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28B1 - 분말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328B1
KR101949328B1 KR1020110127100A KR20110127100A KR101949328B1 KR 101949328 B1 KR101949328 B1 KR 101949328B1 KR 1020110127100 A KR1020110127100 A KR 1020110127100A KR 20110127100 A KR20110127100 A KR 20110127100A KR 101949328 B1 KR101949328 B1 KR 10194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unit
discharge
water
fluoresce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829A (ko
Inventor
김준영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2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3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단을 통하여 분말(예를 들어, LED 제조에 사용되는 분말상의 형광물질 등)을 낙하시키는 토출유닛, 토출유닛의 토출작동 정지 시 분말 낙하위치에서 토출단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분말을 수거하는 수거대, 토출유닛의 토출작동 시 수거대가 분말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수거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거대 이동수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토출단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분말에 의한 고장,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분말을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분말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말 토출장치{Apparatus for Dispensing Powder}
본 발명은 분말(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LED)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말상의 형광물질 등)을 미리 설정된 양으로 토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물질(fluorescent material)을 이용하는 발광소자(발광다이오드 등)의 제조에는 분말상의 형광물질을 미리 설정된 양으로 정확히 제공하기 위하여 분말 토출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말 토출장치가 도시된 부분단면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토출장치는 토출유닛(100)을 포함한다. 토출유닛(100)은 형광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10), 저장용기(110)로부터 형광물질을 공급받아 횡방향으로 이송하는 리니어피더(linear feeder)(120),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형광물질을 리니어피더(120)에 의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수단(130)으로 구성된다. 리니어피더(120)는 형광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121)를 가져서, 이송로(121) 상의 형광물질은 진동발생수단(130)으로부터의 진동에 의하여 이송로(121)를 따라 이송로(121)의 선단 측으로 이송된다. 리니어피더(120)는 이송로(121)의 선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이송로(121)를 따라 이송되는 형광물질은 이송로(121)의 개방된 선단을 통하여 낙하된다. 즉, 이송로(121)의 개방된 선단을 터진 선단을 형광물질이 토출되는 토출단(122)으로 한 것이다.
토출단(122)으로부터의 형광물질 토출은 진동발생수단(130)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중단되고, 이송로(121)를 따라 이송되던 형광물질은 토출단(122) 측을 비롯한 이송로(121)의 전반에 그대로 남게 된다. 따라서, 진동발생수단(130)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일지라도, 토출단(122) 측 형광물질은 의도하지 않게 토출될 수 있다. 특히, 형광물질이 수분으로 인하여 약간 굳으면서 토출단(122) 측에 불안정한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형광물질이 의도하지 않게 토출될 소지는 더욱 커진다.(도 2 참조) 물론, 이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형광물질 토출현상은 장치의 고장, 오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출단을 통하여 의도하지 않게 토출, 낙하되는 분말을 수거할 수 있는 형광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단을 가지며, 상기 토출단을 통하여 분말을 낙하시키는 분말 토출유닛; 상기 토출단 하측의 분말 낙하위치에서 상기 토출단으로부터 낙하되는 분말을 수거하는 분말 수거대; 및 상기 분말 수거대를 이동시키는 수거대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분말 토출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거대 이동수단은 상기 분말 수거대가 상기 분말 낙하위치에 위치되거나 상기 분말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분말 수거대를 선형 이동시키거나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 토출유닛의 토출작동 시에는 분말 수거대를 토출단으로부터의 분말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위치시킬 수 있고, 분말 토출유닛의 토출작동 정지 시에는 분말 수거대를 낙하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토출작동 정지 시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분말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어 단순히 버려졌던 분말을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말 토출장치를 옆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를 옆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의 수거대 및 그 이동수단에 대한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를 옆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는 분말의 종류에 특별히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토출대상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양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는 형광물질을 이용하는 발광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분말상 형광물질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리드프레임(lead frame)에 반도체칩이 탑재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금형에 분말상 수지를 공급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는 분말 공급이 요구되는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나, 여기에서는 형광물질을 이용하는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데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발광소자 제조를 위한 형광물질 혼합공정은 계량용기에 여러 종류의 형광물질을 미리 설정된 양으로 각각 담는 단계 이후, 계량용기에 담긴 형광물질을 교반에 의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계량용기에 형광물질을 담는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가 사용된다.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를 위해서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에 반도체칩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반도체칩을 탑재한 다음, 리드프레임과 반도체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몰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몰딩방법 중 하나가 바로 금형 내에 수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평면도 및 옆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는 분말상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분말 토출유닛(20)을 포함한다. 분말 토출유닛(20)은 동일한 종류의 형광물질을 서로 다른 양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단위 토출유닛(20A,20B)으로 구성되고, 단위 토출유닛(20A,20B)들은 베이스(10) 상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단위 토출유닛(20A,20B)은 2개 구비되는데, 하나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으로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대량 토출유닛(20A)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소량 토출유닛(20B)이다. 이러한 대량 및 소량 토출유닛(20A,20B)은 둘 모두 토출단(도 5, 7의 도면부호 223A, 223B 참조)을 가지고, 이 토출단을 통하여 형광물질을 낙하시킨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발광소자 제조를 위한 형광물질을 분말 토출유닛(20)으로부터 제공받는 계량용기는 컨베이어 등의 운반수단에 의하여 토출단 하측, 즉 형광물질이 낙하되는 각각의 낙하위치(도 5, 7의 P1, P2)를 경유한 후, 다른 분말 토출장치에 의하여 다른 종류의 형광물질을 제공받기 위하여 다음 낙하위치로 이동되거나 형광물질 교반을 위한 다음 단계로 이동된다. 이 때, 계량용기는 대량 토출유닛(20A)으로부터의 형광물질 낙하위치(도 5, 7의 P1)에 먼저 위치된 다음, 소형 토출유닛(20B)으로부터의 형광물질 낙하위치(도 5, 7의 P2)로 이동하여 위치된다. 형광물질은 계량용기에 대량 토출유닛(20A)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대부분이 담기고 나서, 소량 토출유닛(20B)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나머지가 담긴다. 참고로, 제1실시예가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는 데 적용된 경우, 계량용기는 몰딩을 위한 금형으로, 형광물질은 몰딩을 위한 수지로 각각 대체된다.
제1실시예는 각 토출단(도 5, 7의 도면부호 223A, 223B 참조)의 하측인 각각의 낙하위치(도 5, 7의 P1, P2)에서 토출단을 통하여 의도하지 않게 낙하되는 형광물질을 각각 수거하기 위한 수거대(30A,30B), 이들 수거대(30A,30B)가 낙하위치(도 5, 7의 P1, P2)에 위치되거나 이 낙하위치(도 5, 7의 P1, P2)로부터 벗어나도록 수거대(30A,30B)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수거대 이동수단(4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량 토출유닛(20A)은 내부에 형광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210A), 저장용기(210A)로부터 형광물질을 공급받아 전방(도 3, 4의 A방향 참조)으로 이송하는 리니어피더(220A), 저장용기(210A)에 저장된 형광물질을 리니어피더(220A)에 의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수단(230A)을 포함한다. 저장용기(210A)의 하부에는 형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11A)가 마련되고, 배출구(211A)에는 리니어피더(220A)가 연결된다.
리니어피더(220A)는 기다란 피더 바디(221A)를 포함하고, 피더 바디(220A)는 저장용기(210A)의 배출구(211A)와 연통되어 배출구(211A)로부터의 형광물질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로(222A)를 가진다. 이 이송로(222A)는 피더 바디(220A)의 상부에 피더 바디(220A)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일정한 깊이와 너비의 홈으로 구성된다. 이송로(222A)를 통하여 형광물질을 원활히 이송하기 위하여, 피더 바디(220A)는 전방을 향하는 선단 측 위치가 반대쪽보다 약간 낮도록 일정한 각도 경사지게 배치하여 이송로(222A)가 전방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송로(222A) 자체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피더 바디(220A)에는 이송로(222A)의 선단 측과 연통하는 토출구(223A)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광물질은 이송로(222A)를 따라 이송되다가 토출구(223A)를 통하여 낙하된다. 이에 의하면, 대량 토출유닛(20A)의 토출단은 토출구(223A) 끝이 된다. 피더 바디(220A)의 상부에는 이송로(222A)를 구성하는 홈을 덮어서 차폐하는 이송로 커버(225A)가 결합된다.
진동발생수단(230A)은 저장용기(210A)와 리니어피더(220A)의 하부에 걸쳐 연결된 가동부재(231A), 가동부재(231A)를 전후방향(도 3, 4의 A-B방향 참조)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232A), 가동부재(231A)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도록 가동부재(231A)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원(236A)을 포함한다. 이 때, 가동부재(231A)는 리니어피더(220A)의 하부에 한하여 연결될 수 있다.
지지수단(232A)은 가동부재(231A)의 하측에 가동부재(231A)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10) 상에 장착된 고정부재(233A), 고정부재(233A)와 가동부재(231A)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234A)를 포함한다. 구동원(236A)은 고정부재(233A)와 가동부재(231A) 사이에서 고정부재(233A)에 장착된 고정자(237A), 고정부재(233A)와 가동부재(231A) 사이에서 가동부재(231A)에 고정자(237A)와 대향하도록 장착된 가동자(238A)를 포함한다. 가동자(238A)는 고정자(237A)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고정자(237A)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 고정자(237A)에 대하여 접근되었다 이격되었다 한다.
도 5에서, 도면부호 235A는 가동부재(231A)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인데, 가이드(235A)는 가동부재(231A)를 탄성부재(234A)만으로도 정확하게 운동(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탄성부재(234A)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여러 형태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 중 하나는 자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고,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 중 다른 하나는 전자석일 수 있다. 또는,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는 모두 전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에 의하면,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 사이에는 인력과 척력이 발생된다.
도 5와 같이 가동자(238A)가 고정자(237A)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면, 가동부재(231A)는 후방(도 3, 4의 B방향 참조)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면, 가동부재(231A)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고정자(237A)와 가동자(238A) 사이의 인력과 척력에 의하면, 가동부재(231A)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서 이송로(222A) 상의 형광물질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인력과 척력은 둘 모두가 이용되지 않고 어느 하나만 이용되고, 원위치로의 복귀에는 탄성부재(234A)의 복원력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이송로(222A) 상의 형광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진동을 고정자(237A), 가동자(238A) 등에 의하여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진동발생수단(230A)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 볼스크루장치, 리니어모터와 같이 가동부재(231A)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타입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소량 토출유닛(20B)은 대량 토출유닛(20A)과 비교하여 볼 때 이송로(222B)와 토출구(223B)의 크기가 대량 토출유닛(20A)의 그것에 비하여 작아서 형광물질이 상대적으로 소량으로 토출된다는 점만이 상이할 뿐, 기타 구성은 동일하다. 즉, 소량 토출유닛(20B) 또한 저장용기(210B), 피더 바디(221B)와 이송로 커버(225B)를 가지는 리니어피더(220B), 진동발생수단(230B)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량 토출유닛(20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거대 이동수단(40)에 의하여 전후방향(도 3, 4의 A-B방향 참조)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수거대(30A,30B)들은, 전방으로 이동된 때에는 토출구(223A,223B)로부터의 형광물질 낙하위치(도 5, 7의 P1, P2)에 각각 위치되고, 이와 반대로 후방(도 3, 4의 B방향)으로 이동된 때에는 낙하위치(도 5, 7의 P1,P2)로부터 벗어난다. 이러한 수거대(30A,30B)들은 전방 측 높이가 후방 측에 비하여 높도록 일정한 각도 경사져서, 토출구(223A,223B)로부터의 형광물질을 받는 수거대(30A,30B)의 수거면 또한 전방 측 높이가 후방에 비하여 높은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수거면에 낙하되는 토출구(223A,223B)로부터의 형광물질은 경사면인 수거면을 따라 구르거나 미끄러져 내려간다. 경사면인 수거면을 따라 내려가는 형광물질이 수거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거대(30A,30B)는 수거면이 U자형, V자형과 같이 양쪽에 측벽이 마련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대(30A,30B)들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낙하위치(도 5, 7의 P1, P2)로부터 벗어난 때, 경사진 수거대(30A,30B)들의 하단 측에는 경사면인 수거면을 따라 내려오는 형광물질을 받아 모으는 수집용기(50A,50B)가 각각 배치된다.
수거대 이동수단(40)은 수거대(30A,30B)들을 연결하는 연결대(41) 및 이 연결대(4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수거대(30A,30B)들을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42)를 포함한다. 수거대 이동수단(40)은 대량 토출유닛(20A)과 소량 토출유닛(20B) 사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0) 상에 장착된다. 수거대 이동수단(40)의 실린더(42)로는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실린더(42) 대신에 리니어모터, 볼스크루장치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모터 및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연결대(4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는 타입이 적용될 수도 있다.
수거대(30A,30B) 및 수거대 이동수단(40)의 작동상태가 도 6,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참조하여 수거대(30A,30B) 및 수거대 이동수단(4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량 토출유닛(20A)으로부터의 형광물질 낙하위치(P1)나 소형 토출유닛(20B)으로부터의 형광물질 낙하위치(P2)에 위치된 계량용기에 형광물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량 토출유닛(20A)이나 소형 토출유닛(20B)의 토출작동 시(즉, 진동발생수단을 작동시킬 때)에는 도 7과 같이 수거대(30A,30B)들이 후방(B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420)를 작동시킨다. 이 때, 수거대(30A,30B)들은 낙하위치(P1,P2)로부터 벗어나고, 토출구(223A,223B)를 통하여 토출되어 낙하하는 형광물질은 계량용기에 공급되어 계량용기에 담긴다.
계량용기에 형광물질이 미리 설정된 양으로 공급되어서 분말 토출유닛(20)의 토출작동이 정지된 때에는 도 6과 같이 수거대(30A,30B)들이 전방(A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420)를 작동시킨다. 이 때, 낙하위치(P1,P2)로부터 벗어나 있던 수거대(30A,30B)들은 낙하위치(P1,P2)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형광물질이 토출구(223A,223B)를 통하여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면, 의도하지 않게 토출된 형광물질은 수거대(30A,30B)에 낙하되어 경사면인 수거대(30A,30B)의 수거면을 따라 구르거나 미끄러져 내려간 후, 수집용기(50A,50B)에 수집된다. 이에, 제1실시예는 의도하지 않게 토출되는 형광물질을 수거, 재사용할 수 있다.
도 3, 5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5는 방진유닛이다. 대량 및 소량 토출유닛(20A,20B)에서는 토출작동 시 소정의 진동이 발생되므로, 대량 토출유닛(20A)과 소량 토출유닛(20B)은 둘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0)와의 사이에 방진유닛(15)을 두고 장착된다. 방진유닛(15)으로는 고무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와 같이 진동에 대한 흡수성이 있는 부재, 공압식이나 유압식의 댐퍼, 내부에 기체나 유체나 수용된 밀폐튜브, 스프링 등 대량 토출유닛(20A)과 소량 토출유닛(20B) 간 진동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옆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말 토출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수거대(30A,30B)들이 회전 이동하여 낙하위치(도 5, 7, 9의 도면부호 P1, P2 참조)에 위치되었다 낙하위치에서 벗어났다 하도록 구성된 점만이 상이하다. 즉, 수거대(30A,30B)들이 선형 이동하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는 수거대(30A,30B)가 회전 이동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실시예는 수거대(30A,30B)들 사이에서 수거대(30A,30B)들을 연결하는 연결대(4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회전지지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회전지지유닛(60)은 연결대(4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 상태로 베이스(10) 상에 장착된다. 회전지지유닛(60)에 의하면, 수거대(30A,30B)들은 연결대(4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므로, 이 연결대(410)는 수거대(30A,30B)들이 회전방향에 따라 낙하위치에 위치되었다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났다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거대(30A,30B)들이 낙하위치에 위치된 때 수거대(30A,30B)들의 전방 측 높이가 후방 측에 비하여 높도록 일정한 각도 경사져 있을 수 있게 배치된다.
연결대(410)를 회전시켜 수거대(30A,30B)들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거대 이동수단(40-1)은 연결대(410)에 장착된 피니언(431), 피니언(431)과 맞물린 상태로 전후방향(도 3, 4의 A-B방향 참조)으로 배치된 래크(432), 래크(43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433)를 포함한다. 실린더(433)는
이에 따르면, 래크(432)는 실린더(433)의 작동에 따라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되고, 래크(432)와 맞물린 피니언(431)은 래크(432)의 이동방향에 따라 한쪽이나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피니언(431)이 장착된 연결대(410) 및 연결대(410)에 수거대(30A,30B)들은 피니언(43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수거대(30A,30B)들은 회전방향에 따라 낙하위치에 위치되거나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된다.
한편, 수거대 이동수단(40-1)에서, 수거대(30A,30B)의 회전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인 실린더(433) 및 동력원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수거대(30A,30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인 피니언(431)과 래크(432)는 리니어모터, 볼스크루장치, 양단이 베이스(10)와 연결대(4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 등 수거대(30A,30B)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 5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5는 방진유닛이다. 대량 및 소량 토출유닛(20A,20B)에서는 토출작동 시 소정의 진동이 발생되므로, 대량 토출유닛(20A)과 소량 토출유닛(20B)은 둘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0)와의 사이에 방진유닛(15)을 두고 장착된다. 방진유닛(15)으로는 고무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와 같이 진동에 대한 흡수성이 있는 부재, 공압식이나 유압식의 댐퍼, 내부에 기체나 유체나 수용된 밀폐튜브, 스프링 등 대량 토출유닛(20A)과 소량 토출유닛(20B) 간 진동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분말 토출유닛(20)이 단위 토출유닛(20A,20B)을 두 개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분말 토출유닛(20)이 구비하는 단위 토출유닛(20A,20B)의 개수는 분말 종류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일례로는 분말 토출유닛(20)을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수거대(30A,30B)들은 동시에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거대(30A,30B)들의 이동은 각각 별도의 수거대 이동수단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거대(30A,30B)들의 회전이동은 수거대(30A,30B) 전체가 회전되는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거대(30A,30B)들은 낙하되는 분말(형광물질)을 직접적으로 받는 제1부분 및 이렇게 받은 분말을 수집용기(50A,50B) 측으로 배출하는 제2부분으로 분할하되, 제2부분에 제1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1부분만을 낙하위치(P1,P2)에 위치되었다 낙하위치(P1,P2)로부터 벗어났다 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20 : 분말 토출유닛
223A, 223B : 토출구
30A, 30B : 수거대
40, 40-1 : 수거대 이동수단
50A, 50B : 수집용기
60 : 회전지지유닛

Claims (5)

  1. 분말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분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그 선단에 분말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갖는 리니어피더;
    상기 리니어피더를 진동시켜 분말을 상기 리니어피더를 따라 이송시켜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진동발생수단;
    상기 진동발생수단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토출구로부터의 분말의 낙하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낙하되는 분말을 수거하는 수거대; 및
    상기 수거대를 상기 낙하위치 및 상기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거대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분말 토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발광소자 제조를 위한 형광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토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대 이동수단은 상기 수거대를 상기 낙하위치 및 상기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토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대 이동수단은,
    상기 수거대가 회전이동에 의하여 상기 낙하위치에 위치되었다 상기 낙하위치로부터 벗어났다 할 수 있게 상기 수거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유닛; 및,
    상기 회전지지유닛이 지지하는 상기 수거대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분말 토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대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받는 수집용기를 더 포함하는 분말 토출장치.
KR1020110127100A 2011-11-30 2011-11-30 분말 토출장치 KR10194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100A KR101949328B1 (ko) 2011-11-30 2011-11-30 분말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100A KR101949328B1 (ko) 2011-11-30 2011-11-30 분말 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829A KR20130060829A (ko) 2013-06-10
KR101949328B1 true KR101949328B1 (ko) 2019-02-20

Family

ID=4885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100A KR101949328B1 (ko) 2011-11-30 2011-11-30 분말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3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806A (ja) * 2003-12-24 2005-07-07 Minoru Industrial Co Ltd 土回収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806A (ja) * 2003-12-24 2005-07-07 Minoru Industrial Co Ltd 土回収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829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61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material, especially in micro quantities and in combination with limited starting amounts
KR960010751B1 (ko) 약제 공급장치
KR101534118B1 (ko)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그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US7897111B2 (en) Pipetting device
JP2006232357A (ja) 錠剤充填装置
RU201114070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объектов в материалах стержня фильтра
US8469237B2 (en) Dispensing device for dosage of powdered material
JP2006109854A (ja) 振動排出カセット
CN101495219B (zh) 用于使粉末均匀化的装置
CN101461760B (zh) 振动式胶囊自动调头加料机构
KR101949328B1 (ko) 분말 토출장치
JP5436551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投入装置
CN107719761B (zh) 塑料管切割堆叠机
JP2011084287A (ja) 簡易型カプセル計数機
KR20180106043A (ko) 서랍식 카트리지 데크 및 이를 구비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AU2006200032A1 (en) Analyzer having fluid storage and injection mechanism and vibration mixer
WO2015141431A1 (ja) 計量分配装置
JP2011254011A (ja) 導電性ボール供給装置
KR200326388Y1 (ko) 분상체용 포장기계의 분배 투입장치
EP2537764B1 (en) Screwing assembly for screwing closing plugs onto syringes
CN112776241B (zh) 树脂材料供给装置、树脂成形装置及成形品的制造方法
KR101139798B1 (ko) 상토충전용 연질포트 공급장치
US740735A (en) Filling-machine.
JP7021616B2 (ja) 試料搬送装置
CN218370555U (zh) 一种装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