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960B1 -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960B1
KR101954960B1 KR1020157036665A KR20157036665A KR101954960B1 KR 101954960 B1 KR101954960 B1 KR 101954960B1 KR 1020157036665 A KR1020157036665 A KR 1020157036665A KR 20157036665 A KR20157036665 A KR 20157036665A KR 101954960 B1 KR101954960 B1 KR 101954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mmand
target device
switching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290A (ko
Inventor
양 왕
퀴앙 후
엔씽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1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05B19/0425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Y02B30/7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켜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WITCHING STATE}
본 발명은 단말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093411.4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3월 2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공기 정화기는 공기 청정기라고도 하는바, 각종 공기 오염물질을 흡착, 분해 또는 전환하여 공기 청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주거환경의 공기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날로 심해지는 공기 오염으로 인해 공기 정화기는 점차 사용자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가전 기기로 자리매김하였다.
공기 정화기는 전력이 비교적 크기에 강전류(heavy current) 상태하에서 작동해야 한다. 공기 정화기가 작동 상태에 처했을 경우, 공기 정화기를 터치하거나 또는 해체하는 등 동작은 매우 위험하다. 그러나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어린이가 집에서 호기심을 못 이겨 흔히 공기 정화기를 터치하거나 또는 분해하는데, 이 경우 작동 상태하에 처한 공기 정화기는 어린이를 쉽게 다치게 할 수 있다. 공기 정화기로 인해 어린이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주요하게는 공기 정화기의 스위치 버튼을 터치하는 것을 통해, 공기 정화기를 끄고, 공기 정화기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실현한다.
관련 기술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근거하면,
목표 기기에 응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첫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기기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 될 때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특정 부재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태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두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상기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세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서버에 상기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서버가 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네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에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프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여, 제1 양태의 다섯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다섯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을 결부하여, 제1 양태의 여섯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지정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입력한 잠금 해제 비밀번호에 근거하여,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양태에 근거하면,
제어 단말기에 응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목표 기기는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를 결부하여, 제2 양태의 첫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단계 이후,
상기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첫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결부하여, 제2 양태의 두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상기 단계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를 획득하였거나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상기 목표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목표 기기가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근거하면,
목표 기기에 포함되는 상태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모듈;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1 전환모듈;
상기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태 유지모듈을 포함하는 상태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첫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획득모듈은:
상기 목표 기기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 될 때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특정 부재가 제거된 것이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또는,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태 전환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3 양태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두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세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서버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상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네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프롬프팅하도록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에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여, 제3 양태의 다섯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제2획득모듈;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2전환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다섯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결부하여, 제3 양태의 여섯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획득모듈은: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고;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양태에 근거하면,
상기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1 명령 생성모듈;
상기 목표 기기가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상태 전환 명령을 상기 목표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4 양태를 결부하여, 제4 양태의 첫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기 위한 프롬프팅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첫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결부하여, 제4 양태의 두 번째 실시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를 획득하였거나 또는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2 명령 생성모듈;
상기 목표 기기가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상기 목표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양태에 근거하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양태에 근거하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 단말기가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단말기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며,
목표 기기가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상태 전환 명령을 상기 목표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7양태에 근거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상태 전환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8양태에 근거하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술적 해결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 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장치의 구조모식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제어 단말기의 구조모식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경우,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전환 방법은 목표 기기에 응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한다.
단계102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킨다.
단계103에 있어서,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기기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 상의 특정 부재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태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된 것은, 사용자가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되었거나, 사용자가 특정 방식으로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은, 예정된 횟수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이거나, 예정된 시간으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된 것은, 사용자가 제어 단말기 중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되었거나, 사용자가 특정 방식으로 제어 단말기 중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제어 단말기 중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은, 예정된 횟수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이거나, 예정된 시간으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프롬프팅(prompting)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서버에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여, 서버가 이를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 단말기가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은 상기 제어 단말기가,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된 것은, 사용자가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되었거나, 사용자 특정 방식으로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은, 예정된 횟수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이거나, 예정된 시간으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된 것은, 사용자가 제어 단말기 중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으로 검출되었거나, 사용자가 특정 방식으로 제어 단말기 중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제어 단말기 중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누르는 것은, 예정된 횟수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이거나, 예정된 시간으로 특정 버튼 또는 버튼 조합 등을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든 선택 가능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 발명을 형성하는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를 결부할 수 있는바, 여기서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전환 방법은 제어 단말기에 응용되고,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한다.
단계202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고, 목표 기기는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특정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며, 목표 기기로 하여금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한다.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만약 목표 기기가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목표 기기는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로써, 제어 단말기로 목표 기기 상태에 대한 제어를 실현함으로써, 상태 전환 방식을 풍부하게 하였고, 아울러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를 획득하였거나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고, 목표 기기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든 선택가능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 발명을 형성하는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를 결부할 수 있는바, 여기서 일일이 서술하지 않는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전환 방법은 목표 기기 및 제어 단말기에 응용되며, 상기 방법은 현재 상태가 작동 상태인 것을 예로 하고, 작동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작동 정지 상태를 제공하며,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켜, 사용자 가족들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 단말기는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 단말기는 목표 기기의 제어 장치로서, 무선주파수 방식 또는 네트워크의 방식을 통하여 목표 기기와 통신하는 능력을 구비한다. 제어 단말기의 유형은 두 가지로서, 첫 번째 유형은 휴대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고, 두 번째 유형은 목표 기기의 리모컨 등일 수 있다. 제어 단말기가 첫 번째 유형일 경우, 사용자의 각종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제어 단말기에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바, 예를 들면 오디오 재생 프로그램,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 동작 제어 프로그램 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을 한가지 동작 제어 프로그램으로 지정하여, 목표 기기를 제어한다. 목표 기기를 유연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응용 프로그램 중에 옵션이 구비될 것을 지정하는바, 예를 들면 "오프” 옵션, "리셋” 옵션, "모드” 옵션 등등이며, 상이한 옵션이 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생성되는 제어 명령은 상이한바, 예를 들어, "오프” 옵션은 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오프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리셋” 옵션은 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여 리셋 명령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른바, 옵션과 명령 사이에는 대응관계가 구비된다. 제어 단말기가 두 번째 유형일 경우, 제어 단말기에 다수의 옵션을 제공하는바, 예를 들어 "오프” 옵션, "리셋” 옵션 등등이고, 이러한 옵션에 근거하여, 마찬가지로 목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태 전환 방법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경우, 다수의 상이한 기능의 옵션이 연관되므로 이러한 옵션을 편리하게 구분해내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목표 기기에서 목표 기기를 제어하고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옵션을 제1 옵션으로 칭하고; 제어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고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옵션을 제2 옵션으로 칭하고; 목표 기기에서 목표 기기를 제어하고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옵션을 제3 옵션으로 칭하고; 제어 단말기에서 제어 단말기를 트리거하고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옵션을 제4 옵션으로 칭하고; 제어 단말기에서 잠금 해제 대화창을 팝업시키는 옵션을 제5 옵션으로 칭한다. 상기 제1 옵션, 제2 옵션, 제3 옵션, 제4 옵션 및 제5 옵션은 기기에서의 옵션의 배열 순서를 표하는 바가 아니라 단지 그 기능 및 소재 기기에 대하여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 단말기는 옵션과 명령의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상태 전환 명령은 목표 기기를 제어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어 단말기가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을 검출하는 방식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제어 단말기 스크린에서 터치 동작을 진행한 후, 제어 단말기에 내장된 압력 센서는 스크린에서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고, 스크린에서의 압력 변화의 위치 영역을 획득하며, 스크린에서 획득한 압력 변화의 위치 영역과 스크린상에서 제2 옵션이 소재한 위치 영역을 비교하여, 스크린에서 획득한 압력 변화의 위치 영역과 스크린에서 제2 옵션이 소재한 위치 영역이 겹치면,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302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는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기기는 공기 정화기 등일 수 있고, 목표 기기는 마찬가지로 무선주파수 방식 또는 네트워크 방식을 통하여 기타 기기의 통신하는 능력을 구비한다.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는 상태 전환 명령은 목표 기기가 상태 전환을 진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검출한 후, 제어 단말기는 생성된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여야 하며, 목표 기기는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을 진행한다. 목표 기기와 제어 단말기의 통신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제어 단말기는 블루투스 등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고, 또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한다.
단계303에 있어서, 목표 기기는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킨다.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태 전환 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작동 상태 하의 목표 기기는 수신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킨다.
제어 단말기가 송신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목표 기기가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 응용에 있어서, 목표 기기는 기타 방식을 통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기기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될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는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트리거 신호를 목표 기기에 송신하며, 마이크로 스위치가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목표 기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목표 기기 상의 특정 부재, 예를 들면 팬 블레이드가 제거될 경우, 목표 기기 상의 센서는 상기 특정 부재가 제거된 것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생성하며, 검출 신호를 목표 기기에 송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목표 기기는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제1 옵션의 트리거 하에, 목표 기기도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목표 기기가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제때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프롬프팅하기 위하여), 목표 기기는 또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이 내는 소리와 목표 기기가 정상 작동 상태하에서 내는 소리는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목표 기기가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경우,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하였음을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기기가 어떤 상태에 처하였을 지라도, 목표 기기는 모두 자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가 목표 기기의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문의에 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목표 기기가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목표 기기는 서버에,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가 이를 저장한다.
단계304에 있어서,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목표 기기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한다.
작동 정지 상태 하에 처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더 프롬프팅하기 위하여, 목표 기기는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에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목표 기기와의 거리가 비교적 멀어 목표 기기가 재생하는 특정 오디오 파일을 들을 수 없는 상황하에, 마찬가지로 목표 기기가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하였음을 알게 될 수 있다.
단계305에 있어서,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제어 단말기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한다.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할 경우, 제어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바,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의 내용은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하였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일 수 있거나, 또는 "목표 기기의 특정 부재가 제거되었습니다.” 등등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될 경우, 제어 단말기는 스크린에서 대화창을 팝업하는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고, 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스크롤하는 방식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306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한다.
목표 기기가 작동 정지 상태 하에 처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목표 기기를 다시 작동 상태로 회복시킬 것을 원하면, 사용자는 제어 단말기의 제4 옵션을 트리거 할 수 있고, 제어 단말기가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당연한 것은, 사용자는 제어 단말기의 지정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5 옵션을 트리거함으로써 제어 단말기로 하여금 잠금 해제 대화창을 팝업시켜 스크린에 잠금 해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 단말기가 지정 응용 프로그램에서 잠금 해제 정보를 획득하였을 경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치한 잠금 해제 비밀번호일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 등등일 수 있으며, 상기 잠금 해제 정보는 목표 기기가 처한 작동 정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정보가 잠금 해제 비밀번호일 경우, 제어 단말기는 잠금 해제 대화창에서 획득한 비밀 번호와 미리 저장한 비밀번호를 매칭하고, 잠금 해제 대화창에서 획득한 비밀 번호와 미리 저장한 비밀번호를 매칭하며, 제어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정보가 사용자의 지문일 경우, 제어 단말기는 잠금 해제 대화창에서 획득한 사용자 지문과 미리 저장한 지문을 매칭하고, 잠금 해제 대화창에서 획득한 사용자 지문과 미리 저장한 지문이 매칭될 경우, 제어 단말기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07에 있어서, 제어 단말기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한다.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한 목표 기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한 후, 제어 단말기는 또 생성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한다. 제어 단말기와 목표 기기가 모두 무선주파수 방식 또는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통신하는 능력을 구비하였으므로, 제어 단말기는 블루투스 등 기능을 작동시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308에 있어서, 목표 기기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킨다.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한 목표 기기가,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 시킬 수 있다.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목표 기기가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 응용에 있어서, 목표 기기는 기타 방식을 통하여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기기는 사용자가 제3 옵션을 트리거하는 것으로 검출하였을 경우, 목표 기기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목표 기기 중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되는 지를 검출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을 누르는 것으로 목표 기기가 검출한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 방식으로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을 누르는 것으로 목표 기기가 검출한 것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옵션은 목표 기기 상의 특정된 버튼 또는 버튼 조합일 수 있고, 특정 방식으로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을 누르는 방식은, 예정된 횟수로 예컨대 제3 옵션을 3회, 4회 등 누르는 것이거나, 또는, 예정된 시간으로 예컨대 3초, 5초 동안 제3 옵션을 누르는 것 등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거된 특정 부재가 정확하게 설치된 것을 목표 기기가 검출하였을 경우, 목표 기기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당연한 것은, 목표 기기는 또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일일이 설명하지 않겠다.
설명해야 할 것은, 목표 기기가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하였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떤 동작 명령을 수신하였는지에 상관없이, 목표 기기는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목표 기기는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 밖에,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였을 경우, 목표 기기는 작동 정지 상태를 작동 상태로 전환시켜 상태 전환 방식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 장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목표 기기에 포함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제1 획득모듈(401), 제1 전환모듈(402)과 상태 유지모듈(4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획득모듈(401)은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전환모듈(402)은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태 유지모듈(403)은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모듈(401)은, 목표 기기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될 경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 획득모듈(401)은, 목표 기기 상의 특정 부재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 획득모듈(401)은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 획득모듈(401)은,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태 전환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재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재생 모듈은 사용자에게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제1 송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모듈은 서버에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제2 송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송신모듈은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단말기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장치는 제2획득모듈과 제2전환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2획득모듈은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전환모듈은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획득모듈은,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이 검출될 때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2획득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2획득모듈은,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을 검출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는,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 중의 장치에 관하여, 여기서 각각의 모듈이 수행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상기 방법의 관련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묘사하였기에,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제어 단말기의 구조모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 단말기는 제1 명령 생성모듈(501)과 제1 송신모듈(5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명령 생성모듈(501)은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송신모듈(502)은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목표 기기는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수신모듈과 프롬프팅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신모듈은 목표 기기가 송신하는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롬프팅모듈은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제2 명령 생성모듈과 제2 송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명령 생성모듈은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를 획득하였거나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송신모듈은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목표 기기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어 단말기는, 특정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태 전환 명령을 목표 기기에 송신하며, 목표 기기로 하여금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한다.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만약 목표 기기가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목표 기기는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제어 단말기로 목표 기기 상태에 대한 제어를 실현함으로써, 상태 전환 방식을 풍부하게 하였고, 아울러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실시예 중의 제어 단말기에 관하여, 여기서 각각의 모듈이 수행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상기 방법과 관련되는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상태 전환의 장치(6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6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기기, 의료기기, 휘트니스기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장치(6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602), 메모리(604), 전원 어셈블리(6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 오디오 어셈블리(6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612), 센서 어셈블리(614) 및 통신 어셈블리(616)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602)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동작과 관련한 장치(6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602)는 상기 상태 전환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6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어셈블리(60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6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6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6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장치(600)의 작동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600)에서 작동하기 위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정보,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60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606)는 장치(6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606)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6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는 상기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동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작동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608)는 전면(front) 카메라 및/또는 후면(rear)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6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화상모드일 경우,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와 광학 줌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는바, 장치(6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인식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또한 메모리(6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어셈블리(616)를 거쳐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6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6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602)와 주변 인터페이스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주변 인터페이스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작동버튼과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6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6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614)는 장치(600)의 온/오프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장치(600)의 모니터와 키패드의 상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614)는 장치(600) 또는 장치(6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600)의 접촉여부, 장치(600) 방위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6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614)는 아무런 물리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배치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614)는CMOS 또는 CCD 영상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영상응용에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614)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616)는 장치(600)와 기타 기기 또는 어셈블리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한다. 장치(6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616)는 재생신호를 거쳐 외부 재생관리 시스템의 재생신호 또는 재생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6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주파수 인식(RFID)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InDA)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장치(600)는 상기 상태 전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직접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전환 방법을 완성하도록 장치(600)의 프로세서(820)가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604)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 중의 명령이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단말기가 상태 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태 전환 방법은,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기기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 상의 특정 부재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목표 기기 상의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 상의 제1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2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상태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서버에 목표 기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이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목표 기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목표 기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목표 기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어떠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여도, 모두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간섭이 결여되는 정황하에서, 목표 기기를 작동 상태로 다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가족들에게 상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표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4)

  1. 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기에 응용되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기의 팬 블레이드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공기정화기상의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wakeup)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 정화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이 내는 소리와 상기 공기 정화기가 상기 작동 상태하에서 내는 소리는 상이한 상태 전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서버에 상기 공기 정화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상기 공기 정화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상기 단계 이후,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 정화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공기 정화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공기 정화기의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기에 포함되는 상태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기의 팬 블레이드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공기 정화기상의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모듈;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위한 제1 전환모듈;
    상기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상태 유지모듈;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 정화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되,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이 내는 소리와 상기 공기 정화기가 상기 작동 상태하에서 내는 소리는 상이하도록 구성된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상태 전환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서버에 상기 공기 정화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전환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기의 제어 단말기에 상태 프롬프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상태 프롬프트 정보에 근거하여 프롬프팅을 진행하는 상태 전환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획득모듈;
    상기 특정 웨이크업 명령에 근거하여, 현재 상태를 작동 정지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제2전환모듈을 더 포함하는 상태 전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획득모듈은:
    상기 공기 정화기 상의 제3 옵션이 트리거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잠금 해제 정보에 근거하여 공기 정화기의 제어 단말기가 생성하여 송신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공기 정화기의 제어 단말기 중의 제4 옵션이 트리거될 경우 상기 공기 정화기의 상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하는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전환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공기 정화기의 팬 블레이드가 제거된 것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공기 정화기상의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와 명령의 관계에 근거하여 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 정화기의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며,
    상기 작동 정지 상태하에서, 특정 웨이크업 명령을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작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태 전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 정화기의 현재 상태를 작동 상태에서 작동 정지 상태로 전환시킨후,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 정화기가 현재 작동 정지 상태에 처해있음을 프롬프팅하기 위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되, 상기 특정 오디오 파일이 내는 소리와 공기정화기가 상기 작동 상태하에서 내는 소리는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전환 장치.
  22. 삭제
  2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태 전환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24. 제23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7036665A 2015-03-02 2015-10-28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954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93411.4 2015-03-02
CN201510093411.4A CN104808522B (zh) 2015-03-02 2015-03-02 状态切换方法及装置
PCT/CN2015/093057 WO2016138769A1 (zh) 2015-03-02 2015-10-28 状态切换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290A KR20160116290A (ko) 2016-10-07
KR101954960B1 true KR101954960B1 (ko) 2019-05-30

Family

ID=5369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665A KR101954960B1 (ko) 2015-03-02 2015-10-28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74965B2 (ko)
EP (1) EP3065009B1 (ko)
JP (1) JP6298925B2 (ko)
KR (1) KR101954960B1 (ko)
CN (1) CN104808522B (ko)
BR (1) BR112016001917A2 (ko)
MX (1) MX361589B (ko)
RU (1) RU2661191C2 (ko)
WO (1) WO2016138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8522B (zh) * 2015-03-02 2019-08-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状态切换方法及装置
CN107065635A (zh) * 2016-10-21 2017-08-18 西安科技大学 一种智能自动化控制系统
DE102017109935A1 (de) * 2017-05-09 2018-11-15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CN110876117A (zh) * 2018-08-31 2020-03-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失联的恢复方法及装置
CN109358520B (zh) * 2018-11-01 2022-01-07 南京仁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物联网络局域动态解锁系统
JP7023823B2 (ja) * 2018-11-16 2022-02-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装置及び音声認識方法
CN110112821B (zh) * 2019-04-12 2023-05-30 广东欧文特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转换开关及其控制方法
CN113012317A (zh) * 2019-12-20 2021-06-22 云丁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身份确认设备
CN112760904B (zh) * 2020-12-24 2022-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洗衣机
CN113701359A (zh) * 2021-08-30 2021-11-26 广东万和热能科技有限公司 热水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热水器
CN115415053B (zh) * 2022-11-03 2023-01-03 汕头中圣科营热电有限公司 一种燃煤锅炉高压静电催化耦合尾气净化设备、方法及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248A (ja) * 2001-12-19 2003-07-03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04273077A (ja) * 2003-03-12 2004-09-30 Sharp Corp スイッチ誤動作防止装置
JP2005175625A (ja) * 2003-12-08 2005-06-30 Hitachi Ltd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0013413A1 (ja) * 2008-08-01 2010-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13239831A (ja) * 2012-05-14 2013-11-28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
CN103973527A (zh) * 2014-05-19 2014-08-06 威海汇清环境技术有限公司 智能家电系统
CN204070559U (zh) * 2014-08-05 2015-01-0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吸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518B2 (ja) * 1993-11-10 1997-11-12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機器の安全装置
JPH0835717A (ja) * 1994-07-21 1996-02-0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10328447A (ja) * 1997-05-31 1998-12-15 Brother Ind Ltd 電子制御式ミシン
JPH11156237A (ja) * 1997-11-28 1999-06-15 Hitachi Taga Technol Co Ltd 空気清浄機
JP3987212B2 (ja) * 1998-09-03 2007-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イルドロック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ロック機能付き機器
JP2002129621A (ja) * 2000-10-19 2002-05-09 Noritz Corp 自動排水栓の駆動開閉制御装置
US6763093B2 (en) * 2000-12-14 2004-07-13 Nortel Networks Limited Application based queuing via an H.323/SIP interface
US7119700B2 (en) * 2004-02-02 2006-10-10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craft cooling and smoke system using discrete components
CA2588870A1 (en) * 2004-11-23 2006-06-01 S. C. Johnson & Son, Inc. Device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cleaning of surfaces
FI117526B3 (fi) * 2005-03-17 2016-07-05 Innohome Oy Kodinkoneiden ja viihdelaitteiden toimintaa ohjaava ja seuraava lisälaite
TWI348639B (en) * 2005-12-16 2011-09-11 Ind Tech Res Inst Motio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101072308A (zh) * 2006-05-11 2007-11-1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播放限制功能的电视机及其控制方法
JP2008175458A (ja) * 2007-01-18 2008-07-31 Sanyo Electric Co Ltd 床置き式空気調和機
JP2009063252A (ja) * 2007-09-07 2009-03-26 Panasonic Corp 給気装置
CN101399675B (zh) * 2007-09-25 2012-05-30 海尔集团公司 一种无线控制装置及网络家电系统
CN101436097B (zh) 2007-11-16 2014-12-1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唤醒方法
CN101453549A (zh) * 2007-11-29 2009-06-10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电视机及其锁定方法
US20100095844A1 (en) * 2008-10-17 2010-04-22 Steril-Aire, Inc. Portable room air purifier
CN101907918B (zh) 2009-06-03 2012-06-27 精拓科技股份有限公司 节省待机/关机状态功率消耗的计算机系统及其相关方法
US9927788B2 (en) * 2011-05-19 2018-03-27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oftware lockout coordination between a process control system and an asset management system
CN102255280A (zh) * 2011-07-21 2011-11-23 龙腾照明集团有限公司 灯具灯盖打开自动断电保护装置
KR101327915B1 (ko) * 2011-07-28 2013-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음성안내 제어방법
CN102622079B (zh) 2012-02-25 2015-02-0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休眠方法、唤醒方法和移动终端设备
CN102734876B (zh) * 2012-06-27 2014-07-30 海宁市倚天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控制的空气净化器及其控制方法
CN103810971B (zh) 2012-11-14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的节能显示方法及装置、lcd模组、终端
CN103851747A (zh) * 2012-11-28 2014-06-11 西安晶捷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的控制系统
CN202996010U (zh) * 2012-12-28 2013-06-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遥控解锁装置及遥控器
CN103150050B (zh) 2013-02-04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触摸屏终端及其工作方法
JP5905596B2 (ja) * 2013-02-20 2016-04-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13709B (en) * 2013-03-15 2021-06-16 Fisher Rosemou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work flow in a process plant
CN104049759A (zh) * 2014-06-25 2014-09-17 华东理工大学 触摸屏和行为感知联合的指令输入与防护方法
CN203980558U (zh) * 2014-07-15 2014-12-03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空气净化器
CN104197482B (zh) * 2014-09-17 2017-04-05 湖南纽思曼导航定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监控功能的空气净化器
CN104333785A (zh) * 2014-10-10 2015-02-04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电视或电视盒子开关机方法
CN104808522B (zh) 2015-03-02 2019-08-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状态切换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5248A (ja) * 2001-12-19 2003-07-03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04273077A (ja) * 2003-03-12 2004-09-30 Sharp Corp スイッチ誤動作防止装置
JP2005175625A (ja) * 2003-12-08 2005-06-30 Hitachi Ltd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0013413A1 (ja) * 2008-08-01 2010-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13239831A (ja) * 2012-05-14 2013-11-28 Brother Ind Ltd 画像処理装置
CN103973527A (zh) * 2014-05-19 2014-08-06 威海汇清环境技术有限公司 智能家电系统
CN204070559U (zh) * 2014-08-05 2015-01-07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吸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08522A (zh) 2015-07-29
US10174965B2 (en) 2019-01-08
BR112016001917A2 (pt) 2017-08-01
EP3065009A1 (en) 2016-09-07
RU2016102941A (ru) 2017-08-03
CN104808522B (zh) 2019-08-30
MX2016000118A (es) 2016-11-25
RU2661191C2 (ru) 2018-07-12
KR20160116290A (ko) 2016-10-07
MX361589B (es) 2018-12-11
JP6298925B2 (ja) 2018-03-20
JP2017517992A (ja) 2017-06-29
US20160258646A1 (en) 2016-09-08
EP3065009B1 (en) 2021-10-06
WO2016138769A1 (zh)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960B1 (ko) 상태 전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22522B1 (ko)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3556B1 (ko) 스마트 장면 삭제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7113660A1 (zh) 应用程序管理方法及装置
US1007544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mission management
KR101837333B1 (ko) 전자 디바이스를 깨우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6742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tate of networking channel
WO2017071066A1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117211B (zh) 消息提醒的方法及装置
EP3076745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
JP6713049B2 (ja) アラーム制御方法及びアラーム制御装置
WO2017008397A1 (zh) 测试终端的方法及装置
CN106095401A (zh) 通知栏消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979088A (zh) 消息推送方法及装置
CN106021077B (zh) 终端的警示方法及装置
US11743355B2 (e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CN106406175B (zh) 开门提醒方法及装置
JP6349040B2 (ja) リマインド方法およびその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410900B (zh) 一种控制安装在智能设备上的指示灯的方法及装置
CN112600975A (zh) 目标孔堵塞的检测方法、检测装置及移动终端
WO2017101291A1 (zh) 流量监控方法及装置
CN106200515A (zh) 智能控制方法及装置
CN11092858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748384B1 (ko) 스마트 기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15063946A (zh) 地震信息提醒方法、装置、路由器、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