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258B1 - 에어컨 청소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컨 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258B1
KR101948258B1 KR1020180066039A KR20180066039A KR101948258B1 KR 101948258 B1 KR101948258 B1 KR 101948258B1 KR 1020180066039 A KR1020180066039 A KR 1020180066039A KR 20180066039 A KR20180066039 A KR 20180066039A KR 101948258 B1 KR101948258 B1 KR 10194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spraying
washing
dry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희
Original Assignee
김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희 filed Critical 김광희
Priority to KR102018006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3/00Rotary appliances
    • F28G3/1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3/16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청소방법에 있어서, 에어컨에서 그릴 및 필터를 분해하여 그릴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분해된 필터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필터에 곰팡이 억제제 및 탈취제를 분사하는 단계; 에어컨에서 판넬에 연결된 전선 및 커넥터의 분리 후 판넬을 분해하는 단계; 분해된 판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에어컨에서 드레인팬을 분해하여 드레인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드레인팬에 곰팡이 억제제를 분사하는 단계; 에어컨에서 송풍팬을 분해하여 송풍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천장에 세척 가대를 설치하여 에어컨 하부에 세척 가대를 위치시키는 단계;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열교환기에 살균제 및 탈취제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는 세척장치에 의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장치는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이에 연결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한편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드롤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통해 이물 오염방지 처리된 에어컨 청소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컨 청소방법{Washing method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 스탠드 에어컨 및 냉동기 수배관 등을 세척하되,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상에 별도의 오염방지 가공을 수행하여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운용 상의 품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컨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실외로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에어컨의 작동원리는 프레온 가스 등의 냉매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전달되고, 응축기로 전달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팬에 의해 식혀져 저온.고압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기초한다. 저온.고압의 냉매는 다시 모세관을 지나면서 감압되어 저온.저압으로 변화되는데, 이 변화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이때 바람을 불어 찬공기를 일으킨다. 에어컨은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벽걸이형, 스탠드형, 천장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건물 뿐만 아니라 고층 아파트 등 주거용 주택에도 에어컨이 설치되고 있다. 특히, 천장형 에어컨은, 스탠드형 에어컨보다 실내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벽걸이형 에어컨보다는 냉방 면적이 더 넓은 효율적인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그 사용 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에어컨은 내부의 악취와 더러움으로 인해 호흡기 관련 계통의 질병이 증가시키고 있어 에어컨의 청결에 대한 문제 의식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에어컨의 잦은 세척을 통한 완벽한 청결유지가 중요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컨의 관리가 어려워 청결상태가 나쁘고, 이로 인해 에어컨의 오염이 가속화되어, 결국에는 악취에 세균 증식으로 인한 호흡기 관련 계통의 질병이 유발되어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운용 상의 품질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2831호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 스탠드 에어컨 및 냉동기 수배관 등을 세척하되,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상에 별도의 오염방지 가공을 수행하여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운용 상의 품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컨 청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컨 청소방법에 있어서, 에어컨에서 그릴 및 필터를 분해하여 그릴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분해된 필터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필터에 곰팡이 억제제 및 탈취제를 분사하는 단계; 에어컨에서 판넬에 연결된 전선 및 커넥터의 분리 후 판넬을 분해하는 단계; 분해된 판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에어컨에서 드레인팬을 분해하여 드레인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드레인팬에 곰팡이 억제제를 분사하는 단계; 에어컨에서 송풍팬을 분해하여 송풍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천장에 세척 가대를 설치하여 에어컨 하부에 세척 가대를 위치시키는 단계;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열교환기에 살균제 및 탈취제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는 세척장치에 의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장치는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이에 연결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한편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드롤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통해 이물 오염방지 처리된 에어컨 청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 스탠드 에어컨 및 냉동기 수배관 등을 세척하되,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상에 별도의 오염방지 가공을 수행하여 에어컨 청소를 위한 세척수단 운용 상의 품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컨 청소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청소방법 중 실내기의 세척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청소방법 중 실외기의 세척공정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물탱크의 내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의 힌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오염방지처리를 위한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오염방지처리를 위한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작동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청소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청소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통상 "에어컨" 이라 함')와 실외기의 청소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기인 에어컨은 벽걸이형, 스탠드형, 천장형 에어컨 등을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천장형 에어컨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키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컨(실내기')의 청소방법(S')은 도 1에서와 같이, 그릴 및 필터, 판넬, 드레인팬, 송풍팬,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그릴의 청소방법은, 천장면에 위치한 에어컨의 하면에서 그릴을 분해시켜 내고, 그릴의 상면에 결합된 필터를 그릴로부터 분해시켜 낸다(S1'). 이후, 분해된 그릴에 세척제를 분사한 후, 후술될 세척장치(도 3a 내지 도 5b에서 '1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그릴에 분사하여 그릴에 묻어 있는 먼지나 기름때, 미세먼지, 이물질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척과정 후, 그릴에 남아 있는 물기 뿐 아니라 습기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과정을 행하여 그릴의 세척을 완료한다(S2'). 이때, 건조는 열풍 건조로 행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그릴의 세척 완료 후(S2')에는, 필터를 세척하는데, 필터의 세척과정과 건조과정은 전술한 그릴의 세척 및 건조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필터에 세척제를 분사하고, 세척장치(2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필터에 분사하여 필터에 묻어 있는 먼지나 기름때, 미세먼지, 이물질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시행한 후, 열풍으로 필터에 남아 있는 물기 뿐만 아니라 습기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과정을 행하게 된다(S3'). 이와 같이 완전 건조된 필터에는 후술될 곰팡이 억제제와 탈취제가 원활하고 견고하게 안착되어 도포될 수 있게 된다.
이후, 건조된 필터에 FC 곰팡이 억제제를 도포하고, FC 곰팡이 억제제의 건조 후에는 필터에 다시 DEO 탈취제를 도포하여, 필터의 세척을 완료한다(S4').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곰팡이 억제제가 도포된 필터는 세균 및 곰팡이 증식이 억제될 뿐 아니라, 탈취제의 도포로 인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탈취제는, 탈취 및 소취, 항균 기능이 뛰어난 피톤치드, 녹차추출물, 감잎 추출물 중 어느 하나의 천연물질 또는 이들이 혼용된 3종의 천연물질로 구비될 수 있고, 특히 3종의 천연물질로 탈취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3종의 천연물질을 차례로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의 세척완료 후(S4')에는 판넬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판넬의 세척은 에어컨에서 판넬에 연결된 전원선 및 PCB 연결 커넥터의 분리한 후, 판넬을 에어컨에서 분해시켜 낸다(S5'). 이후, 분해된 판넬에 세척제를 분사한 후, 세척장치(2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판넬에 분사하여 판넬에 묻어 있는 먼지나 기름때, 미세먼지, 이물질 등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거친 후, 열풍으로 판넬에 남아 있는 물기 뿐만 아니라 습기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과정을 행하게 된다(S6'). 물론, 이러한 건조과정은 전술한 필터의 건조과정과 마찬가지로 후술될 곰팡이 억제제의 원활하면서도 견고한 안착을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드레인팬과 송풍팬, 열교환기의 세척과정 및 건조과정 역시도 전술한 세척과정 및 건조과정과 동일한 효능을 갖는다. 한편, 건조된 판넬에 FC 곰팡이 억제제를 도포하여,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S7'). 또한, 상기와 같은 판넬의 세척완료 후(S7')에는 드레인팬과 송풍팬의 세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드레인팬의 세척은, 에어컨에서 PCB 및 드레인팬을 분해해 내고(S8'), 분해된 드레인팬에 세척제를 분사한다. 이후, 세척장치(2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드레인팬에 분사하여 드레인팬을 세척한 후, 세척된 드레인팬을 열풍으로 완전히 건조시킨다(S9'). 그리고, 이와 같이 건조된 드레인팬에 FC 곰팡이 억제제를 도포하여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시킴으로써 드레인팬의 세척이 완료된다(S10'). 이후, 송풍팬의 세척은, 에어컨에서 송풍팬을 분해한 후(S11'), 분해된 송풍팬에 세척제를 분사하고, 세척장치(2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송풍팬에 분사하여 이물질 등과 같은 오염원을 완전히 제거한 후, 송풍팬을 열풍 건조시킴으로써 송풍팬의 세척을 완료한다(S12').
상기와 같은 드레인팬 및 송풍팬의 세척완료 후(S10')(S12')에는 열교환기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교환기는 에어컨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컨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세척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에어컨이 설치된 천장에 통상의 세척 가대를 설치하여 세척 가대가 에어컨 하부에 위치되게한다(S13'). 여기서, 세척 가대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0852948호와, 등록특허 제10-0852949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세척 가대의 상부에서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로 세척제를 분사한 후, 세척장치(2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열교환기에 분사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척 후, 세척된 열교환기를 열풍으로 완전히 건조시킨다(S14'). 그리고, 이와 같이 건조된 열교환기에 살균제를 분사하여, 열교환기의 핀과 핀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 및 곰팡이를 없앤다. 이때, 살균제의 분사 후에는 살균제의 원활한 안착을 위해 1분간 아무 작업을 하지 않고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15'). 한편, 살균제를 분사한 1분 후에는 열교환기에 탈취제를 분사하고, 탈취제의 분사 후에도 살균제의 분사와 마찬가지로 1분간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탈취제를 분사한 1분 후에는 열풍으로서 열교환기를 완전히 건조시키고(S16'), 열교환기에 코팅제를 분사한다.
따라서, 코팅제가 분사된 열교환기는 코팅처리되어 열교환기 핀의 표면 부식 방지와 더불어 부식이 발생된 부분을 보호하여 부식의 진행을 막을 수 있게 된다(S17'). 이후, 코팅제 분사 후, 열교환기에 FC 곰팡이 억제제를 분사하여, 열교환기 외부에 있는 단열재에 세균 및 곰팡이 증식을 억제하게 된다(S18'). 그리고, 에어컨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수펌프와 에어컨 내부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세척을 완료하게 된다(S19'). 이상과 같이 에어컨(실내기')의 세척이 완료되며, 세척완료 후(S19')에는 전술한 분해의 역순으로 에어컨을 조립한다. 즉, 에어컨 내부에 송풍팬, 드레인팬, 판넬, 필터, 그릴 순으로 조립하여 에어컨의 조립을 완료한다(S20'). 한편, 실외기의 청소방법(T')은 도 2에서와 같이, 실외기에서 그릴을 분해하고(T1'), 그릴이 분해된 실외기 내부에 세척제를 분사한 후, 세척장치(200')에 의한 고압의 물을 실외기 내부로 분사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세척 및 건조 후(T2'), 건조된 실외기 내부에 코팅제를 분사하여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코팅 처리함으로써 열교환기의 핀부식을 방지하는 한편 부식이 발생한 부분도 보호하여 부식의 진행을 방지함으로써 실외기의 세척을 완료한다(T3'). 이후, 상기와 같은 실외기의 세척완료 후(T3')에는 분해했던 그릴을 실외기에 다시 조립한다(T4'). 이상과 같은 에어컨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세척을 행하는 세척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3b에서와 같이, 세척장치(200')는 그 내부에 구비된 펌프(P')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이에 연결된 분사 장치를 통해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12')이 구비되는 본체(210')와, 본체(210')에 구비되어 전원케이블(219')을 감을 수 있는 한편 전원케이블(219')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드롤(214')과, 본체(2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펌프(P')와 연결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고, 그 일측에는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퇴수구(223')가 형성되는 물탱크(220')와, 본체(210')에 구비되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230')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그 내부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세척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2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부(211')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스위치와, 세척을 위한 세척스위치, 온수를 사용하기 위한 온수스위치, 온수의 온도를 표시함과 아울러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수컨트롤러, 타이머 그리고 비상정지스위치 등이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211')와 이격된 본체(210')의 전면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212')과, 분사노즐(21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213')가 구비되고, 본체(210')의 후면에는 전원케이블(219')이 감김되어 구비되는 코드롤(214')이 구비되며, 본체(210')의 하면에는 각 코너부위에 각각의 캐스터(21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코드롤(214')에 감김되는 전원케이블(219')은 그 일단부가 코드롤(214')의 중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220')는 본체(2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물탱크(220')의 상면에는 물탱크(220')에 세척수를 충전할 수 있도록 도어(221')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며, 물탱크(220')의 후면에는 물탱크(220')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퇴수구(223')와 세척수를 충전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물투입구(225')가 구비되고, 물탱크(220')의 측면에는 물탱크(220')와 펌프(P')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보조도어(224')가 구비되며, 이 보조도어(224')를 통해서 물탱크(220')와 펌프(P')를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탱크(220')를 본체(210')의 상부에 적층된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는, 물탱크(220')를 본체(210')의 전후 또는 좌우로 연결하여 나열한 형태보다 상대적으로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되므로 그만큼 공간적 제약을 덜 받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세척장치(200')를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펌프(P')에 의한 세척수의 분사압력은 10∼110bar 사이로 조절가능하되, 적정 분사압력은 80∼100bar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212')에는 고압호스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고압호스에는 분사건 등으로 이루어진 분사장치가 연결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본체(210')에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결합공(23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 1 핸들부재(230a')와, 제 1 핸들부재(230a')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한편 제 1 핸들부재(230a')의 결합공(231a')에 대응한 다수의 결합공(231b')이 상하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되어 있는 제 2 핸들부재(230b')와, 제 1,2 핸들부재(230a')(230b')의 결합공(231a')(231b')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결합핀(232')을 포함하여, 핸들(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세척장치(200')의 사용 시는, 핸들(230')에서 결합핀(232')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 2 핸들부재(230b')를 제 1 핸들부재(230a')에서 인출시켜 제 2 핸들부재(230b')의 높이를 조절한 후, 결합핀(232')을 제 1,2 핸들부재(230a')(230b')의 결합공(231a')(231b')에 관통 결합시켜 제 2 핸들부재(230b')를 제 1 핸들부재(230a')에 높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세척장치(200')의 사용 후 보관 시는, 핸들(230')에서 결합핀(232')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 2 핸들부재(230b')를 제 1 핸들부재(230a') 내로 삽입시켜 핸들(230')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한다. 또한, 본체(210')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제 1 핸들부재(230a')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핸들(130')과 같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230')이 2개의 핸들부재(230a')(230b')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핸들부재의 개수는 3개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200')의 작동관계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세척장치(200')에 구비되는 물탱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다수의 수차벽(222')이 일정간격마다 세워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물탱크(220') 내부에서 물의 유동이 억제되므로 세척장치(200')의 이동성이 용이하게 된다. 즉, 세척장치(200')의 이동 시 물탱크(220') 내부에서 물의 출렁임이 수차벽(222')에 의해 억제되어 최소화됨으로써 무게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세척장치(200')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오염방지처리를 위한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오염방지처리를 위한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오염방지처리를 위한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상기 이송되는 피코팅물(110) (즉, 상기 세척장치는 물론 그 구성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상기 물탱크(220), 상기 조작부(211), 상기 분사노즐(212), 상기 본체(210), 상기 도어(221), 상기 핸들(230) 등에 해당)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이 설치되는 제1-1 지지부(L11)와, 상기 제1-1 지지부(L11) 하방으로 확관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의 거치되는 제1-2 지지부(L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지지부(L11)는 상기 제1-2 지지부(L12)의 1/5 내지 3/5 범위 내에 해당하는 비율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1-2 지지부(L12)의 외경 둘레값을 이탈하지 않는 형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부(L2) 역시 상기 제1 지지부와 유사한 방식의 구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세척장치
210 : 본체
220 : 물탱크
230 : 핸들
L1: 제1 지지부
L11: 제1-1 지지부
L2: 제2 지지부
L21: 제2-1 지지부

Claims (10)

  1. 에어컨 청소방법에 있어서,
    에어컨에서 그릴 및 필터를 분해하여 그릴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분해된 필터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필터에 곰팡이 억제제 및 탈취제를 분사하는 단계; 에어컨에서 판넬에 연결된 전선 및 커넥터의 분리 후 판넬을 분해하는 단계; 분해된 판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에어컨에서 드레인팬을 분해하여 드레인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드레인팬에 곰팡이 억제제를 분사하는 단계; 에어컨에서 송풍팬을 분해하여 송풍팬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천장에 세척 가대를 설치하여 에어컨 하부에 세척 가대를 위치시키는 단계;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에 세척제 분사 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열교환기에 살균제 및 탈취제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는 세척장치에 의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장치는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이에 연결된 분사장치를 통해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한편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드롤 포함하며, 상기 세척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통해 이물 오염방지 처리되며,
    상기 이물 오염방지 처리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세척장치의 본체 및 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피코팅물을 표면처리 가공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
    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에어컨 청소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66039A 2018-06-08 2018-06-08 에어컨 청소방법 KR101948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39A KR101948258B1 (ko) 2018-06-08 2018-06-08 에어컨 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39A KR101948258B1 (ko) 2018-06-08 2018-06-08 에어컨 청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258B1 true KR101948258B1 (ko) 2019-02-14

Family

ID=6536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39A KR101948258B1 (ko) 2018-06-08 2018-06-08 에어컨 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2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201A (ko) 2019-07-26 2019-08-14 정태준 고압세척용 가림막부재
CN111912286A (zh) * 2020-07-24 2020-11-10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核岛设备冷却水系统板式换热器的清洗组合物及清洗方法
CN113245278A (zh) * 2021-05-19 2021-08-13 吴国辉 一种电子配件清洗周转设备及使用方法
CN115451553A (zh) * 2022-08-11 2022-12-0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去除异味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WO2023105070A1 (en) * 2021-12-10 2023-06-15 Derc Waterjetting B.V. Combustion oven heat exchanger cleaner
KR102572285B1 (ko) * 2023-05-19 2023-08-29 전준형 항균, 살균, 탈취 및 냄새 제거를 위한 에어컨 청소방법
US11867425B2 (en) 2020-01-1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896A (ja) * 2001-03-27 2002-12-13 Toto Ltd ノズル洗浄機能を有した衛生洗浄装置
KR101651517B1 (ko) * 2014-10-22 2016-08-26 하이엠솔루텍주식회사 에어컨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896A (ja) * 2001-03-27 2002-12-13 Toto Ltd ノズル洗浄機能を有した衛生洗浄装置
KR101651517B1 (ko) * 2014-10-22 2016-08-26 하이엠솔루텍주식회사 에어컨 세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201A (ko) 2019-07-26 2019-08-14 정태준 고압세척용 가림막부재
US11867425B2 (en) 2020-01-1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11912286A (zh) * 2020-07-24 2020-11-10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核岛设备冷却水系统板式换热器的清洗组合物及清洗方法
CN113245278A (zh) * 2021-05-19 2021-08-13 吴国辉 一种电子配件清洗周转设备及使用方法
WO2023105070A1 (en) * 2021-12-10 2023-06-15 Derc Waterjetting B.V. Combustion oven heat exchanger cleaner
NL2030105B1 (en) * 2021-12-10 2023-06-27 Derc Waterjetting B V Combustion oven heat exchanger cleaner
CN115451553A (zh) * 2022-08-11 2022-12-0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去除异味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KR102572285B1 (ko) * 2023-05-19 2023-08-29 전준형 항균, 살균, 탈취 및 냄새 제거를 위한 에어컨 청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258B1 (ko) 에어컨 청소방법
KR101112604B1 (ko) 천정형 에어컨 청소장치
US6170166B1 (en) Removal of heat and water vapor from commercial dishwashing machines
US202001498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vac cooling coils
KR101360787B1 (ko) 천장형 에어컨 자동 세척장치
US7841351B1 (en) Coil cleaning machine
KR101920930B1 (ko) 덕트 내부 청소 장치
JP6591059B2 (ja) 天井埋込エアコン用洗浄ロボット
KR20120104686A (ko) 천정 매립형 냉난방기용 자동세척장치
KR100710055B1 (ko) 에어컨의 증발기 세척 장치
KR100530551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70076072A (ko) 실외기 청소장치
KR102176488B1 (ko) 수평이동 노즐을 구비한 에어컨 청소로봇
KR101920929B1 (ko) 덕트 내부 청소 장치
JP4752013B2 (ja) 天井取付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用洗浄装置
JP6421106B2 (ja) 天井埋設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KR102291433B1 (ko) 고압스팀을 이용한 냉난방용 자동살균 세척장치
KR101651517B1 (ko) 에어컨 세척방법
JP2017026263A (ja) 冷却装置
JP201224200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US10976096B2 (en) Refrigerated enclosure opening and methods
KR101061884B1 (ko) 공조기 및 공조기의 실외기
US11209179B2 (en) Ventilator
KR20180100991A (ko) 에어컨 세척 방법
KR20190109920A (ko)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