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46B1 -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346B1
KR101955346B1 KR1020160177195A KR20160177195A KR101955346B1 KR 101955346 B1 KR101955346 B1 KR 101955346B1 KR 1020160177195 A KR1020160177195 A KR 1020160177195A KR 20160177195 A KR20160177195 A KR 20160177195A KR 101955346 B1 KR101955346 B1 KR 10195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earning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fric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807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1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by checking feasibility of shifts, i.e. determine if requested shift can be successfully completed and post shift values are in an acceptable range

Abstract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변속레버의 위치를 토대로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면, 제어부가 변속 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학습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LEARN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에 따라 학습을 실시하는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 속도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 등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자동 변속기에는 작동 상태에서 작동 해제 상태로 변환되는 마찰요소 및 작동 해제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변환되는 마찰요소가 존재하며, 마찰요소의 해제 및 결합은 각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마찰요소에 공급되는 유압의 제어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유압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유압을 마찰요소에 공급한다.
한편, 자동 변속기는 유압, 클리어런스, 마찰력, 내구마모 등에 따른 하드웨어 편차를 보상하여 변속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 제어에 있어서, 스태틱 N-D 변속 및 N-R 변속의 경우 제어기가 변속레버의 중간단 걸림 상태로 인해 물리적으로 유압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중간단 걸림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여 오학습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17140호(2008.02.26)의 '스태틱 변속중 응답지연시 강제 학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스태틱 변속시 변속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따라 학습을 실시하는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중간단 걸림 판정 결과에 따라 학습 제어를 실시하여 학습 제어시의 오학습을 방지하고, 자동 변속기의 제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변속레버의 위치를 토대로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변속 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학습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레버가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이면 학습을 금지하고,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가 아니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고,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학습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지 않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거나,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는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 센서; 및 상기 변속레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를 토대로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면, 변속 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다라 학습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레버가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이면 학습을 금지하고,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가 아니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고,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학습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지 않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거나,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스태틱 변속시 변속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따라 학습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중간단 걸림 판정 결과에 따라 학습 제어를 실시하여 학습 제어시의 오학습을 방지하고, 자동 변속기의 제어 안정성을 확보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는 스로틀 밸브 검출부(10), 엔진 토크 검출부(20), 엔진 회전수 검출부(30), 터빈 회전수 검출부(40), 에어컨(50), 제어부(60), 유압 조절부(70) 및 변속레버 센서(80)를 포함한다.
변속레버 센서(80)는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한다.
스로틀 밸브 검출부(10)는 스로틀 밸브(미도시)의 개도량을 검출한다. 스로틀 밸브는 운전자가 차량의 감가속을 위해 조작하는 가속 페달(미도시)에 연동되어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한다.
엔진 토크 검출부(20)는 차량 엔진(미도시)의 엔진 토크를 검출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30)는 차량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터빈 회전수 검출부(40)는 터빈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에어컨(50)은 차량 내부의 온도와 습도, 풍향, 풍량 등을 제어한다.
유압 조절부(70)는 액추에이터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마찰요소에 가해지는 유압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상기한 스로틀 밸브 검출부(10), 엔진 토크 검출부(20), 엔진 회전수 검출부(30) 및 터빈 회전수 검출부(40)에 의해 각각 검출된 스로틀 밸브 검출량, 엔진 토크, 엔진 회전수 및 터빈 회전수에 따라 유압 조절부(70)를 제어하여 마찰요소의 유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60)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엔진 토크, 엔진 회전수 및 터빈 회전수에 따라 유압 조절부(70)를 제어하여 작동 상태에서 작동 해제 상태로 변환되는 마찰요소 및 작동 해제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변환되는 마찰요소 각각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마찰요소의 해제 및 결합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60)는 자동변속기의 유압, 클리어런스, 마찰력, 내구 마모 등에 따른 하드웨어 편차를 보상하여 변속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60)는 변속단이 N단에서 D단 또는 N단에서 R단으로 스태틱 변속할 때 학습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60)는 변속레버 센서(80)에 의해 N단에서 D단으로의 변속 요구가 검출되면, 자동변속기 내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개시(shift start point; SS point)하여 학습을 시작한다. 이후 제어부(60)는 SS point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가 개시되어 해방측 마찰요소(off-going friction element)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on-coming element)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shift begin point; SB point)을 거친 후, 해방측 마찰요소의 해제(disengagement) 및 결합측 마찰요소의 계합(engagement)이 완료되는 SF 시점(shift finish point; SF point)까지의 시간이 목표 시간에 수렴하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N단에서 D단 또는 N단에서 R단으로 스태틱 변속을 수행할 경우, N단에서 D단 또는 N단에서 R단으로 완전히 변속이 되지 않는 중간단 걸림 상태가 될 수 있다.
중간단 걸림 상태는 제어부(60)에서는 변속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반면에, 실제 물리적 기계적으로는 완전히 변속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중간단 걸림 상태에서는 실제 기계적으로 변속이 완료된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어부(60)는 변속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학습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60)는 변속레버 센서(80)의 의해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가 N단에서 D단 또는 N단에서 R단으로 변경될 경우, 현재 변속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학습을 실시하거나 금지한다.
이 경우,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SB point)의 검출 여부, 에어컨(50)의 온오프 상태의 변화 여부, 및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에 따라 판단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60)는 N단에서 D단 또는 N단에서 R단으로 스태틱 변속을 수행할 경우, 변속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SB point)이 검출되고, 에어컨(50)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중간단 걸림 상태로 판단하여 학습을 금지한다.
일 예로, 설정범위는 ±300rpm/s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범위는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가 실제 물리적 기계적으로 변속되지 않는 정도의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가 이 설정범위 이내이면 중간단 걸림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60)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SB point)의 검출되지 않거나, 에어컨(50)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가 아니면, 중간단 걸림 상태로 판단하지 않고 학습을 실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60)는 변속레버 센서(80)의 의해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가 N단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0), 판단 결과 변속레버의 위치가 N단이면 제어부(60)는 N단에서 D단으로 변속레버가 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변속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변속되면, 제어부(60)는 변속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60)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SB point)이 검출되고, 에어컨(50)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S40)하고, 판단 결과 상기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중간단 걸림 상태로 판단하여 학습을 금지한다(S50).
한편,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변속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변속되지 않으면 N단에서 R단으로 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단계(S30)에서의 판단 결과 N단에서 R단으로 변경되면, 제어부(60)는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SB point)이 검출되고, 에어컨(50)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S40)하고, 판단 결과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점(SB point)이 검출되지 않거나, 에어컨(50)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가 아니면, 중간단 걸림 상태로 판단하지 않고 학습을 실시한다(S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변속레버의 중간단 걸림을 판정하여 학습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중간단 걸림 판정을 통한 학습 제어를 통해 오학습을 방지하고, 자동 변속기의 제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스로틀 밸브 검출부
20: 엔진 토크 검출부
30: 엔진 회전수 검출부
40: 터빈 회전수 검출부
50: 에어컨
60: 제어부
70: 유압 조절부
80: 변속레버 센서

Claims (8)

  1. 제어부가 변속레버의 위치를 토대로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변속 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학습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변속레버가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이면 학습을 금지하고,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가 아니면 학습을 실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고,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학습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지 않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거나,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방법.
  5.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 센서; 및
    제어부가 상기 변속레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를 토대로 스태틱 변속 요구가 검출되면, 변속 레버가 중간단 걸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다라 학습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변속레버가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이면 학습을 금지하고, 상기 중간단 걸림 상태가 아니면 학습을 실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고,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며, 단위시간당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이면 학습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방측 마찰요소에서 유압이 해제되기 시작하고 결합측 마찰요소에 유압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SB 시점이 검출되지 않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가 변화되거나, 터빈 회전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학습 제어 장치.
KR1020160177195A 2016-12-22 2016-12-22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5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95A KR101955346B1 (ko) 2016-12-22 2016-12-22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95A KR101955346B1 (ko) 2016-12-22 2016-12-22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07A KR20180073807A (ko) 2018-07-03
KR101955346B1 true KR101955346B1 (ko) 2019-03-08

Family

ID=6291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195A KR101955346B1 (ko) 2016-12-22 2016-12-22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307A1 (ja) * 2011-11-18 2013-05-23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及びその発進時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1571B2 (ja) * 1996-07-05 2004-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276895B1 (ko) * 1996-12-31 2001-03-02 정몽규 자동변속기 중립단에서 주행단으로의 변속 제어 방법
JP3621241B2 (ja) * 1997-10-30 2005-02-16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376711B1 (ko) * 2000-12-27 2003-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업 쉬프트 학습 제어방법
KR100828446B1 (ko) * 2006-08-21 2008-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태틱 변속중 응답지연시 강제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307A1 (ja) * 2011-11-18 2013-05-23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及びその発進時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07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797B1 (ko) Dct용 클러치 토크 학습방법 및 장치
US20120017724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7108633B2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9863487B1 (en) Shifting control method for DCT vehicle
US9626813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for
KR20080053150A (ko) 변속 중 변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55346B1 (ko)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9104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thereof
KR100986065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20080016147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20010055338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4274807B2 (ja) 自動変速機制御装置
JP5087270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US107880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sticking damper clutch
KR101629591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CN109555796B (zh) 用于控制车辆的离合器的方法
KR101914586B1 (ko) 자동변속기의 스태틱 변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601137B1 (ko) 자동 변속기의 학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59789B1 (ko) 초기 유압 학습 장치 및 방법
JP6802285B2 (ja) 自動車用駆動システムにおけるギヤ段切換の実行方法および装置
KR100836916B1 (ko) 업 시프트 제어시 설정된 터빈 토크 영역에서 초기유압학습 방법 및 장치
KR101189227B1 (ko) 자동변속기의 스킵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JP3724336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211781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34626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