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683B1 - 조립식 세터 - Google Patents

조립식 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683B1
KR101753683B1 KR1020150078688A KR20150078688A KR101753683B1 KR 101753683 B1 KR101753683 B1 KR 101753683B1 KR 1020150078688 A KR1020150078688 A KR 1020150078688A KR 20150078688 A KR20150078688 A KR 20150078688A KR 101753683 B1 KR101753683 B1 KR 10175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tter
horizontal
coupl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662A (ko
Inventor
김계태
Original Assignee
김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태 filed Critical 김계태
Priority to KR102015007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06Composite supporting structures
    • F27D5/0012Modules of the sagger or setter type; Supports built up from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터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양단 사이에 결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며, 양단에 너트가 채워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를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어 나란한 상기 세로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기물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프레임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너트를 통해 견고히 결합되므로, 조립식 세터의 구조적 안정성 및 형태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세터{Prefabricated setter}
본 발명은 세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립의 형태로 이루어져 소성 대상 기물에 따라 면적의 축소 및 확장이 용이하고, 나사를 통해 조립 고정되므로 조립이 견고함은 물론 세터 구성 프레임간 이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재가 더 마련되어 세터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터 구성의 부분적 파손에 의한 파편이 하부에서 소성하는 소성 대상 기물에 떨어져 오염이 되는 등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세터의 제조를 위해 가동되는 소성로의 단위 면적당 보다 많은 양의 세터를 열처리할 수 있어 제조상의 공정경제성을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터는 기물이 적재되는 내열성 세라믹 소재의 지지체로서, 고온의 로(furnace, kiln)에서 열성변형과 기물에 대한 지지력 및 기물과의 화학적 반응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세터와 관련하여 종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4631호 '세라믹 제조용 세터 및 세터 제조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종래의 세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연결되며 성형체가 놓여지는 복수개의 수평바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평결합홈에 수평바가 끼워져 조립체를 형성하는 구조를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열처리시 유기물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사용공간의 최소화는 물론, 많은 양의 성형체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흡수층으로 작용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성형체의 연속적인 소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세터의 결합방식은 마찰력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억지끼움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내지는 열적 유동이 발생되면 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세터를 이루는 지지체와 수평바는 기물(성형체)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세라믹 소재이므로 탄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은 충격 내지는 유동이 발생하여 마찰이 발생하거나, 그 마찰이 지속될 경우에는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세터의 파손 요인으로는, 로내에서의 열에 의한 기류현상과 고온에서 세터의 연화에 따른 유동화가 있으며, 이러한 기류현상 또는 세터의 유동화는 결합부위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세터는 억지끼움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며, 파손의 직접적 요인과 더불어 파편에 의해 주변 세터의 파손은 물론, 소성 대상 기물 자체가 훼손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특허에서 세터 중 상부 영역에서의 지지체가 파손되면 하부의 지지체에 안착된 소성 대상 기물에 이러한 지지체 파편의 일부 또는 전량이 떨어져 상기 기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소성 대상 기물 중 상부 기물이 하부 기물에 떨어져 기물의 파손이 우려될 수 있다.
한편, 속성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은 롤러로 이루어져 세터가 롤러의 회전을 따라서 로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세터의 바닥면 전면이 롤러와 접하며, 이 때 세터의 바닥면이 편평면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세터 로딩시 세터의 유동이 심해지고, 따라서 세터에 올려진 소성 대상 기물에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46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간의 결합 영역에서 결합체간 일정 수준의 간격을 부여하여, 프레임의 고온 유동시 결합 영역에서의 프레임 고온 팽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세터 자체의 변형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소성 대상 기물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너트를 통해 견고히 결합되므로, 조립식 세터의 구조적 안정성 및 형태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 프레임 사이에 다수의 보조 프레임은 규모를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세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파손시 간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 세로 및 보조 프레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영역에 보강재가 더 마련되어, 프레임의 파손시에도 세터의 형태 유지는 물론 소성 대상 기물의 지지상태 유지가 가능하며, 파손된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보강재에 걸친 형태로 지지되므로 하부 소성 기물의 오염도나 파손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벌크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세터의 전체적인 변형과 이러한 변형에 기인한 소성 기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세터 면적이 동일한 경우 이에 소요되는 재료의 소요량이 벌크 형태의 세터에 비하여 작아 세터의 단위 당 제작단가를 낮춤은 물론, 세터의 제작에 필요한 구성품의 1회 소성시 소성 수량이 벌크 형태의 세터의 소성 수량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 하나의 소성로에서 보다 많은 수량의 세터 제작이 가능하므로 소성로 운용 및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속도를 제고할 수 있는 조립식 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터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연속 배열된 세로 프레임;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며, 양단에 너트가 채워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를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에 비하여 굵기가 가늘거나 동일하며,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고, 기물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프레임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공은, 내곽이 상기 가로 프레임 외곽에 대응하는 원, 사각, 다각 및 폐곡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홀인 것이며, 그 단면적이 상기 가로 프레임의 외곽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세로 프레임을 관통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깊이를 가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이 나란하게 마주하는 일면에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은, 그 내곽의 단면적이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곽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은, 상기 기물과 맞닿는 일면이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프레임은, 윗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하면에 음각의 형태로 마련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적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수단을 통해 상기 세터가 상/하 연속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은, 벌크(bulk) 또는 중공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그 중심 영역에, 프레임의 파손시 기물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프레임은 상기 양단에 마련된 너트 각각에 대해서 세로 프레임을 중심으로 대향된 위치에 너트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세터의 프레임 간의 결합 영역에서 결합체간 일정 수준의 간격을 부여하여, 프레임의 고온 유동시 결합 영역에서의 프레임 고온 팽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세터 자체의 변형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소성 대상 기물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세터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이 너트를 통해 견고히 결합되므로, 조립식 세터의 구조적 안정성 및 형태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가로 프레임 사이에 다수의 보조 프레임은 규모를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세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파손시 간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세터의 가로, 세로 및 보조 프레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영역에 보강재가 더 마련되어, 프레임의 파손시에도 세터의 형태 유지는 물론 소성 대상 기물의 지지상태 유지가 가능하며, 파손된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보강재에 걸친 형태로 지지되므로 하부 소성 기물의 오염도나 파손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벌크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세터의 전체적인 변형과 이러한 변형에 기인한 소성 기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세터 면적이 동일한 경우 이에 소요되는 재료의 소요량이 벌크 형태의 세터에 비하여 작아 세터의 단위 당 제작단가를 낮춤은 물론, 세터의 제작에 필요한 구성품의 1회 소성시 소성 수량이 벌크 형태의 세터의 소성 수량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 하나의 소성로에서 보다 많은 수량의 세터 제작이 가능하므로 소성로 운용 및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속도를 제고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속성 연속식 가마(Roller Hearth Kiln, RHK)의 저면 롤러에 본 발명의 세터를 올려놓는 경우라도 종래의 세터처럼 전면이 롤러와 접하는 것이 아닌 프레임의 롤러와의 접면만 접촉되고 있으므로 세터의 로딩시 흔들림의 발생을 크게 완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터상에 안착된 피소성대상 기물의 기계적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세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터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A-A 선을 기준한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B-B 선을 기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세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세터의 분리도이며, 도 3은 세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터(100)는 내열성 세라믹 소재로서, 가열로 내에서 기물(200)이 적재되는 지지체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0), 세로 프레임(110)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20) 및 가로 프레임 사이(120)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세터(100)의 소재로는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규소(Si3N4) 및 산화지르코늄(ZrO2), 이트리아(Y2O3), 질화알루미늄(AlN) 등 고온 내열 소재가 있으며, 이는 통상의 소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밖에도 다양한 내열 소재를 적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기물(200)은 각종 성형체가 될 수 있고, MLCC 소성용 메쉬형 세터 등 다른 종류의 세터일 수도 있으며, 그 밖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는 모든 피 소성체를 포함한다.
세로 프레임(110)은 양단에 각각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양단 사이에 결합홈(113)이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결합홈(113)은 결합공(111)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세로 프레임(110)은 벌크(bulk) 또는 중공의 형태를 이루며, 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바 형태이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통형 등 다양한 도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형강(예를 들어, H, L 및 C 형강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결합공(111)은 가로 프레임(120)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은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각형 및 곡면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공(111)은 내곽이 가로 프레임(120)의 외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가로 프레임(120)의 고온 팽창에 따라서 결합공(111)과 가로 프레임(120)간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내곽이 큰 경우 프레임이 열적 유동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변형이나 파손의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이는 보조프레임(130)과 결합홈(113)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결합홈(113)은 결합공(11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된 음각의 홈인 것이며, 세로 프레임을 관통하지 아니한 깊이(D)로서, 프레임의 폭(W1)보다 작고, 대략 폭(D) 대비 깊이(W1)가 10 : 1 내지는 10 : 9의 비율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결합홈(113)은 결합공(111)의 형태일 수도 있다.
가로 프레임(120)은 결합공(111)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로 프레임(120)은 세로 프레임(110)과 함께 세터(100)의 골격이면서, 보조 프레임(130)과 함께 기물(200)의 하중을 함께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가로 프레임(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너트(123)가 채워지도록 나사산(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산(121)이 형성된 단부가 결합공(111)을 관통하면, 너트(123)가 나사산(121)을 통해 가로 프레임(120) 단부에 채워져 세로 프레임(11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너트(123)는 세로 프레임(110)과 가로 프레임(120)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상태의 유지를 통해 세로 프레임(110)의 이격거리(W2)의 확장 즉, 가로 프레임(12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요소로 존재한다.
상기 가로 프레임(120)에서 상기 너트(123)에 대하여 세로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대향된 위치에 나사산(121')이 더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121') 상에 너트(123')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도 3 (b)). 이 경우, 상기 너트(123)와 너트(123')에 의하여 세로 프레임(11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즉, 세로 프레임(110)을 사이에 두고, 너트(123')가 채워져, 이격거리에 대한 확장과 축소가 제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너트(123, 123')는 하나 이상 채워지는 더블너트(double nut)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로 프레임(120)은 도 4와 같이 세로 프레임(110)과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결합공(111)과 가로 프레임(120)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가로 프레임(120) 외곽보다 결합공(111)의 내곽이 소정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면의 최소화 및 유동성이 확보되어, 소성로(furnace, kiln)에서 발생하는 기류현상, 세터의 연화현상, 프레임의 고온 팽창현상 등에 의하더라도 프레임간 마찰의 여지를 줄여 마찰에 의한 프레임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가로 프레임(120)은 벌크(bulk) 또는 중공의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존재하며, 중심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40)가 더 존재할 수 있다.
보강재(140)는 가로 프레임(120)의 강도 보강은 물론, 가로 프레임(120)이 파손될 경우, 프레임으로서의 형태유지와 기물(200)에 대한 훼손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파손율을 낮추고, 파손되더라도, 기물(200)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기물(200)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재(140)는 니켈, 크롬 및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내열성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금속은 세라믹스에 비하여 연성과 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보조 프레임(130)은 결합홈(113)을 통해 가로 프레임(120) 양단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기물(200)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가로 프레임(120)과 함께 기물(200)을 지지하면서, 이격거리(W2)의 축소를 제한하기 위한 요소로 존재한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보조 프레임(130)은 도 4와 같이 결합홈(113)과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가로 프레임(120)의 설치 목적과 동일한 이유로서, 결합홈(113)과 보조 프레임(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보조 프레임(130)의 외곽보다 결합홈(113)의 내곽이 소정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면의 최소화 및 유동성이 확보되어, 소성로에서 발생하는 기류현상, 보조 프레임(130)의 연화현상 등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130)은 가로 프레임(120)과 동일한 형태 즉, 벌크 또는 중공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중심영역에는 보강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가로 프레임을 통해 설명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가로 프레임(120)과 보조 프레임(130)은 기물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도 4와 같이 기물과 맞닿는 일면이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터(100)는 상/하 연속된 적층이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수단(150)이 더 포함된다.
적층수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110)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 프레임(120)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층수단(150)은 세로 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151)와 돌기(151)의 안정된 지지를 위한 안착홈(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기(151)는 이격 공간에 대응하는 길이로 존재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기물(200)이 플랫(flat)할 경우, 비교적 짧게 형성되고, 기물(200)이 높을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안착홈(153)은 음각의 홈으로, 돌기 단부가 일부 수용되도록 하여 세터(100)의 상/하 적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세터 110 : 세로 프레임
111 : 결합공 113 : 결합홈
120 : 가로 프레임 121 : 나사산
123 : 너트 130 : 보조 프레임
140 : 보강재 150 : 적층수단
151 : 돌기 153 : 안착홈
200 : 기물

Claims (9)

  1. 세터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홈이 연속 배열된 세로 프레임;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 정(井)의 형태로 결합되며, 양단에 너트가 채워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를 통해 상기 세로 프레임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에 비하여 굵기가 가늘거나 동일하며,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고, 기물을 독립적으로 지지하거나, 상기 가로 프레임과 함께 기물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곽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외곽보다 크게 형성하며,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간 마찰의 여지를 줄이고,
    상기 가로 프레임은, 상기 양단에 마련된 너트 각각에 대해서 세로 프레임을 중심으로 대향된 위치에 너트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내곽이 상기 가로 프레임 외곽에 대응하는 원, 사각, 다각 및 폐곡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홀인 것이며, 그 단면적이 상기 가로 프레임의 외곽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세로 프레임을 관통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깊이를 가지며, 상기 세로 프레임이 나란하게 마주하는 일면에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그 내곽의 단면적이 상기 보조 프레임의 외곽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은,
    상기 기물과 맞닿는 일면이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은,
    상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하면에 음각의 형태로 마련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적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수단을 통해 상기 세터가 상/하 연속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은,
    벌크(bulk) 또는 중공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그 중심 영역에, 프레임의 파손시 기물에 대한 지지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세터.
  9. 삭제
KR1020150078688A 2015-06-03 2015-06-03 조립식 세터 KR10175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88A KR101753683B1 (ko) 2015-06-03 2015-06-03 조립식 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88A KR101753683B1 (ko) 2015-06-03 2015-06-03 조립식 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62A KR20160142662A (ko) 2016-12-13
KR101753683B1 true KR101753683B1 (ko) 2017-07-04

Family

ID=5757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88A KR101753683B1 (ko) 2015-06-03 2015-06-03 조립식 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169B1 (ko) 2017-06-22 2019-03-05 김계태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168A (ja) * 2002-09-20 2004-04-08 Maruju:Kk 焼成用治具および焼成方法
KR101124631B1 (ko) * 2010-10-19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세라믹 제조용 세터 및 세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168A (ja) * 2002-09-20 2004-04-08 Maruju:Kk 焼成用治具および焼成方法
KR101124631B1 (ko) * 2010-10-19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세라믹 제조용 세터 및 세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62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618B2 (en) Kiln tool plate for firing ceramic material
KR101726912B1 (ko) 소성용 랙
KR101753683B1 (ko) 조립식 세터
JP6377134B2 (ja) 煉瓦連結システム
EP3557172A1 (de) Dentalofen
DE202009015250U1 (de) Kassette für Brennöfen
EP2851639B1 (en) Setter for roller hearth kiln
US8087931B2 (en) Device for supporting articles to be fired that has a defined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s
EP2852802B1 (de) Regalsystem mit keramischen platten
EP0339705B1 (en) Flat separation floor between two superposed chambers in kilns, in particular roller-hearth kilns for ceramic tiles
KR101954169B1 (ko) 끼움 결합방식의 조립식 세터
JP2007247929A (ja) 焼成用治具および焼成用治具を用いた酸化雰囲気電気炉
CN212006765U (zh) 一种高温承烧架
EP2631583A1 (en) Kiln furniture cassettes and assembly
ITMI20130308U1 (it) Assemblaggio di attrezzatura per un forno
EP2138791A1 (en) Lining element for an industrial furnace
JP6792588B2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搬送装置及び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搬送装置の補修工事方法
KR101429641B1 (ko) 가열로의 스키드레일
JP4870709B2 (ja) 熱処理装置
KR101694378B1 (ko) 캔틸레버 시스템
JP5857358B2 (ja) ラック
JP5902972B2 (ja) 火葬炉用棺支持具
JP5091547B2 (ja) 棚組み構造
CN117043537A (zh) 窑具
EP3117168B1 (en) Ceramic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