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809B1 - 횡편기의 급사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급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809B1
KR100955809B1 KR1020057000008A KR20057000008A KR100955809B1 KR 100955809 B1 KR100955809 B1 KR 100955809B1 KR 1020057000008 A KR1020057000008 A KR 1020057000008A KR 20057000008 A KR20057000008 A KR 20057000008A KR 100955809 B1 KR100955809 B1 KR 10095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stitch
buffer bea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505A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니시타니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2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2Thread-feeding devices for 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04B7/045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with stitch-length regulation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편사의 수요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편성에 필요한 편사를 공급하면서 편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6(b)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급사부재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편사의 수요에 대응하는 실 속도에 대하여,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방법에 의거하여 편사의 송출을 하고, 편사를 송출하는 서보모터 등의 모터속도는, 실 속도에 대하여 느리기 때문에 편성을 시작할 때에는 버퍼 빔에 편사를 축적하고, 편성 종료의 감속 시에 부족되는 편사도 미리 송출시킨다.

Description

횡편기의 급사장치{YARN FEED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성포 편성용의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길이를, 편성 데이터(編成 data)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도11 및 도12에 간략화 되어 나타나 있는 횡편기1은, 편성포2를 편성할 때에 급사부재(給絲部材)3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편침(編針)에 편사4를 공급하기 위하여,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의 일단측(一端側)의 사이드 커버(side cover)5 등에 급사장치6을 구비하고 있다. 급사장치6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캐리지(carriage)가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하면, 편성포의 1코스분의 편성이 이루어지도록 편사4를 공급한다. 캐리지에는, 편침에 편성동작을 하도록 하는 캠 기구(cam 機構)가 설치되고, 급사부재3을 연행(連行)하는 기구도 설치되어, 급사부재3으로부터 편성동작 중의 편침에 편사4를 공급한다. 보통, 급사부재3 및 급사장치6은 복수 설치되어 복수 종류의 편사4를 공급할 수 있지만, 간략화 하여 1개만을 나 타낸다.
급사장치6에는, 버퍼 빔(buffer beam)7이 포함되어 편사4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기능과, 편사4에 장력(張力)을 부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버퍼 빔7은, 사이드 커버5에 지지되는 기단측(基端側)8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측(先端側)9의 회전변위(回轉變位)가 가능하다. 버퍼 빔7의 선단측9는, 편사4를 스프링(spring)에 의한 탄성(彈性)에 의하여 잡아 당겨져서, 스프링의 탄성력과 편사4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안정된다. 편사4의 공급경로에 접하여 측정 롤러(測定 roller)10이 설치되어, 급사장치6으로부터 급사부재3에 공급되는 편사4의 길이를 측정한다. 측정 롤러10에 의한 측정은, 편성포2를 편성하기 위하여 캐리지에 의하여 인입되는 편침의 인입량을 나타내는 스티치(stitch)를 제어하여 편사4의 소비량을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미리 예측되는 양에 일치시키는 제어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11은 횡편기1에서 캐리지가 니들베드의 일단측(一端側)으로부터 타단측(他端側), 즉 급사장치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의 급사부재3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12는, 캐리지가 니들베드의 타단측으로 이동하고, 급사부재3도 편성포2에서 급사장치6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끝 부분까지 이동하고 있을 때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횡편기1에서는, 편성포2에 대한 급사부재3의 위치관계에 의해서도 급사장치6으로부터 급사부재3까지 필요한 편사4의 길이가 변동된다.
버퍼 빔7의 경사의 범위에서 편사4의 축적과 장력 부여를 하는 종래 의 급사장치6에서는, 도11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급사부재3이 편성포2의 급사장치6측의 끝 부분으로 가고 있는 상태에서, 버퍼 빔7은 최대한으로 편사4를 축적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편성포2의 다음 코스의 편성이 시작되면, 캐리지에 의하여 급사부재3은 급사장치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편사4는 당겨지기 때문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퍼 빔7의 경사는 작아지게 된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급사부재3이 급사장치6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의 편성포2의 끝 부분에 근접하면, 편사4의 수요량은 감소되어,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시 버퍼 빔7은 경사가 커지게 되어 더 다량의 편사4를 끌어 들여서 저장한다. 버퍼 빔7의 경사는 편사4의 장력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 빔7의 경사에 의하여 장력의 부여와 편사4의 축적을 하는 구성에서는, 편성 도중에서의 편사4의 장력의 변동이 커지게 된다.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버퍼 빔7에 상당하는 부재를 사용하여 편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동시에 급격한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축적을 하고, 편사를 적극적으로 송출시키면서 실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선행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제25415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버퍼 빔7에 상당하는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편사를 송출시키는 물레의 회전을 급격한 실 수요의 변화에 앞서 제어하여 실의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선행기술은, 일본국 특허공표 특표평11-50050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급사장치6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횡편기1에서의 편성포2의 편성 중에, 급사부재3의 이동위치에 따라 편사4의 수요량이 크게 변동되고, 실의 장력도 실의 수요에 따라 변동된다. 실 장력의 큰 변동은, 편성포2의 편성폭 방향에서의 스티치 루프길이(stitch loop length)의 변동이 되어 편성포2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2541574호에 기재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도, 편성포의 끝 부분 등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실 수요량의 변동에 대응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국 특허공표 특표평11-5005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는, 편사 수요량의 급격한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는, 편사를 물레에 감아야 하기 때문에 물레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횡편기에서는, 복수 개의 실을 나누어서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도 많아서 급사기구도 각 실마다 구비할 필요가 있다. 큰 물레를 사용하는 급사장치를 복수 구비하면, 횡편기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도11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종래기술에서는, 편성포2의 편성 데이터에 따라 필요한 편사4를 공급하기 위하여, 측정 롤러10에서 이미 공급되어 있는 편사4의 길이를 계측하려고 하더라도 편성포2의 전체의 폭에 대해서는 정확한 편사량이 불명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측정 시작위치로서의 도11에서는, 편성포2의 끝 부분으로부터 수 cm 정도의 길이L1 들어 간 장소에서만 정확한 편사4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버퍼 빔7이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와 같이 경사지게 되면, 버퍼 빔7의 경사에 의하여 증가되는 편사4의 축적량도 측정 롤러10에 의하여 계측되어, 편성포2에 공급되는 편사4의 정확한 소비량이 불명확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버퍼 빔7이 파선의 상태로부터 실선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공급되는 편사4의 양도, 측정 롤러10에 의해서는 직접 측정될 수는 없다. 또한 데이터 측정 종료위치로서의 도12에서도,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편사4의 길이는 불명확하게 된다. 편사4의 정확한 길이가 불명확하게 되면, 스티치를 제어하여 편사4의 소비량이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미리 예측되는 양에 일치시키는 제어를 하더라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일본국 제2541574호 특허공보나 일본국 특허공표 특표평11-5005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도, 편사의 수요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에 관련되는 구성은 어떠한 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사(編絲)의 수요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편성에 필요한 편사를 공급하면서 편성을 할 수 있는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성 데이터(編成 data)에 의거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 (編針)에, 급사부재(給絲部材)를 편성포의 폭(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사를 공급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에 있어서,
편사의 공급경로에 배치되고, 편사를 급사부재로 송출시키는 편사송출기구(編絲送出機構)와,
편사송출기구로부터 급사부재에 편사가 공급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기단측(基端側)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변위(回轉變位) 가능하고, 선단측(先端側)이 일방(一方)으로 회전변위될 때에 편사를 그 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하고, 그 선단측이 타방(他方)으로 회전변위될 때에 편사를 그 경로로 되돌리는 버퍼 빔(buffer beam)과,
버퍼 빔을, 미리 정하여진 실의 장력(張力) 하에서는 미리 정하여진 길이만큼 편사를 그 경로로부터 인출하도록, 그 선단이 그 일방으로 회전변위하도록 가압(加壓)하는 스프링(spring)과,
버퍼 빔의 회전변위 상태를, 편사가 그 미리 정하여진 길이만큼 그 경로로부터 인출될 때의 선단측의 위치인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출하는 센서(sensor)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분석(pattern 分析)을 하여, 편침마다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길이(stitch loop length)의 이론치(理論値)를 산출하고, 편사송출기구에 대하여, 급사부재의 이동에 동기(同期)되어 편사를 송출시키는 필요사 이동모드(必要絲 移送 mode)에서 제어를 하고 또한 1코스분의 편성포 편성의 전후에서, 센서가 버퍼 빔의 회전변위의 각도 변화로부터 실 측(實測)하여 공급한 1코스분의 편사의 길이와 1코스분의 스티치 루프길이의 이론치 사이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미리 정하여진 스티치 루프길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보정(補正)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티치 루프길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서, 스티치 편성용 캠(stitch 編成用 cam)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stitch) 또는 편사의 장력 중에서 적어도 일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서, 상기 편침마다 산출되는 스티치 루프길이를, 편성포의 동일 코스를 편성하는 스티치에서 그 편침을 포함하는 그룹(group)에 속하는 편침에 관한 평균치로서, 상기 편사송출기구로부터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의 위치가 상기 원점위치가 미리 정하여진 근방의 범위에 멈추도록, 편성포의 1코스를 편성하는 전후에서, 편성 중에 송출되는 편사의 일부를 사용하여 그 버퍼 빔의 위치 얼라이닝(position aligning)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 중에, 상기 센서에 의하여 상기 버퍼 빔의 회전변위 상태가 미리 정하여진 한계범위를 넘는 것이 검출될 때, 그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를 정지시켜서, 그 버퍼 빔의 선단측을 상기 원점위치로 되돌리는 구제모드(救濟 mode)에서 상기 편사송출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사송출기구의 제어를,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이 상기 원점위치 부근에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장력 일정 모드(張力 一定 mode)로 절환(切換)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에 앞서, 상기 장력 일정 모드에서, 스티치 편성용 캠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를 조정하여 미리 지정되는 루프길이가 편성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포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할 때까지 편사를 송출시키는 구간, 그 편성포의 일단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상기 편사송출기구로부터의 편사의 송출 감속을 시작할 때까지의 구간, 그 편사송출기구로부터의 편사의 송출 감속을 시작하여 그 편성포의 타단(他端)까지 편성시키는 구간 및 그 편성포의 편성을 종료한 후에 그 편사송출기구를 정지시킬 때까지 의 구간으로 나누어, 편사의 송출길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의 급사장치16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급사장치16의 좌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급사장치16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버퍼 빔17의 회전변위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실시예의 급사장치16에서, 필요사 이송모드를 실현시키는 제어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은 도1의 실시예에서 이루어지는 스티치 캠 얼라이닝의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8은 도1의 실시예에서, 우행에 관한 보정용의 테이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9는 도1의 실시예에서 이루어지는 패턴분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도1의 실시예에서 이루어지는 패턴분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종래부터의 급사장치에서, 편성포가 급사장치에 가까운 측의 끝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범위에서 편사14의 길이가 정확하게 계측될 수 없는 이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종래부터의 급사장치에서, 급사구가 편성포의 급사장치보다 멀리 있는 끝 부분의 부근에서 공급되는 편사의 길이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로서,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횡편기11은, 편성포12를 편성하기 위하여 급사부재13의 급사구(給絲口)13a로부터 편사(編絲)14를 편침(編針)에 공급한다. 횡편기11의 사이드 커버(side cover)15 등에는, 급사구13a에 편사14를, 장력(張力)의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수요량에 따르는 적절한 길이로 공급하는 급사장치(給絲裝置)16이 설치된다. 급사장치16에는 버퍼 빔(buffer beam)17이 구비된다. 버퍼 빔17은, 기단측(基端側)18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선단측(先端側)19까지의 부분이 회전변위(回轉變位) 가능하고, 선단측19가 사이드 커버15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spring 加壓)되어, 편사14의 장력에 의거하는 인장력(引張力)에 균형을 이루는 각도까지 경사진다. 편사14의 장력이 커지게 되면, 버퍼 빔17을 스프링 가압에 저항하여 사이드 커버15의 표면에 접근시켜서, 이 회전범위에 대응하는 길이의 편사14를 급사구13a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2, 도3 및 도4는, 급사장치16에 관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2는 도1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 도3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태, 도4는 경사지게 보았을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 설명의 편의상, 도1에서는 주 롤러(主 roller)20 및 종 롤러(從 roller)21의 방향을 바꾸어서 나타내고 있다. 도1∼도4를 참조하여, 버퍼 빔17에 편사14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 롤러20 및 종 롤러21이 설치된다. 주 롤러20은 서보모터(servo motor)22의 회전축 상에 장착되고, 종 롤러21에는 복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종동기구(從動機構)23을 통하여 서보모터22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주 롤러20과 종 롤러21은, 편사14를 삽입하도록 배치되고, 종동기구23에 의하여 종 롤러21은 주 롤러20과 동일한 주속도(周速度)로 회전구동된다. 주 롤러20, 종 롤러21, 서보모터22 및 종동기구23은, 도1의 사이드 커버15에 프레임(frame)24에 설치된다. 주 롤러20의 지름은 작고 또한 종 롤러21은 주 롤러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급사장치16은 비교적 좁은 폭으로 구성할 수 있어, 사이드 커버15에 복수의 급사장치16을 나란하게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편사14는, 프레임24의 상방으로부터 공급되어, 주 롤러20의 외주면(外周面)에 접촉되면서 종 롤러21이 주 롤러20과 대향(對向)하고 있는 부분으로 인도된다. 주 롤러20의 외주면과 종 롤러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어 그 사이를 편사14가 지나간다. 또한 중계 롤러(中繼 roller)25로 인도되고, 방향이 변경되어 버퍼 빔17의 선단측19로 당겨진다. 버퍼 빔17의 기단측18에는, 선단측19가 사이드 커버15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스프링(spring)26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6에 의하여 버퍼 빔17은, 편사14의 장력이 클 때에는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고, 편사14의 장력이 작을 때에는 경사각이 커지게 되도록 회전변위된다. 버퍼 빔17의 경사각은, 기단측18에 설치되는 경사각 센서(傾斜角 sensor)27에 의하여 검출된다. 버퍼 빔17의 경사각도는, 예를 들면 0도∼100도의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여, 횡편기11에서는, 편성포12를 편성하기 위한 니들베드(needle bed)28이 직선 모양으로 설치되고, 니들베드28을 따라 캐리지(carriage)29가 왕복 이동한다. 캐리지29는, 니들베드28의 편침의 편성동작과 급사부재13을 이동시켜서 편성포12를 편성한다. 캐리지29에는, 편침의 진퇴조작(進退操作)을 하는 편성 캠(編成 cam)이 설치되고, 편침의 진퇴조작에 의하여 편성포12의 편성동작이 이루어진다. 자동화 되어 있는 횡편기11에서는, 편성 컨트롤러(編成 controller)30이 설치되어, 미리 주어지는 편성 데이터에 따르는 편성포12의 편성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급사장치16에서는,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침마다 편사14의 수요량이 산출되고, 수요량에 따라 편사가 송출되도록 급사 컨트롤러(給絲 controller)31을 설치하여 서보모터22를 제어한다. 급사 컨트롤러31에 의한 제어는,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에 따라 편성포12를 편성하는 데에도 필요한 편사14의 길이를 미리 산출하면서 산출되는 길이의 편사14를 급사부재로 송출하는 필요사 이송모드(必要絲 移送 mode) 및 경사각 센서2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버퍼 빔17의 선단측19가 원점위치를 유지하도록 편사14를 송출하는 장력 일정 이송모드(張力 一定 移送 mode)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를 절환(切換)할 수 있다. 또 필요사 이송모드에서의 편사14의 수요량은, 편성에 앞서 미리 산출될 수도 있다.
도5는 버퍼 빔17의 회전변위 가능한 범위를 나타낸다. 버퍼 빔17은, 기단측18로부터 선단측19까지의 빔 각도(beam angle)가 0도로부터 100도까지의 범위에서 회전변위 가능한 것을 상정한다. 중간의 빔 각도일 때의 선단측19의 위치를 빔 원점위치(beam 原點位置)로서 실선으로 나타낸다. 빔 원점위치에 대하여, 빔 각도 100도측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빔 각도가 커지게 되면 버퍼 빔17에는 어느 정도 길이의 편사14를 축적하여, 빔 각도가 작아지게 되도록 회전변위되면 편사14를 급격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빔 원점위치에 대하여, 빔 각도 0도측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빔 각도가 작아지게 되면 버퍼 빔17은 어느 정도 길이까지의 편사14를 흡인(吸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편사14 의 수요가 적어지게 되면, 편사14의 장력이 감소되어, 스프링 탄성력에 의하여 버퍼 빔17을 사이드 커버15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빔 각도가 커져서 여분의 편사14를 흡수하여 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버퍼 빔17의 회전변위만으로는, 횡편기11에서 편성포12를 고속으로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편사14의 수요량의 급격한 변동에 대처할 수는 없다. 본 실시예의 급사장치16에서는, 필요사 이송모드를 사용하여 편사14의 수요량 변동을 미리 예측하여, 버퍼 빔17의 경사각 변동을 억제시켜서 편사14의 실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도6은 본 실시예의 급사장치16에서, 필요사 이송모드를 실현시키는 제어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도6(a)는 도1의 편성포12에 대한 급사부재13의 급사위치가 이동되는 시간경과에 대하여 버퍼 빔17의 회전변위에 의한 경사각도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도6(b)는 급사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급사 컨트롤러31이 제어수단으로서 제어하는 서보모터22의 속도 및 편사14가 급사부재13으로 송출되는 실 속도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도6의 변화는, 도1에서 캐리지29가 급사장치16에 접근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하면서 편성포12의 1코스를 편성하는 경우에 대응되어 있다.
편성 시작 전의 시간ta에서는, 급사부재13은 편성포12의 편성단(編成端)보다 급사장치16에 가까운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다. 편성포12의 편성단의 위치는, 편성포12의 끝 부분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캐 리지29에 탑재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이 스티치0에 상당하는 작용을 하는 위치로 한다. 이 위치로부터 급사부재13의 표준적인 정지위치에서의 급사구13a의 중심위치까지의 거리를, 편성단과 급사구13a 사이의 거리의 표준치(標準値)로 한다. 이 때의 버퍼 빔17의 빔 각도는, 예를 들면 40도이다. 반전(反轉) 시의 빔 얼라이닝 위치(beam aligning position)에서의 빔 각도를 60도라고 하면, 반전 시 빔 위치 얼라이닝으로 하여 서보모터22를 짧은 기간 회전시켜서, 편사14를 버퍼 빔17에 공급하여 빔 각도를 40도로부터 60도까지 증가시키는 제어를 한다. 또한 반전 시의 빔 얼라이닝은, 선행(先行)하는 코스의 편성에서 캐리지29가 급사장치16에 접근하여 정지하고 있는 상태의 빔 각도를, 미리 일정한 빔 각도에 맞추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코스의 편성 시작 전과 종료 후에 각각 빔 각도를 맞추도록 되어 있다.
시간ta에서 반전 시의 빔 위치 얼라이닝을 한 후, 시간t0으로부터 캐리지29에 의한 급사부재13의 이동을 시작한다. 설명의 편의상, 캐리지29는 정속(定速)V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급사부재13이 상기의 2V 구간을 이동하여 시간t1에 편성포12의 편성단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캐리지 속도의 2배로 편사14를 송출하도록 서보모터22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구간에서는, 도1의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까지 급사부재13이 이동한다. 필요한 편사14는, 버퍼 빔17의 선단측19로부터 급사구13a까지의 것과 급사구13a로부터 편성단의 편침까지의 것이 기 때문에, 급사구13a가 캐리지29에 연행(連行)되어 V의 속도로 버퍼 빔17의 선단측19로부터 멀어지면, 2V의 실 속도로 편사14를 공급하여야 한다.
도6(b)에서는, 캐리지29의 이동에 의하여 필요하게 되는 실 속도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서보모터22의 회전속도는,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29에 뒤져서 상승된다. 이 때문에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퍼 빔17의 빔 각도가 감소되어, 부족되는 편사14를 보급한다.
시간t1로부터, 편성포12의 1코스의 편성에 편사14를 사용하는 α구간이 시작된다. α구간에서는, 전체로서, 다음의 (1)식에 의하여 산출되는 송출량의 편사14를 송출하도록 서보모터22의 모터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편성포의 끝 부분 탈출 시는, 편성포의 끝 부분까지 편성하여 편성단으로부터 탈출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송출량 = 바늘 1개마다의 실 양의 합 - 반전 시의 빔 위치 얼라이닝분 - 2V 구간의 실 이송량 + 편성포의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 … (1)
여기에서 바늘 1개마다의 실 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반전 시의 빔 위치 얼라이닝분은, 시간ta에서 송출된 편사14의 길이이다. 2V 구간의 실 이송량은, 시간t0으로부터 시간t1에 송출된 편사14의 길이이다. α구간에서는, 2V 구간의 시작 시에 버퍼 빔17로부터 공급된 편사14도 공급되어 모터속도의 상승은 실 속도에 뒤지기 때문에, 모터속도의 최고속도는 실의 속도보다 고속으로 한다. 편성포12의 편성종료 시에는, 선행하여 서보모터22를 감속시킨다. α구간은, 서보모터22의 감속을 시작하는 시간t2에서 종 료된다. α구간에서의 편성포의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은, 우측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의 면적에 상당한다.
시간t2로부터 모터속도와 실 속도가 동일하게 되는 시간t3까지는 β구간이 된다. β구간에서는, 전체로서, 다음의 (2)식에 의하여 산출되는 송출량의 편사14를 송출하도록 서보모터22의 모터속도를 제어한다.
송출량 = 바늘 1개마다의 실 양의 합 - 반전 시의 빔 위치 얼라이닝분 - 2V 구간의 실 이송량 + 최초 평균의 미완료분 + 편성포의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 … (2)
여기에서 최초의 평균의 미완료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β구간에서의 편성포의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도 α구간에 연속되어 있는 우측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의 면적에 상당한다.
시간t3으로부터 편성포12의 편성단의 위치에 급사구13a가 도달하는 시간t5까지는 γ구간이 된다. γ구간에서는, 전체로서, 다음의 (3)식에 의하여 산출되는 송출량의 편사14를 송출하도록 서보모터22의 모터속도를 제어한다.
송출량 = 바늘 1개마다의 실 양의 합 - 반전 시의 빔 위치 얼라이닝분 - 2V 구간의 실 이송량 + 최초 평균의 미완료분 - 편성포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 … (3)
γ구간에서는, 실 속도보다 모터속도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편사14가 부족된다. 이 부족분을 편성포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으로 하여, 일부는, 버퍼 빔17의 빔 각도가 감소되도록 회전변위되어 공급된다. 즉 부족되는 편사14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 중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은, α구간 및 β구간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나타내어, 모터속도가 실의 속도보다 높은 부분에 상당하도록 되어 있다. 편성포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으로서는, 마치 망(網)처럼 나타나 있는 부분이 남는다.
편성포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에서 망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은, 캐리지29가 시간t5에서 정지된 후에, 시간t6에서 서보모터22가 정지될 때까지 송출되는 편사14에 의하여 보급된다. 즉 편성단으로부터 감속종료의 위치까지 망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에 상당하는 편사14가 공급되기 때문에, 편성포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의 나머지가 보급된다.
또한 실제의 캐리지29의 이동에서는, 속도V에 도달할 때까지의 가속(加速)과 속도V로부터 정지할 때까지의 감속(減速)이 필요하다. 서보모터22의 제어는, 캐리지29의 제어에 추종되어 이루어져서, 편성포 끝 부분 탈출 시의 감속분에 대한 보급을 감속시작 전에 하여야 하는 것은, 캐리지29의 이동에 의하여 가감속제어(加減速制御)를 하는 경우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좌행(左行 : go left)에서의 제어에서는, 2V 구간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우행(右行 : go right)과 동일하다.
급사부재13의 이동에 동기(同期)되어 바늘 1개마다 송출되는 실의 양Y는, 캐리지29의 이동방향에 의하여 변경되어야 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사공급장치16에 접근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급사부재13이 이동하는 경우를 편의상 「우행」이라고 하고, 역방향으로 급사부재13이 이동하는 경우를 편의상 「좌행」이라고 한다. 어느 경우에서도 편성 시작까지의 구간은, 편사14를 보내지 않는다. 「피치(pitch)」로 편침의 배열 간격을 나타내고, 「L」로 스티치의 루프길이를 나타내면, 우행에서는 스티치의 루프길이L과 피치와의 합을 송출하여야 하는 것에 대하여, 좌행에서는 스티치의 루프길이L로부터 피치를 공제한 차이를 송출하여야 한다.
도7은 스티치 루프길이를 정확하게 얼라이닝시키기 위한 스티치 캠 얼라이닝(stitch cam aligning)의 루틴(routine)을 나타낸다. 편성에 필요한 실의 양을 산출하여 급사하더라도 스티치 루프길이에 영향을 주는 횡편기11측의 설정이 정확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으면, 급사된 편사14를 편성에 넣을 수 없다. 캐리지29에는, 편침의 편성동작을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캠 기구가 탑재되고, 특히 스티치 형성 후에 편침에 의하여 편사를 인입하는 스티치 캠은, 위치를 변위시켜서 편성하는 스티치의 루프길이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의 횡편기11에서는, 캐리지29에, 변위상태를 스티치 값으로서 모니터(monitor)하고, 디지털 제어(digital 制御) 가능한 스티치 캠이 하나 또는 복수 기 탑재되고, 각 스티치 캠에 관하여 스티치 캠 얼라이닝의 루틴을 실행하여 지정의 스티치 루프길이를 편성하는 스티치 값을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티치 루프길이의 조정은, 편사 14에 걸리는 장력을 변화시켜서 할 수도 있다.
스텝s0에서 스티치 캠 얼라이닝의 루틴을 시작하고, 스텝s1에서는, 스티치 값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하여 상기의 장력 일정 이송모드에서 편성포를 시험적으로 편성한다. 스텝s2에서는, 편성에 사용된 편사14의 실측치(實測値)와 이론치(理論値)를 비교하여, 오차가 소정치, 예를 들면 1% 이내 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오차가 클 때에는, 스티치 값의 디폴트 값을 보정하도록 보정 테이블(補正table)을 갱신하여 스텝s1로 되돌아간다. 스텝s2에서 오차가 소정치 이내가 되면, 장력 일정 하에서의 스티치 캠 얼라이닝은 종료된다. 이러한 장력 일정 하의 스티치 캠 얼라이닝은, 실제 생산의 대상이 되는 편성포의 편성에 앞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보정 테이블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실제 편성포의 편성에서는, 스텝s4에서 필요사 이송모드로 절환되어 1코스의 편성을 한다. 스텝s5에서는, 1코스 전후에서의 버퍼 빔17의 경사각도의 차이로부터 보정치(補正値)를 구한다. 보정치가 소정치, 예를 들면 1스텝 이내에 들어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들어가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s6으로 진행하여, 보정 테이블을 갱신하여 스텝s4로 되돌아간다. 스텝s5에서 보정치가 소정치 이내라고 판단되면 스텝s7에서 편성종료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종료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s5로 되돌아간다. 스텝s7에서 편성종료라고 판단될 때에는, 스텝s8에서 루틴을 종료한다.
즉 편사14의 이송량은, 편성 데이터에서 규정하는 스티치의 루프길이 와 편성조직 등에 의하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치 값을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하여 보정할 수 있다. 버퍼 빔17의 빔 각도의 변화에 편사14의 과부족량(過不足量)이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이 대응관계를 보정용의 테이블 데이터로 한다. 각 편성코스에서, 편성 시작의 빔 각도와 편성 마지막의 빔 각도를 비교하면, 송출된 편사14의 양과 편성포12에 편성된 편사14의 양을 비교할 수 있다.
편성 시작의 빔 각도 > 편성 마지막의 빔 각도이면, 이송량보다 많게 편성되어 있으므로 스티치 값을 작게 한다.
편성 시작의 빔 각도 < 편성 마지막의 빔 각도이면, 이송량보다 적게 편성되어 있으므로 스티치 값을 크게 한다.
또한 각 코스에서, 버퍼 빔17의 원점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와 편성 마지막의 위치에 대응하는 빔 각도를 비교하는 것에 의한 스티치 값의 보정도 한다.
원점위치에서의 빔 각도 > 편성 마지막의 빔 각도이면, 버퍼 빔17이 하한위치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스티치 값을 작게 한다.
원점위치에서의 빔 각도 < 편성 마지막의 빔 각도이면, 버퍼 빔17이 상한위치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스티치 값을 크게 한다.
이상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버퍼 빔17에 관한 원점보정의 주지는, 1코스 편성할 때마다 정확하게 얼라이닝 하는 것이 아니라, 계산되어 송출되는 편사14의 양을 전체 코스 토탈(total)하여 과부족 없게 정확하게 편성하는 것이다. 빔 각도의 위치는, 예를 들면 우행으로 43도, 좌행으로 60도로 한다. 빔 위치 얼라이닝은, 우행으로 60도, 좌행은 60도로 한다. 다만 버퍼 빔17의 각도에 관해서는 강제보정(强制補正)도 한다. 예를 들면 우행에서는 상한 60도에서 스티치 값을 +1 하고, 하한 30도에서 스티치 값을 -1 한다. 좌행에서는 상한 70도에서 스티치 값을 +1 하고, 하한 40도에서 스티치 값을 -1 한다.
또한 버퍼 빔17은, 경사각도의 범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구제처리(救濟處理)를 가능하게 한다. 즉 필요사 이송모드에서의 제어 중에 버퍼 빔17이 상한이나 하한위치가 되면, 실이 끊어져서 편성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구제처리를 한다. 이 때문에 상한은 예를 들면 95도에서, 하한은 예를 들면 10도에서 구제처리를 시작하여, 상한은 75도, 하한은 45도의 구제종료각도가 될 때까지 편사14의 송출 정지 또는 송출을 하도록 제어한다. 버퍼 빔17이 구제종료각도가 되면, 장력 일정 이송모드로 절환되어 버퍼 빔17의 선단측19가 원점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보정용의 테이블 데이터는, 제1보정 테이블과 제2보정 테이블로 나누고, 디폴트의 스티치 값에 2개의 보정 테이블의 값을 더하여 스티치 값을 보정한다. 제1보정 테이블은, (i)전회(前回)의 빔원점보정과 (ii)빔변화보정과의 합으로 하여, 전회의 값에 가산한다. 제2보정 테이블은, (iii)빔원점보정으로 하고, 다음 회에 제1보정 테이블에 반영시킨 후, 값을 리셋(reset) 한다. 실의 길이[mm]로부터 스티치 값[스텝]으로의 변환은, 경험치(經驗値) 등에 의거하여 변환공식을 설정한다. (i)∼(iii)의 각 보정치가 모두 1스텝 이하가 되면, 「결속되었다」라고 간주하여 스티치의 보정을 완료한다. 제1보정 테이블은, 편사14를 편성에 필요한 만큼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제2보정 테이블은, 버퍼 빔17을 원점위치로 되돌리기 위하여 사용한다.
도8은 우행에 관한 보정용의 테이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설정루프길이의 디폴트 값을 「스티치 값42」로 하고, 설정루프길이가 달성되는 스티치 값을 「스티치 값40」으로 하는 경우의 보정용 테이블 데이터의 추이를 나타낸다.
도9 및 도10은, 패턴분석(pattern 分析)의 예를 나타낸다. 도9는 전후의 니들베드에 래킹(racking)을 하지 않을 경우를 나타내고, 도10은 래킹을 0.5피치분의 래킹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우선, 각 편침마다 니트(knit), 턱(tuck), 미스(miss) 및 크로스 오버(cross over)의 수를 분석한다. 여기에서 「크로스 오버」란, 앞쪽 니들베드측의 스티치와 뒤쪽 니들베드측의 스티치를 연결하는 크로스 오버 얀(cross over yarn)의 부분이다. 편성조직의 1개 단위의 길이로부터, 편침 1개당 필요한 편사14의 양으로서의 스티치 루프길이L을 산출할 수 있다. 이 스티치 루프길이L은 니트에 대응시킨다. 턱 및 미스는, 각각 공식을 이용한다. 크로스 오버는 래킹 피치에 따라 공식을 구분하여 이용한다.
또한 니트나 턱의 수는, 타원 내에 포함되는 편침의 수에 따라 0 개, 1개, 2개 중에서 어느 하나로 한다. 미스는 0개 또는 1개로 한다. 크로스 오버는, 니들 실렉션(needle selection) 하기 직전에 편침이 대향(對向)하고 있는 니들베드의 편침이 니들 실렉션 되면 0.5개로 한다. 또한 니들 실렉션 하는 직후에, 편침이 대향하고 있는 니들베드의 편침이 니들 실렉션 되어 있으면 0.5개로 한다.
또 상기의 (1)식, (2)식 및 (3)식에 나타나 있는 바늘 1개마다의 실 양은, 각 편침마다 그 편침과 후속되어 편성에 사용되는 복수, 예를 들면 11개의 편침에 필요한 편사14의 양을 평균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12개의 평균을 사용함으로써 각 편침마다의 실 수요의 변동을 평활화(平滑化) 하여, 서보모터22의 제어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편성포12의 편성종료측이 되면, 후속의 편침을 11개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도6의 β구간이나 γ구간에 나타나 있는 「최초의 평균의 미완료분」으로서, 편성 시작측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각 편침에 관한 데이터를 동등하게 이용하여, 1코스에 동등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분석 실행 시에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 등에 따라 편침을 그룹(group)으로 나누고, 그룹마다 평균치를 산출하여 편사를 공급할 수도 있다. 그룹 내에서는 편침마다의 편사공급량의 급격한 변화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에 의하여 편사송출기구를 제어하고,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분석을 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에 따라 편성포를 편성하는 데에 필요한 실의 길이를 미리 산출하기 때문에, 편사의 수요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편성에 필요한 편사를 공급하면서 편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1코스분의 편성포 편성의 전후에서는, 버퍼 빔의 회전변위의 각도변화가 작아지게 되도록 스티치 편성용 캠의 설정치로서의 스티치 또는 편사의 장력 중에서 적어도 일방을 보정하기 때문에, 편성포 전체로서도 편사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침마다 공급되는 편사의 길이는, 그 편침을 포함하는 그룹의 편침에 대하여 산출되는 스티치 루프길이의 평균치로 하기 때문에, 패턴의 경계 등에서 편사송출기구로부터 송출되는 편사의 길이가 급변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피하여 제어장치의 과도응답(過渡應答)에서의 진동발생에 의한 편사공급길이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도 버퍼 빔의 선단측의 위치가 상기 원점위치의 미리 정하여지는 근방의 범위에 멈추도록, 편성포의 1코스를 편성하는 전후에서, 편성 중에 송출되는 편사의 일부를 사용하여 버퍼 빔의 위치 얼라이닝을 하기 때문에, 편성포 편성 중에 예기하지 않은 실 수요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버퍼 빔의 회전변위에서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 중에 버퍼 빔의 회전변위 상태가 미리 정하여지는 한계범위를 넘으면,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를 정지시켜서 버퍼 빔의 선단측을 원점위치로 되돌리는 구제모드에 의하여 편사송출기구를 제어하기 때문에, 버퍼 빔의 회전변위에서 편사의 공급길이의 변동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편사가 과대한 장력에 의한 실의 끊어짐(yarn break)이나 장력이 소실되는 것에 의한 휘감기기 등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력 일정 이송모드에서의 실 이송에도 절환 가능하기 때문에, 편사에 걸리는 장력을 안정시켜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력 일정 이송모드에서 스티치 편성 캠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포의 일단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할 때까지 편사를 송출하는 구간, 편성포의 일단으로부터 편성 을 시작하여 편사송출기구로부터의 편사의 송출 감속을 시작할 때까지의 구간, 편사송출기구로부터의 편사의 송출 감속을 시작하여 편성포의 타단까지 편성시키는 구간 및 편성포의 편성을 종료한 후에 편사송출기구를 정지시킬 때까지의 구간으로 나누어 편사의 송출길이를 산출하기 때문에,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가속이나 감속에 대한 편사송출기구의 관성(慣性)을 고려하여 적절한 편사의 공급을 할 수 있다.

Claims (15)

  1. 편성 데이터(編成 data)에 의거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編針)에, 급사부재(給絲部材)를 편성포의 폭(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사를 공급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에 있어서,
    편사의 공급경로에 배치되고, 편사를 급사부재로 송출시키는 편사송출기구(編絲送出機構)와,
    편사송출기구로부터 급사부재에 편사가 공급되는 경로에 배치되고, 기단측(基端側)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변위(回轉變位) 가능하고, 선단측(先端側)이 일방(一方)으로 회전변위될 때에 편사를 그 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하고, 그 선단측이 타방(他方)으로 회전변위될 때에 편사를 그 경로로 되돌리는 버퍼 빔(buffer beam)과,
    버퍼 빔을, 미리 정하여진 실의 장력(張力) 하에서는 미리 정하여진 길이만큼 편사를 그 경로로부터 인출하도록, 그 선단이 그 일방으로 회전변위하도록 가압(加壓)하는 스프링(spring)과,
    버퍼 빔의 회전변위 상태를, 편사가 그 미리 정하여진 길이만큼 그 경로로부터 인출될 때의 선단측의 위치인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출하는 센서(sensor)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분석(pattern 分析)을 하여, 편침마다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길이(stitch loop length)의 이론치(理論値)를 산출하고, 편사송출기구에 대하여, 급사부재의 이동에 동기(同期)되어 편사를 송출시키는 필요사 이동모드(必要絲 移送 mode)에서 제어를 하고 또한 1코스분의 편성포 편성의 전후에서, 센서가 버퍼 빔의 회전변위의 각도 변화로부터 실측(實測)하여 공급한 1코스분의 편사의 길이와 1코스분의 스티치 루프길이의 이론치 사이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미리 정하여진 스티치 루프길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보정(補正)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티치 루프길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서, 스티치 편성용 캠(stitch 編成用 cam)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stitch) 또는 편사의 장력 중에서 적어도 일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서, 상기 편침마다 산출되는 스티치 루프길이를, 편성포의 동일 코스를 편성하는 스티치에서 그 편침을 포함하는 그룹(group)에 속하는 편침에 관한 평균치로서, 상기 편사송출기 구로부터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에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의 위치가 상기 원점위치가 미리 정하여진 근방의 범위에 멈추도록, 편성포의 1코스를 편성하는 전후에서, 편성 중에 송출되는 편사의 일부를 사용하여 그 버퍼 빔의 위치 얼라이닝(position aligning)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 중에, 상기 센서에 의하여 상기 버퍼 빔의 회전변위 상태가 미리 정하여진 한계범위를 넘는 것이 검출될 때, 그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를 정지시켜서, 그 버퍼 빔의 선단측을 상기 원점위치로 되돌리는 구제모드(救濟 mode)에서 상기 편사송출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 중에, 상기 센서에 의하여 상기 버퍼 빔의 회전변위 상태가 미리 정하여진 한계범위를 넘는 것이 검출될 때, 그 필요사 이송모드에 의한 제어를 정지시켜서, 그 버퍼 빔의 선단측을 상기 원점위치로 되돌리는 구제모드(救濟 mode)에서 상기 편사송출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사송출기구의 제어를,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이 상기 원점위치 부근에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장력 일정 모드(張力 一定 mode)로 절환(切換)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사송출기구의 제어를,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이 상기 원점위치 부근에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장력 일정 모드(張力 一定 mode)로 절환(切換)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사송출기구의 제어를,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이 상기 원점위치 부근에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장력 일정 모드(張力 一定 mode)로 절환(切換)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사송출기구의 제어를, 상기 필요사 이송모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버퍼 빔의 선단측이 상기 원점위치 부근에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편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장력 일정 모드(張力 一定 mode)로 절환(切換)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에 앞서, 상기 장력 일정 모드에서, 스티치 편성용 캠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를 조정하여 미리 지정되는 루프길이가 편성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에 앞서, 상기 장력 일정 모드에서, 스티치 편성용 캠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를 조정하여 미리 지정되는 루프길이가 편성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에 앞서, 상기 장력 일정 모드에서, 스티치 편성용 캠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를 조정하여 미리 지정되는 루프길이가 편성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에 앞서, 상기 장력 일정 모드에서, 스티치 편성용 캠의 설정량으로서의 스티치를 조정하여 미리 지정되는 루프길이가 편성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포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할 때까지 편사를 송출시키는 구간, 그 편성포의 일단으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상기 편사송출기구로부터의 편사의 송출 감속을 시작할 때까지의 구간, 그 편사송출기구로부터의 편사의 송출 감속을 시작하여 그 편성포의 타단(他端)까지 편성시키는 구간 및 그 편성포의 편성을 종료한 후에 그 편사송출기구를 정지시킬 때까지의 구간으로 나누어, 편사의 송출길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20057000008A 2002-07-24 2003-07-22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0955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5589 2002-07-24
JPJP-P-2002-00215589 2002-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05A KR20050024505A (ko) 2005-03-10
KR100955809B1 true KR100955809B1 (ko) 2010-05-06

Family

ID=3076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008A KR100955809B1 (ko) 2002-07-24 2003-07-22 횡편기의 급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55349B2 (ko)
EP (1) EP1548163B1 (ko)
JP (1) JP4016030B2 (ko)
KR (1) KR100955809B1 (ko)
CN (1) CN100390343C (ko)
AU (1) AU2003248087A1 (ko)
WO (1) WO20040098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740A (ko) * 2018-05-11 2019-11-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기의 장력측정장치 및 그 장력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08261T2 (de) 2003-04-18 2008-08-21 Shima Seiki Mfg. Ltd. Strickverfahren und stricksystem für ein elastisches garn
GB0318271D0 (en) * 2003-08-05 2003-09-10 Univ Manchester Improved knitting machines and methods of knitting
JP4015984B2 (ja) * 2003-10-17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装置
JP4366288B2 (ja) * 2004-10-19 2009-11-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と編機での糸加工方法、並びに編機での糸加工制御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JP4336303B2 (ja) 2004-12-16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給糸装置
CN100427661C (zh) * 2006-09-22 2008-10-22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送纱器
JP4943803B2 (ja) * 2006-10-12 2012-05-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での張力設定方法および編機
EP2336411B1 (en) * 2008-08-22 2015-03-25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Flat knitting machine
WO2010143499A1 (ja) * 2009-06-09 2010-1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
CN102482814B (zh) * 2009-06-09 2014-03-05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织机用的给纱装置和给纱方法
JP6108882B2 (ja) 2013-03-05 2017-04-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と横編機での編成方法
CN103741358B (zh) * 2013-12-24 2016-01-27 青岛金智高新技术有限公司 横机的张力调节装置
JP6109105B2 (ja) * 2014-03-18 2017-04-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
CN104164743B (zh) * 2014-06-23 2016-08-31 泉州精准机械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送纱器及其纱线检测控制系统
CN106350930B (zh) * 2016-11-30 2018-02-02 广西大学 一种针织机恒张力输纱装置
JP6498232B2 (ja) 2017-05-08 2019-04-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弾性糸の糸送り装置
US11828009B2 (en) * 2018-05-16 2023-11-28 Fabdesigns, Inc. System and method of unspooling a material into a textile machine
KR102115261B1 (ko) * 2019-07-24 2020-05-26 우정후 편직물 제조를 위한 원사 급사 방법 및 장치
CN111350022A (zh) * 2020-03-12 2020-06-30 浙江恒强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横机恒张力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017B1 (ko) * 1986-08-16 1990-07-16 메밍거-아이 알 오 게엠바하 방직기용 실 공급장치
KR19990064040A (ko) * 1995-10-06 1999-07-26 디터브라운 방사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416A (en) * 1973-07-23 1975-01-07 Eugene F White Knitting machine yarn feeding apparatus
JPS52121557A (en) 1976-04-01 1977-10-13 Toyo Boseki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itch length
JPS62162054A (ja) 1986-01-13 1987-07-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メリヤス編成時における編糸のテンシヨン調整方法
DE3617991A1 (de) * 1986-05-28 1987-12-03 Stoll & Co H Fadenspannungs-reguliereinrichtung fuer strickmaschinen
DE3734433A1 (de) * 1987-10-12 1989-04-20 Sucker & Franz Mueller Gmbh Verfahren zum steuern der wickelspannung einer fadenschar beim bilden eines wickels
JPH01250439A (ja) * 1988-03-29 1989-10-05 Nissan Motor Co Ltd 織機の巻き取り送り出し方法
DE4032402A1 (de) * 1990-10-12 1992-04-16 Menninger Iro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fadensteuerung bei maschenbildenden textilmaschinen
JPH0577165A (ja) 1991-09-20 1993-03-30 Sony Corp 微粉体噴射装置
JPH0577165U (ja) 1992-03-26 1993-10-19 株式会社八光電装 線材の繰り出し装置
DE59302791D1 (de) * 1992-03-30 1996-07-11 Meteo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pannungsregulierung eines fadenförmigen Gutes, vorzugsweise eines Wickeldrahtes für elektrische Spulen
DE4235082C2 (de) * 1992-10-17 1994-07-14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Fadenzufuhr bei einer Kettenwirkmaschine
JP3603031B2 (ja) 2001-01-31 2004-12-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給糸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017B1 (ko) * 1986-08-16 1990-07-16 메밍거-아이 알 오 게엠바하 방직기용 실 공급장치
KR19990064040A (ko) * 1995-10-06 1999-07-26 디터브라운 방사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740A (ko) * 2018-05-11 2019-11-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기의 장력측정장치 및 그 장력측정방법
KR102190613B1 (ko) 2018-05-11 2020-1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기의 장력측정장치 및 그 장력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05A (ko) 2005-03-10
EP1548163A1 (en) 2005-06-29
AU2003248087A1 (en) 2004-02-09
US20060090520A1 (en) 2006-05-04
EP1548163A4 (en) 2010-04-07
WO2004009894A1 (ja) 2004-01-29
US7055349B2 (en) 2006-06-06
JP4016030B2 (ja) 2007-12-05
EP1548163B1 (en) 2012-12-05
CN1671902A (zh) 2005-09-21
CN100390343C (zh) 2008-05-28
JPWO2004009894A1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809B1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0791822B1 (ko) 급사장치
EP1837427B1 (en)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JP2009173445A5 (ko)
US4821199A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the mesh structure of knitted articles
EP2336411B1 (en) Flat knitting machine
CN108866785B (zh) 横机中的弹性纱的送纱装置
US80904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fabric using elastic yarns
JPH04257352A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において繊維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441868B1 (en) Yarn feeding device and yarn feeding method for knitting machine
CN110468493B (zh) 织机的张力测定装置及其张力测定方法
JPH06272141A (ja) 編み地制御装置
JP2000303329A (ja) 横編み機の編み地長さ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42052A (ja) 度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