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169B1 -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 Google Patents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169B1
KR101954169B1 KR1020170078997A KR20170078997A KR101954169B1 KR 101954169 B1 KR101954169 B1 KR 101954169B1 KR 1020170078997 A KR1020170078997 A KR 1020170078997A KR 20170078997 A KR20170078997 A KR 20170078997A KR 101954169 B1 KR101954169 B1 KR 10195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tter
coupling
engaging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01A (ko
Inventor
김계태
김나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김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태 filed Critical 김계태
Priority to KR102017007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1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06Composite supporting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세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년 12월 13일)의 '조립식 세터'에 개시되어 있는 결합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면서 결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사 결합방식의 완전고정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방식에 의해 일정한 유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조립식 세터가 로딩되면서 상기 저면의 미세한 기울기에 따라 조립식 세터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는 것에 대해 유동적으로 반응하여 원활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PREFABRICATED SETTER HAVING INSERT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세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년 12월 13일)의 '조립식 세터'에 개시되어 있는 결합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면서 결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사 결합방식의 완전고정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방식에 의해 일정한 유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조립식 세터가 로딩되면서 상기 저면의 미세한 기울기에 따라 조립식 세터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는 것에 대해 유동적으로 반응하여 원활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터는 기물이 적재되는 내열성 세라믹 소재의 지지체로서, 고온의 로(furnace, kiln)에서 열성변형과 기물에 대한 지지력 및 기물과의 화학적 반응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세터와 관련하여 종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4631호 '세라믹 제조용 세터 및 세터 제조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종래의 세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연결되며 성형체가 놓여지는 복수개의 수평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평결합홈에 수평바가 끼워져 조립체를 형성하는 구조를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열처리시 유기물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사용공간의 최소화는 물론, 많은 양의 성형체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흡수층으로 작용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성형체의 연속적인 소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세터의 결합방식은 마찰력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억지끼움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내지는 열적 유동이 발생되면 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세터를 이루는 지지체와 수평바는 기물(성형체)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세라믹 소재이므로 탄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은 충격 내지는 유동이 발생하여 마찰이 발생하거나, 그 마찰이 지속될 경우에는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세터의 파손 요인으로는, 로내에서의 열에 의한 기류현상과 고온에서 세터의 연화에 따른 유동화가 있으며, 이러한 기류현상 또는 세터의 유동화는 결합부위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세터는 억지끼움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며, 파손의 직접적 요인과 더불어 파편에 의해 주변 세터의 파손은 물론, 소성 대상 기물 자체가 훼손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특허에서 세터 중 상부 영역에서의 지지체가 파손되면 하부의 지지체에 안착된 소성 대상 기물에 이러한 지지체 파편의 일부 또는 전량이 떨어져 상기 기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소성 대상 기물 중상부 기물이 하부 기물에 떨어져 기물의 파손이 우려될 수 있다.
한편, 속성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은 롤러로 이루어져 세터가 롤러의 회전을 따라서 로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세터의 바닥면 전면이 롤러와 접하며, 이 때 세터의 바닥면이 편평면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세터 로딩시 세터의 유동이 심해지고, 따라서 세터에 올려진 소성 대상 기물에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프레임 간의 결합 영역에서 결합체간 일정 수준의 간격을 부여하여, 프레임의 고온 유동시 결합 영역에서의 프레임 고온 팽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세터 자체의 변형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소성 대상 기물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세터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2016년 12월 13일에 특허출원(10-2015-0078688; '조립식 세터')하여 특허결정을 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출원된 '조립식 세터'에 대한 기술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할 경우 좀더 유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그 기능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24631(등록일자 2012.02.2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12.13)
본 발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년 12월 13일)의 '조립식 세터'에 개시되어 있는 결합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면서 결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사 결합방식의 완전고정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방식에 의해 일정한 유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조립식 세터가 로딩되면서 상기 저면의 미세한 기울기에 따라 조립식 세터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는 것에 대해 유동적으로 반응하여 원활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연속 배열된 세로 프레임;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에 비하여 굵기가 가늘거나 동일하며,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고, 기물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프레임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의 양측면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바디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관형 회전축과,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 형상의 성형체로서 상기 관형 회전축과 일체를 이루어 해머(hammer) 형상을 이루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결합돌기가 내입되는 방향으로 내측 하면에 높이차에 의한 다단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길이가 긴 면이 횡방향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결합공에 내입 후, 내입된 상태에서 가로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가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세로 프레임과 결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세터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년 12월 13일)에 개시되어 있는 나사 결합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그리고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소성 대상 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둘째,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결합이 완전 고정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방식에 의해 일정한 유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조립식 세터가 로딩되면서 상기 저면의 미세하게 편향된 기울기에 따라 조립식 세터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는 것에 대해 보정이 가능하여 원활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간편한 끼움 결합방식에 의하더라도 구조적 안정성 및 형태유지 기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넷째,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너트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비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다섯째, 세터의 고온 유동시 결합 영역에서의 프레임 고온 팽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세터 자체의 변형도 줄일 수 있어 소성 대상 기물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수 있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의 측면도로서, 조립식 세터의 내측방향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의 측면도로서, 조립식 세터의 외측방향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A-A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 프레임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 프레임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 프레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 프레임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의 프레임바디의 여러 형상을 나타낸 도면((a)원형 (b)사각 (c)육각 (d)팔각)
도 14는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의 결합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세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 형상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상·하가 뒤바뀐 형상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1)는 양단에 각각 결합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0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홈(102)이 연속 배열된 세로 프레임(10);
상기 결합공(101)을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10)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10)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20); 및
상기 가로 프레임(20)에 비하여 굵기가 가늘거나 동일하며, 상기 결합홈(102)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20) 사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고, 기물(100)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프레임(20)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 프레임(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바디(201)와,
상기 프레임바디(201)의 양측면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바디(20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관형 회전축(202)과,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 형상의 성형체로서 상기 관형 회전축(202)과 일체를 이루어 해머(hammer) 형상을 이루는 결합돌기(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01)은 상기 결합돌기(203)가 내입되는 방향으로 내측 하면에 높이차에 의한 다단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03)는 길이가 긴 면이 횡방향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결합공(101)에 내입 후, 내입된 상태에서 가로 프레임(20)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203)를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세로 프레임(10)과 결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년 12월 13일)의 '조립식 세터'는 본 발명과 동일 발명자(김계태)에 의해 개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구성 중 상기 공개특허와 도면 부호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2662(공개일자 2016년 12월 13일)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세터'의 기술 구성 중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가로 프레임을 내입 후,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너트를 채워 고정하는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세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20)은 세로 프레임(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01)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20)의 양단을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결합공(101)에 내입시킴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가로 프레임(20)과 세로 프레임(1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로 프레임(20)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바디(201)와,
상기 프레임바디(201)의 양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바디(20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관형 회전축(202)과,
상기 관형 회전축(202)의 양단에, 단면의 형상이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을 이루며, 상기 관형 회전축(202)과 일체로 고정 형성되어 해머(hammer) 형상을 이루는 결합돌기(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는 상기 가로 프레임(20)의 정면도와 도 10의 측면도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관형 회전축(202)의 직경과 결합돌기(203)의 두께가 동일하고, 상기 결합돌기(203)의 가로 폭과 상기 프레임바디(201)의 직경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203)는 결합공(101)을 통해 원활한 끼움 결합을 이루면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며,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조립식 세터가 로딩되면서 상기 저면의 미세한 기울기에 따라 조립식 세터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는 것에 대해 유동적으로 반응하여 원활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101)과 결합돌기(203) 사이에는 유격을 형성하되, 0.1mm 이하의 유격을 형성한다.
상기 세로 프레임(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측면은 가로 프레임(20)과 결합을 이루는 제1측면과 그 반대의 제2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에 각각 결합공(101)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 프레임(20)과 끼움 결합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01) 사이에는 다수의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 프레임(20)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30)이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01)을 제1측면, 즉 조립식 세터의 내측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보인 것으로서, 모서리가 라운드진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6은 상기 결합공(101)을 제2측면, 즉 조립식 세터의 외측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타원 형상 내부에 모서리가 라운드진 'T'자 형상이 내입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이유는 상기 'T'자 형상을 이루는 공간과 타원 형상 내부를 이루는 공간 사이에 높이 차에 의한 다단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01)은 가로 프레임(20)의 결합돌기(203)가 내입되는 방향으로 제1단(101a)이 형성되는 제1중공부(101a')와,
제2단(101b)이 형성되는 제2중공부(10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단(101a)은 상기 제2단(101b) 보다 높게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고,
종단면 형상이 모서리가 라운드진 'T'자 형상을 갖는 제1중공부(101a')와 종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제2중공부(101b')가 연결되어,
상기 가로 프레임(20)의 결합돌기(203)를 제1중공부(101a')로 관통하여 내입 후, 상기 제2중공부(101b')에서 45~100°이내에서 가로 프레임(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203)가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단차를 이루는 제1단(101a)에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01)의 제1중공부(101a')와 제2중공부(101b')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폭은, 가로 프레임(20)의 관형 회전축(202)과 결합돌기(203)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제1중공부(101a')의 폭은 상기 관형 회전축(202)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중공부(101b')의 폭은 상기 결합돌기(20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관형 회전축(202)은 상기 제1중공부(101a')의 제1단(101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결합돌기(203)는 상기 제2중공부(101b') 내에서 안착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 프레임(2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 프레임(20)과 주요 기술 구성이 동일하기는 하나, 제1실시예의 가로 프레임(20)과의 차이점은 관형 회전축(202)이 결합돌기(203)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한쪽 방향으로 편향된 지점에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관형 회전축(202)이 결합돌기(203)의 편향된 위치에 고정결합을 이루고 있다는 내용 이외에는 동일 구성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10)의 프레임바디(201)의 여러 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의 (a)는 원형이고, (b)는 사각, (c)는 육각, (d)는 팔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3은 세로 프레임(10)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한 프레임바디(201)의 여러 형상 중 일부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제시된 형상 외에도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세터를 구성하는 세로 프레임(10)과 가로 프레임(20)의 결합과정을 제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여 결합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의 (a)는 가로 프레임(2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203)를 세로 프레임(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01)에 내입하기 위해 접근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의 (b)~(d)는 가로 프레임(2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203)를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01)을 결합돌기(203)에 내입시킨 후, 아래 방향으로 가로 프레임(20)을 내려 가로 프레임(20)을 결합돌기(203)에 안착시킨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4의 (c)는 상기 가로 프레임(20)을 회전시켜 결합돌기(203)가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가로 프레임(20)의 양단이 결합돌기(203)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세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101') 형상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상·하가 뒤바뀐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합공(101')의 형상은 상·하의 위치변경만 있을 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결합공(101')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로 프레임(20)과 체결된다. 따라서 구체적인 결합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는 가로 프레임의 양단을 너트를 이용하여 세로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방식에 비해 간단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나사산의 형성과 너트가 불필요하여 단가절감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너트에 의한 완전 고정방식에 비해 일정 범위 내에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결합부위가 유동적이어서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의 회전에 따라 조립식 세터가 로딩되면서 상기 저면의 미세하게 편향된 기울기에 따라 조립식 세터의 진행 방향이 틀어지는 것에 대해 보정이 가능하여 원활한 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0: 세로 프레임 20: 가로 프레임
30: 보조 프레임 100: 기물
101, 101': 결합공 102: 결합홈
201: 프레임바디 202: 관형 회전축
203: 결합돌기 101: 결합공

Claims (7)

  1. 양단에 각각 결합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0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홈(102)이 연속 배열된 세로 프레임(10);
    상기 결합공(101)을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10)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10)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20); 및
    상기 가로 프레임(20)에 비하여 굵기가 가늘거나 동일하며, 상기 결합홈(102)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20) 사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고, 기물(100)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프레임(20)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바디(201)와,
    상기 프레임바디(201)의 양측면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바디(201)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관형 회전축(202)과,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사각형 형상의 성형체로서 상기 관형 회전축(202)과 일체를 이루어 해머(hammer) 형상을 이루는 결합돌기(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01)은 상기 결합돌기(203)가 내입되는 방향으로 내측 하면에 높이차에 의한 다단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03)는 길이가 긴 면이 횡방향에 놓이도록 하여 상기 결합공(101)에 내입 후, 내입된 상태에서 가로 프레임(20)을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203)를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세로 프레임(10)과 결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01)은 가로 프레임(20)의 결합돌기(203)가 내입되는 방향으로 제1단(101a)이 형성되는 제1중공부(101a')와,
    제2단(101b)이 형성되는 제2중공부(10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단(101a)은 상기 제2단(101b) 보다 높게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고,
    종단면 형상이 모서리가 라운드진 'T'자 형상을 갖는 제1중공부(101a')와 종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제2중공부(101b')가 연결되어,
    상기 가로 프레임(20)의 결합돌기(203)를 제1중공부(101a')로 관통하여 내입 후, 상기 제2중공부(101b')에서 45~100°이내에서 가로 프레임(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203)가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단차를 이루는 제1단(101a)에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78997A 2017-06-22 2017-06-22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KR10195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97A KR101954169B1 (ko) 2017-06-22 2017-06-22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97A KR101954169B1 (ko) 2017-06-22 2017-06-22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01A KR20190000101A (ko) 2019-01-02
KR101954169B1 true KR101954169B1 (ko) 2019-03-05

Family

ID=6502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997A KR101954169B1 (ko) 2017-06-22 2017-06-22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371B1 (ko) 2019-01-02 2023-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907Y2 (ja) * 1991-11-29 1997-07-30 株式会社テック 軸受装置
JPH09178350A (ja) * 1995-12-27 1997-07-11 Murata Mfg Co Ltd 連続熱処理炉用セラミックチェーン
JPH11236919A (ja) * 1998-02-24 1999-08-31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処理装置用ローラの軸受構造
KR101124631B1 (ko) 2010-10-19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세라믹 제조용 세터 및 세터 제조방법
KR101753683B1 (ko) 2015-06-03 2017-07-04 김계태 조립식 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01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169B1 (ko)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US20070028817A1 (en) Self-aligning fire brick assembly
US6644966B1 (en) Carriage for supporting objects to be heated by kiln
CA2899548C (en) An assembly of refractory bricks
JP5729267B2 (ja) 室炉式コークス炉の炉締め構造
TWI695146B (zh) 具有組合的陶瓷塊的爐
RU2001105540A (ru) Направляющий рельс с выемками зацепления и расцеп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ем движ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с наклонными роликами
JP5679511B2 (ja) 加熱炉
KR101753683B1 (ko) 조립식 세터
RU2009145111A (ru) Кольцевая печь, включающая ямки для обжига с большим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аспектным отношением и способ обжига в ней углеродосодержащих изделий
CN106989594B (zh) 扣接式隧道窑窑体
JP2002359061A (ja) 電気ヒーター
US6705243B2 (en) Supporting-arch constr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upporting arch
JP4770184B2 (ja) コークス炉およびコークス炉の補強方法
JP4869048B2 (ja) 平板瓦焼成用窯道具
CN103842757B (zh) 由耐火陶瓷砖制成的桥式承载结构
KR20170107564A (ko) 일체형 자체 지지 복합 내화 부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06683395U (zh) 隧道窑拱顶结构
EP1783233B1 (en) Refractory burner brick
US20040185408A1 (en) Cooling grid for a bulk material cooling device
CN103808147A (zh) 一种圆筒形回转热设备窑衬的锚固方法
RU2027860C1 (ru) Гнутый профиль для шахтной крепи
CN205825717U (zh) 拱脚砖
CN218879706U (zh) 一种防止盖板玻璃熔窑熔化部胸墙内倾结构
CN107560424B (zh) 一种石灰竖窑耐火内衬组合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