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44B1 -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344B1
KR101955344B1 KR1020160177171A KR20160177171A KR101955344B1 KR 101955344 B1 KR101955344 B1 KR 101955344B1 KR 1020160177171 A KR1020160177171 A KR 1020160177171A KR 20160177171 A KR20160177171 A KR 20160177171A KR 101955344 B1 KR101955344 B1 KR 10195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mesh mechanism
flow rate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399A (ko
Inventor
조성원
장인섭
김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2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는, 제어부가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하는 단계; 제어부가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OF WET DOUBLE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로 체결 시 유량 및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수동 변속장치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변속되는 자동 변속장치로 구분된다.
이때, 자동 변속장치로는 두 개의 동력 전달 클러치가 구비된 더블 클러치 변속기(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가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두 개의 클러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입력측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두 개의 입력측 상에 배치되는 기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변속 후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각 자동차 생산 메이커에 따라 형식을 달리하면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 통상적으로는 5속 자동 변속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연비향상과 엔진 구동력의 효율적인 이용으로 동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6속 및 7속 자동 변속기까지 실현되고 있다.
즉,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1, 3, 5속 기어가 제1클러치에 연결되며, 2, 4, 6속 기어가 제2클러치에 연결되어 있어,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에 의하여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이 제어됨으로써,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가 교번하여 플라이휠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그 변속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ENT)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제1속으로의 변속은, 제1싱크로 기구의 슬리브를 통해 제1속 기어와 제1 출력측을 동기시킨 다음, 제1클러치를 작동시키면 제1속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속의 상태에서 차속이 증가하여 제2속으로 변속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1속의 상태에서 제2싱크로 기구의 슬리브를 통해 제2속 기어와 제1동력 전달측을 동기시킨 다음, 제1클러치를 작동 해제하면서 제2클러치를 작동시키면 제2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러한 제1속 및 제2속의 변속 과정과 같이, 다른 변속 과정에서도 해당 싱크로 기구가 해당 변속단의 기어를 해당 동력 전달측에 연결하고 제1클러치 및 제2클러치를 서로 교번 작동시키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싱크로 체결 과정에서, 하드웨어 특성에 맞지 않게 유량 및 유압 제어를 실시할 경우에는, 싱크로 동기 시 충격이 발생하거나, 전환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6626호(등록일 : 2007.05.03.등록)인 "자동 변속 차량용 더블 클러치 구동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싱크로 체결 시 유량 및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원활하게 싱크로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은, 제어부가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제어기의 유량 밸브를 오픈시킨 후 프리싱크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 기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유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싱크로 기구가 동기되도록 유압을 일정 기울기로 증가시키고, 슬리브가 체결 티스에 접촉되도록 유압을 인가한 후, 슬리브가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싱크로 기구의 체결 판정 여부에 따라 유량과 유압을 해제시키는 해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장치는, 복수개의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는 복수개의 피동 기어를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싱크로 기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작동시키는 유량과 유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오일 제어기; 및 상기 오일 제어기를 통해 유량과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싱크로 기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하고,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킨 후,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제어기의 유량 밸브를 오픈시킨 후 프리싱크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제어기를 통해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유압을 증가시켜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 기구가 동기되도록 유압을 일정 기울기로 증가시키고, 상기 싱크로 기구의 슬리브가 체결 티스에 접촉되도록 인가한 후, 슬리브가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는, 싱크로 체결 시 하드웨어 특성에 맞게 유량 및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원활하게 싱크로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싱크로 체결 시 충격을 저감할 수 있고, 체결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어 싱크로 체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싱크로 체결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싱크로 체결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장치는, 제어부(100), 오일 제어기(200) 및 펌프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제어부(100)가 복수 개의 구동 기어(10) 및 상기 구동 기어(10)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피동 기어(20)를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싱크로 기구(3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에 대해 살펴보면,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는 주 입력축(미도시), 제1입력축(미도시), 제2입력축(미도시), 제1클러치(미도시), 제2클러치(미도시)와, 상기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단수에 대응하는 수의 구동 기어(10), 상기 구동 기어(10)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함으로써 디퍼렌션 기어(미도시)로 회전 동력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구동 기어(10)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피동 기어(20), 후진 기어(미도시), 제1출력축(미도시) 및 제2출력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 입력축은 엔진(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배치되고, 제1입력축은 주 입력축의 회전 중심 선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입력축은 제1입력축의 둘레에서 주 입력축의 회전 중심선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즉, 주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도록 주 입력축의 외주면에는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이 형성된다. 여기서,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은 제1클러치 및 제2클러치를 제어하여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으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기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변속 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1클러치가 작동되면 주 입력축의 회전력은 제1입력축에 전달되고, 제2클러치가 작동되면 주 입력축의 회전력은 제2입력축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구동 기어(10) 중 홀수 측의 구동 기어(10)는 제1입력축에 형성되고, 짝수 측의 구동 기어(10)는 제2입력축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구동 기어(10)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변속하여 출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피동 기어(20)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피동 기어(20)의 사이에는 싱크로 기구(30)가 배치된다.
이때, 싱크로 기구(30)는 복수 개의 피동 기어(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제1출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싱크로 기구(30)도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피동 기어(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제1출력축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싱크로 기구(30)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에는 복수 개의 싱크로 기구(3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싱크로 기구(30)는 하나의 클러치(제1클러치 또는 제2클러치)에 속하는 기어들 중 2개의 기어의 체결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단 DCT의 경우, 2-6 기어, 4-R 기어, 1-7 기어 및 3-5 기어가 각각 쌍을 이루고 있을 수 있으며, 싱크로 기구(30)가 이러한 각 쌍별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펌프구동부(300)를 통해 각각의 싱크로 기구(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싱크로 기구(3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싱크로 기구(30)는 3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어느 기어도 체결되지 않은 상태인 중립 상태, 두 개의 기어 중 하나가 체결된 2개의 상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2-6 기어에 대응되는 싱크로 기구(30)는, 2번 기어와 6번 기어 모두가 체결되지 않은 중립 상태, 2번 기어가 체결된 상태, 6번 기어가 체결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2-6 싱크로 기어의 싱크로 위치가 0(mm)이라면 중립 상태인 것이고, -8(mm)이라면 2단 기어가 체결된 상태, 8(mm)이라면 6단 기어가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싱크로 기구(30)에는 위치 센서(미도시)가 포함되어 싱크로 기구(3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위치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싱크로 위치를 기반으로 펌프구동부(3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의 상태를 판단하여, 싱크로 기구(3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펌프구동부(300)를 작동시키고, 오일제어기(200)의 유량 밸브(210) 및 유압 밸브(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펌프구동부(300)로부터의 유량 및 유압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오일제어기(200) 및 펌프구동부(300)를 통해 싱크로 기구(30)를 작동시키는 유량 및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제어기(200)는 유량 밸브(210) 및 유압 밸브(220)를 포함하여, 유량 밸브(210) 및 유압 밸브(22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것으로 바디밸브다. 유량 밸브(210)는 펌프구동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또한, 유압 밸브(220)는 펌프구동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 가스 제어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유량 밸브(210) 및 유압 밸브(220)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싱크로 기구(30)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펌프구동부(300)는 피스톤 작동을 위하여 상시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클러치 오일의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펌프구동부(300)로 오일을 공급하면, 오일제어기(200)를 통해 유압 및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오일의 유압 및 유량을 가변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0)는 오일 제어기(200)를 통해 유량과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싱크로 기구(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싱크로 기구(30)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하고,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킨 후,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싱크로 기구(30)를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싱크로 기구(30)의 체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각 단계(PHASE 0-5)에 따라 싱크로 기구(30)의 체결을 위해 오일 제어기(200)를 통해 유압 및 유량을 각각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초기 단계(PHASE 0)에서, 제어부(100)는 유량 제어 시작 전 펌프 구동부(300)를 통해 유압을 형성한다. 즉, 제어부(100)는 펌프구동부(300)를 구동시켜 오일을 제공하되, 유량 제어는 하지 않고, 유압만 채워 형성하도록 한다(c-Q① 참조).
다음 단계(PHASE 1)에서, 제어부(100)는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싱크로 기구(30)의 프리싱크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유량 밸브(210)를 오픈한다. 유량 밸브(210)가 오픈됨에 따라 오일이 공급되고(b-Q① 참조),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가 프리싱크될 때까지 소정의 기울기로 유량을 증가시킨다(b-G① 참조). 따라서, 제어부(100)가 유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프리싱크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를 싱크로 기구(30)의 프리싱크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a-D① 참조). 예컨대, 특정 위치는 싱크로 기구(30)에 포함된 슬리브가 블로커 티스에 접촉되었을 때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초기 유압 형성 이후, 유압은 감소한 상태에서 유지되나(c-Q② 참조), 유량 밸브(210)를 오픈하여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정의 기울기로 다소 증가하게 된다(c-G① 참조).
다음 단계(PHASE 2)에서,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가 동기되도록 오일 제어기(200)를 통해 유량 및 유압을 각각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유량 밸브(210)를 통해 기 설정한 유량(b-Q② 참조)만큼 증가시킨 후,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유압 제어 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어 변수를 줄이기 위함이다. 제어부(100)는 유압 밸브(220)를 통해 싱크로 기구(30)가 동기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유압을 증가시킨다(c-G② 참조).
다음 단계(PHASE 3)에서, 제어부(100)는 유압 밸브(220)를 통해 싱크로 기구(30)의 슬리브가 체결 티스에 접촉되도록 유압을 인가한다(c-G③ 참조). 이때,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PHASE 4)에서 제어부(100)는 슬리브가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 밸브(220)를 제어하여 유압을 인가한다(c-G④ 참조). 이때,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슬리브가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a-D④ 참조)까지 이동하면 싱크로 기구(30)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싱크로 기구(30)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센서를 통해 싱크로 기구(30)의 위치를 검출하여 싱크로 기구(30)의 상태를 판단하고 있으나, 싱크로 기구(3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지막 단계(PHASE 5)에서,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의 체결 판정 여부에 따라 유량과 유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0)가 싱크로 기구(30)의 체결 후, 체결 충격 저감을 위하여 오일 제어기(200)를 제어하여 유량 및 유압을 저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유량 밸브(210) 및 유압 밸브(220)를 각각 폐쇄하여 유량 및 유압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은, 먼저 제어부(100)가 펌프 구동부(300)를 통해 초기 유압을 형성한다(S100).
즉, 제어부(100)가 싱크로 기구(30)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유량 제어 시작 전 유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펌프구동부(300)를 구동시켜 오일을 제공하되, 유량 제어는 하지 않고, 유압만 채워 형성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가 유량 밸브(210)를 통해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프리싱크 제어를 수행한다(S200).
즉, 제어부(100)는 오일 제어기(200)의 유량 밸브(210)를 오픈시킨 후 프리싱크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유량 제어 시작 전 초기 형성한 유압 상태를 유지하며 유압 제어를 수행하지 않으나, 유량 밸브(210)의 오픈에 따라 유압이 다소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를 싱크로 기구(30)의 프리싱크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위치는 싱크로 기구(30)에 포함된 슬리브가 블로커 티스에 접촉되었을 때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가 오일 제어기(200)를 통해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싱크로 기구(30)를 체결한다(S300).
즉,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유압 밸브(220)를 통해 유압을 증가시키고,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유압 제어 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어 변수를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싱크로 기구(30)가 동기되도록 유압 밸브(220)를 제어하여 유압을 일정 기울기로 증가시키고, 싱크로 기구(30)의 슬리브가 체결 티스에 접촉되도록 유압을 인가한 후, 슬리브가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계속해서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슬리브가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의 위치를 통해 싱크로 기구(30)의 체결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싱크로 기구(30)의 체결 판정 여부에 따라 오일 제어기(200)를 제어하여 유량과 유압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가 싱크로 기구(30)의 체결 후, 체결 충격 저감을 위하여 유량 및 유압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는, 싱크로 체결 시 하드웨어 특성에 맞게 유량 및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원활하게 싱크로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싱크로 체결 시 충격을 저감할 수 있고, 체결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어 싱크로 체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구동 기어
20 : 피동 기어
30 : 싱크로 기구
100 : 제어부
200 : 오일 제어기
210 : 유량 밸브
220 : 유압 밸브
300 : 펌프 구동부

Claims (11)

  1. 제어부가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 기구가 동기되도록 유압을 일정 기울기로 증가시키고, 상기 싱크로 기구의 슬리브가 체결 티스에 접촉되도록 유압을 인가한 후, 상기 슬리브가 상기 체결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을 인가하며, 상기 싱크로 기구가 동기되고 상기 슬리브가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가 체결되는 과정 동안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오일 제어기의 유량 밸브를 오픈시킨 후 프리싱크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싱크로 기구의 체결 판정 여부에 따라 유량과 유압을 해제시키는 해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더블클러치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7. 복수개의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는 복수개의 피동 기어를 각각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싱크로 기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작동시키는 유량과 유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오일 제어기; 및
    상기 오일 제어기를 통해 유량과 유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싱크로 기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싱크로 기구가 동기되도록 유압을 일정 기울기로 증가시키고, 상기 싱크로 기구의 슬리브가 체결 티스에 접촉되도록 유압을 인가한 후, 상기 슬리브가 상기 체결 티스를 거쳐 최종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압을 인가하며, 상기 싱크로 기구가 동기되고 상기 슬리브가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가 체결되는 과정 동안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기 위해 유압을 기 설정된 초기 유압으로 조절하고,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킨 후, 유량과 유압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싱크로 기구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더블클러치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일 제어기의 유량 밸브를 오픈시킨 후 프리싱크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켜 프리싱크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제어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77171A 2016-12-22 2016-12-22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71A KR101955344B1 (ko) 2016-12-22 2016-12-22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71A KR101955344B1 (ko) 2016-12-22 2016-12-22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399A KR20180073399A (ko) 2018-07-02
KR101955344B1 true KR101955344B1 (ko) 2019-05-30

Family

ID=6291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171A KR101955344B1 (ko) 2016-12-22 2016-12-22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2905A (ja) * 2003-03-27 2006-10-05 リカルド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716626B1 (ko) 2005-08-26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용 더블 클러치 구동방법
JP2007120572A (ja) 2005-10-26 2007-05-17 Toyota Motor Corp 常時噛合式変速機の制御装置
WO2011099420A1 (ja) 2010-02-10 2011-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11185351A (ja) 2010-03-08 2011-09-22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326416B1 (ko) 2012-11-13 2013-11-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 변속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147A (ko) * 2012-08-21 2014-03-04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2905A (ja) * 2003-03-27 2006-10-05 リカルド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716626B1 (ko) 2005-08-26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용 더블 클러치 구동방법
JP2007120572A (ja) 2005-10-26 2007-05-17 Toyota Motor Corp 常時噛合式変速機の制御装置
WO2011099420A1 (ja) 2010-02-10 2011-08-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11185351A (ja) 2010-03-08 2011-09-22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326416B1 (ko) 2012-11-13 2013-11-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399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2430B2 (en) Multiple clutch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multiple clutch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8205516B2 (en) Speed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0905184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EP2653754B1 (en) Control device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567646B1 (ko) 차량의 dct 제어방법
US10539229B2 (en) Control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system
US8768589B2 (en) Control device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KR20150035809A (ko) 변속 시스템
KR20150128908A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US20180266519A1 (en)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and method for the same
CN108291631B (zh) 双离合器式变速器的控制装置和双离合器式变速器
WO2017209229A1 (ja)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JP4533859B2 (ja) 車両用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及びシフト制御方法
JPH0525635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KR101955344B1 (ko)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싱크로 체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6438990B (zh) 用于控制车辆驱动单元的方法
KR101896370B1 (ko) 습식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제어 방법
CN108291630B (zh) 双离合器式变速器的控制装置
CN106438995A (zh) 一种在车辆传动系中实现换挡过程的方法
WO2017141937A1 (ja)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2122227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17067139A (ja) 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