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60B1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360B1
KR101949360B1 KR1020170120632A KR20170120632A KR101949360B1 KR 101949360 B1 KR101949360 B1 KR 101949360B1 KR 1020170120632 A KR1020170120632 A KR 1020170120632A KR 20170120632 A KR20170120632 A KR 20170120632A KR 101949360 B1 KR101949360 B1 KR 10194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shaft
rotor
coupl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360B1/ko
Priority to AU2018335923A priority patent/AU2018335923A1/en
Priority to US16/648,848 priority patent/US11624425B2/en
Priority to CN201880074919.1A priority patent/CN111356802B/zh
Priority to PCT/KR2018/011028 priority patent/WO20190596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60B1/ko
Priority to AU2021282502A priority patent/AU202128250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60Gearings for reversal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9Spring assisted shift, e.g. springs for accumulating energy of shift movement and release it when clutch teeth are alig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93Final output elements, i.e. the final elements to establish gear ratio, e.g. dog clutches or other means establishing coupling to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16H2063/325Rocker or swiveling forks, i.e. the forks are pivoted in the gear case when moving the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구동 모터;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세탁축; 상기 로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수축;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수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되는 이너 터브; 상기 이너 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및 ⅰ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 또는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와 ⅱ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 및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지 않는 자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러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 및 탈수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는 세탁조의 위로 세탁대상물을 넣고 빼는 세탁기를 말한다. 탑 로딩 세탁기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기이다.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기는 세제, 세탁수 및 세탁 대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 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 세탁수를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세탁수류와 이에 의한 마찰 및 세제의 유화작용 등으로 세탁물을 세탁한다.
세탁기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이너 터브를 구비한다. 또한, 세탁기는, 정·역회전을 통해 세탁조 내부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가 구비되어, 펄세이터 및 이너 터브를 회전시킨다. 종래의 클러치 장치를 통해, 이너 터브는 정지한 상태에서 펄세이터만 회전시키거나, 이너 터브 및 펄세이터를 일체로 회전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펄세이터의 회전 속도 및 이너 터브의 회전 속도가 장치의 모드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연약한 포 등이 펄세이터나 이너 터브에 강력히 부딪혀 손상될 염려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사용자의 취향 및 세탁물의 조건 등에 따라 세탁물 처리장치가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동일한 구동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복합적인 수류를 형성시켜 세제 용해, 포적심 및 세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동일한 구동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펄세이터의 회전수를 원하는 감속비로 조절하고 이에 따라 펄세이터의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구동 모터; 상기 로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세탁축; 상기 로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수축;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수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되는 이너 터브; 상기 이너 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및 ⅰ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 또는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와 ⅱ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 및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지 않는 자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러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로터의 회전이 일정한 상태에서도 상기 탈수축의 회전이 변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는, 상기 탈수축을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고 상기 로터에 구속시키지 않는 펄세이터 모드, 및 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에 구속시키고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지 않는 탈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상기 탈수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결합되되, 상기 탈수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플러 조정 모듈; 상기 아우터 터브에 고정되고 상기 커플러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핑 부재; 및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상기 커플러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에서 상기 스토핑 부재 또는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고,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스토핑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핑 부재에 구속되게 구비되고, 하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한과 상기 하한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스토핑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부재는, 상측으로 함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스토핑 부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로터 부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토핑 부싱부와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 1커플링부; 및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터 부싱부와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 2커플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커플링부의 상단 및 상기 제 2커플링부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토핑 부싱부의 하단과 상기 로터 부싱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는, 상기 커플러를 상기 스토핑 부재에 구속시키고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시키지 않는 펄세이터 모드, 및 상기 커플러를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시키고 상기 스토핑 부재에 구속시키지 않는 탈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세탁축의 회전력 중 일부를 상기 이너 터브에 전달하게 구비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세탁축에 고정되어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고 자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이 고정되는 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는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펄세이터와 일체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터브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기어는 상기 이너 터브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펄세이터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를 통해, 이너 터브가 자유 상태가 되어 연약한 세탁물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유동하여 상기 이너 터브의 내면에 부딪힐 때, 상기 이너 터브가 회전하며 마찰력을 다소 완화해줄 수 있어, 세탁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의 조건에 따라서, 필요시 강한 마찰력으로 세탁하는 상기 펄세이터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부하에 따라 스스로 마찰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상기 자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커플링부의 상단 및 상기 제 2커플링부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토핑 부싱부의 하단과 상기 로터 부싱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제 1커플링부가 상기 스토핑 부싱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커플링부가 상기 로터 부싱부와 맞물린 상태 및 맞물리지 않은 상태 모두 가능해진다. 상기 제 2커플링부가 상기 로터 부싱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커플링부가 상기 스토핑 부싱부와 맞물린 상태 및 맞물리지 않은 상태 모두 가능해진다.
상기 동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그 반력으로 상기 이너 터브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세탁물이 유동하여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이너 터브의 내면에 부?H힐 때,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이너 터브의 회전이 변동하며 마찰력을 다소 완화해줄 수 있어, 세탁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와 이너 터브를 반대방향으로 세탁수를 교반시킴으로써 세제 용해도 및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펄세이터 위로 투입된 세탁대상물이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한쪽으로 몰려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펄세이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구동 모터의 토크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높은 효율 영역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A)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B)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C)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의 커플러(150), 회전 부재(160) 및 스토핑 부재(170)와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구성 중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플러(150)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커플러 조정 모듈(180)의 동작과 커플러(150)의 위치 변동을 보여주는 측면 입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구속 모드(펄세이터 모드, 탈수 모드)를 보여주며, 도 4c는 자유 모드를 보여준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1의 동력 전달부(140)의 각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140)를 보여주고, 도 5b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140)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a 내지 도 5b의 라인 S1-S1'을 따라 동력 전달부(140)의 기어 모듈(142, 143, 144, 145)을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도 7은, 펄세이터(122)와 이너 터브(120)의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측' 및 '하측'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의 탑로딩 세탁물 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중심축'은 이너 터브(120)의 회전축이 배치되는 직선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원심 방향'은 상기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 반대 방향'은 상기 중심축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어느 구성요소의 '외주부'란 해당 구성요소의 '원심 방향 부분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 1방향'으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 2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고정'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직접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의 제 2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위치가 유지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동일 회전속도와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같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별개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어 등에 맞물려 제 1구성요소의 회전 속도와 제 2구성요소의 회전 속도의 비율이 일정하게 기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회전 속도의 비율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경우까지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7을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아우터 터브(110)(Outer Tub)를 포함한다. 아우터 터브(110)는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터브(120)를 포함한다. 이너 터브(120)는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한다. 이너 터브(120)는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이너 터브(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122)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복수의 모드를 서로 전환시켜 주는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직육면체의 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하측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비닛과, 전후좌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케비닛과, 세탁물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을 가진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커버 케비닛을 포함한다.
캐비닛(100)의 상부(상기 탑커버 케비닛(100)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01)가 구비된다. 도어(101)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한다.
아우터 터브(11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서스펜션 바(111)에 의해 현수되어 지지된다. 아우터 터브(110)는 공급받은 세탁수를 내부에 저장한다. 아우터 터브(110)는 공급받은 세제를 세탁수에 용해 및 혼합시키도록 구비된다. 아우터 터브(110)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구비된다.
아우터 터브(110)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133)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33)는 구동 모터(130)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133)에 구동 모터(130)의 스테이터(130b)가 고정된다.
지지 부재(133)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 1고정 파트(133a)를 포함한다. 제 1고정 파트(133a)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 파트(133a)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면에 결합한다. 제 1고정 파트(133a)는 구동 모터(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탈수축(131)은 제 1고정 파트(133a)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세탁축(132) 또는 펄세이터 연결축(146)은 제 1고정 파트(133a)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지지 부재(133)는 제 1고정 파트(133a)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 2고정 파트(133b)을 포함한다. 제 2고정 파트(133b)은 구동 모터(130)를 지지해준다. 제 2고정 파트(133b)의 스테이터 고정부(133b1)에 스테이터(130b)가 고정된다. 제 2고정 파트(133b)은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면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고정 파트(133b)은 전체적으로 중앙 부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 2고정 파트(133b)은 구동 모터(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세탁축(132)은 제 2고정 파트(133b)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탈수축(131)은 제 2고정 파트(133b)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스토핑 부재(170)는 제 2고정 파트(133b)에 고정될 수 있다. 커플러 조정 모듈(180)은 제 2고정 파트(133b)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33)는 내부 공간(133h)을 형성한다. 도 1c에 따른 실시예(B)에서는 기어 모듈(142, 143, 144, 145)은 상기 내부 공간(133h)에 배치된다.
이너 터브(120)는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아우터 터브(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너 터브(120)는 구동 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너 터브(120)는 클러치(137)의 단속에 의해 구동 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너 터브(120)는 세탁 및 헹굼 시에는 고정되고 탈수 시에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터브(120)는 탈수축(131)에 고정된다. 이너 터브(120)는 탈수축(131)과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탈수축(131)이 정지하면 이너 터브(120)도 정지하고, 탈수축(131)이 회전하면 이너 터브(120)도 일체로 회전한다.
이너 터브(120)는 이너 터브(120)의 원심방향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20a)를 포함한다. 측벽부(120a)는 다수의 탈수공을 가진다. 상기 다수의 탈수공을 통해 아우터 터브(110) 내의 세탁수가 측벽부(120a) 내로 유입된다.
이너 터브(120)는 측벽부(120a)의 상부에 장착되는 발란서(125)를 포함한다. 발란서(125)는 측벽부(120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터브(120)는 측벽부(120a)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는 이너 터브(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너 터브(120)의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이너 터브(120)의 저면을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상부는 측벽부(120a)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베이스(121)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21)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베이스(121)의 저면과 펄세이터(122)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121)는 상부에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121a)를 구비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라운드부(121a)는 베이스(12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라운드부(121a)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2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볼 때, 라운드부(121a)는 베이스(121)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점점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지며 형성된다. 라운드부(121a)의 가장자리는 측벽부(120a)의 하단과 연결된다.
라운드부(121a)에는 돌기부(121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반원형의 돌기부(121b)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이격 배치된다.
베이스(121)의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베이스(121)는 중앙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다. 베이스(121)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121)의 외측 하부에서 베이스(121)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너 터브(120)는 베이스(121)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브(124)를 포함한다. 허브(124)는 이너 터브(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허브(124)는 이너 터브(120)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허브(124)는 측벽부(120a) 및 베이스(121)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형 부재로 형성된다. 허브(124)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베이스(121) 및 측벽부(120a)에 전달해준다. 허브(124)는 복수의 세탁수유입공(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탁수유입공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110)에 저장되는 세탁수는 허브(124)의 상기 세탁수유입공을 통해 이너 터브(120) 내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허브(124)는 탈수축(131)에 고정된다. 허브(124)는 탈수축(13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허브(124)는 베이스(121)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허브(124)는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허브(124)의 중앙부에는 탈수축(131)과 결합하는 중앙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중앙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결합부에 탈수축(131)의 상부가 고정된다. 실시예에 따라 세탁축(132) 또는 펄세이터 연결축(146)이 중앙결합부(124b)의 홀을 상하로 통과하게 배치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이너 터브(120) 내의 하부에 구비되는 펄세이터(122)를 포함한다. 펄세이터(122)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1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122)는 이너 터브(1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122)는 구동 모터(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펄세이터(122)는, 실시예에 따라 세탁축(132) 또는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상부에 고정된다. 펄세이터(122)는 펄세이터 연결축(146)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펄세이터(122)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펄세이터(122)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비벼서 빠는 효과를 얻는다.
펄세이터(122)는 원형의 판을 형성하는 회전판(122a)과, 회전판(122a)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2c)를 포함한다. 펄세이터(122)는 회전판(122a)의 중심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돌기부(122b)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중심돌기부(122b)에서 원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22c)의 일단부는 중심돌기부(122b)에 연결되고, 돌출부(122c)의 타단부는 회전판(122a)의 외주부를 향해 연장된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돌출부(122c)는 상측면은 굴곡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2c)는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펄세이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중심돌기부(122b)의 상부에 상부캡이 설치될 수 있다. 중심돌기부(122b)는 복수의 돌출부(122c)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는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회전판(122a)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세탁수가 펄세이터(122)를 관통하게 해준다. 세탁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이너 터브(120)의 하부로 흘러갈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하측면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요입홈(122b1)이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요입홈(122b1) 내부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축지지홈(122b2)이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상단은 축지지홈(122b2)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회전력이 펄세이터(1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구동 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축(132)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축(132)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탈수축(131)를 포함한다. 세탁축(132)은 탈수축(131)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세탁축(132)은 중심축 상에 위치한다. 세탁축(13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세탁축(132)은 구동 모터(130)에 의해 회전된다. 세탁축(132)은 로터(130a)에 고정된다. 세탁축(132)은 로터(130a)와 일체로 회전한다. 세탁축(132)은 로터(130a)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탈수축(131)은 중심축 상에 위치한다. 탈수축(13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탈수축(131)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탈수축(131)은 구동 모터(130)에 의한 회전 여부가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탈수축(131)은 로터(130a)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탈수축(131)의 하단은 로터(130a)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탈수축(131)은 커플러(150)와 일체로 회전하게 해주는 커플러 결합부(131a)를 포함한다. 커플러 결합부(131a)는 탈수축(131)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커플러 결합부(131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선을 형성할 수 있다. 커플러(150)의 내주면에는 커플러 결합부(131a)의 상기 복수의 돌기선과 맞물리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150)는 커플러 결합부(131a)에 결합되어, 커플러(150)와 탈수축(131)은 서로 일체로 회전되되, 탈수축(131)에 대해 커플러(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아우터 터브(110) 외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130)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130)는 스테이터(130b) 및 로터(130a)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0)는,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된 스테이터(130b)와,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는 로터(130a)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30b)는 지지 부재(133)에 의해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된다. 스테이터(130b)는 로터(130a)의 원심 반대 방향 내부에 배치된다. 로터(130a)는 스테이터(130b)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된다. 세탁축(132)은, 로터(130a)에 고정되어 로터(130a)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0)는 아우터 터브(110)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모터(130)는 아우터 터브(110)의 지지 부재(133)에 의해 지지된다. 스테이터(130b)는 지지 부재(133)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로터(130a)는 지지 부재(13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세탁축(132)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도 1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ⅰ탈수축(131)을 로터(130a) 또는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와 ⅱ탈수축(131)을 로터(130a) 및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시키지 않는 자유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로터(130a) 및 아우터 터브(110)에 대해 자유 상태가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는, 탈수축(131)을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시키고 로터(130a)에 구속시키지 않는 펄세이터 모드와, 탈수축(131)을 로터(130a)에 구속시키고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시키지 않는 탈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과 일체로 회전하게 결합되는 커플러(150)를 포함한다. 커플러(150)는, 탈수축(13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커플러(150)를 이동시키는 커플러 조정 모듈(180)을 포함한다. 커플러 조정 모듈(180)은 커플러(1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커플러(150)를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토핑 부재(170)를 포함한다. 스토핑 부재(170)는 커플러(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스토핑 부재(170)는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된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커플러(150)를 로터(130a)에 구속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 부재(160)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160)는 커플러(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회전 부재(160)는 로터(130a)에 고정된다.
도 1a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A)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A)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 후술할 동력 전달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132)에 고정된다. 펄세이터(122)는 세탁축(132)과 일체로 회전한다. 세탁축(132)의 하단은 로터(130a)에 고정되고 상단은 펄세이터(122)에 고정된다.
상기 실시예(A)에서, 탈수축(131)은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에 의해 회전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세탁물 부하 등에 의한 회전 부하가 외부에서 가해지더라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로터(130a)에 구속되어 로터(130a) 및 세탁축(132)과 일체로 회전하고,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는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아우터 터브(110) 및 로터(130a)에 대해 자유 상태가 되어, 세탁물이나 물이 없는 무부하 상태에서 이너 터브(120)는 정지 상태가 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이너 터브(120)에 세탁물의 회전 부하 등이 가해지면, 이너 터브(12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즉, 자유 모드에서, 이너 터브(120)는 로터(130a)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받지는 않더라도,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122)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유동하여 이너 터브(120)의 내면에 부?H힐 때, 이너 터브(120)가 회전하며 마찰력을 다소 완화해줄 수 있어, 세탁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b 및 도 1c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B) 및 또 다른 실시예(C)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축(132)의 회전력을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에 전달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 전달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로터(130a)의 회전력은 세탁축(132) 및 동력 전달부(140)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너 터브(120)에 전달된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동력 전달부(140) 전체는 세탁축(132)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동력 전달부(140)는 세탁축(132)의 회전 속도에 대해 감속된 회전 속도로 펄세이터(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세탁축(132)의 회전 속도에 대한 펄세이터(122)의 회전 속도의 감속비는, 외부의 부하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동력 전달부(140)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축(132)의 회전력 중 일부를 이너 터브(120)에 전달하게 구비된다. 동력 전달부(140)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12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너 터브(120)가 회전되도록, 펄세이터(122)의 회전 반력을 이너 터브(12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세탁물 등이 없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동력 전달부(140)에 의해 펄세이터(122)의 회전 방향과 이너 터브(120)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122)의 회전 속도 및 이너 터브(120)의 회전 속도는 각각 외부의 부하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변동할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축(132)의 회전 속도에 대한 펄세이터(122)의 회전 속도의 감속비는, 외부의 부하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변동할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12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그 반력으로 이너 터브(1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세탁물이 유동하여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의 내면에 부?H힐 때,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의 회전이 변동하며 마찰력을 다소 완화해줄 수 있어, 세탁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b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B)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B)에서, 이너 터브(120)와 펄세이터(122)의 사이에 배치된 동력 전달부(140a)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140a)는 펄세이터(122)의 하측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부(140a)는 베이스(121)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동력 전달부(140a)의 회전력은 이너 터브 고정부(136)를 거쳐 이너 터브(120)로 전달된다. 이너 터브 고정부(136)는 '캐리어(144) 또는 링기어(145)'와 이너 터브(120)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너 터브 고정부(136)의 하단은 베이스(121)에 고정된다. 탈수축(131) 및 세탁축(132)이 아우터 터브(110)의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도 1c를 참고하여, 또 다른 실시예(C)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C)에서, 아우터 터브(110)의 외부에 배치된 동력 전달부(140b)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140b)는 아우터 터브(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부(140b)는 지지 부재(133)의 내부 공간(133h)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부(140b)는 제 1고정 파트(133a)와 제 2고정 파트(133b)의 사이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부(140b)는 탈수축(131)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탈수축(131)은 동력 전달부(140b)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탈수축 하측부(131L)와 상측에 배치된 탈수축 상측부(131H)를 포함한다. 탈수축 하측부(131L)의 상단 및 탈수축 상측부(131H)의 하단은 '캐리어(144) 또는 링기어(145)'에 고정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동력 전달부(140b)의 회전력은 탈수축 상측부(131H)를 거쳐 이너 터브(120)로 전달된다. 탈수축(131) 및 펄세이터 연결축(146)이 아우터 터브(110)의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이하, 도 5a 및 도 5c를 참고하여, 동력 전달부(140)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실시예(B)의 동력 전달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나, 도 5a 및 도 5b의 동력 전달부(140)의 각 구성 요소들은 상기 실시예(C)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a 및 도 5c를 참고하여, 동력 전달부(140)는 세탁축(132)이 연결되는 기어 모듈(142, 143, 144, 145)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40)은 선기어(142), 복수의 유성기어(143), 링기어(145) 및 캐리어(144)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140)은 기어 하우징(141)을 포함한다.
기어 하우징(141)은 선기어(142), 복수의 유성기어(143), 링기어(145) 및 캐리어(144)를 내부에 수용한다. 기어 하우징(141)은 내측면에 링기어(145)를 수용하는 링기어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링기어(145)는 상기 링기어수용홈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선기어(142)는 세탁축(132)과 연결되어, 구동 모터(13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선기어(142)는 세탁축(132)에 고정된다. 선기어(142)는 세탁축(132)과 일체로 회전한다. 세탁축(132)이 선기어(14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세탁축(132)의 회전력이 선기어(142)로 전달된다. 세탁축(132)의 외주면과 선기어(142)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홈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선기어(142)의 외주면에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의 외주면에 맞물리고 자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와 기어이(gear teeth)끼리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한다. 유성기어(143)는 유성기어(143)의 중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을 중심으로 자전한다.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전할 수 있다. 캐리어(144)의 회전 속도 및 선기어(142)의 회전 속도에 따라 유성기어(143)의 회전 속도는 변동될 수 있다. 복수의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링기어(145)는 내측이 유성기어(143)와 내접하며 맞물린다. 링기어(145)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링기어(145)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가 형성된다. 링기어(145)는 복수의 유성기어(143)와 내접한다. 링기어(145)는 복수의 유성기어(143)를 감싸며 복수의 유성기어(143)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링기어(145)의 외측은 기어 하우징(141)에 고정된다.
캐리어(144)에는 유성기어(143)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이 고정된다. 캐리어(144)는 복수의 유성기어(143)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두도록 구비된다. 캐리어(144)는 유성기어(14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성기어 연결축(144a)을 포함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은 유성기어(143)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은 유성기어(143)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은 캐리어(144)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구비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의 상단부는 캐리어(144)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유성기어 연결축(144a)의 하단부는 캐리어(144)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복수의 유성기어 연결축(144a)은 복수의 유성기어(143)가 선기어(142)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 전달부(140)는 펄세이터(12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펄세이터 연결축(146)을 더 포함한다. 펄세이터 연결축(146)은 '링기어(145) 또는 캐리어(144)'에 고정된다.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 중 어느 하나는 탈수축(131)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펄세이터 연결축(146)에 고정된다. 즉,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 중 어느 하나는 탈수축(131)과 일체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펄세이터 연결축(146)과 일체로 회전한다.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하단은 동력 전달부(140)에 연결되고 상단은 펄세이터(122)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146)은, 기어 모듈(142, 143, 144, 145)에 의해 세탁축(132)의 회전과 다른 회전을 하게 구비된다.
동력 전달부(140)는 펄세이터 연결축(146)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캡(148)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캡(148)는 펄세이터 연결축(146)과 축지지홈(122b2)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 동력전달캡(148)은 펄세이터 연결축(146)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캡(148)의 외주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펄세이터(122)는 캐리어(144)의 펄세이터 연결축(146)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펄세이터 연결축(146)은 세탁축(132)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펄세이터 연결축(146)과 세탁축(132)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122)는 기어 모듈(142, 143, 144, 145)의 상기 기어비에 따라 감속된다.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 중, 어느 하나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이너 터브(120)와 일체로 회전한다. 즉,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 중, 어느 하나는 펄세이터(122)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이너 터브(120)에 고정된다.
적어도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동력 전달부(140)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속도 보다 펄세이터(122)의 회전속도가 감속되게 동력을 전달한다. 펄세이터(122)의 감속된 회전 속도를 통해, 구동 모터(130)의 회전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펄세이터(122)의 회전 속도 감소로인해 펄세이터(122)로 전달되는 토크는 증가한다.
도 5a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링기어(145)는 이너 터브(120)와 일체로 회전하고, 캐리어(144)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한다. 링기어(145)는 이너 터브(120)에 고정되고, 캐리어(144)는 펄세이터(122)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하단은 캐리어(144)에 고정되고 상단은 펄세이터(122)에 고정된다. 이너 터브 고정부(136)의 하단은 이너 터브(120)에 고정되고 상단은 링기어(145)에 고정된다. 이너 터브 고정부(136)의 상단은 기어 하우징(141)을 통해 링기어(14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이너 터브(120) 및 링기어(145)는 아우터 터브(110)에 대해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링기어(145)가 이너 터브(120)에 고정됨에 따라, 유성기어(143)는 링기어(145)와 치합되어 링기어(145)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캐리어(144)의 회전수는 복수의 유성기어(143)의 공전에 의한 회전수와 동일하다. 캐리어(144)의 회전수는, 링기어(145)와 선기어(142) 사이의 기어비 및 선기어(142)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세탁축(132)의 회전방향, 선기어(142)의 회전방향, 유성기어(143)의 공전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122)에 고정된 캐리어(144) 및 이너 터브(120)에 고정된 링기어(145)는, 서로에 대한 반력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제 1실시예에서 각 모드별 각 구성의 회전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기어(142)는 로터(130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1방향(Ws1) 및 제 2방향(Ws2)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탈수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143)는 자전하지 않으며, 캐리어(144)는 제 1방향(Wo1)으로 회전하고, 링기어(145)는 제 1방향(Wr1)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탈수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는 제 1방향(Wp1, Wi1)으로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링기어(145)는 아우터 터브(110)에 대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유성기어(143)는 제 2방향(We2)으로 회전(자전)하고, 캐리어(144)는 제 1방향(Wo1)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이너 터브(12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펄세이터(122)는 제 1방향(Wp1)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물 등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는,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143)는 제 2방향(We2)으로 회전(자전)하고, 캐리어(144)는 제 1방향(Wo1)으로 회전하며, 캐리어(144)의 회전에 대한 반력으로 링기어(145)는 제 2방향(Wr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물 등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는,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122)는 제 1방향(Wp1)으로 회전하고, 이너 터브(120)는 제 2방향(Wi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물 등의 부하에 의해서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의 회전 속도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의 회전 속도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의 동력 전달부(140)은, 세탁축(132), 캐리어(144) 및 기어 하우징(141)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147a, 147b, 147c)을 포함한다. 기어 하우징(141)의 상부와 펄세이터 연결축(146) 사이에 제1베어링(147a)이 설치되어, 펄세이터 연결축(146)이 기어 하우징(1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캐리어(144) 내부면과 세탁축(132) 사이에 제2베어링(147b)이 설치되어, 세탁축(132)이 캐리어(144)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베어링(1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징(1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기어 하우징(141)의 내부면과 캐리어(144)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147c)이 설치되어, 캐리어(144)가 기어 하우징(1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캐리어(144)는 이너 터브(120)와 일체로 회전하고, 링기어(145)는 펄세이터(122)와 일체로 회전한다. 캐리어(144)는 이너 터브(120)에 고정되고, 링기어(145)는 펄세이터(122)에 고정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하단은 링기어(145)에 고정되고 상단은 펄세이터(122)에 고정된다. 펄세이터 연결축(146)의 하단은 기어 하우징(141)을 통해 링기어(14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터브 고정부(136)의 하단은 이너 터브(120)에 고정되고 상단은 캐리어(144)에 고정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이너 터브(120) 및 링기어(145)는 아우터 터브(110)에 대해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캐리어(144)가 이너 터브(120)에 고정됨에 따라, 유성기어(143)는 공전 없이 자전하게 되고, 링기어(145)는 유성기어(143)와 치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유성기어(143)는 선기어(142)를 중심으로 공전하지 않는다. 링기어(145)의 회전수는, 링기어(145)와 선기어(142) 사이의 기어비 및 선기어(142)의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세탁축(132)의 회전방향 및 선기어(14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링기어(145)의 회전 방향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세탁축(432a) 및 선기어(442) 의 회전방향이, 링기어(445) 및 펄세이터(122)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이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펄세이터(122)에 고정된 링기어(145) 및 이너 터브(120)에 고정된 캐리어(144)는, 서로에 대한 반력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제 2실시예에서 각 모드별 각 구성의 회전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탈수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143)는 자전하지 않으며, 캐리어(144)는 제 1방향(Wo1)으로 회전하고, 링기어(145)는 제 1방향(Wr1)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탈수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는 제 1방향(Wp1, Wi1)으로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캐리어(144)는 아우터 터브(110)에 대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유성기어(143)는 제 2방향(We2)으로 회전(자전)하고, 링기어(145)는 제 2방향(Wr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이너 터브(12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펄세이터(122)는 제 2방향(Wp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물 등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는,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유성기어(143)는 제 2방향(We2)으로 회전(자전)하고, 캐리어(144)는 제 1방향(Wo1)으로 회전하며, 캐리어(144)의 회전에 대한 반력으로 링기어(145)는 제 2방향(Wr2)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물 등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는, 선기어(142)가 제 1방향(Ws1)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122)는 제 2방향(Wp2)으로 회전하고, 이너 터브(120)는 제 1방향(Wi1)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상기 자유 모드에서, 세탁물 등의 부하에 의해서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의 회전 속도가 변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리어(144) 및 링기어(145)의 회전 속도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실시예의 동력 전달부(140)은, 세탁축(132), 캐리어(144) 및 기어 하우징(141)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베어링(147b, 147c)을 포함한다. 캐리어(144) 내부면과 세탁축(132) 사이에 제2베어링(147b)이 설치되어, 세탁축(132)이 캐리어(144)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베어링(147b)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베어징(147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기어 하우징(141)의 내부면과 캐리어(144)의 외측면 사이에 제3베어링(147c)이 설치되어, 캐리어(144)가 기어 하우징(14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에 대해 세탁축(132)이 상대 회전하는 상기 펄세이터 모드를 설정시킬 수 있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이 세탁축(132)과 일체로 회전하는 탈수 모드를 설정시킬 수 있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에 대해 세탁축(132)이 상황에 따라 상대 회전 가능한 자유 모드를 설정시킬 수 있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 및 세탁축(132)의 일체 회전 여부를 전환해준다. 탈수축(131)에 대해 세탁축(132)이 상대 회전할 때 펄세이터(122)는 이너 터브(12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구비된다. 탈수축(131) 및 세탁축(132)이 일체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는 일체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의 구속 여부를 전환해준다. 탈수축(131)의 구속 여부에 따라, 이너 터브(120)의 구속 여부가 달라진다. 탈수축(131)은 아우터 터브(110) 또는 로터(130a)에 구속된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이 구속되도록, 상기 펄세이터 모드 또는 상기 탈수 모드를 설정시킬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아우터 터브(110)에 구속되어, 상기 아우터 터브(110)에 대해 회전 정지 상태가 된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로터(130a)에 구속되어, 로터(130a)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클러치 어셈블리(150, 160, 170, 180)는 탈수축(131)이 구속되지 않도록, 상기 자유 모드를 설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자유 상태가 되어, 탈수축(131)의 회전은 펄세이터(122)의 회전에 따른 반력 및/또는 이너 터브(120) 내의 포의 상태 등에 따라 변동된다.
커플러(1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에서 스토핑 부재(170) 또는 회전 부재(160)에 구속된다.
도 4a를 참고하여, 커플러(150)는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스토핑 부재(170)에 구속된다. 커플러(150)는 상한 위치로 이동하여 스토핑 부재(170)에 구속되게 구비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커플러(150)는 상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상한 위치는, 커플러(150)가 스토핑 부재(170)에 걸림되어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위치이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커플러(150)를 스토핑 부재(170)에 구속시키고 회전 부재(160)에 구속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펄세이터(122) 및 이너 터브(120) 중 펄세이터(122)만 회전하고 이너 터브(12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b를 참고하여, 커플러(150)는 상기 탈수 모드에서 회전 부재(160)에 구속된다. 커플러(150)는 하한 위치로 이동하여 회전 부재(160)에 구속되게 구비된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커플러(150)는 하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하한 위치는, 커플러(150)가 회전 부재(160)에 걸림되어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위치이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커플러(150)를 회전 부재(160)에 구속시키고 스토핑 부재(170)에 구속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탈수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세탁축(132)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펄세이터(122)와 이너 터브(120)는 일체로 회전한다.
도 4c를 참고하여, 커플러(150)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스토핑 부재(170) 및 회전 부재(160)에 구속되지 않는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커플러(150)는 상기 상한과 상기 하한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스토핑 부재(170) 및 회전 부재(160)에 구속되지 않게 구비된다. 커플러(150)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스토핑 부재(170) 및 회전 부재(160)에 대해 자유 상태가 된다. 즉, 커플러(150)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스토핑 부재(170) 및 회전 부재(160)와 이격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탈수축(131)은 자유 상태가 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로터(130a)의 회전이 일정한 상태에서도 탈수축(131)의 회전은 외부의 부하 등에 의해 변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로터(130a)의 회전이 일정한 상태에서도 이너 터브(120)의 회전이 변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커플러(150)는 상측부(151)와 하측부(153)를 포함한다. 상측부(151)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측부(15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측부(151)는 하측부(153)에 비해 지름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150)는, 스토핑 부싱부(170a)와 맞물리는 제 1커플링부(151a)를 포함한다. 제 1커플링부(151a)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커플링부(151a)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한다. 제 1커플링부(151a)의 복수의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커플링부(151a)는 상측부(151)에 배치된다. 제 1커플링부(151a)는 상측부(151)의 원심 방향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150)는, 로터 부싱부(161a)와 맞물리는 제 2커플링부(153a)를 포함한다. 제 2커플링부(153a)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커플링부(153a)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한다. 제 2커플링부(153a)의 복수의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커플링부(153a)는 하측부(153)에 배치된다. 제 2커플링부(153a)는 하측부(153)의 원심 방향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150)는, 탈수축(131)과 일체로 회전되되 탈수축(131)을 따라 상하 방향의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플러(150)는 원심 반대 방향 부분에 탈수축(131)의 커플러 결합부(131a)와 결합하는 탈수축 결합부(155)를 형성한다. 커플러 결합부(131a)와 탈수축 결합부(155)는 서로 맞물리는 돌기선 및 홈을 형성한다. 커플러 결합부(131a)와 탈수축 결합부(155)의 상기 돌기선 및 홈은 상하로 연장된다. 커플러 결합부(131a)와 탈수축 결합부(155)는, 서로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맞물리면서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맞물린다.
제 1커플링부(151a)의 상단 및 제 2커플링부(153a)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스토핑 부싱부(170a)의 하단과 로터 부싱부(161a)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이에 따라, 제 1커플링부(151a)가 스토핑 부싱부(170a)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제 2커플링부(153a)가 로터 부싱부(161a)와 맞물린 상태 및 맞물리지 않은 상태 모두 가능해진다. 제 2커플링부(153a)가 로터 부싱부(161a)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제 1커플링부(151a)가 스토핑 부싱부(170a)와 맞물린 상태 및 맞물리지 않은 상태 모두 가능해진다.
커플러(150)는 조정 부재(181)의 누름부(181b)가 접촉되는 누름 대응부(157)를 포함한다. 커플러(150)의 회전시 누름 대응부(157)가 같이 회전되면서, 누름부(181b)는 누름 대응부(157)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누름 대응부(157)는 하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 대응부(157)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누름 대응부(157)는 상측부(151)와 하측부(153) 사이의 단차진 면을 형성한다. 누름 대응부(157)는 상측부(151)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누름 대응부(157)는 하측부(153)보다 원심 방향 측에 위치된다.
커플러(150)는 탄성 부재(185)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 대응부(159)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대응부(159)는 커플러(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대응부(159)는 커플러(150)가 상측으로 이동시 탄성 부재(185)를 가압한다. 탄성 부재 대응부(159)는 탄성 부재(185)의 복원력을 받게 된다. 탄성 부재 대응부(159)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부재 대응부(159)는 탈수축(1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스토핑 부재(170)는, 제 1커플링부(151a)와 맞물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 부싱부(170a)를 포함한다. 스토핑 부싱부(170a)는, 상측으로 함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한다.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제 1커플링부(151a)의 상기 복수의 돌기는 스토핑 부싱부(170a)의 상기 복수의 홈과 맞물린다.
고정 부재 결합부(170b)는 지지 부재(133)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스토핑 부재(170)는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된다.
회전 부재(160)는, 로터(130a)에 체결되는 로터 부싱 파트(161)와, 세탁축(132)에 체결되는 세탁축 결합 파트(16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 부싱 파트(161)와 세탁축 결합 파트(162)는 서로 체결된다. 로터 부싱 파트(161)는 세탁축 결합 파트(162)와 체결되는 파트 결합부(161c)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160)는, 제 2커플링부(153a)와 맞물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 부싱부(161a)를 포함한다. 로터 부싱부(161a)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한다. 상기 탈수 모드에서, 제 2커플링부(153b)의 상기 복수의 돌기는 로터 부싱부(161a)의 상기 복수의 홈과 맞물린다.
회전 부재(160)는 로터(130a)와 체결되는 로터 결합부(161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160)는 로터(130a)와 일체로 회전한다.
커플러 조정 모듈(180)은, 커플러(150)가 탈수축(131)에 대해 상하 방향 중 가압 방향(여기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 부재(181)를 포함한다. 커플러 조정 모듈(180)은 조정 부재(181)를 지지하는 조정 부재 지지부(183)를 포함한다. 커플러 조정 모듈(180)은, 커플러(150)가 탈수축(131)에 대해 상하 방향 중 복원 방향(여기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185)를 포함한다.
조정 부재(181)는, 커플러(150)가 상기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커플러(150)에 접촉된다. 조정 부재(181)는 커플러(15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눌러줄 수 있다. 조정 부재(181)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정 부재(181)는 상기 수평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클러치 축부(181c)를 포함한다. 클러치 축부(181c)는 조정 부재 지지부(183)에 의해 지지된다. 클러치 축부(181c)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클러치 축부(181c)는 조정 바디(181a)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조정 부재(181)는 클러치 축부(181c)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정 바디(181a)를 포함한다. 조정 바디(181a)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 부재(181)는 커플러(150)에 접촉되는 누름부(181b)를 포함한다. 조정 바디(181a)가 클러치 축부(181c)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누름부(181b)는 커플러(15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커플러(15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조정 부재 지지부(183)는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된다. 조정 부재 지지부(183)는 스토핑 부재(170)를 통해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정 부재 지지부(183)는 스토핑 부재(1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85)는 복원력에 의해 커플러(150)를 상기 복원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 부재(185)의 상단은 아우터 터브(110)에 고정된 탄성 부재 지지부(185a)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 부재(185)의 하단은 커플러(150)에 의해 지지된다. 커플러(15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85)는 압축되고, 커플러(1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85)는 복원 인장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181)의 누름부(181b)가 커플러(150)를 상측으로 가압하면 커플러(15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85)는 압축된다. 조정 부재(181)의 누름부(181b)가 상기 복원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85)는 복원력으로 커플러(15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커플러(15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정 부재(181)의 운동에 의해, 커플러(150)의 위치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수 모드에서 상기 자유 모드 또는 상기 펄세이터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펄세이터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조정 부재(181)의 운동 및 탄성 부재(185)의 복원력에 의해, 커플러(150)의 위치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상기 자유 모드 또는 상기 탈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탈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캐비닛 101 : 도어
110 : 아우터 터브 111 : 서스펜션 바
120 : 이너 터브 120a : 측벽부
121 : 베이스 121a : 라운드부
121a1 : 돌기부 122 : 펄세이터
122a : 회전판 122b : 중심돌기부
122c : 돌출부 122b1 : 요입홈
122b2 : 축지지홈 124 : 허브
125 : 발란서 130 : 구동 모터
130a : 로터 130b : 스테이터
131 : 탈수축 131a : 커플러 결합부
132 : 세탁축 133 : 지지 부재
133a : 제 1고정 파트 133b : 제 2고정 파트
133b1 : 스테이터 고정부 133h : 내부 공간
136 : 이너 터브 고정부 140 : 동력 전달부
141 : 기어 하우징 142 : 선기어
143 : 유성기어 144 : 캐리어
144a : 유성기어 연결축 145, : 링기어
146 : 펄세이터 연결축 148 : 동력전달캡
147a : 제1베어링 147b : 제2베어링
147c, : 제3베어링 150 : 커플러
151 : 상측부 151a : 제 1커플링부
153 : 하측부 153a : 제 2커플링부
155 : 탈수축 결합부 157 : 누름 대응부
159 : 탄성 부재 대응부 160 : 회전 부재
161 : 로터 부싱 파트 161a : 로터 부싱부
161b : 로터 결합부 161c : 파트 결합부
162 : 세탁축 결합 파트 170 : 스토핑 부재
170a : 스토핑 부싱부 170b : 고정 부재 결합부
180 : 커플러 조정 모듈 181 : 조정 부재
181a : 조정 바디 181b : 누름부
181c : 클러치 축부 183 : 조정 부재 지지부
185 : 탄성 부재 185a : 탄성 부재 지지부

Claims (15)

  1.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구동 모터;
    상기 로터에 고정되는 세탁축;
    상기 로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수축;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는 이너 터브;
    상기 이너 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축에 고정되는 펄세이터; 및
    ⅰ펄세이터 모드와, ⅱ탈수 모드 및 ⅲ자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러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상기 탈수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결합되되, 상기 탈수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플러 조정 모듈;
    상기 아우터 터브에 고정되고 상기 커플러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핑 부재; 및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상기 커플러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펄세이터 모드에서 상기 스토핑 부재에 구속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탈수 모드에서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고 상기 스토핑 부재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자유모드에서 상기 스토핑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지 않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로터의 회전이 일정한 상태에서도 상기 탈수축의 회전이 변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핑 부재에 구속되게 구비되고, 하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한과 상기 하한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스토핑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구속되지 않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부재는,
    상측으로 함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스토핑 부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로터 부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토핑 부싱부와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 1커플링부; 및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터 부싱부와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제 2커플링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플링부의 상단 및 상기 제 2커플링부의 하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토핑 부싱부의 하단과 상기 로터 부싱부의 상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삭제
  10. 세탁수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구동 모터;
    상기 로터에 고정되는 세탁축;
    상기 로터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수축;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수축에 고정되는 이너 터브;
    상기 세탁축이 연결되는 기어 모듈과, 상기 기어 모듈에 의해 상기 세탁축의 회전과 다른 회전을 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연결축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이너 터브 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에 고정되는 펄세이터; 및
    ⅰ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 또는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 모드와 ⅱ상기 탈수축을 상기 로터 및 상기 아우터 터브에 구속시키지 않는 자유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러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모듈은 상기 이너 터브와 펄세이터의 사이에 배치된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자유 모드에서 상기 세탁축의 회전력 중 일부를 상기 이너 터브에 전달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세탁축에 고정되어 상기 세탁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외주면에 맞물리고 자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유성기어 연결축이 고정되는 캐리어; 및
    내측이 상기 유성기어와 내접하며 맞물리는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과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터브와 일체로 회전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이너 터브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펄세이터 연결축과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20632A 2017-09-19 2017-09-19 세탁물 처리장치 KR10194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32A KR101949360B1 (ko) 2017-09-19 2017-09-19 세탁물 처리장치
AU2018335923A AU2018335923A1 (en) 2017-09-19 2018-09-19 Laundry treatment device
US16/648,848 US11624425B2 (en) 2017-09-19 2018-09-1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880074919.1A CN111356802B (zh) 2017-09-19 2018-09-19 洗涤物处理装置
PCT/KR2018/011028 WO2019059627A1 (ko) 2017-09-19 2018-09-19 세탁물 처리장치
AU2021282502A AU2021282502B2 (en) 2017-09-19 2021-12-0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32A KR101949360B1 (ko) 2017-09-19 2017-09-19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360B1 true KR101949360B1 (ko) 2019-02-18

Family

ID=6556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632A KR101949360B1 (ko) 2017-09-19 2017-09-19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24425B2 (ko)
KR (1) KR101949360B1 (ko)
CN (1) CN111356802B (ko)
AU (2) AU2018335923A1 (ko)
WO (1) WO2019059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4237B (zh) * 2019-06-27 2023-06-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CN113062083B (zh) * 2019-12-12 2023-11-03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407A (ko) * 2003-02-06 2004-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JP2006517126A (ja) * 2003-02-06 2006-07-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298A (ja) * 1997-12-15 1999-07-02 Toshiba Corp 永久磁石形モータの固定子鉄心及び永久磁石形モータ
KR100291779B1 (ko) * 1998-05-12 2001-06-01 윤종용 세탁기
JP3564318B2 (ja) 1999-03-29 2004-09-08 株式会社東芝 脱水兼用洗濯機
KR100777273B1 (ko) * 2001-06-12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US7089769B2 (en) * 2001-05-08 2006-08-15 Lg Electronics Inc. Direct drive washing machine
KR20020094590A (ko) 2001-06-12 2002-12-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정전기 방지회로
CN1316093C (zh) 2002-05-28 2007-05-16 海尔集团公司 一种搅拌式洗衣机
CN2558678Y (zh) 2002-06-20 2003-07-02 江门市机床厂有限公司 仿生搓动式洗衣机离合器
KR100615569B1 (ko) 2003-02-06 200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및 그 구동장치
KR100629742B1 (ko) 2003-02-06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CN2651284Y (zh) 2003-03-20 2004-10-27 宁国聚隆实业有限公司 全自动搓摆式超声波洗衣机
CN100375807C (zh) 2003-07-25 2008-03-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全自动洗衣机驱动装置
JP5027665B2 (ja) 2004-10-21 2012-09-19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1−ブテンポリマー及びこの調製方法
CN2858713Y (zh) 2005-11-11 2007-01-17 伍劲刚 不用洗涤剂的全自动超声波洗衣机
CN103628280B (zh) 2012-08-28 2016-07-06 宁波吉德电器有限公司 一种能够多种洗涤的全自动洗衣机
CN203866581U (zh) 2014-05-23 2014-10-08 浙江三星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波轮式全自动洗衣机的新型驱动装置
CN205099951U (zh) 2015-10-26 2016-03-23 陈苹 一种洗衣机波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407A (ko) * 2003-02-06 2004-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JP2006517126A (ja) * 2003-02-06 2006-07-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82502B2 (en) 2023-01-19
AU2018335923A1 (en) 2020-05-07
AU2021282502A1 (en) 2022-01-06
CN111356802A (zh) 2020-06-30
US11624425B2 (en) 2023-04-11
WO2019059627A1 (ko) 2019-03-28
CN111356802B (zh) 2023-08-04
US20200263340A1 (en)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966B1 (ko) 세탁기의 클러치 어셈블리
JP6345974B2 (ja) ドラム式洗濯機
AU2014305336B2 (en) Washing machine
EP2392716A1 (en) Pulsator device for washing machine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639721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56417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94936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30088638A (ko) 세탁기 구동부의 방진구조
CN110158273B (zh) 用于洗涤机的集成电机和齿轮箱驱动系统
KR101934655B1 (ko) 드럼 세탁기
KR20110044537A (ko) 세탁기와 그 밸런서
KR102009186B1 (ko) 드럼 세탁기
JP5469102B2 (ja) 洗濯機
KR101959872B1 (ko) 드럼 세탁기
JP2016106942A (ja) 洗濯機
WO2012114741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9042333A (ja) 洗濯機
JP6397218B2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8038009A1 (ja) 洗濯機
KR20070090402A (ko) 세탁기의 세탁조
KR100469250B1 (ko) 세탁기 구동부의 방진구조
JP6509503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807498B1 (ko)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JP2012143289A (ja) 洗濯機
KR20070090403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