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341B1 - 자전거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341B1
KR101951341B1 KR1020180062978A KR20180062978A KR101951341B1 KR 101951341 B1 KR101951341 B1 KR 101951341B1 KR 1020180062978 A KR1020180062978 A KR 1020180062978A KR 20180062978 A KR20180062978 A KR 20180062978A KR 101951341 B1 KR101951341 B1 KR 10195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rake
head
cabl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부
Original Assignee
박정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부 filed Critical 박정부
Priority to KR102018006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341B1/ko
Priority to PCT/KR2018/010047 priority patent/WO20192310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8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braking more than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6Means for locking the actu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주행 중 브레이크 조작 실수로 인한 전복 사고를 방지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 시 브레이크 레버를 가압하면 먼저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전후륜이 순차적으로 제동되게 하는 브레이크 레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는, 자전거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와 회전축 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핀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되는 레버;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끝단에 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가 회전되면 길이 변동을 순차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 핀이 결합되는 회전축 홀과, 내부에 레버와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과,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끼움결합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과,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의 헤드가 각기 결합되는 제1헤드홈과 제2헤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제1헤드홈에 결합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져서 후륜 제동작동이 실행되고, 시간차를 두고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져 전륜 브레이크 제동이 실행되도록 하여,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전후륜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제동장치{Bicycle Break Devic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륜 브레이크와 전륜 브레이크가 순차적으로 제동되게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전륜 브레이크와 후륜 브레이크의 2개의 브레이크와 전륜 브레이크 레버와 후륜 브레이크 레버의 2개의 브레이크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레버는 각각 브레이크케이블로 1:1 연결되고, 자전거 주행 중에 운전자가 핸들을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브레이크 레버를 가압하면 브레이크케이블을 통해 브레이크에 제동 압력이 가해져 자전거가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자전거를 급정거하는 경우에 전륜 브레이크만 작동시키거나 전륜 브레이크와 후륜 브레이크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관성으로 인해 운전자가 앞으로 급격히 쏠렸다가 지면에 추락하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복 사고를 방지하려면 주행 중 급정거 시에 먼저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관성으로 인한 쏠림 현상을 완화시킨 후에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브레이크 사용법에 숙달되지 않는 초보 운전자 및/또는 주행 중 돌발상황 발생으로 인해 당황한 운전자는 전륜 브레이크만 작동시키거나 또는 전·후륜 브레이크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실수를 하기 쉬우며, 그로 인한 전복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자전거 주행 중에 전복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030908호는 전·후륜 순차 제동 브레이크 레버에 관한 것으로, 전·후륜 순차 제동 브레이크 레버를 개시하고 있다. 레버에 제1 헤드홈과 제2 헤드홈 등 2개 이상의 헤드홈을 형성하고, 각 헤드홈에 전륜 브레이크케이블과 후륜 브레이크케이블을 모두 삽입하여 한 개의 레버 조작만으로 전륜 브레이크와 후륜 브레이크가 모두 작동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양손 사용을 위하여 연결 실린더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연결 실린더를 후륜 브레이크케이블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는 등 자전거에 설치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레버를 가압하면 후륜 브레이크를 먼저 작동시킨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전복 사고를 방지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전거의 제동장치는 상기한 기능에 더하여 양손 사용을 위해 추가적인 부속을 이용하지 않고, 기존 브레이크 레버와 본 발명 브레이크 레버를 서로 연결하여 기존 브레이크 레버를 가압하면 발명 브레이크 레버가 당겨지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레버를 가압한 후 손을 떼도 레버가 가압된 상태, 즉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잠금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핸들 또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나의 제동장치에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과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같이 결합되고, 제동장치의 레버를 가압하면 후륜 및 전륜 브레이크 작동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급제동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제동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는 자전거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와 회전축 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핀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되는 레버;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끝단에 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가 회전되면 길이 변동을 순차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 핀이 결합되는 회전축 홀과, 내부에 레버와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과,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끼움결합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과,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의 헤드가 각기 결합되는 제1헤드홈과 제2헤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제1헤드홈에 결합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져서 후륜 제동작동이 실행되고, 시간차를 두고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전륜 제동이 실행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헤드홈은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의 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제2헤드홈은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의 헤드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 핀을 기준으로 제2헤드홈 보다 제1헤드홈이 더 먼 거리에 형성되고, 제1헤드홈의 회전반경이 제2헤드홈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헤드홈에는 조절나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의 헤드와 상기 조절나사는 일정 거리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조절나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헤드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에 장착되며 연결 케이블이 결합된 일반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이 상기 바디와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일반 레버를 가압하면 연결 케이블이 동작되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수단은 바디에 형성된 제1잠금핀 홀; 상기 레버에 형성되는 제2잠금핀 홀; 및 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제1잠금핀 홀과 레버의 제2잠금핀 홀에 결합되는 잠금핀;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핀을 결합시켜 레버가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의 제동장치는 자전거 주행 중 급정거 시 브레이크 조작 실수로 인한 전복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급정거 시 레버를 가압하면 먼저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전복 사고 가능성을 줄이고 전후륜 브레이크를 모두 사용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자전거의 제동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핸들의 반대쪽에 기존 일반 브레이크 레버를 설치하고, 일반 브레이크 레버와 본 발명 브레이크 레버를 서로 연결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일반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도 본 발명 브레이크 레버가 당겨지게 한다.
또한, 레버를 당겨 전후륜 브레이크가 모두 작동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압된 레버를 고정시켜 전후륜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제동장치는 기존 자전거에도 설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제동장치의 작동 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제동장치의 작동 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전거의 제동장치와 일반 레버의 병용 사용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제동장치의 잠금핀 사용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제동장치(R1)는 자전거에 장착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와 회전축 핀(40)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핀(4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되는 레버(20); 상기 바디(10)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끝단이 상기 레버(20)에 연결되어 레버가 회전되면 길이 변동을 순차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이 1개의 레버(20)에 동시에 연결된다.
바디(10)는 핸들(H) 또는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레버(20)를 결합하기 위한 회전축 홀(11)과, 내부에 레버(20)와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이 끼움결합되는 2개의 브레이크 케이블 홀(12-1)(12-2)과, 연결 케이블(70)이 끼움결합되는 1개의 연결 케이블 홀(12-3)이 형성된다.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은 단부에 구형상의 헤드(61)(51)가 각기 형성된다.
각각의 케이블 홀(12-1)(12-2)(12-3)은 케이블이 관통하는 구멍과, 구멍 둘레에 형성되어 튜브가 삽입되는 튜브삽입홈으로 구성된다.
레버(20)는 바디(10)와 힌지 결합되도록 회전축이 결합되는 힌지홀(21)이 형성되고,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의 헤드가 각기 결합되도록 제1헤드 홈(22)과 제2헤드홈(23)이 일측에 형성되고, 연결 케이블(70)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4)가 타측에 형성된다.
제1헤드홈(22)은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의 헤드(51)가 삽입된다.
제2헤드홈(23)은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의 전륜 케이블 헤드(61)가 삽입되고, 상기 전륜 케이블 헤드(6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내측에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홈에는 조절나사가(3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헤드홈(23)의 개구부를 차폐시킨다. 상기 공간부 내에서 전륜 케이블 헤드(61)는 조절나사(30)와 일정 거리(t)를 갖도록 이격된 상태로 느슨하게 위치한다. 즉,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브레이크 레버 방향으로 밀어 전륜 케이블 헤드(61)가 제2헤드홈(23)의 안쪽 벽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조절나사로 제2헤드홈(23)의 공간부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전륜 케이블 헤드(61)와 조절나사(30)가 일정 거리(t)로 이격되므로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느슨한 상태로 전륜 브레이크(미도시)에 연결한다. 따라서 레버(20)를 가압하면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이 팽팽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레버(20)를 가압하는 즉시 후륜 브레이크에 제동력이 전달되어 후륜 브레이크를 제동하고,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후 레버(20)를 더 가압하면 레버(20)가 더 회전하여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이 더 당겨져 일정 거리(t)로 이격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전륜 케이블 헤드(61)가 조절나사(30) 쪽으로 이동하여 조절나사(30)와 접촉한 이후부터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이 팽팽한 상태가 되므로, 헤드가 이동하여 케이블이 팽팽한 상태가 되는데 걸린 시간만큼 지연되어져 전륜 브레이크에 제동력이 전달되어 전륜 브레이크를 제동한다. 따라서 후륜 브레이크가 먼저 제동된 이후 시간차를 두고 전륜 브레이크가 순차적으로 제동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헤드홈(22)은 제2헤드홈(23)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다. 즉 제1헤드홈(22)은 레버(20)의 끝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회전축 핀(40)을 기준으로 제2헤드홈(23) 보다 제1헤드홈(22)이 더 먼 거리에 형성되고, 제1헤드홈(22)의 회전반경이 제2헤드홈(23) 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20)가 회전되면 제1헤드홈(22)에 결합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이 먼저 당겨져서 후륜 제동작동이 먼저 실행되고, 제2헤드홈(23)에 결합된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제2헤드홈(23)의 내부 공간부에 시간차를 두고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이 당겨지면서 전륜 브레이크 제동이 실행된다.
고정부(24)는 연결 케이블(70)이 삽입되는 케이블 홀(25)이 형성되고, 너트(90)가 나사 결합되도록 고정부(24)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나사(30)는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한쪽 끝에는 드라이버 등 공구로 돌릴 수 있도록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고, 중심에는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31)이 형성된다.
한편 레버(20)를 가압한 상태에서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잠금수단은 바디(10)에 형성되며 잠금핀(100)이 삽입되는 제1잠금핀 홀(13)과, 레버(20)에 형성되는 제2잠금핀 홀(26) 및 상기 제1잠금핀 홀(13)과 제2잠금핀 홀(26)에 결합되는 잠금핀(100)으로 구성된다.
잠금핀(100)은 바디(10)의 잠금핀 홀(13)과 레버(20)의 잠금핀 홀(26)이 일치할 때 두 잠금핀 홀(13)(26)에 삽입되는 핀으로, 금속 등 단단한 재질로 제작한다.
너트(90)는 고정부(24)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된다.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과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은 일반적인 자전거 브레이크 케이블과 동일하게 한쪽 끝에 헤드(61)(51)가 형성된 금속 와이어이다.
튜브(80)는 브레이크 케이블을 감싸 보호하면서 레버(20)를 당기고 놓는 조작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60)(50)이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전거의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바디(10)를 자전거 핸들(H)에 고정하고 레버(20)를 바디(10)에 결합한다.
바디(10)의 회전축 홀(11)과 레버(20)의 회전축 홀(21)을 일치시킨 후 회전축 핀(40)을 삽입하여 레버(20)가 바디(10)에 결합되면서 회전축 핀(4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안에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삽입한 회전축 핀(40)은 바디(10)에서 이탈하지 않게 마감 조치한다.
이후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의 헤드(51)를 레버(20)의 제1헤드홈(22)에 삽입하고,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을 바디(10)의 케이블 홀(12-1)을 통과해 바디(10) 밖으로 돌출시킨다.
또한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이 조절나사(30)의 케이블 홀(31)을 관통된 후 조절나사(30)의 끝에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의 헤드(61)가 위치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조절나사(30)를 레버(20)의 제2헤드홈(23)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을 바디(10)의 케이블 홀(12-2)을 통과해 돌출시킨다.
바디(10)를 관통하여 결합된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에 각각 튜브(80)를 씌우고 튜브(80)를 바디(10)의 케이블 홀(12-1)(12-2)의 홈에 삽입한다.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은 각각의 헤드(61)(51)를 각각 레버(20)의 제1헤드홈(22)과 제2헤드홈(23)에 각기 결합된다.
이후 레버(20)를 가압하면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 후륜 브레이크가 시간차를 두고 작동되도록 한다.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은 적당히 가압하여 팽팽한 상태로 후륜 브레이크에 연결하지만,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1)가 조절나사(30)에서 일정 거리(t)로 이격된 상태로 브레이크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을 브레이크 레버 방향으로 밀어 헤드(61)가 제2헤드홈(23)의 안쪽 벽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전륜 브레이크(미도시)에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 레버를 설치한 자전거 핸들(H)의 반대쪽에 일반적인 브레이크 레버를 설치한 후, 일반 레버(R2)에 연결 케이블(70)의 헤드를 삽입하고 나머지 케이블(70)을 일반 레버(R2)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후, 돌출한 연결 케이블(70)에 튜브(80)를 씌우고 연결 케이블(70)의 끝을 바디(10)의 케이블 홀(12-3)을 통과해 안쪽에 삽입한 후 레버(20)의 회전축 홀(21) 주위를 지나 고정부(24)의 케이블 홀(25)에 삽입한다.
상기 고정부(24)에 와셔를 삽입한 후 너트(90)를 고정부(24)에 나사 결합하고 단단히 조여 연결 케이블(70)을 압박해 연결 케이블(70)이 고정부(24)에 고정하면 전·후륜 순차 제동 브레이크 레버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자전거의 제동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20)를 가압하기 전(브레이크 작동 전) 자전거의 제동장치의 상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레버(20)를 가압하기 전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의 헤드(61)는 제2헤드홈(23)의 안쪽 벽에 닿아 조절나사(30)와 일정 거리(t)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브레이크 케이블이 금속 선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레버(20)를 가압하면(브레이크 작동 개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되는데, 레버(20)의 제1헤드홈(22)에 삽입된 헤드(51)가 바로 가압되면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이 1차적으로 당겨지고 후륜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그런데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제2헤드홈(23)에 삽입된 헤드(61)가 조절나사(30)와 일정 거리(t)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20)가 가압되더라도 바로 당겨지지 않고, 레버(20)가 좀 더 가압되어져서 조절나사(30)와 헤드(61)가 접촉한 이후부터 당겨지기 시작한다.
즉, 레버(20)를 가압하면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50)이 1차적으로 당겨지면서 후륜 브레이크도 즉시 작동하지만,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은 조절나사(30)와 헤드(61)가 접촉하기 전까지 당겨지지 않다가 레버(20)가 좀 더 가압되어져 조절나사(30)와 헤드(61)가 접촉한 이후부터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전륜 브레이크가 후륜 브레이크보다 늦게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즉, 자전거 주행 중 급정거 시 운전자가 레버(20)를 가압하면 후륜 브레이크는 즉시 작동하지만 전륜 브레이크는 후륜 브레이크보다 늦게 작동하게 되므로, 안전한 브레이크 사용법이 시행되고 자전거 전복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발명의 구성에서 조절나사(3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조절나사(30)를 제2헤드홈(23)에 깊이 삽입하면, 이격 거리(t)가 짧아지게 되고, 레버(2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의 헤드(61)가 조절나사(30)와 좀 더 일찍 접촉하기 때문에 빨리 당겨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조절나사(30)를 얕게 삽입하여 이격 거리(t)가 길어지게 되면 헤드(61)가 좀 더 늦게 접촉하기 때문에 더 시간차를 두고 제동력이 전달 된다.
즉, 조절나사(30)를 제2헤드홈(23)에 삽입하는 깊이를 조절하면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60)의 헤드(61)와 조절나사(30) 간의 이격 거리(t)가 조절되므로 후륜 브레이크 작동 이후 전륜 브레이크가 작동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레버를 가압하지 않고 자전거의 반대쪽에 설치된 일반 레버(R2)를 가압할 경우, 연결 케이블(70)이 당겨지는데 연결 케이블(70)이 좌측 레버(20a)의 고정부(2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20a) 역시 가압되고(하방으로 회전되는 작동을 의미함), 이로 인해 전술한 작용이 실행되어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60)(50)이 시간차를 두고 당겨지게 된다.
즉, 연결 케이블(70)이 연결된 일반 레버(R2)를 가압하면, 운전자가 레버(20a)를 직접 당기지 않아도 레버(20a)가 가압 되고, 상기한 설명대로 발명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레버의 잠금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레버(20)를 가압한 상태에서 바디(10)의 제1잠금핀 홀(13)과 레버(20)의 제2잠금핀 홀(26)이 일치할 때 제1,2잠금핀 홀(13)(26)에 잠금핀(100)을 삽입하면, 운전자가 레버(20)를 가압한 손을 놓아도 레버(20)는 원상복귀 하지 않고 가압된 상태 그대로 고정된다. 레버(20)가 당겨져 전후륜 브레이크가 모두 작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전거의 전후륜 바퀴가 구르지 않는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잠금핀(100)을 뽑으면 레버(20) 고정이 해제되어 자전거의 잠금상태가 풀리게 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을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이 자명하다.
10 바디 11 회전축 홀
12-1 후륜 케이블 홀 12-2 전륜 케이블 홀
12-3 연결 케이블 홀 13 잠금핀 홀
20 레버 21 회전축 홀
22 제1헤드홈 23 제2헤드홈
24 고정부 25 케이블 홀
26 잠금핀 홀 30 조절나사
31 케이블 홀 40 회전축 핀
50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 51 후륜 케이블 헤드
60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 61 전륜 케이블 헤드
70 연결 케이블 80 튜브
90 너트 100 잠금핀

Claims (6)

  1. 자전거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와 회전축 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핀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되는 레버;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일측 끝단에는 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에 연결되며, 타측은 브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를 회전 조작하면 전·후륜 브레이크에 제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 핀이 결합되는 회전축 홀과, 내부에 레버와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삽입되는 공간과,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끼움결합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과, 상기 전·후륜 케이블 헤드가 각기 결합되는 제1헤드홈과 제2헤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헤드홈은 후륜 케이블 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제2헤드홈은 전륜 케이블 헤드가 결합되며,
    상기 제2헤드홈에는 전륜 케이블 헤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내측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는 조절나사가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공간부 내에서 전륜 케이블 헤드와 조절나사는 일정 거리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상기 제1헤드홈에 결합된 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먼저 당겨져 후륜 브레이크 제동이 실행되고, 이후 상기 전륜 케이블 헤드와 상기 조절나사간 이격 거리에 따른 시간차를 두고 전륜 브레이크 케이블이 당겨져 전륜 브레이크 제동이 실행되도록 하여,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전후륜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핀을 기준으로 제2헤드홈 보다 제1헤드홈이 더 먼 거리에 형성되고, 제1헤드홈의 회전반경이 제2헤드홈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헤드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에 장착되며 연결 케이블이 결합된 일반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이 상기 바디와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일반 레버를 가압하면 연결 케이블이 동작되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바디에 형성된 제1잠금핀 홀; 상기 레버에 형성되는 제2잠금핀 홀; 및 레버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제1잠금핀 홀과 레버의 제2잠금핀 홀에 결합되는 잠금핀;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핀을 결합시켜 레버가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제동장치.
KR1020180062978A 2018-05-31 2018-05-31 자전거의 제동장치 KR10195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78A KR101951341B1 (ko) 2018-05-31 2018-05-31 자전거의 제동장치
PCT/KR2018/010047 WO2019231049A1 (ko) 2018-05-31 2018-08-30 자전거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78A KR101951341B1 (ko) 2018-05-31 2018-05-31 자전거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341B1 true KR101951341B1 (ko) 2019-02-22

Family

ID=6558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978A KR101951341B1 (ko) 2018-05-31 2018-05-31 자전거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1341B1 (ko)
WO (1) WO201923104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3A (ja) * 1991-07-15 1993-01-26 Shimano Inc 自転車用のブレーキ操作装置
JPH068182U (ja) * 1992-07-06 1994-02-01 信義 竹本 ケーブル式ブレーキを持った2輪車
JP2009132343A (ja) * 2007-12-03 2009-06-18 Bridgestone Cycle Co ブレーキレバー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882B1 (ko) * 2013-06-13 2014-01-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방지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륜차
WO2017119328A1 (ja) * 2016-01-06 2017-07-13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3A (ja) * 1991-07-15 1993-01-26 Shimano Inc 自転車用のブレーキ操作装置
JPH068182U (ja) * 1992-07-06 1994-02-01 信義 竹本 ケーブル式ブレーキを持った2輪車
JP2009132343A (ja) * 2007-12-03 2009-06-18 Bridgestone Cycle Co ブレーキレバー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049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4816A (en) Brake actuator
KR101910854B1 (ko) 풀림방지를 위한 트럭용 전자드럼 주차브레이크
US6382048B1 (en) Self-adjustable cable tensioning device for parking brake of motor vehicle
KR101951341B1 (ko) 자전거의 제동장치
EP3296189B1 (en) Bicycle brake assist
US3318422A (en) Tow bar controlled brake actuating device for towed vehicles
KR101996801B1 (ko) 전후륜 순차 제동 브레이크 레버
KR20180111389A (ko) 자전거 전후륜 순차 제동 장치
KR101901108B1 (ko) 잠금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전ㆍ후륜 순차 제동 장치
KR940006873A (ko) 자전거용 브레이크 시스템
KR20180096208A (ko) 자전거 브레이크의 전후륜 순차 제동 장치
US6612406B1 (en) Emergency braking device
KR200158644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력 조절 렌치
KR200150619Y1 (ko) 주차브레이크케이블 조절장치
JPS635317B2 (ko)
JP2005104362A (ja)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US5501298A (en) Brake mechanism
KR200300494Y1 (ko) 차량용 파킹레버의 버튼록킹장치
US5971114A (en) Brake pedal locking apparatus
KR101330934B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용 이퀄라이저
KR100384077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방지장치
KR0149290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9990029723U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의 이퀄라이저구조
KR100215009B1 (ko) 주차브레이크 유격거리 조절용 클램프
KR970000626B1 (ko) 핸드 브레이크 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