 볼플런저(553)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암(560)과, 상기한 회전암(560)의 연결핀(560b)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프링(561)과, 상기한 제2 스프링(561)과 대응하여 회전암(560)의 연결핀(560b)에 로드(562a)가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플런저(562)와,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551)를 지지하기 위한 볼베어링(558a, 558b)과, 상기한 볼베어링(558a)을 지지하기 위한 웜기어 서포트(5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스프링(552)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제2 스프링(561)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록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록킹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록킹장치(3c, 3d, 8c)는, 측면에 'ㄱ'자 형태의 걸림홈(311)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31)와, 상기한 홀더(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버(32)와, 상기한 커버(32)와 홀더(31)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 조립되는 'T"자형 핸들(33)과, 상기한 핸들(33)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록킹부(2e,2f, 7e, 7f)와 결합되는 록킹핀(34)과, 상기한 핸들(33)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홀더(31)의 걸림홈(311)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편(35)과, 상기한 걸림편(35)과 홀더(31)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프링(36)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를 고정 검사 지그군(10)의 위에 올려 놓으면, 제어부는 고정 검사 지그군(1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하부면을 측정 검사한다.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하부면을 측정 검사한 후에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측정 검사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모터부(54)를 구동시켜서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이 지그군 래크기어(7a, 7b)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검사 지그군(9a, 9b)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서 위치를 설정한다.
제어부가 모터부(54)를 작동시키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부(54)의 모터(541)로부터 회전동력이 발생되어 상부 로드(542)로 전해짐으로써 상부로드(54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상부 로드(542)의 타단에는 삼각 로드(543)의 상부 회전축(543c)이 연결되어 있어서 삼각 로드(543)가 모터(54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로드(542)의 길이만큼 거리를 두고서 공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삼각 로드(543)의 좌측 회전축(543a)에는 좌측 로드(544a)를 거쳐서 좌측 회전풀리(545a)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삼각 로드(543)의 우측 회전축(543b)에는 우측 로드(544b)를 거쳐서 우측 회전풀리(545b)가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모터(541)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삼각로드(543)의 공전운동을 이용하여 두개의 회전풀리(545a, 545b)로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삼각로드의 공전운동 원리를 이용하게 되면 좌측 회전풀리(545a) 또는 우측 회전풀리(545b)로부터 회전동력을 추가적으로 분배하여 전달할 수가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와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를 1개의 모터(541)로부터 회전동력을 분배하여 구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모터부(54)로부터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와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동력차단부(55)를 거쳐서 전달되는데, 제어부는 동력 차단부(55)의 솔레노이드 플런저(562)를 제어함으로써 모터부(54)로부터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와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로 회전동력이 개별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력 차단부(55)의 솔레노이드 플런저(562)를 제2 스프링(561)이 있는 쪽으로 밀어주게 되면, 회전암(560)이 회전축(560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플런저(553)가 제1 스프링(552)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볼플런저(553)가 볼(557)을 밀어 올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볼플런저(553)에 의해 볼(557)이 위로 밀리게 되면, 볼(557)이 웜기어 샤프트(551)의 볼홀(551a)과 제2 베벨기어(556)의 볼홈(556a)에 위치됨으로써 볼(557)을 매개로 하여 웜기어 샤프트(551)와 제2 베벨기어(556)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웜기어 샤프트(551)와 제2 베벨기어(556)가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 모터부(54)로부터 제1 베벨기어(555)를 거쳐서 제2 베벨기어(556)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웜기어샤프트(551)로 전달된다.
웜기어 샤프트(551)의 회전동력은 웜기어(551b)를 통하여 임의의 기어(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고, 궁극적으로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 또는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됨으로써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 또는 지주대 테이블(3a, 3b)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력 차단부(55)의 솔레노이드 플런저(562)를 제2 스프링(561)의 반대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회전암(560)이 회전축(560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플런저(553)의 돌출핀(553b)을 우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볼플런저(553)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볼(557)이 제2 베벨기어(556)의 볼홈(556a)으로부터 이탈하여 볼플런저(553)의 볼안착홈(553a)으로 안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557)이 볼플런저(553)의 볼안착홈(553a)에 안착하게 되면, 볼(557)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되고 있는 웜기어 샤프트(551)와 제2 베벨기어(556)가 분리됨으로써, 모터부(54)로부터 제1 베벨기어(555)를 거쳐서 제2 베벨기어(556)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웜기어샤프트(551)로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웜기어샤프트(551)를 거쳐서 이동 지그군 테이블(8a, 8b)의 피니언기어 또는 지주대 테이블(3a, 3b)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차단된다.
한편, 작업자는 록킹장치(8c)를 록킹부(7e, 7f)와 결합시킴으로써 이동 검사 지그군(9a, 9b)을 고정시킨다. 작업자가 록킹장치(8c)의 핸들(33)을 돌려서 걸림편(35)이 'ㄱ'자 형태의 걸림홈(311)의 수직방향 위치에 오도록 한 뒤에 놓게 되면 인장 스프링(36)이 핸들(33)을 잡아 당김으로써 핸들(33)과 함께 록킹핀(34)이 수직으로 하강되어 록킹핀(34)이 록킹부(7e, 7f)와 록킹 결합된다. 작업자가 록킹핀(34)과 록킹부(7e, 7f)의 록킹결합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록킹장치(8c)의 핸들(33)을 들어올려서 걸림편(35)이 'ㄱ'자 형태의 걸림홈(311)의 수평방향 위치에 오도록 한 뒤에 돌리게 되면 걸림편(35)이 걸림홈(311)의 수직방향 위치에서 벗어나서 록킹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 검사 지그군(9a, 9b)의 위치가 설정되면, 제어부는 이동 검사 지그군(9a, 9b)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가장자리 부위를 측정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측정 검사한 후에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상부면을 측정 검사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모터부(54)를 구동시켜서 지주대 테이블(3a, 3b)이 지주대 래크기어(2a, 2b)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지주대(4a, 4b)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서 록킹부(2e, 2f)가 있는 위치로 오도록 위치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위에서 록킹장치(8c)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록킹장치(3c, 3d)를 록킹부(2e, 2f)와 록킹 결합시킴으로써 지주대(4a, 4b)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지주대(4a, 4b)의 위치가 설정되면, 제어부는 피니언기어 모터(44)를 구동하여 승강 검사 지그군(6)을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켜서 측정 검사 위치를 설정한다.
제어부가 피니언기어 모터(44)를 돌리게 되면, 피니언기어 모터(4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센터프레임 래크기어(52)가 피니언기어 모터(4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센터프레임 래크기어(52)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센터프레임 래크기어(52)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판넬(5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센터 프레임(5)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센터 프레임(5)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센터 프레임(5)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승강 검사 지그군(6)이 상승하강 운동을 함으로써 측정 검사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승강 검사 지그군(6)의 측정 검사 위치가 설정되고 나면, 제어부는 승강 검사 지그군(6)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상부면을 측정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각각의 측정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그군을 일괄적으로 이송시켜서 측정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삼각로드의 공전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1개의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분배하여 사용하며, 베벨기어와 연동되는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1 : 베이스 테이블 2a, 2b : 지주대 래크기어
3a, 3b : 지주대 테이블 4a, 4b : 지주대
5 : 센터 프레임 6 : 승하강 검사 지그군
7a, 7b : 지그군 래크기어 8a, 8b : 이동 지그군 테이블
9a, 9b : 이동 검사 지그군 10 : 고정 검사 지그군

Claims (7)

  1. 베이스 테이블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양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대 래크기어와,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상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 테이블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과 함께 전후진 운동을 하는 지주대와,
    상기한 지주대의 상부에 양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승하강 운동을 하는 센터 프레임과,
    상기한 센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센터 프레임과 함께 상승하강 운동을 하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그군 래크기어와,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상에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그군 래크기어를 따라서 전후진 운동을 하는 이동 지그군 테이블과,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이동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베이스 테이블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 검사 센서들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 검사 지그군과,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피니언기어와 상기한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피니언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와,
    상기한 모터부로부터 지주대 테이블의 피니언기어와 이동 지그군 테이블의 피니언기어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기 위한 동력 차단부와,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모터부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부 로드와,
    상기한 상부 로드의 타단에 상부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는 삼각 로드와,
    상기한 삼각 로드의 좌측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좌측 로드와,
    상기한 삼각 로드의 우측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우측 로드와,
    상기한 좌측 로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좌측 회전풀리와,
    상기한 우측 로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우측 회전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대는,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 몸체와,
    상기한 지주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베어링과,
    상기한 제1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축과,
    상기한 제1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서 센터프레임 래크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모터와,
    상기한 제1 회전축에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라켓과,
    상기한 제1 스프라켓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과,
    상기한 지주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베어링과,
    상기한 제2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축과,
    상기한 제2 회전축과 체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프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 차단부는,
    모터부로부터 제1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전달방향을 90도 변경하며 내주면에 볼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베벨기어와,
    상기한 제2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조립되며 상기한 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홀이 통공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웜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웜기어 샤프트와,
    상기한 볼홀에 조립되어 있는 볼과,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볼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돌출핀이 형성되어 있는 볼플런저와,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와 볼플런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돌출핀은 외부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볼플런저가 웜기어 샤프트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볼플런저 캡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돌출핀을 눌러줌으로써 볼플런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암과,
    상기한 회전암의 연결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프링과,
    상기한 제2 스프링과 대응하여 회전암의 연결핀에 로드가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플런저와,
    상기한 웜기어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볼베어링과,
    상기한 볼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웜기어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주대 래크기어 및 지그군 래크기어의 주변에는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 및 이동 지그군 테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지주대 테이블 및 이동 지그군 테이블에는 상기한 록킹부와 록킹되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킹장치는,
    측면에 'ㄱ'자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한 홀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한 커버와 홀더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 조립되는 'T"자형 핸들과,
    상기한 핸들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록킹부와 결합되는 록킹핀과,
    상기한 핸들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홀더의 걸림홈에 삽입 결합되는 걸림편과,
    상기한 걸림편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센터 프레임은, 측면에 지지판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판넬에는 센터 프레임 래크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지주대 몸체와 연결되는 쇽업쇼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KR1020170082015A 2017-06-28 2017-06-28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KR10195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015A KR101955382B1 (ko) 2017-06-28 2017-06-28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015A KR101955382B1 (ko) 2017-06-28 2017-06-28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48A KR20190001848A (ko) 2019-01-07
KR101955382B1 true KR101955382B1 (ko) 2019-05-30

Family

ID=6501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015A KR101955382B1 (ko) 2017-06-28 2017-06-28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435B1 (ko) * 2019-11-07 2021-05-10 김병철 판넬 검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47B1 (ko) * 2014-03-27 2014-11-04 주식회사엠시스 인쇄전자소자용 패턴롤 검사장치
KR101581417B1 (ko) * 2015-08-25 2015-12-31 (주)명성엔지니어링 차량 사이드 바디용 검사 테이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604B1 (ko) * 2001-11-26 2006-02-22 주식회사 포스코 곡면 강판의 다방향 반곡 측정장치
KR100513624B1 (ko) * 2003-10-11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언더 커버 충격시험장치
KR101744996B1 (ko) 2011-08-11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
KR101695670B1 (ko) * 2015-05-08 2017-01-13 일윤주식회사 자동차 캐리어 조립체의 자동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47B1 (ko) * 2014-03-27 2014-11-04 주식회사엠시스 인쇄전자소자용 패턴롤 검사장치
KR101581417B1 (ko) * 2015-08-25 2015-12-31 (주)명성엔지니어링 차량 사이드 바디용 검사 테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48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6717B (zh) 一种自动化生产用的可调式输送机
KR101279323B1 (ko) 타이어 시험기
KR101955382B1 (ko)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CN106882746A (zh) 重卡变速箱装配用自动精确翻转机
CN108500918A (zh) 一种模具翻转机及模具翻转方法
CN114030983A (zh) 一种适应于不同尺寸的汽车车身用的吊具
KR101695670B1 (ko) 자동차 캐리어 조립체의 자동 검사장치
KR20170091713A (ko) 타이어 균일성 테스트 시스템
KR101955380B1 (ko) 차량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CN105137313B (zh) 电力避雷器测试装置
CN116674943A (zh) 一种多工位线质检生产线
US89855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CN105242078A (zh) 避雷器试验车
CN110002363B (zh) 一种工件托运装置及工件托运方法
CN216104570U (zh) 一种上浮式自动掉头设备
CN111855080A (zh) 车辆的质心位置测量装置
CN216176019U (zh) 一种汽车车门加工模具定位检测装置
JPH0673079U (ja) 高所作業車における安全帯掛止装置構造
CN210589178U (zh) 一种多功能机械制造工作台
CN220536721U (zh) 一种多工位线质检生产线
CN114148131B (zh) 一种新型非真空胎轮胎套合成机
CN219005178U (zh) 一种汽车零部件组装卡扣装置
KR100588536B1 (ko) 가스 용기 로딩 장치
CN219489483U (zh) 一种随行侧顶机设备
CN211770052U (zh) 一种升举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