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072A - 실외기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실외기 청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6072A KR20170076072A KR1020150185868A KR20150185868A KR20170076072A KR 20170076072 A KR20170076072 A KR 20170076072A KR 1020150185868 A KR1020150185868 A KR 1020150185868A KR 20150185868 A KR20150185868 A KR 20150185868A KR 20170076072 A KR20170076072 A KR 201700760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unit
- mounting frame
- outdoor unit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 B08B1/00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3/00—Rotary appliances
- F28G3/16—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3/163—Rotary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in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실외기의 일측에 거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실외기의 타측에 거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실외기에 공기 또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제1 거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분사노즐의 일단이 거치되는 제1 승강부, 제2 거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분사노즐의 타단이 거치되는 제2 승강부, 분사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1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부 및 제2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외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컨 등의 냉각기를 사용하는 실외기 내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실외기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 빌딩 등의 건물들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에어컨 및 산업용 설비장치의 냉각을 위한 냉각기 등은 건물 외부에 실외기를 구비한다.
실외기는 설치장소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 관리불량 등에 의해 고장이 자주발생한다. 또한, 실외기 내부의 먼지 등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5295호(에어컨 실외기 청소장치)는 실외기 청소를 위하여, 실외기에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복수의 노즐설치관을 설치하고, 연결관을 매개로 공기압축기에 연결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실외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05295호는 실외기기 청소를 위하여 다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나, 분사노즐이 설치되지 않은 부위는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구조이며 설치된 장치는 특정 실외기에만 사용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외기 내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청소부위를 이동하면서 공기 또는 유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실외기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외기의 일측에 거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상기 실외기의 타측에 거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실외기에 공기 또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제1 거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일단이 거치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2 거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타단이 거치되는 제2 승강부; 상기 분사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은 일단에 상기 실외기의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도록 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모터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에 거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즐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은 상기 제1 모터부가 장착되는 제1 모터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터부가 상기 제1 모터수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모터부의 축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모터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제3 회전축;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4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과 제4 회전축에 거치되어 상기 제3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노즐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은 상기 제2 모터부가 수용되는 제2 모터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터부가 상기 제2 모터수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4 회전축과 상기 제2 모터부의 축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 청소장치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 청소장치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 또는 제2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 시 상기 제1 및 제2 모터부를 역전시키는 검출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 실외기에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실외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공기 또는 유체를 사용하여 실외기의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 청소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외기 청소장치의 제1 거치 프레임과 제1 승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회전축과 제1 모터부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 청소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외기 청소장치의 제1 거치 프레임과 제1 승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회전축과 제1 모터부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 청소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외기 청소장치의 제1 거치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제1 거치 프레임(100), 제2 거치 프레임(400), 제1 모터부(300), 제2 모터부(600), 제1 승강부(200), 제2 승강부(500)및 분사노즐(7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거치 프레임(100)은 실외기(10)의 일측에 부착된다. 제1 거치 프레임(100)은 일단이 'ㄱ' 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제1 거치 프레임(100)은 내부에 제1 승강부(200)가 장착되며, 적어도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거치 프레임(100)은 제1 밸트수용부(110)와 제1 거치부(120) 및 제1 모터수용부(1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밸트수용부(110)는 제1 승강부(2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거치부(120)는 제1 밸트수용부(110)의 일단에 제1 밸트수용부(11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거치부(120)는 실외기(10)의 상단에 거치되어 제1 밸트수용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거치부(120)는 제1 모터수용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수용부(130)은 제1 모터부(300)가 수용되도록 제1 거치부(120)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모터수용부(130)은 제1 모터부(300)가 수용되면 제1 모터부(300)의 축이 제1 승강부(200)에 구비된 제1 회전축에 장착되도록 제1 밸트수용부(110)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밸트수용부(110)의 외측면 중 실외기(10)측과 마주하는 면에는 부착부재(8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부(120)는 하부면에 실외기(10)측에 부착되도록 부착부재(8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거치 프레임(400)은 제1 거치 프레임(100)가 부착되는 반대편 실외기(10)측에 부착된다. 제2 거치 프레임(400)은 제1 거치 프레임(100)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 거치 프레임(400)은 내부에 제2 승강부(500)가 장착되며, 적어도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 거치 프레임(400)은 제2 밸트수용부(410)와 제2 거치부(420) 및 제2 모터수용부(4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밸트수용부(410)는 제2 승강부(5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거치부(420)는 제2 밸트수용부(410)의 일단에 제2 밸트수용부(41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거치부(420)는 실외기(10)의 상단에 거치되어 제2 밸트수용부(4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모터수용부(430)은 제2 모터부(600)가 수용되도록 제2 거치부(420)의 상부면에서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다. 제2 모터수용부(430)은 제2 모터부(600)가 수용되면 제2 모터부(600)의 축이 제2 승강부(500)에 구비된 제3 회전축에 장착되도록 제2 밸트수용부(410)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밸트수용부(410)의 외측면 중 실외기(10)측과 마주하는 면에는 부착부재(8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거치부(420)는 하부면에 실외기(10)측에 부착되도록 부착부재(8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모터부(300)는 제1 모터수용부(130)에 장착되어 제1 승강부(200)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 모터부(300)는 하부면이 제1 모터수용부(130)의 모양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축(310)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모터부(300)는 제1 모터수용부(130)에 장착되어 제1 거치 프레임(100)이 실외기(1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모터부(300)의 무게로 인하여 제1 거치 프레임(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모터부(300)는 외부하우징 내에 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며, 감속을 위한 감속기 및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모터부(600)는 제2 모터수용부(430)에 장착되어 제2 승강부(500)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2 모터부(600)는 하부면이 제2 모터수용부(430)의 모양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축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모터부(600)는 제2 모터수용부(430)에 장착되어 제2 거치 프레임(400)이 실외기(1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2 모터부(600)의 무게로 인하여 제2 거치 프레임(4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모터부(600)는 제1 모터부(300)와 마찬가지로 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 모터가 구비되며, 감속을 위한 감속기 및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모터부(600)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한 직류구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모터부(60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시에 온/오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모터부(300) 또는 제2 모터부(600)에 구비되며, 제1 모터부(300) 또는 제2 모터부(600) 중 제어부가 설치되지 않은 모터부에는 제어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모터부(600)는 일방향으로 무한 회전할 경우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500)에 거치된 분사노즐(700)이 세척부위를 벗어나게 되며,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모터부(600)는 분사노즐(700)이 세척부위를 벗어나면 정지되거나 역회전되어야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7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모터부(600)를 정지시키거나, 역회전시키도록 하는 검출센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센서부(900)는 제1 또는 제2 거치 프레임(400)에 형성될 수 있다. 검출센서부(900)는 분사노즐(700)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경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1 및 제2 모터부(6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또는 제1 및 제2 모터부(600)에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 및 제2 모터부(600) 내부의 모터를 역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제1 승강부(200)는 제1 밸트수용부(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1 승강부(200)는 분사노즐(700)이 장착되면, 실외기(10) 청소를 위하여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승강부(200)는 제1 밸트(210), 제1 회전축(220), 제2 회전축(230) 및 제1 노즐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220)은 제1 밸트수용부(110)의 상단측에 형성된다. 제1 회전축(220)은 일단이 제1 밸트수용부(110)의 외측벽에 설치되며, 타단은 제1 모터부(300)의 축과 탈착되도록 제1 모터수용부(130)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제2 회전축(230)은 제1 밸트(210)가 회전되도록 제1 밸트수용부(110)의 하단측에 형성된다. 제2 회전축(230)은 제1 밸트(210)의 회전 시 마찰이 줄어들도록 축의 양단에 베어링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트(210)는 띠 또는 체인 등의 환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회전축(220, 230) 사이에 거치된다. 이때, 제1 밸트(210)는 분사노즐(700)의 일단에 구비된 거치고리(7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노즐결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승강부(500)는 제2 밸트수용부(4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2 승강부(500)는 분사노즐(700)이 장착되면, 실외기(10) 청소를 위하여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승강부(500)는 제2 밸트(510), 제3 회전축(520), 제4 회전축(530) 및 제2 노즐결합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밸트(510), 제3 회전축(520), 제4 회전축(530) 및 제2 노즐결합부(540)는 상술한 제1 밸트(210), 제1 회전축(220), 제2 회전축(230) 및 제1 노즐결합부(24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사노즐(700)은 제1 밸트(210)와 제2 밸트(510) 사이에 거치되어 이동할 수 있다. 분사노즐(700)은 실외기(10)측에 공기 또는 유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700)은 양단측에 제1 밸트(210) 및 제2 밸트(510)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고리(7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700)은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홀(720)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급홀(720)은 연결관(30)을 통해 공기공급장치 또는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션(20)가 사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에어컴프레션(20) 이외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펌프 등이 유체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1개의 분사노즐(700)이 사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분사노즐(7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분사노즐(700)이 복수개 구비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에는 공기가 공급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에는 유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분사노즐(700)에 의해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100, 400)이 실외기(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800)는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800)는 제1 거치 프레임(100)과 제2 거치 프레임(400)에 각각 탈착되도록 양단에 고리 등의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800)는 실외기(10)의 청소부위 반대편측에 고정되도록 나머지 단에 고리 등의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800)는 다양한 종류의 실외기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100, 400) 사이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외기(10)의 청소부위 반대편측에 고정되는 부분도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이탈방지부(800)는 길이 가변 후,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81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800)는 제1 거치 프레임(100)과 제2 거치 프레임(400)이 분사노즐(700)에서 분사되는 공기 또는 유체에 의한 반발력으로 인하여 실외기(10)에서 이탈하는 것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거치 프레임(100), 제2 거치 프레임(400), 제1 모터부(300), 제2 모터부(600), 분사노즐(700), 이탈방지부(800)는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실외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탈착하여 별도 보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회전축과 제1 모터부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220)은 끝단에 제1 모터부(300)의 축(310)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축결합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225)는 제1 모터부(300)가 제1 모터수용부(130)에 장착되어 축(310)이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축(310)이 삽입되어 고정되면, 덮이도록 덮개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결합부(225)와 축(310)이 결합시 회전가능하도록 축(310)에는 돌기(315)가 형성되고, 축결합부(225)에는 돌기(315)에 상응하는 홈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315)와 홈부(227)는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제1 회전축(220)과 제1 모터부(300)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3 회전축(520)과 제2 모터부(600)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 또는 장소의 실외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 청소장치는 공기와 유체를 동시에 사용하여 실외기를 세척할 수 있어 유체를 사용하여 세척한 이후 동시에 건조를 시킬 수 있다.
10: 실외기
20: 에어컴프레셔
30: 연결관
100: 제1 거치 프레임
110: 제1 밸트수용부
120: 제1 거치부
130: 제1 모터수용부
200: 제1 승강부
210: 제1 밸트
220: 제1 회전축
225: 축결합부
227: 홈부
230: 제2 회전축
240: 제1 노즐결합부
300: 제1 모터부
310: 축
315: 돌기
400: 제2 거치 프레임
410: 제2 밸트수용부
420: 제2 거치부
430: 제2 모터수용부
500: 제2 승강부
510: 제2 밸트
520: 제3 회전축
530: 제4 회전축
540: 제2 노즐결합부
600: 제2 모터부
700: 분사노즐
710: 거치고리
720: 공급홀
800: 이탈방지부
810: 고정수단
850: 부착부재
900: 검출센서부
20: 에어컴프레셔
30: 연결관
100: 제1 거치 프레임
110: 제1 밸트수용부
120: 제1 거치부
130: 제1 모터수용부
200: 제1 승강부
210: 제1 밸트
220: 제1 회전축
225: 축결합부
227: 홈부
230: 제2 회전축
240: 제1 노즐결합부
300: 제1 모터부
310: 축
315: 돌기
400: 제2 거치 프레임
410: 제2 밸트수용부
420: 제2 거치부
430: 제2 모터수용부
500: 제2 승강부
510: 제2 밸트
520: 제3 회전축
530: 제4 회전축
540: 제2 노즐결합부
600: 제2 모터부
700: 분사노즐
710: 거치고리
720: 공급홀
800: 이탈방지부
810: 고정수단
850: 부착부재
900: 검출센서부
Claims (9)
- 실외기의 일측에 거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상기 실외기의 타측에 거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실외기에 공기 또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제1 거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일단이 거치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2 거치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타단이 거치되는 제2 승강부;
상기 분사노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승강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은
일단에 상기 실외기의 상부면에 거치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 프레임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도록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모터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에 거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즐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벨트를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은
상기 제1 모터부가 장착되는 제1 모터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터부가 상기 제1 모터수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모터부의 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모터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상응하여 회전하는 제3 회전축;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4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과 제4 회전축에 거치되어 상기 제3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노즐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은
상기 제2 모터부가 수용되는 제2 모터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터부가 상기 제2 모터수용부에 장착되면 상기 제4 회전축과 상기 제2 모터부의 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 프레임 또는 제2 거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시 상기 제1 및 제2 모터부를 역전시키는 검출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청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868A KR20170076072A (ko) | 2015-12-24 | 2015-12-24 | 실외기 청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868A KR20170076072A (ko) | 2015-12-24 | 2015-12-24 | 실외기 청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6072A true KR20170076072A (ko) | 2017-07-04 |
Family
ID=5935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5868A KR20170076072A (ko) | 2015-12-24 | 2015-12-24 | 실외기 청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76072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63387A (zh) * | 2018-10-23 | 2019-01-0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室外机的气流反向结构及空调室外机 |
CN109237638A (zh) * | 2018-08-20 | 2019-01-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能够清除换热器脏堵的室外机和控制方法 |
CN110398175A (zh) * | 2019-07-31 | 2019-11-01 | 陆敬峰 | 一种北方室外空调外机用自动清灰装置 |
CN110394329A (zh) * | 2019-07-31 | 2019-11-01 | 沈子琪 | 一种防尘空调外机 |
CN111288571A (zh) * | 2020-05-12 | 2020-06-16 | 湖南翰坤实业有限公司 | 一种空气除湿净化一体机 |
CN112747389A (zh) * | 2020-12-28 | 2021-05-04 | 邱玲玲 | 一种防积雪的暖通用挂壁式空调室外机 |
KR102455929B1 (ko) * | 2022-07-05 | 2022-10-17 | 손삼영 | 농산물 저장고 |
CN117006536A (zh) * | 2023-08-03 | 2023-11-07 | 广州汇锦能效科技有限公司 | 一种能自清洁的节能空调器 |
-
2015
- 2015-12-24 KR KR1020150185868A patent/KR20170076072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37638A (zh) * | 2018-08-20 | 2019-01-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能够清除换热器脏堵的室外机和控制方法 |
CN109163387A (zh) * | 2018-10-23 | 2019-01-0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空调室外机的气流反向结构及空调室外机 |
CN110398175A (zh) * | 2019-07-31 | 2019-11-01 | 陆敬峰 | 一种北方室外空调外机用自动清灰装置 |
CN110394329A (zh) * | 2019-07-31 | 2019-11-01 | 沈子琪 | 一种防尘空调外机 |
CN111288571A (zh) * | 2020-05-12 | 2020-06-16 | 湖南翰坤实业有限公司 | 一种空气除湿净化一体机 |
CN112747389A (zh) * | 2020-12-28 | 2021-05-04 | 邱玲玲 | 一种防积雪的暖通用挂壁式空调室外机 |
KR102455929B1 (ko) * | 2022-07-05 | 2022-10-17 | 손삼영 | 농산물 저장고 |
CN117006536A (zh) * | 2023-08-03 | 2023-11-07 | 广州汇锦能效科技有限公司 | 一种能自清洁的节能空调器 |
CN117006536B (zh) * | 2023-08-03 | 2024-01-19 | 广州汇锦能效科技有限公司 | 一种能自清洁的节能空调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76072A (ko) | 실외기 청소장치 | |
US10590667B2 (en) | Automatic wall adhesion and cleaning system | |
CN1740730A (zh) | 嵌入顶棚型空调机热交换器的清洗装置 | |
CN203281569U (zh) | 除尘滤筒、滤芯清洗机 | |
WO2018147693A1 (ko) | 천장형 에어컨 필터 청소장치 | |
JPWO2019077757A1 (ja) | 非接触壁面洗浄装置 | |
JP6421106B2 (ja) | 天井埋設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 |
CN109078937B (zh) | 一种管道清洗机器人 | |
KR102083898B1 (ko) | 회전형 에어컨 청소로봇 | |
CN103221774B (zh) | 用于燃烧锅炉的清洁设备 | |
EP2635385B1 (en) | Device for cleaning of petroleum products storage tanks | |
CN217069810U (zh) | 一种瓷砖清洁装置 | |
JP5882175B2 (ja) | ワーク作業装置 | |
CN213334836U (zh) | 用于空调机组的清洗装置及空调系统 | |
CN108185971B (zh) | 一种吊灯的吹气式清洁设备 | |
KR20030088713A (ko) | 고소 설치 간판의 세척장치 | |
CN104344685B (zh) | 空调的吸水工装 | |
CN107899825A (zh) | 一种电梯制造用板材喷漆设备 | |
KR102058863B1 (ko) |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덕트 내부 청소 장치 | |
KR102003608B1 (ko) | 천장형 에어컨 필터 청소장치 | |
KR20170099087A (ko) | 천정형 에어컨 자동 세척장치 | |
CN112128884A (zh) | 用于空调机组的清洗装置及清洗方法、空调系统、存储介质 | |
CN114378843B (zh) | 一种用于密封建筑风系统管道内部拼缝的机器人 | |
CN220027654U (zh) | 一种燃气阀门喷漆用烘干装置 | |
CN208966728U (zh) | 一种轴流式排烟风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