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018B1 -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 Google Patents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018B1
KR101950018B1 KR1020180057959A KR20180057959A KR101950018B1 KR 101950018 B1 KR101950018 B1 KR 101950018B1 KR 1020180057959 A KR1020180057959 A KR 1020180057959A KR 20180057959 A KR20180057959 A KR 20180057959A KR 101950018 B1 KR101950018 B1 KR 10195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cutting
thermocompression
cutting blad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평호
Original Assignee
송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평호 filed Critical 송평호
Priority to KR102018005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27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combining cutting and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상의 부직포와 같은 피가공물을 절단하여 일정의 형태를 가지는 절단물로 가공하는 절단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커팅날 내입홈이 상부에 형성된 하부금형의 상부면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부에 커팅날이 구비된 상부금형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절단시키되, 상부금형 하부의 커팅날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부 열압착판이 구비되어 절단물의 테두리 일부분을 열압착할 수 있고, 상기 커팅날과 열압착판의 사이에는 단부 열압착부재의 단부 열압착판이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절단물의 절단부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 가능한 절단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Cutting die possible for cutting area rounding}
본 발명은 평면상의 부직포와 같은 피가공물을 절단하여 일정의 형태를 가지는 절단물로 가공하는 절단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커팅날 내입홈이 상부에 형성된 하부금형의 상부면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부에 커팅날이 구비된 상부금형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절단시키되, 상부금형 하부의 커팅날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부 열압착판이 구비되어 절단물의 테두리 일부분을 열압착할 수 있고, 상기 커팅날과 열압착판의 사이에는 단부 열압착부재의 단부 열압착판이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절단물의 절단부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 가능한 절단용 금형에 관한 분야이다.
통상적으로 평면상의 부직포와 같은 피가공물을 필요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칼 금형’이라고 알려진 절단용 금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절단용 금형은 일반적으로 하부금형 또는 상부금형에 커팅날이 구비되고, 하부금형 또는 상부금형의 승하강 이동에 따른 커팅날의 이동력을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절단 가공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 절단용 금형에 의하여 만들어진 절단물의 단부에는 커팅날의 절단에 의하여 절단부가 형성되는데, 이때, 피가공물이 부직포 또는 섬유사와 같은 재질의 것인 경우에는, 절단부의 섬유사가 쉽게 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절단 가공시에 절단부와 인접된 절단물 테두리 일부분에 열을 가하며 압착하여, 절단물 테두리 일부분과 절단부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열압착 절단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다음은 피가공물을 일정의 형태로 절단하는 금형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870호는 폼 패드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재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폼 패드로 가공하는 장치는 하부체 하부체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상부체, 하부체의 각 모서리부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 상측에서 포스트와 결합되고, 상부체와 실린더를 매개로 결합되어 승강 움직임이 실시됨에 따라 소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금형; 메인프레임 하측에 위치하여 포스트와 결합되고, 하부체와 실린더로 결합되어 승강이동이 실시되면서 소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승강하는 상부금형 저면에 형성되어 소재테두리를 가압 절단하는 커팅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폼 패드를 가공하기 위한 소재를 한 번의 가압작업으로 다수 개를 성형함은 물론, 성형부위의 테두리를 절단하기 때문에, 종래의 수작업으로 행해지던 절단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하지만, 피가공물인 상기 폼 패드가 부직포와 같은 섬유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인 경우에는, 절단된 부직포의 절단부에 위치되는 섬유사들이 쉽게 풀릴 수 있는 우려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870호(2017.08.3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1669호(2008.10.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1536호(2010.02.2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047호(2009.03.25.)
본 발명은 절단용 금형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절단용 금형은 단순히 평면상의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커팅날만을 구비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커팅날의 절단에 의하여 형성된 절단물의 절단부가 날카로울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피가공물이 부직포와 같은 섬유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인 경우에는, 절단된 부직포의 절단부에 위치되는 섬유사들이 쉽게 풀리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절단부에 위치되는 섬유사들의 풀림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절단물의 테두리 일부분을 열압착하는 경우에는, 열압착된 테두리의 절단부가 더욱 날카로워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평면상의 피가공물을 절단하여 절단물을 가공하는 절단용 금형에 있어서, 상부면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키고, 상부에 커팅날 내입홈이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고, 하부에 상기 커팅날 내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팅날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날의 일측에는 절단물의 테두리 상부면을 열압착시키는 상부 열압착판을 구비하는 상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에 구비되되, 상기 커팅날과 상부 열압착판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열압착판을 구비하여, 커팅날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물의 절단부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하는 단부 열압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절단용 금형은 커팅날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절단하면서 상부금형의 하부에 구비된 상부 열압착판을 통하여 절단물의 테두리를 열압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 열압착판에 의한 절단물 테두리의 열압착시에, 상부 열압착판과 커팅날의 사이에 배치된 단부 열압착판이 열압착되는 테두리의 절단부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사들의 풀림 및 날카로운 절단부에 의한 작업자의 다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에 의하여 절단 가공된 절단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에 비전도 코팅물이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평면상의 부직포와 같은 피가공물을 절단하여 일정의 형태를 가지는 절단물(100)로 가공하는 절단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상의 피가공물을 절단하여 절단물(100)을 가공하는 절단용 금형에 있어서, 상부면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키고, 상부에 커팅날 내입홈(11)이 형성되는 하부금형(10);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고, 하부에 상기 커팅날 내입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팅날(21)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날(21)의 일측에는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면을 열압착시키는 상부 열압착판(22)을 구비하는 상부금형(20) 및; 상기 상부금형(20)에 구비되되, 상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열압착판(31)을 구비하여,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하는 단부 열압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d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이하, ‘절단용 금형’이라 칭함.)에 의하여 절단되는 피가공물은 일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는 평면상의 것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직포와 같은 피가공물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절단되어 절단물(100)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절단용 금형은 거시적으로, 상부면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키는 하부금형(10) 및;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커팅날(21)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날(21)의 일측에는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면을 열압착시키는 상부 열압착판(22)을 구비하는 상부금형(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은 서로 마주하는 형태의 한 쌍의 금형으로써, 하부금형(10)의 상부에는 절단 가공되는 피가공물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금형(20)은 하부금형(10)의 상부에서 승하강 이동되며 상부금형(20)의 하부가 하부금형(10)의 상부에 맞닿는 방향으로 하강이동되어 피가공물에 대한 절단력을 형성시키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10)은 지지용 선반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상부금형(20)은 프레스장치와 같은 장치에 연결되어 승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는 커팅날 내입홈(11)이 더 형성되어, 상부금형(20)의 하부에 구비된 커팅날(21)이 피가공물의 절단시에 일정 깊이 내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팅날 내입홈(11)의 일측벽은 승하강 이동되는 커팅날(21)의 일측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수직한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커팅날 내입홈(11)의 일측벽과 커팅날(21) 일측부 간의 밀착된 상태는 상부금형(20)의 하강에 의한 커팅날(21)의 하강에 의하여 일정의 절단력이 발생시켜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날 내입홈(11)은 절단물(100)의 외주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된 절단물(100)이 커팅날 내입홈(11)과 동일한 외주 형태를 가지며 절단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금형(20)은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고, 하부에 상기 커팅날 내입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팅날(21)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날(21)의 일측에는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면을 열압착시키는 상부 열압착판(22)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상부금형(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팅날(21)은 피가공물에 대한 절단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커팅날(21)의 일측부는 수직하고 타측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날카로운 상태의 것으로 구성되어 피가공물의 절단부(12)가 매끄럽게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팅날(21)은 절단물(100)의 외주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일측부가 길이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도 5와 같이 절단물(100)의 외주가 폐쇄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커팅날(21)은 절단물(100)의 외주와 대응되는 내주를 가지는 폐쇄된 링형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링형태의 커팅날(21) 내주면은 커팅날(21)의 일측부에 해당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은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된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일부분을 열압착시켜 절단물(100) 테두리(110) 일부분에 위치되는 섬유사들이 거칠게 일어나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은 일정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열압착판(22)은 절단물(100)의 절단부(12) 안쪽에 해당하는 테두리(110) 일부분을 압착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의 가열온도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절단 가공되는 피가공물의 재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에 의하여 열압착된 절단물(100)의 테두리(110)는 도 5와 같이 열압착력에 의하여 테두리(110) 일부분의 조직이 일부 용융되며 압착되어, 비압착된 부분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상기 커팅날(21)에 인접된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에는 절단물(100)의 절단부(12) 상부를 열압착시키는 상부 보조 열압착 라인(22b)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보조 열압착 라인(22b)은 상기 상부 열압착판(22)과 더불어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더욱 강하게 열압착하여 절단부(12)의 상부를 보다 조밀되게 압착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 보조 열압착 라인(22b)은 상기 상부 열압착판(22)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구성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열선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보조 열압착 라인(22b)이 절단물(100)의 절단부(12) 상부(절단불(100)의 상부 외주 일부분에 해당됨.)를 더욱 조밀하게 열압착시키면, 절단부(12)의 풀림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상기 상부금형(20)에 구비되되, 상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열압착판(31)을 구비하여,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상기 커팅날(21)의 일측과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사이에 해당하는 상부금형(20)에 구비되어, 단부 열압착부재(30)에 포함된 단부 열압착판(31)에서 가해지는 열과 단부 열압착판(31)의 하강력에 의하여 절단물(100) 절단부(12)를 열압착함으로써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라운딩 처리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상기 상부 열압착판(22)과 동일한 가열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부(12)가 형성된 절단물(10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커팅날(21)이 피가공물을 절단할 때에는 커팅날(21)과 절단되는 피가공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팅날(21) 하부 말단의 상부 쪽에 위치되어 있고, 커팅날(21)이 피가공물을 절단한 후 상부금형(20)이 계속 하강하여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이 절단물(100) 테두리(110) 일부분을 열압착할 때에는 하강하여 상부 열압착판(22)과 더불어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열압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은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 일부분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열압착하고,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절단물(100)의 절단부(12)에 해당하는 테두리(110)의 측부를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열압착시키는 구성을 함으로써, 절단물(100)의 절단부(12)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열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절단물(100)의 절단부(12)가 일정의 굽힘을 가지며 라운딩될 수 있도록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서 하강되며 굽혀질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더불어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서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이 승하강 이동하며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라운딩되도록 열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상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열압착판(31)과;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20)에 형성된 열압착부재 내입홀(23)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는 가압로드(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상기 상부금형(20)이 하강되어 피가공물이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될 때 하강되어,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단부 열압착부재(30)는 거시적으로 단부 열압착판(31)과 가압로드(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상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32)는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20)에 형성된 열압착부재 내입홀(23)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단부 열압착판(31)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20)에 형성되는 열압착부재 내입홀(23)은 상기 상부금형(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압로드(32)를 내입시키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열압착부재 내입홀(23)은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열압착부재 내입홀(23a)과 하부 열압착부재 내입홀(23b)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상부 열압착부재 내입홀(23a)에서는 가압로드(32)가 내입되며, 하부 열압착부재 내입홀(23b)에는 가압로드(32)의 하부에 연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이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가압로드(32)보다 더 두꺼운 형태로 구성되어 가압로드(32)에 의한 승하강력이 단부 열압착판(31)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상부 열압착부재 내입홀(23a)은 하부 열압착부재 내입홀(23b)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가압로드(32)는 단부 열압착판(31)에 승하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환봉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이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외주와 대응하도록 링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로드(32) 역시 도 4와 같이 단부 열압착판(31)과 동일하게 링형태로 구성되어 단부 열압착판(31)의 상부 전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로드(32)는 상부 열압착판(22)이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를 가압할 때 단부 열압착판(31)을 하강될 수 있도록 하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별도의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와 같은 가압생성장치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 하강이동 될 수 있고, 상부금형(20)의 하강 이동력을 이용하여 가압로드(32)가 자동적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열압착판(22)과 단부 열압착판(31)에 의하여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일부분 및 절단부(12)가 열압착될 수 있으면, 상기 열압착판과 단부 열압착판(31)은 서로 맞닿거나 밀착되며 라운딩된 형태의 절단부(12)를 형성시킬 수 있고, 일실시예로, 상기 절단부(12)의 상부면 일부분과 측부면 상부 일부분은 상부 열압착판(22)에 의하여 라운딩 처리되고, 절단부(12)의 측부면 하부 일부분과 하부면 일부분은 단부 열압착판(31)에 의하여 라운딩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에는 상기 절단물(100)의 절단부(12)의 상부면에서 측부면 방향으로 라운딩된 상태를 이루는 돌출부(22a)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절단부(12)의 상부면 일부분과 측부면 상부 일부분을 라운딩된 상태로 열압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2a)는 도 4와 같이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에 일정의 하향된 높이를 가지며 라운딩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면이 일측으로 오므라지며 굽어진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성의 돌출부(22a)는 상부 열압착판(22)이 하강되며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일부분을 열압착할 때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 말단에 형성된 모서리(절단부(12)의 상부면과 측부면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열압착시키기 때문에, 절단부(12)의 상부면 일부분과 측부면 상부 일부분을 라운딩 처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돌출부(22a)의 하향 돌출 높이는 상부 열압착판(22)에 의하여 열압착된 절단부(12)의 높이의 절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절단부(12)의 측부면 하부 일부분과 하부면 일부분은 단부 열압착판(31)에 의하여 라운딩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 일부분은 절단부(12)의 측부면 하부 일부분과 하부면 일부분을 일측방향으로 감싸며 하강되어 절단부(12)의 하부면과 측부면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팅날(21)의 일측부에는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을 승하강 가능하도록 내입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홈(21a)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a)의 하부 일부분은 상기 절단물(100)의 절단부(12)의 측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라운딩된 상태를 이루는 라운딩부(21b)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라운딩부(21b)로 하강된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 일부분은 상기 절단물(100)의 절단부(12)의 하측부면을 가압하며 압착하여, 절단부(12)의 하측부면을 라운딩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슬라이딩홈(21a)은 커팅날(21)의 일측부에 파여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을 내입시키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딩홈(21a)의 깊이는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상기 슬라이딩홈(21a)에 내입된 상태로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홈(21a)의 하부 일부분은 상부 및 중간부분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가지되 일측방향으로 굽어진 형태의 라운딩부(21b)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딩홈(21a)의 상부에서 중간부분을 거쳐 라운딩부(21b)로 하강되는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 일부분이 라운딩부(21b)를 통과할 때에는 일측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라운딩부(21b)를 통과한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 일부분은 절단부(12)의 측부면 하부 일부분과 하부면 일부분을 일측방향으로 밀며 열압착시켜, 절단부(12)의 하부면과 측부면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운딩부(21b)의 하부 말단은 상부금형(20)이 최하방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이 커팅날 내입홈(11)의 일측 측부면 상단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커팅날(21)의 하강에 의하여 하강된다.
즉, 상기 구성의 돌출부(22a)는 절단물(100)의 절단부(12) 상단에 형성된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고, 상기 슬라이딩홈(21a)에 내입된 상태로 하강 슬라이딩된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은 절단물(100)의 절단부(12) 하단에 형성된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여, 절단물(100)의 절단부(12) 전체적인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슬라이딩홈(21a)이 형성된 커팅날(21)의 일측부에는 도 5와 같이 열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진 비전도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비전도 코팅물(21c)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은 상기 비전도 코팅층 또는 비전도 코팅물(21c)과 밀착되며 슬라이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전도 코팅층 또는 비전도 코팅물(21c)은 일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를 가지는 단부 열압착판(31)의 열이 커팅날(21)로 전도되어 커팅날(21)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커팅날(21)이 가열되면 가열된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부(12)가 매끄럽지 못하게 절단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3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와 같은 가압생성장치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금형(20)에는 상부금형(20)의 상하부를 관통하며 형성된 가압핀 내입홀(24); 상기 가압핀 내입홀(24)에 내입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되는 가압핀(25); 상부금형(20)의 상부에 더 구비되는 받침 가이드(27)에 의하여 길이방향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압로드(32)의 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가압핀(25)의 승강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압되는 가압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압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압로드(32)는 상기 상부금형(20)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된 가압핀(25)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가이드로부터 전달받아 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가압부재는 거시적으로 상부금형(20)에 형성된 가압핀 내입홀(24)에서 승하강 이동되는 가입핀, 상부금형(20)에 구비된 받침 가이드(27)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가압로드(32)를 가압하는 가압가이드(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핀 내입홀(24)은 상부금형(20)의 상하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팅날(21)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부금형(20)의 테두리(110) 일정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핀 내입홀(24)은 하기의 가압핀(25)을 내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가압핀 내입홀(24)에는 가압핀(25)의 중간부분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링(25b)과 간섭되어 가압핀(25)이 승강되었을 때 하강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8a)가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돌출링(25b)과 탄성체(28a)는 상기 가압핀 내입홀(24)에 내입된 상태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가압핀(25)은 상기 가압핀 내입홀(24)에 내입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상부금형(20)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의하여 하단이 눌려서 승강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가압핀(25)은 상부금형(20)의 두께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길이방향 하부의 일부분은 상부금형(20)의 하부에 위치되고, 길이방향 상부의 일부분은 상부금형(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가압핀(25)은 피가공물에서 절단되고 남은 자투리의 피가공물이 안착된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위치되어, 가압핀(25)에 의한 가압력으로 절단물(100)이 눌려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가압핀(25)의 하부에는 가압핀(25)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25a)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5a)가 피가공물의 자투리 부분에 눌려짐으로써 피가공물 자투리 부분의 눌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가압핀(25)이 보다 완벽하게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가이드(26)는 상부금형(20)의 상부에 더 구비되는 받침 가이드(27)에 의하여 길이방향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압로드(32)의 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가압핀(25)의 승강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압되는 구성으로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가압핀(25)에 의한 승강력을 가압로드(32)의 하강력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받침 가이드(27)는 하부는 상부금형(2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부금형(20) 상부의 공간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부에 상기 가압가이드(26)의 중간부분을 회전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받침 가이드(27)는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가압가이드(26)의 길이방향 타측은 하부에 가압핀(25)의 상부가 위치되고, 이때 가압가이드(26)의 타측은 지렛대 원리의 힘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압가이드(26)의 길이방향 일측은 하부에 가압로드(32)의 상부가 위치되고, 이때 가압가이드(26)의 일측은 지렛대 원리의 작용점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가압부재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부금형(2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가압부재는 커팅날(21)의 타측(외측)에 해당하는 상부금형(20)의 테두리(110) 부분에 일정을 간격을 이루며 각각 구비되어 커팅날(21)의 타측 전체적인 부분에서 커팅날(21)의 일측에 위치된 가압로드(32)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가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가압가이드(26) 일측에는 복수 개의 가압가이드(26)를 서로 연결시키는 가이드플레이트(29)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9)는 가압로드(32)의 상부 전체적인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로드(32)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형태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9) 역시 상기 가압로드(32)의 상부 전체적인 부분을 상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단용 금형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일정의 형태로 절단 가공하는 실시예를 도 8a 내지 8d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절단될 부직포를 안착시킨다.
이후, 도 8a와 같이 상부금형(20)을 하강시킴으로써 커팅날(21)이 부직포를 절단하도록 하고, 도 8b와 같이 상부금형(20)을 계속 하강시켜 가압핀(25)의 헤드부(25a)가 부직포의 자투리 부분을 가압하고, 가압핀(25)의 헤드부(25a)가 상부금형(20)에 의하여 하강 이동이 저지되면 상기 가압핀(25)은 가압핀 내입홀(24)에서 승강되어 가압핀(25)의 상부가 받침 가이드(27)에 의하여 지지된 가압가이드(26)의 타측을 상부로 밀어낸다.
이후, 상기 받침 가이드(27)에 회전 가능하도록 중간부분이 지지된 가압가이드(26)의 일측은 가압로드(32)의 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압로드(32)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8c와 같이 상기 가압로드(32)의 하부에 체결된 단부 열압착부재(30)의 하부 말단 일부분은 커팅날(21)의 일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1a)을 따라 하강되고, 상부금형(20)의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단부 열압착부재(30)의 하부 말단은 하부금형(10)의 커팅날 내입홈(11) 일측부 상부 단턱에 맞닿은 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21a)을 따라 하강되는 단부 열압착부재(30)의 하부 말단 일부분은 슬라이딩홈(21a)의 라운딩부(21b)에 의하여 부직포 절단물(100)의 테두리(110)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절단부(12)의 측부면 하부 일부분과 하부면 일부분을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며 절단부(12) 측부면 하부와 하부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를 라운드진 형태로 열압착한다.
이때,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a)는 절단부(12)의 상부면과 측부면 상부 일부분을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며 절단부(12) 상부면과 측부면 상부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를 라운드진 형태로 열압착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부직포의 절단 및 절단부(12) 라운딩 처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 8d와 같이 상부금형(20)을 승강 이동시키고, 이때, 가압핀(25)에 대한 하부금형(10)의 가압력은 해제되어 가압핀(25)과 연결된 탄성체(28a)에 의한 탄성력을 가압핀(25)은 다시 가압핀 내입홀(24)에서 하강 이동되고, 상기 가압핀(25)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가압가이드(26)는 받침 가이드(27)를 중심으로 일측이 상향되는 형태로 회전된다.
이후, 가압가이드(26)에 의하여 눌려져 하강 이동되었던 가압로드(32)와 단부 열압착판(31)은 가압로드(32)와 연결되는 상태로 열압찰부재 내입홀에 내입된 탄성체(28b)에 의한 탄성력으로 승강 이동되고, 그 결과 슬라이딩홈(21a)의 하부로 슬라이딩되었던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은 슬라이딩홈(21a)의 상부쪽으로 승강된다.
이후, 작업자는 하부금형(10)의 상부면에 절단 및 절단부(12) 라운딩 처리된 부직포 절단물(100)을 꺼내어 부직포 절단물(100)의 가공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하부금형 11 : 커팅날 내입홈
20 : 상부금형 21 : 커팅날
21a : 슬라이딩홈 21b : 라운딩부
21c : 비전도 코팅물 22 : 상부 열압착판
22a : 돌출부 23 : 열압착부재 내입홀
23a : 상부 열압착부재 내입홀 23b : 하부 열압착부재 내입홀
24 : 가압핀 내입홀 25 : 가압핀
25a : 헤드부 25b : 돌출링
26 : 가압가이드 27 : 받침 가이드
28a : 탄성체 28b : 탄성체
29 : 가이드플레이트 30 : 단부 열압착부재
31 : 단부 열압착판 32 : 가압로드
100 : 절단물 110 : 테두리
120 : 절단부

Claims (7)

  1. 평면상의 피가공물을 절단하여 절단물(100)을 가공하는 절단용 금형에 있어
    서,
    상부면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키는 하부금형(10) 및;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커팅날(21)을 구비하며, 상기 커팅날(21)의 일측에는 절단물(100)의 테두리(110) 상부면을 열압착시키는 상부 열압착판(22)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날(21)에 인접된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에는 절단물(100)의 절단부(12) 상부를 열압착시키는 상부 보조 열압착 라인(22b)이 구비된 상부금형(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10)은 상부에 커팅날 내입홈(11)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금형(20)의 커팅날(21)은 상기 커팅날 내입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금형(20)에는,
    상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열압착판(31)을 구비하여,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되어 형성된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열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하는 단부 열압착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상기 커팅날(21)과 상부 열압착판(22)의 사이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단부 열압착판(31)과;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20)에 형성된 열압착부재 내입홀(23)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되는 가압로드(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부 열압착부재(30)는,
    상기 상부금형(20)이 하강되어 피가공물이 커팅날(21)에 의하여 절단될 때 하강되어, 절단물(100)의 절단부(12)를 압착하며 라운딩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압착판(22)의 타측 하부에는,
    상기 절단물(100)의 절단부(12)의 상부면에서 측부면 방향으로 라운딩된 상태를 이루는 돌출부(22a)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21)의 일측부에는,
    상기 단부 열압착판(31)을 승하강 가능하도록 내입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홈(21a)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a)의 하부 일부분은,
    상기 절단물(100)의 절단부(12)의 측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라운딩된 상태를 이루는 라운딩부(21b)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라운딩부(21b)로 하강된 단부 열압착판(31)의 하부 말단 일부분은 상기 절단물(100)의 절단부(12)의 하측부면을 가압하며 압착하여, 절단부(12)의 하측부면을 라운딩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0)에는,
    상부금형(20)의 상하부를 관통하며 형성된 가압핀 내입홀(24);
    상기 가압핀 내입홀(24)에 내입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되는 가압핀(25);
    상부금형(20)의 상부에 더 구비되는 받침 가이드(27)에 의하여 길이방향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가압로드(32)의 상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며,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가압핀(25)의 승강에 의하여 상방으로 가압되는 가압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압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압로드(32)는,
    상기 상부금형(20)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된 가압핀(25)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가이드로부터 전달받아 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KR1020180057959A 2018-05-21 2018-05-21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KR10195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959A KR101950018B1 (ko) 2018-05-21 2018-05-21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959A KR101950018B1 (ko) 2018-05-21 2018-05-21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018B1 true KR101950018B1 (ko) 2019-02-20

Family

ID=6556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959A KR101950018B1 (ko) 2018-05-21 2018-05-21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53B1 (ko) * 2020-08-14 2021-06-07 이원홍 부직포 절단 및 봉합용 금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399A (ja) * 2002-05-30 2004-02-19 Ube Nitto Kasei Co Ltd 中空樹脂板材の端部処理方法および端部処理装置
KR20050106376A (ko) * 2005-10-20 2005-11-09 (주)동아이엔지 기재와 표피지의 트리밍 및 접합용 프레스 금형
KR20080091669A (ko) 2007-04-09 2008-10-14 주식회사 동원롤 부직포 섬유제품 커팅장치
KR20090003047U (ko) 2007-09-21 2009-03-25 안병권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KR20100021536A (ko) 2008-08-16 2010-02-25 (주)이노테크네 부직포 펀칭 및 커팅장치
KR101774870B1 (ko) 2016-09-30 2017-09-05 (주)자이디 폼 패드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399A (ja) * 2002-05-30 2004-02-19 Ube Nitto Kasei Co Ltd 中空樹脂板材の端部処理方法および端部処理装置
KR20050106376A (ko) * 2005-10-20 2005-11-09 (주)동아이엔지 기재와 표피지의 트리밍 및 접합용 프레스 금형
KR20080091669A (ko) 2007-04-09 2008-10-14 주식회사 동원롤 부직포 섬유제품 커팅장치
KR20090003047U (ko) 2007-09-21 2009-03-25 안병권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KR20100021536A (ko) 2008-08-16 2010-02-25 (주)이노테크네 부직포 펀칭 및 커팅장치
KR101774870B1 (ko) 2016-09-30 2017-09-05 (주)자이디 폼 패드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53B1 (ko) * 2020-08-14 2021-06-07 이원홍 부직포 절단 및 봉합용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2068B (zh) 精整冲压件或精冲件上的具有毛刺的切割面的设备和方法
KR101657147B1 (ko) 단조 성형방법 및 단조 성형장치
KR101950018B1 (ko)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KR102134475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2079379B1 (ko)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KR102121664B1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CN217617177U (zh) 一种钣金冲孔装置
KR100550353B1 (ko) 키패드용 아크릴 수지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4861B1 (ko) 소재의 형상동결성을 향상하고 후가공을 절감하는 핫스탬핑 성형방법 및 이를 위한 핫스탬핑 성형장치
CN210233863U (zh) 医用注塑件模外冲切装置
CN214133585U (zh) 一种快卸锁零部件上弹片的自动成型冲压模具
CN209849681U (zh) 增大厚料拉深件涨切端面用模具
KR101918001B1 (ko) 마늘 슬라이스 기구
KR101855592B1 (ko) 경사 작동형 프레스장치
CN110919769A (zh) 一种纸托刀模及其制作方法
CN210148798U (zh) 一种冲模工作台及其冲床
CN217315451U (zh) 一种冲压模具
CN211541494U (zh) 一种用于tpu手机保护套开孔的装置
KR200285312Y1 (ko) 모우터용 플라이휠 제조장치
CN217693390U (zh) 一种电话听筒自动压接装置
CN215032869U (zh) 用于开关铜铁件冲压成型的级进模
CN211868057U (zh) 一种纸托刀模
CN214640041U (zh) 一种锚栓冷镦机生产用冲模机构
CN215033113U (zh) 一种铝型材加工稳定性能好的模具
KR200436976Y1 (ko) 양면에 재단용 칼날이 구비된 톰슨목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