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739B1 -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39B1
KR101948739B1 KR1020170047563A KR20170047563A KR101948739B1 KR 101948739 B1 KR101948739 B1 KR 101948739B1 KR 1020170047563 A KR1020170047563 A KR 1020170047563A KR 20170047563 A KR20170047563 A KR 20170047563A KR 101948739 B1 KR101948739 B1 KR 10194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k
fat layer
fat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178A (ko
Inventor
서용동
Original Assignee
서용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동 filed Critical 서용동
Priority to KR102017004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2Apparatus for holding meat or bones whil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돼지고기를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돼지고기 안착단계; 지지부에 안착된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지지부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공부를 이용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고정부는 지지부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하며, 가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칼날을 구비하며, 플렉시블 칼날이 회전구동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살코기를 획득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 및 가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Method for removing fat lay of pig}
본 발명은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살코기를 획득할 수 있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고기는 일반적으로 지방층이 매우 두꺼운 편이기 때문에 유통전에 지방층과 돈모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제거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돼지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층(1), 막층(2) 및 근육(3, 살코기)이 겉 표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강도는 지방층(1) 4, 막(2) 7 ~ 8 및 근육(3) 6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돼지고기의 특성상 지방층(1)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막(2)이 제거되지 않는 강도의 칼날과 작업자의 숙련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돼지고기에 가해지는 압력은 칼날의 강도와 작업자의 작업 압력에 따라 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칼을 파지한 상태에서 수작업을 통해서 돼지고기에 전달되는 강도를 조절하며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의 숙련도만으로 돼지고기에 전달되는 강도를 조절하면서 지방층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작업자의 컨디션에 따라서도 매우 많은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서 지방층을 제거할 때에 강도 조절에 실패하여 막층을 포함한 근육(살코기)을 함께 제거하게 되면 돼지고기의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강도 조절에 집중하다가 작업자가 칼에 베어서 다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5997호, 2015년 07월 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돼지고기의 살코기를 획득할 수 있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은 돼지고기를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돼지고기 안착단계; 지지부에 안착된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지지부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공부를 이용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고정부는 지지부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하며, 가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칼날을 구비하며, 플렉시블 칼날이 회전구동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은 돼지고기를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지지부에 안착된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지지부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공부를 이용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고정부는 지지부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되어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하며, 가공부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줄톱을 구비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한다.
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돼지고기 고정단계 후에, 돼지고기의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지방층 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살코기를 획득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 및 가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돼지고기의 단면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플렉시블 칼날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작동상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작동상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은 안착단계(S100), 고정단계(S200) 및 지방층 제거단계(S300)를 포함한다.
안착단계(S100)는 돼지고기를 지지부(100)에 안착하는 단계이다. 돼지고기(P)는 크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돼지고기(P)의 중심이 대략적으로 지지부(100)의 중심축(C)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10)는 돼지고기를 안착시켜, 작업자에게 소정의 작업높이를 제공해 준다. 지지부(110)는 작업자의 허리 높이를 고려하여 상하로 승강구동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10)의 상면은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비산 방지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비산 방지부(111)는 지지부(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공부(130)를 통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때에 지방층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비산 방지부(111)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어 지방층이 제거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시킬 수 있으며, 가공부(13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확인할 수 있다.
고정단계(S200)는 지지부(100)에 안착된 돼지고기(P)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20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한다.
슬라이딩 고정부(120)는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지지부(100)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동하여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동부(121), 돌기부(122) 및 초음파 센서(123)를 구비한다.
이동부(121)는 지지부(110)의 상측면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즉, 한 쌍의 이동부(122)는 돼지고기의 고정을 위해서 돼지고기를 향하여 좁아지거나, 돼지고기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돼지고기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한다. 이동부(121)는 모터구동에 의해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돌기부(122)는 이동부(121)의 돼지고기와 접촉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돼지고기의 접촉면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돼지고기에 밀착되면서 소정깊이 삽입된다.
돌기부(122)를 통하여 슬라이딩 고정부(120) 사이에 고정된 돼지고기는 지방층 제거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 돼지고기가 슬라이딩에 의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고정부(12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고정부(120)는 이동부(122)의 돌기부(121)가 소정깊이 돼지고기에 삽입될 때에,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동부(122)의 이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돼지고기를 고정 시키도록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이동이나 고정 강도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
초음파 센서(123)는 지지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이동부(122)의 거리를 센싱한다. 즉, 초음파 센서(12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가공부(130)의 서로 이웃하는 거기를 측정한다. 초음파 센서(123)를 통하여 측정된 거리는 돼지고기의 가공시 가공부(130)의 일방향 가공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지방층 제거단계(S300)는 지지부(100)의 상측면에 이격 배치된 가공부를 이용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가공부(130)는 지지부(100)의 상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되고, 돼지고기의 상측면에 형성된 지방층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 칼날(131), 회전체(132), 구동모터(133), 승강구동부(134) 및 압력센서(135)를 구비할 수 있다.
플렉시블 칼날(13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압력센서(135)를 통해 센싱되는 값에 따라 승강구동부(134)의 구동을 통하여 상하구동하여 높이를 조절하면서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게 된다.
플렉시블 칼날(131)은 둘레 외주면을 따라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칼날(131)은 양날로 형성됨으로써 구동모터(133)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수 있다.
플렉시블 칼날(131)은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수 있으나 돼지고기의 막은 제거할 수 없는 강도로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칼날(131)이 돼지고기의 막과 접촉이 이루어지면, 플렉시블 칼날(131)에 전달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압력센서(135)는 이를 센싱할 수 있다.
회전체(132)의 일단은 플렉시블 칼날(131)과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133)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33)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플렉시블 칼날(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체(132) 내부에는 압력센서(135)가 구비된다.
구동모터(133)는 회전체(132)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회전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134)는 압력센서(135)의 센싱에 따라 플렉시블 칼날(131)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때에 플렉시블 칼날(131), 회전체(132) 및 구동모터(133)의 높낮이를 조정되도록 한다.
압력센서(135)는 회전체(132)의 내측에 마련되며, 플렉시블 칼날(131)의 회전 구동에 따라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때 전달되는 압력을 센싱한다. 이때, 압력센서(135)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탄성체로 전달되는 압축력에 따른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압력센서(135)로부터 센싱되는 값에 따라 가공부(130)를 제어한다. 이때, 설정된 압력 이상이 검출되면, 제어부(140)는 지방층을 제거하고 있는 현재 돼지고기의 위치에서 지방층의 제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막층이 노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가공부(130)의 위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돼지고기의 지방층 제거 작동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고정된 영역에 따라 가공부(130)의 좌우방향 이동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지부(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초음파센서(122)를 통해서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서로 이웃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좌우방향 이동영역을 설정한다.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서로 이웃하는 거리(L1)는 가공부(130)의 일방향 이동거리가 되며, 제어부(140)는 초음파 센서(122)를 통해 센싱된 거리(L1)를 바탕으로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일방향 이동영역을 설정하게 된다.
지방층 제거단계(S300)에서 제어부(140)는 일방향(L1)에 직교하는 거리(L2)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시작점(A)을 지정하여 주면, 지지부(110)의 중심(C)에 대한 대칭인 지점(B)을 가공부(130)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시작점(A)에서 종료점(B) 까지 가공부(130)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시켜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상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의 가공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은 안착단계(S100), 고정단계(S200), 지방층 제거단계(S300)를 포함한다.
안착단계(S100)는 돼지고기를 지지부(200)에 안착하는 단계이다. 돼지고기(P)는 크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돼지고기(P)의 중심이 대략적으로 지지부(100)의 중심축(C)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10)는 전술한 지지부(110)와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고정단계(S200)는 지지부(210)에 안착된 돼지고기(P)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20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한다. 슬라이딩 고정부(22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지방층 측정단계(S301)는 돼지고기의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하며, 지방층 제거단계(S302)는 지지부(210)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공부(230)를 이용하여 측정된 지방층의 두께에 따라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가공부(230)는 지지부(200)의 상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돼지고기의 상측면에 형성된 지방층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고정부(231), 지지판(232), 줄톱(233), 줄톱 길이조정부(234), 초음파 센서모듈(235), 각도조절부(136) 및 승강 구동부(237)를 구비한다.
한 쌍의 고정부(23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지지판(232)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서로 이웃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231)의 종단에 인접한 위치 각각에는 홀이 형성되고 형성된 홀을 따라 줄톱(233)이 관통하여 배치된다.
줄톱(233)은 한 쌍의 고정부(231)에 결합되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줄톱(233)은 고정부(231)가 지지판(232)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 그에 대응되도록 줄톱 길이조정부(234)를 통하여 길이가 조정된다.
줄톱 길이조정부(234)는 권취부(2341) 및 방향전환부(2342)를 구비한다. 권취부(2341)가 줄톱(233)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리면서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231)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조정할 때, 방향전환부(2341)는 고정부(231)의 종단 외측에 배치되어 줄톱(233)의 이동방향을 변경시켜 줄톱(233)이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모듈(235)은 한 쌍의 고정부(231)의 각각의 종단에 배치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돼지고기의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방층의 두께를 센싱 한다.
각도조절부(236)는 지지판(232)의 상측에 결합되며, 초음파 센서모듈(235)을 통해서 측정된 돼지고기의 지방층 두께에 따라 가공부(23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를 통해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237)는 초음파 센서모듈(235)의 센싱에 따라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때에 줄톱(233)의 높낮이를 조정한다.
제어부(240)는 초음파 센서모듈(235)을 통해 센싱된 돼지고기 지방층의 두께에 따라 가공부(230)를 제어한다. 초음파 센서모듈(235)을 통해서 좌측과 우측에 지방층의 두께가 센싱되면, 그 지방층을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각도로 가공부(230)를 회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돼지고기의 우측영역에서 센싱된 지방층(1)의 두께가 좌측영역의 두께보다 큰 경우에는, 가공부(230)를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시켜 우측영역에 있는 돼지고기의 지방층이 먼저 제거되도록 가공부를 일방향(a1)을 이동하면서 지방층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초음파 센서모듈(235)은 다시 돼지고기의 지방층 두께를 센싱하여 가공부(230)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 지방층이 제거되도록 일방향(a2)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는 가공부(230)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지그재그로 이동할 때에, 돼지고기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240)는 지지부(2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초음파센서(223)를 통해서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서로 이웃하는 거리(L1)를 통하여 슬라이딩 고정부(120)의 고정된 영역에 따라 가공부(130)의 좌우방향 이동 영역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일방향(L1)에 직교하는제2 이동거리(L2)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시작점(A)을 지정하여 주면, 지지부(210)의 중심(C)에 대한 대칭인 지점(B)을 가공부(130)의 이동거리(L2)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시작점(A)에서 종료점(B) 까지 가공부(230)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시켜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돼지고기의 지방층 제거를 위해서 가공부(230)의 좌우방향의 이동영역을 설정하거나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은 가공부(130)의 좌우방향의 이동영역을 설정하거나 조작할 필요가 없다. 돼지고기의 지방층이 정상적으로 제거되는 지를 확인하면서 가공부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방층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방층 제거시 압력을 센싱한 값을 기준으로 가공부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숙련자 또는 초심자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지방층이 제거된 돼지고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210 : 지지부 111, 211 : 비산방지부
120, 220 : 슬라이딩 고정부 121, 221 : 이동부
122, 222 : 돌기부 123, 223 : 초음파 센서
130, 230 : 가공부 131 : 플렉시블 칼날
132 : 회전체 133 : 구동모터
134 : 승강구동부 135 : 압력센서
140, 240 : 제어부 231 : 고정부
232 :지지판 233 : 줄톱
234 : 길이조정부 235 : 초음파 센서모듈
236 : 각도조절부 237 : 승강 구동부

Claims (3)

  1.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에 있어서,
    돼지고기를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공부를 이용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지방층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돼지고기를 향하여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하는 이동부, 돼지고기의 접촉면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돼지고기에 밀착되면서 소정깊이 삽입되는 돌기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동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가공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칼날, 일단이 상기 플렉시블 칼날과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통해 상기 플렉시블 칼날을 회전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플렉시블 칼날의 회전 구동에 따라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할 때 전달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감지되면, 지방층을 제거하고 있는 현재 돼지고기의 위치에서 지방층이 제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딩 고정부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가공부의 좌우방향 이동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2.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에 있어서,
    돼지고기를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슬라이딩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돼지고기를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배치된 가공부를 이용하여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및
    상기 돼지고기 고정단계 후에 상기 돼지고기의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지방층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돼지고기를 향하여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구동하는 이동부, 돼지고기의 접촉면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돼지고기에 밀착되면서 소정깊이 삽입되는 돌기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동부의 거리를 측정하는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가공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지지판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서로 이웃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돼지고기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결합되어 돼지고기의 지방층을 제거하는 줄톱, 상기 줄톱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이면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조정하는 권취부와 상기 고정부의 종단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줄톱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를 구비하는 줄톱 길이조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각각의 종단에 배치되어 돼지고기의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방층의 두께를 센싱 하는 초음파 센서모듈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된 돼지고기 지방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가공부의 기울기를 변경시키고, 상기 초음파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딩 고정부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가공부의 좌우방향 이동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3. 삭제
KR1020170047563A 2017-04-12 2017-04-12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KR10194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63A KR101948739B1 (ko) 2017-04-12 2017-04-12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63A KR101948739B1 (ko) 2017-04-12 2017-04-12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78A KR20180115178A (ko) 2018-10-22
KR101948739B1 true KR101948739B1 (ko) 2019-02-15

Family

ID=6410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63A KR101948739B1 (ko) 2017-04-12 2017-04-12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39Y1 (ko) 2001-01-11 2001-06-15 박상오 돈피제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39Y1 (ko) 2001-01-11 2001-06-15 박상오 돈피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78A (ko)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071B1 (ko) 어깨 관절용 재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EP3703570B1 (en) Mammography apparatus and method of pressurizing a breast
BR112014014628B1 (pt) dispositivo e método de seccionamento de amostra
RU265351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устройств с рабочим инструментом и моторизова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подачи
US9555276B2 (en)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having lateral entry mechanism and lateral entry method using the same
WO2003043077A1 (fr) Procede et appareil de positionnement de plaquette, systeme de traitement et procede de positionnement de l'axe du siege de plaquette d'un appareil de positionnement de plaquette
ES2965849T3 (es) Aparato tensor de láminas superpuestas
KR101948739B1 (ko)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방법
KR101965394B1 (ko)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
KR101965399B1 (ko) 육가공 공정의 지방층 제거 장치
JP4820962B2 (ja) 皮付き部分肉の剥皮方法及び装置、及びカッタ装置
US6058806A (en) Automatic chain saw sharpener
KR101597949B1 (ko) 절삭가공장치의 절삭가공용 공작물 고정베이스 회전장치
US9962780B2 (en) Band saw machine with starting cutting position control and contorl method thereof
EP1746028B1 (en) Automatic device for feeding plastic film for packaging machines
KR101640494B1 (ko) 기능성 선풍기
KR20190039190A (ko) 전기 띠톱 장치
KR102145231B1 (ko) 고기류 정량절단기
KR101449980B1 (ko) 경사를 갖는 선박용 밸브의 밸브시트 연마 회전장치
KR101948747B1 (ko) 육가공 자동화 처리 시스템
KR101857871B1 (ko) 코일용 온도보상장치
JP3924640B2 (ja) 枝払昇降機
JP2006212759A (ja) ベルトスリーブの走行線制御方法、及びベルトスリーブの走行線制御装置
KR102652338B1 (ko) 육류 유형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육류 절단 장치
JP6964684B2 (ja) 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