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58B1 -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658B1
KR101954658B1 KR1020180051112A KR20180051112A KR101954658B1 KR 101954658 B1 KR101954658 B1 KR 101954658B1 KR 1020180051112 A KR1020180051112 A KR 1020180051112A KR 20180051112 A KR20180051112 A KR 20180051112A KR 101954658 B1 KR101954658 B1 KR 10195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yarn
knitting
elastic yar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442A (ko
Inventor
요시유키 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12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0Thread-feeding devices for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04B15/46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for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04B7/045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with stitch-length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횡편기에서 탄성사를 사용한 니트편성에 있어서, 탄성사의 신장이나 수축을 고려하여 필요한 실을 이송할 수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횡편기의 송출기구에 대한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버퍼암에 의한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적절한 보정량을 결정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한다. 보정 파라미터는,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클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증가하는 보정량을 갖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을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감소하는 보정량을 갖고, 보정량 결정수단은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적절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제어수단은 보정량 결정수단에 의하여 결정한 보정량을 사용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한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YARN FEEDING DEVICE FOR ELASTIC YARN FOR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에 있어서 편사에 신축성이 큰 탄성사(彈性絲)를 사용하여 니트편성을 할 때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속옷, 양말, 서포터(supporter), 스포츠용 의복, 의료용 탄성착의(彈性着衣) 등의 편성에는, 높은 스트레치성으로 신축하는 섬유를 사용한 탄성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니트제품을 편성하기 위한 횡편기에서는, 편성하는 편성포의 스티치 루프길이를 안정화시켜서, 미리 정해진 실의 양으로 편성을 하는 것이 기대된다. 각 편성코스가 정해진 실의 양으로 편성되지 않은 경우에, 니트제품에는 길이나 텍스처(texture), 장력 등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편성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의 선행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공보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 특허 제4016030호)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침별로 필요한 스티치 루프길이를 구하고, 캐리어(carrier)의 움직임에 동기(同期)시켜서 편사를 적극이송하여, 코스편성 전후의 버퍼암의 각도변위에 의하여 스티치 보정을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급사장치에 공급되는 탄성사의 장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적극이송에 의하여 송출된 탄성사가 수축되거나 또는 신장되거나 하기 때문에, 편성코스에서 급사된 탄성사의 실의 길이와 이론값에 차이가 나버린다. 이에 따라 다음 코스 이후에서는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실의 길이를 소정의 실의 길이로 하려고 스티치 보정이 실시되지만, 잘못된 보정이 되어 버려서 탄성사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하는 것이 어렵다.
특허문헌2(일본국 특허 제2541574호)는, 안내암(案內arm)을 사용하여 편사에 장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급격한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비축적을 하여, 편사를 적극적으로 송출하면서 실 장력(yarn tension)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편성 중에 안내암이 편사의 장력을 검출하여, 소정의 장력이 되도록 예비축적인 실휠(yarn wheel)을 구동하는 모터의 제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예비축적은 실휠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 되어 버린다. 또 실휠에 감긴 탄성사의 장력과, 안내암에서 발생시키는 장력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탄성사는 급사경로에 있어서 수축되거나 혹은 신장되므로 필요한 양만큼 공급할 수는 없다. 또 탄성사가 어떤 장력에 의하여 실휠에 감기더라도 실의 특성이 변화되어 버려서, 필요한 양만큼 탄성사를 공급하는 것은 어렵다.
: 일본국 특허 제4016030호 : 일본국 특허 제2541574호
본 발명의 과제는, 횡편기에서 탄성사를 사용한 니트편성에 있어서, 장치를 대형화 하지 않고, 탄성사의 신장이나 수축을 고려하여 필요한 실을 이송할 수 있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성기 본체에서 사용하는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탄성사를 급사부재에 롤러로 송출하는 송출기구와, 상기 송출기구로부터 송출된 실을 중간적으로 축적하고 회전 가능한 버퍼암과, 송출기구로부터 급사부재까지의 탄성사의 편성장력을 소정값으로 하기 위하여 버퍼암에 토크를 가하는 토크 발생기와, 편침별로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길이의 이론값을 산출하고 급사부재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탄성사의 필요 실 이송을 하도록 송출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탄성사의 롤러에 대한 공급장력으로서 탄성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센서와,
탄성사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스티치 루프길이를 이론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에 사용하는 보정 파라미터와,
상기 장력센서가 계측한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상기 버퍼암에 의한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로부터 송출기구에 대한 보정량을 상기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결정하는 보정량 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클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증가하는 보정량을 갖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을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감소하는 보정량을 갖고,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은 상기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적절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에 의하여 결정한 보정량을 사용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탄성사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구한 수축 파라미터와 신장 파라미터를 갖고 있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클 때에는 수축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을 때에는 신장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이 보정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장력센서에 의하여 계측을 하는 탄성사의 공급장력은, 소정 구간 내에서 계측한 공급장력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은, 1코스편성 후의 상기 버퍼암의 각도변위로부터 구해지는 1코스의 편성에 있어서의 이론값과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다음 코스에 있어서의 스티치 보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은, 상기 장력센서가 계측한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상기 버퍼암에 의한 편성장력의 차이를 구하고, 이 차이가 작아지게 되도록 버퍼암의 토크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함과 아울러,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로부터 송출기구에 대한 보정량을 상기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결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에 의하여 결정한 버퍼암의 토크에 대한 보정량에 의하여 상기 버퍼암의 토크의 조정을 함과 아울러, 송출기구에 대한 보정량을 사용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탄성사를 사용한 횡편기에서의 니트편성에 있어서, 횡편기의 송출기구에 대한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버퍼암에 의한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적절한 보정량을 결정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한다. 보정 파라미터는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클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증가하는 보정량을 갖고, 또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을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감소하는 보정량을 갖고, 보정량 결정수단은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의 비교결과로부터 송출기구에 대한 적절한 보정값을 결정하고, 제어수단은 결정한 보정량에 따라 송출기구의 제어를 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탄성사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보정 파라미터는 탄성사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구한 수축 파라미터와 신장 파라미터를 갖고 있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큰 경우에는 수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보정을 하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신장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보정을 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탄성사의 실의 양을 더 정확하게 이론값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장력센서에 의한 공급장력의 계측은, 소정 구간 내에서 계측한 장력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장력값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1코스편성 후에, 1코스편성 전과 1코스편성 후에서의 버퍼암의 각도변화에 의거하여, 1코스의 편성에 있어서의 이론값과의 오차가 흡수되도록 다음 코스에서 스티치 보정을 한다. 실제의 실의 양의 오차를 구하고 다음 코스에서는 그 오차가 흡수되도록 스티치 보정이 실시되기 때문에, 편성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급되는 탄성사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보정량 결정수단은 버퍼암의 토크제어의 보정량과, 송출기구의 제어를 위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제어수단은 버퍼암의 토크제어와 송출기구의 제어의 양방을 한다. 이에 따라 버퍼암의 토크제어와 송출기구의 이송제어의 각각의 보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의 실 이송장치와 횡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탄성사의 실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실시예에서의 수축 파라미터와 신장 파라미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의 탄성사의 실 이송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실시예1>
도1에, 실시예의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탄성사(彈性絲)의 실 이송장치를 나타낸다. 횡편기의 좌측으로부터 급사(給絲)하는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상방 혹은 우측으로부터 급사하여도 좋다. 도면에 있어서 2는 횡편기 본체이고, 4는 실 이송장치이다. 실시예에서는 실 이송장치(4)와 횡편기(2)는 일체이지만, 실 이송장치(4)를 횡편기 본체(2)로부터 독립시켜도 좋다. 이하, 횡편기 본체(2)를 간단하게 횡편기(2)라고 부른다. 횡편기(2)는, 캐리지(carriage)(6)와, 예를 들면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8)를 구비하고, 캐리어 레일(carrier rail)(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급사부재(給絲部材)인 캐리어(carrier)(12)를, 예를 들면 캐리지(6)에 의하여 연동시켜서, 니들베드(8)의 편침에 대하여 탄성사(14)를 급사한다.
캐리지(6)는 선침장치(選針裝置)(16)에 의하여 니들베드(8)의 어느 편침을 구동할지를 선택하고, 캠(18)에 의하여 선택된 편침을 구동하여 편성을 한다. 20은 편성 데이터로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LAN 혹은 USB 메모리 등으로부터 횡편기(2)에 공급된다. 편성 데이터(20)에는 니트제품의 패턴 데이터나 캐리지(6) 등의 제어 데이터 등도 포함된다. 편성 컨트롤러(編成 controller)(22)는, 편성 데이터(20)로부터 캐리지(6)의 주행모터(24)의 제어 데이터나, 편침의 선침 데이터나 스티치값, 캐리어(12)의 연동 데이터 등을 꺼내어서, 횡편기(2)를 제어하여 니트편성을 한다.
실 이송장치(4)는, 횡편기(2)의 상부에 배치된 콘(cone)(26)으로부터 탄성사(14)를 빼내어서, 서보모터(28)에 의하여 구동롤러(30)를 구동하여, 구동롤러(驅動roller)(30)와 종동롤러(從動roller)(32)에 끼워 탄성사(14)를 풀어내기 및 되감기를 한다. 서보모터(28), 구동롤러(30), 종동롤러(32)에 의하여 송출기구(送出機構)(34)를 구성한다.
서보모터(28)의 제어는 제어수단(36)에 의하여 실시한다. 38은 토크 발생기(torque 發生器)로서, 원하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어수단(36)에 의하여 제어를 한다. 구동롤러(30) 및 종동롤러(32)에 의하여 풀린 탄성사(14)가 편성 시에 있어서 원하는 장력(이하, 편성장력이라고 부른다)이 되도록 제어수단(36)에 의하여 토크 발생기(38)의 제어를 한다.
40은 버퍼암(buffer arm)으로서, 선단부에 얀 가이드(yarn guide)(42)를 설치하고, 구동롤러(30) 및 종동롤러(32)의 사이로부터 공급되는 탄성사(14)는 공급경로로부터 인출된다. 버퍼암(40)은 토크 발생기(38)로부터의 토크에 의하여 회전한다. 버퍼암(40)의 각도변위는 토크 발생기(38)의 출력축 등에 설치된 각도센서(44)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46은 장력센서로서, 탄성사(14)의 실의 경로에 있어서 송출기구(34)의 구동롤러(30)와 종동롤러(32)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탄성사(14)의 장력을 계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측한 장력을 공급장력이라고 부른다. 48은 보정량 결정수단(補正量 決定手段)으로서, 장력센서(46)에 의하여 계측된 공급장력과, 버퍼암(40)의 토크 발생기(38)에 의한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캐리어(12)에 공급되는 탄성사(14)의 실의 양이 이론값에 근접하도록 송출기구(34)에 의하여 탄성사(14)의 이송량을 결정한다.
50은 보정 파라미터(補正 parameter)로서, 사용하는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에 의거하여 보정량을 기억시키고 있다. 보정 파라미터(50)에는, 수축 파라미터(52)와 신장 파라미터(54)의 2종류의 파라미터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급되는 탄성사(14)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보정량(보정 파라미터)을 결정하여 송출기구(34)의 제어를 하지만, 이 보정 파라미터(50)를 구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이 필요하다.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은, 사용하는 탄성사(14)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동일한 종류의 탄성사(14)이더라도 로트나 색의 차이 등에 의해서도 실의 특성은 다르다. 공급되는 탄성사(14)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실제로 사용하는 탄성사의 실의 특성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을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실의 자동인장시험기 등을 사용하여 실의 특성을 계측한다. 여기에서 필요한 실의 특성이라는 것은 신장특성이고, 소정 길이(예를 들면 10cm나 20cm 등)의 탄성사(14)를 장력이 0인 상태로부터 소정의 인장력까지 서서히 탄성사(14)를 잡아당긴 후에, 인장력이 0이 될 때까지 탄성사(14)에 걸리는 인장력을 느슨하게 하여, 탄성사(14)의 신장과 수축의 쌍방에 대한 장력과 그 때의 탄성사(14)의 길이의 관계를 구한다.
도2에 나타낸 표는,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의 일례이다. 인장력이 20gf에서부터 30gf인 장소를 뽑아내어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넓은 범위에서 측정을 하고 있다. 탄성사(14)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의 영향에 의하여, 한번 신장된 탄성사(14)는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도2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인장력이더라도 탄성사(14)가 신장하는 경우와 수축하는 경우에는, 신장율과 수축율에 차이가 있다.
또 실의 특성의 취득은 자동인장시험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하더라도 상관없으며, 혹은 도1에 있어서, 장력센서(46)의 상류에 탄성사(14)를 고정하는 치구(jig)를 설치하여 탄성사(14)를 고정하고, 그 상태로 송출기구(34)의 구동롤러(30)를 구동시켜서 탄성사(14)를 풀어내면서 장력을 측정하고, 그 후에 탄성사(14)를 되감으면서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편성기 상에서 실의 특성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보정 파라미터(50)에 있어서의 수축 파라미터(52)와 신장 파라미터(54)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3의 (1)은, 수축 파라미터(52)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이것은 도2에 나타낸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탄성사(14)가 수축할 때의 수축율을 고려하여, 공급장력의 범위별로 송출기구(34)의 보정량을 구한 것이다. 이 수축 파라미터(52)는, 장력센서(46)가 검출하는 탄성사(14)의 공급장력이 버퍼암(40)에 의한 편성장력보다 큰 경우에 사용한다. 즉 탄성사(14)가 송출기구(34)에 의하여 송출된 후에 탄성사(14)에 걸리는 장력이 작아지게 되어 수축하기 때문에, 탄성사(14)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수축 파라미터(52)를 사용하여 송출기구(34)가 플러스측으로 작용하도록 보정을 함으로써 탄성사(14)를 송출하는 양을 늘린다. 예를 들면 바늘 피치에 있어서의 탄성사(14)의 이론값이 8mm이고, 보정량이 +2%로 결정된 경우에, 송출기구(34)는 8.16mm의 탄성사(14)를 송출하도록 제어된다.
도3의 (2)는, 신장 파라미터(54)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이것은 도2에 나타낸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탄성사(14)가 신장할 때의 신장율을 고려하여, 공급장력의 범위별로 송출기구(34)의 보정량을 구한 것이다. 이 신장 파라미터(54)는, 장력센서(46)가 검출하는 탄성사(14)의 공급장력이 버퍼암(40)에 의한 편성장력보다도 작은 경우에 사용한다. 즉 탄성사(14)가 송출기구(34)에 의하여 송출된 후에 탄성사(14)에 걸리는 장력이 커지게 되어 신장하기 때문에, 탄성사(14)의 실의 양을 이론값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신장 파라미터(54)를 사용하여 송출기구(34)가 마이너스측으로 작용하도록 보정을 함으로써 탄성사(14)를 송출하는 양을 줄인다. 예를 들면 바늘 피치에 있어서의 탄성사(14)의 이론값이 8mm이고, 보정량이 -2%로 결정된 경우에, 송출기구(34)는 7.84mm의 탄성사(14)를 송출하도록 제어된다.
편성 시에 있어서의 탄성사(14)의 실 이송 처리에 대하여 도4의 플로차트로 설명을 한다.
우선 스텝S1에서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S2에서는, 장력센서(46)를 사용하여, 탄성사(14)가 송출기구(34)에 공급되기 전의 공급장력을 계측한다. 장력센서(46)는 편성코스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 예를 들면 1ms마다 탄성사(14)의 장력을 계측한다. 소정 구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계측이 완료하면, 그 구간에 있어서의 평균의 장력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공급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편성코스의 소정 구간은 1코스이더라도 상관없지만, 편성코스의 편성시작구간과 편성종료구간에서는 탄성사(14)의 장력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편성시작구간과 편성종료구간을 제외한 장소를 소정 구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이러한 소정 구간에서 구한 장력의 평균값을 예를 들면 2∼3코스별로 구하고, 이들의 장력값을 평균하면 더 안정된 편성이 가능하게 된다.
공급장력의 측정이나 보정량 결정수단(48)에 의한 보정량의 결정 등은, 실제의 니트제품의 편성 시에 실시되지만, 실제의 편성 전에 스티치캠(stitch cam)을 맞추기 위하여 루프길이 루틴을 실행할 때에도, 공급장력의 측정이나 보정량 결정수단(48)에 의한 보정량의 결정 등을 하여 둠으로써, 실제로 편성 시의 1코스째로부터 이송량 보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스텝S3에서 편성장력을 취득한다. 편성장력은 토크 발생기(38)에 의하여 버퍼암(40)에 걸리는 토크에 의하여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성장력이 예를 들면 20gf나 25gf로 고정이 되도록 버퍼암(40)에 걸리는 토크를 설정하고 있다. 편성장력은 사용하는 탄성사(14)의 특성이나 편성을 하는 니트제품에 맞추어서 정하면 좋다. 또 편성장력은 고정이 아니라, 편성시작이나 편성종료, 편성장소 등에 맞추어서 가변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스텝S4에서는, 스텝S2에서의 공급장력과 스텝S3에서의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한다. 스텝S5에서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크면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에서는, 탄성사(14)는 송출기구(34)를 지나면 장력이 작아지게 되어 수축하기 때문에, 보정량 결정수단(48)은 보정 파라미터(50)의 수축 파라미터(52)를 사용하여, 공급장력에 맞는 송출기구(34)의 보정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S7로 진행하여, 제어수단(36)은 결정된 보정량으로 송출기구(34)의 제어를 한다.
스텝S9에서,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으면 스텝S10으로 진행한다. 스텝S10에서는, 탄성사(14)는 송출기구(34)를 지나면 장력이 커지게 되어 신장하기 때문에, 보정량 결정수단(48)은 보정 파라미터(50)의 신장 파라미터(54)를 사용하여, 공급장력에 맞는 송출기구(34)의 보정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S7로 진행하여, 제어수단(36)은 결정된 보정량으로 송출기구(34)의 제어를 한다.
스텝S11은,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이 동일한 경우로서 특별하게 보정 파라미터(50)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스텝S7로 진행하여, 보정 없이 송출기구(34)의 제어를 한다. 최후에 스텝S8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버퍼암(40)의 각도변위는, 각도센서(44)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1코스편성 전의 버퍼암(40)의 각도와, 1코스편성 후의 버퍼암(40)의 각도의 차이로부터, 1코스에 사용하는 탄성사(14)의 실의 양(量)의 이론값과 실제로 사용한 탄성사(14)의 실의 양과의 오차를 구할 수 있다. 1코스편성 전의 버퍼암(40)의 각도는, 송출기구(34)에 의하여 탄성사(14)를 풀어내거나 되감음으로써 소정의 각도에 맞출 수 있다.
1코스편성 후에, 이론값과의 실의 양의 오차를 계산하고, 다음 코스에서는 그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스티치 보정을 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탄성사(14)의 실의 길이를 이론값에 더 가깝게 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버퍼암(40)의 토크제어와 송출기구(34)의 제어의 양방을 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보정량 결정수단(48)은, 장력센서(46)가 계측한 탄성사(14)의 공급장력과, 버퍼암(40)에 의한 편성장력을 비교하고, 그 차이가 작아지게 되도록 버퍼암(40)의 토크제어의 보정량을 구한다. 이 보정량에 따라 제어수단(36)은 토크 발생기(38)를 제어하여 버퍼암(40)의 토크를 제어한다. 단 버퍼암(40)의 토크를 크게 변화시키면 편성장력이 코스별로 변화하기 때문에, 버퍼암(40)의 토크를 크게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버퍼암(40)의 토크제어뿐만 아니라, 또한 실시예1과 같이 보정량 결정수단(48)은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여, 송출기구(34)의 제어를 위한 보정량을 결정한다. 이 경우에 버퍼암(40)의 토크제어와 송출기구(34)의 이송제어의 각각의 보정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사용하는 탄성사(14)로 실의 특성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을 하였지만, 탄성사(14)의 로트가 동일한 경우나 혹은 실의 양에 다소의 불균일이 발생하더라도 허용되는 것과 같은 경우 등은, 이미 취득한 탄성사(14)의 실의 특성을 재사용하여도 상관없다.
2 : 횡편기 본체
4 : 실 이송장치
6 : 캐리지
8 : 니들베드
12 : 캐리어
14 : 탄성사
20 : 편성 데이터
22 : 편성 컨트롤러
28 : 서보모터
30 : 구동롤러
32 : 종동롤러
34 : 송출기구
36 : 제어수단
38 : 토크 발생기
40 : 버퍼암
44 : 각도센서
46 : 장력센서
48 : 보정량 결정수단
50 : 보정 파라미터
52 : 수축 파라미터
54 : 신장 파라미터

Claims (5)

  1. 편성기 본체에서 사용하는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탄성사(彈性絲)를 급사부재(給絲部材)에 롤러로 송출하는 송출기구(送出機構)와, 상기 송출기구로부터 송출된 실을 중간적으로 축적하고 회전 가능한 버퍼암(buffer arm)과, 송출기구로부터 급사부재까지의 탄성사의 편성장력을 소정값으로 하기 위하여 버퍼암에 토크(torque)를 가하는 토크 발생기(torque 發生器)와, 편침별로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길이의 이론값을 산출하고 급사부재의 움직임에 동기(同期)하여 탄성사의 필요 실 이송을 하도록 송출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탄성사의 롤러에 대한 공급장력으로서 탄성사의 장력을 계측하는 장력센서(張力sensor)와,
    탄성사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스티치 루프길이를 이론값에 가깝게 하기 위한 보정에 사용하는 보정 파라미터(補正 parameter)와,
    상기 장력센서가 계측한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상기 버퍼암에 의한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로부터 송출기구에 대한 보정량을 상기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결정하는 보정량 결정수단(補正量 決定手段)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클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증가하는 보정량을 갖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을 때에는 탄성사의 실의 양이 감소하는 보정량을 갖고,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은 상기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적절한 보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에 의하여 결정한 보정량을 사용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탄성사의 실의 특성으로부터 구한 수축 파라미터와 신장 파라미터를 갖고 있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클 때에는 수축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공급장력이 편성장력보다 작을 때에는 신장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이 보정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센서에 의하여 계측을 하는 탄성사의 공급장력은, 소정 구간 내에서 계측한 공급장력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1코스편성 후의 상기 버퍼암의 각도변위로부터 구해지는 1코스의 편성에 있어서의 이론값과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다음 코스에 있어서의 스티치 보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은, 상기 장력센서가 계측한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상기 버퍼암에 의한 편성장력의 차이를 구하고, 이 차이가 작아지게 되도록 버퍼암의 토크에 대한 보정량을 결정함과 아울러, 탄성사의 공급장력과 편성장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로부터 송출기구에 대한 보정량을 상기 보정 파라미터로부터 결정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보정량 결정수단에 의하여 결정한 버퍼암의 토크에 대한 보정량에 의하여 상기 버퍼암의 토크의 조정을 함과 아울러, 송출기구에 대한 보정량을 사용하여 송출기구의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KR1020180051112A 2017-05-08 2018-05-03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KR101954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2655A JP6498232B2 (ja) 2017-05-08 2017-05-08 横編機における弾性糸の糸送り装置
JPJP-P-2017-092655 2017-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442A KR20180123442A (ko) 2018-11-16
KR101954658B1 true KR101954658B1 (ko) 2019-03-06

Family

ID=6213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12A KR101954658B1 (ko) 2017-05-08 2018-05-03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01428B1 (ko)
JP (1) JP6498232B2 (ko)
KR (1) KR101954658B1 (ko)
CN (1) CN108866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0989B (zh) * 2019-11-08 2021-01-26 西安工程大学 一种横机氨纶纱线控制器
CN111607890B (zh) * 2020-05-29 2022-02-15 江南大学 一种裸氨丝添纱横编针织物的织造方法及其纱线喂入装置
CN113584704B (zh) * 2021-08-20 2022-12-02 针知运纺织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脑横编针织机衬纬纱导纱系统
CN114164551A (zh) * 2021-12-16 2022-03-11 桐乡市桐诚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送纱检测装置及其送纱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9894A1 (ja) 2002-07-24 2004-01-2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横編機の給糸装置
KR100791822B1 (ko) 2001-01-31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급사장치
WO2008032451A1 (fr) 2006-09-15 2008-03-20 Shima Seiki Mfg., Ltd. Procédé de mesure de propriétés élastiques de fil à tricoter et machine à tricoter
WO2010021151A1 (ja) 2008-08-22 2010-02-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7731C1 (de) 1986-08-16 1988-03-31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mit elektronischer Fadenspannungsregelung
WO1997013904A1 (en) * 1995-10-12 1997-04-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with non-elastic yarn and bare elastomeric yarn and sweater knit fabric construction
WO2004094712A1 (ja) * 2003-04-18 2004-11-04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弾性糸使用の編成方法および装置
KR101541317B1 (ko) * 2008-03-07 2015-08-0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탄성사 사용의 편성포 편성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22B1 (ko) 2001-01-31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급사장치
WO2004009894A1 (ja) 2002-07-24 2004-01-2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横編機の給糸装置
WO2008032451A1 (fr) 2006-09-15 2008-03-20 Shima Seiki Mfg., Ltd. Procédé de mesure de propriétés élastiques de fil à tricoter et machine à tricoter
JP5161093B2 (ja) 2006-09-15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弾性特性測定方法および編機
WO2010021151A1 (ja) 2008-08-22 2010-02-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1428B1 (en) 2020-06-10
JP2018188771A (ja) 2018-11-29
CN108866785B (zh) 2020-04-10
EP3401428A1 (en) 2018-11-14
JP6498232B2 (ja) 2019-04-10
CN108866785A (zh) 2018-11-23
KR20180123442A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658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탄성사의 실 이송장치
JP2009173445A5 (ko)
KR100955809B1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US7540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with elastomeric yarn that compensate for yarn package relaxation
US4821199A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the mesh structure of knitted articles
ITMI980817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39;alimentazione del filato ad una macchina tessile e metodo di controllo del funzionamento e produzione di
JP5963393B2 (ja) 横編機
KR101541317B1 (ko) 탄성사 사용의 편성포 편성장치 및 방법
JPH01124675A (ja) ウエブ用の仕上げ兼収縮装置およびその運転法
EP2573026A1 (en) Thread supply system
JP2014169518A5 (ko)
KR101520525B1 (ko) 니트웨어 또는 양말류용 환편기에서 생산하는 편직 물품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정
KR101537940B1 (ko) 편성기용의 실 이송장치와 실 이송방법
EP2573027B1 (en) A calibrating method for controlled-tension yarn feeders in weaving lines
JPH06272141A (ja) 編み地制御装置
JP7462459B2 (ja) 横編機の天バネ装置の設定方法及び設定システム
KR102393871B1 (ko)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