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052B1 -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 Google Patents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052B1
KR101948052B1 KR1020170057370A KR20170057370A KR101948052B1 KR 101948052 B1 KR101948052 B1 KR 101948052B1 KR 1020170057370 A KR1020170057370 A KR 1020170057370A KR 20170057370 A KR20170057370 A KR 20170057370A KR 101948052 B1 KR101948052 B1 KR 10194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hull
main
ballas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3320A (en
Inventor
김성하
유재영
윤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052B1/en
Publication of KR2018012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8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auxiliary jet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63B273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선체의 횡방향 복원력이 향상되어 운항의 안정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수중을 관람하도록 내부에 인원이 탑승하는 메인선체와, 상기 메인선체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메인선체가 수면 위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보조선체를 포함하는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 있어서, 평형수 저수량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의 무게중심이 조절되도록 상기 메인선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탱크; 상기 각 보조선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평형수 저수량에 따라 횡방향 복원력이 조절되는 보조탱크; 상기 메인선체가 부유되는 해양의 파고를 측정하는 파고센싱부;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파고센싱부로부터 검출되는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의 상기 평형수 저수량을 조절하는 평형수조절부; 및 상기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평형수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ip by improving the lateral stability of the shi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having a main ship on which the passengers ride on the ship, A main tank provided below the main hull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allast water stored; An auxiliary tank provided inside each of the auxiliary hulls and having a lateral restoring forc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A wave heigh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wave height of the ocean in which the main hull is floated; A ballast water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to adjust the water storag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i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ccording to a peak value measur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Description

수중관람용 레저보트{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본 발명은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의 횡방향 복원력이 향상되어 운항의 안정성이 개선된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with improved stabi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due to improved lateral stability of the ship.

일반적으로, 해양레저문화가 발달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해양레저를 즐기기 위해 바다나 강을 찾아 해양레저를 즐기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해양레저장비가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as marine leisure culture is developed, many people enjoy marine leisure by looking for sea or river to enjoy marine leisure, and various marine leisure equipment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ly.

여기서, 종래의 요트나 보트 등을 이용하는 수상레저에 집중되었던 해양레저문화는 수중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수중관람을 위한 해양레저문화로 그 범위가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중을 관람할 수 있는 선박은 관광잠수함, 선체 하부 유리보트, 반 잠수보트 등이 있다. 여기서, 관람잠수함은 수중에 잠수 가능하여 탑승자가 수중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선체하부 유리보트는 수중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선저면에 투명 유리가 장착된다. 그리고, 반 잠수보트는 일반 보트와 같이 물 위에 부유하며 선체가 수중을 향해 연장되어 수중에 잠긴 선체 좌현, 우현에 투명 창을 설치하여 수중관람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Here, marine leisure culture, which has been concentrated on water leisure using conventional yachts and boats, is becoming a marine leisure culture for underwater viewing that can experience and experience underwater. Such ships that can be watched are the sightseeing submarine, the glass boat under the hull and the semi-submersible boat. Here, the submarine can be submerged in the water, so the passenger can watch the water. In addition, a transparent glass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hip so that the underwater boat can observe the underwater. The semi-diving boat floats on the water like a regular boat, and the hull is extended toward the water, and a transparent window is installed on the port side of the hull, which is submerged in the water.

한편, 상기 선박은 선체(hull)의 개수에 따라 구분되며, 선체가 하나인 선박을 단동선(mono Hull)이라 하며 대부분의 선박이 이 형식을 따른다. 또한, 2개의 선체를 가진 구조의 선박을 쌍동선(catamaran)이라 하며 단동선 방식에 비해 상대적 저항이 크기 때문에 속도보다는 안정적인 운항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3개의 선체를 가진 구조의 선박을 삼동선(trimaran)이라 하며 중앙 선체 양옆으로 보조선체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가장 안정적인 운항을 할 수 있는 선박 구조로, 수중을 관람할 수 있는 선박에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p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ulls, and a ship having one hull is called a mono hull, and most ships follow this form. In addition, a ship with two hulls is called a catamaran, and its relative resistance is higher than that of a single-wire system, so that it is aimed at stable operation rather than speed. In addition, a vessel with three hulls is called a trimaran, and a secondary hull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hull so that the most stable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Various methods have been applied.

그러나, 상기 반 잠수보트는 수면 위 파랑의 영향과 수면 아래의 해류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 수중에 잠긴 선체 내부의 탑승자가 요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멀미를 느끼거나 수중을 원활하게 관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emi-submersible boat has a problem in that the passengers inside the hull which are submerged in the water under the influence of the wave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below the water surface feel relatively nausea or can not watch the water smoothly due to the rocking motion .

더욱이, 상기 반 잠수보트는 요동으로 인한 전복 사고 등의 발생시 수중에 잠긴 선체 내부에 탑승한 인원이 수면위로 신속하게 나오기 어려워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emi-submersible boat has a problem in that, when a rollover occurs due to rocking, the passengers aboard the inside of a hull which is submerged in water are difficult to quickly come out to the surface of the water, resulting in lower safety.

그러므로, 상술한 상기 반 잠수보트는 선체의 요동이 최소화되어 선체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그의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emi-submersible boat for improving its structure so that the shaking motion of the ship is minimized and the stability of the ship is improved.

한국 공개특허 제10-1985-000813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85-000813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횡방향 복원력이 향상되어 운항의 안정성이 개선된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in which the stability of the navigation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lateral restoring force of the hul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자가 수중을 관람하도록 잠수되는 수중관람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면 위에 부유되는 데크부를 포함하는 메인선체와, 상기 메인선체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연결되되 선저부가 상기 데크부의 흘수선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선체가 수면 위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보조선체를 포함하는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 있어서, 평형수 저수량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의 무게중심이 조절되도록 상기 수중관람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탱크; 상기 각 보조선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평형수 저수량에 따라 횡방향 복원력이 조절되는 보조탱크; 상기 메인선체가 부유되는 해양의 파고를 측정하는 파고센싱부;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파고센싱부로부터 검출되는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의 상기 평형수 저수량을 조절하는 평형수조절부; 상기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평형수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평형수가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에 유입되도록 상기 평형수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메인선체의 횡방향 기울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기검출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기울기센싱부; 및 상기 기울기검출치에 따라 상기 각 보조선체의 측부로 연장된 해수유동라인을 통해 해수를 흡입 및 토출하는 요동감쇠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유동라인은 상기 요동감쇠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선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유동라인과, 상기 요동감쇠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선체의 타측으로 연장된 제2유동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라인 및 상기 제2유동라인은 상기 각 보조선체 중 기울어진 어느 일측에 토출되는 상기 해수에 의한 상승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보조선체의 하부 방향을 향해 개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검출치에 따라 상기 요동감쇠부가 상기 제1유동라인 및 상기 제2유동라인 중 어느 일측을 통해 상기 해수를 흡입하고 타측을 통해 상기 메인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향해 흡입된 해수를 토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에는 상기 평형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복수 구획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격벽부재에는 복수 구획된 상기 각 저수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연통홀의 위치는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의 기설정된 최소 수위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에는 상기 기설정된 최소 수위 이상의 위치에 평형수배출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ll structure comprising: a main hull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an underwater viewing part for a passenger to observe underwater and includes a deck part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a pair of auxiliary hulls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aterline of the deck portion and floating so that the main hull will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A main tank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viewing portion to be adjusted; An auxiliary tank provided inside each of the auxiliary hulls and having a lateral restoring forc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A wave heigh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wave height of the ocean in which the main hull is floated; A ballast water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to adjust the water storag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i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ccording to a peak value measur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crest value and to cause the ballast water to flow into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when the crest measurement valu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of corrugation height; A til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lateral inclination of the main hull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tilt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And a swing damping portion for sucking and discharging seawater through a seawater flow line extending to th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hulls in accordance with the tilt detection value, wherein the seawater flow line is connected to the swing damping portion, And a second flow line connected to the rocking damping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hull, wherein the first flow line and the second flow line are inclined Wherein the control unit opens the auxiliary hull so that the swinging attenuation par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flow line and the second flow line in accordance with the tilt detection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uck the seawater through one side and discharge the sucked seawater toward the tilted direction of the main hull through the other side, Wherein the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rtition wall member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spaces in which the ballast water is stored are partitioned, wherein the partition wall member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water storage spac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position of the hole is set to a predetermined minimum level of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nd the main water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re provided with a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at a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or more. Provide a bo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평형수조절부는 파고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파고측정치가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면 메인선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탱크와, 메인선체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보조선체 내부에 구비된 보조탱크에 평형수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므로 선체의 상하 요동에 대한 진폭이 감소되어 선체의 부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includes a main tank provided below the main hull and an auxiliary tank provided inside a pair of auxiliary hull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hull when the peak value measur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ince the ballast water is controlled to supply the ballast water, the amplitude of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hull is reduced, and the floating stability of the hull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요동감쇠부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울기센싱부로부터 검출된 기울기검출치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흡입된 해수를 순간적으로 토출하도록 제어되므로 상기 메인선체의 수평 기준선이 상기 해수면에 대응되도록 상승할 수 있는 상승력을 제공하여 횡방향 복원 속도 및 내파성이 향상될 수 있다.Secondly, the shaking damp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instantaneously discharge the seawater sucked in the tilted direction of the main hull according to the tilt detection value detected from the tilt sensing unit, so that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f the main hull corresponds to the sea surface So that the lateral restoration speed and the wave resistance can be improved.

셋째, 메인탱크 및 보조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격벽부재에 형성된 연통홀의 위치는 기설정된 최소 수위 이상으로 설정되어 상기 평형수의 배출시에도 기설정된 무게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평형수가 복수 구획된 저수 공간에 최소 수위에 대응되도록 고르게 분배되어 저수되므로 선체의 부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rd,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member provided i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is set to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so that even when the ballast water is discharged, So that the floating stability of the hull can be improved.

넷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고센싱부로부터 수신되는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여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되면 갑작스런 기후 변화 등으로 상기 평형수조절부 및 상기 요동감쇠부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메인선체의 상하방향 진폭 및 횡방향 복원속도가 동시에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Fourt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and the rocking damping unit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climatic condition when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when the peak value receiv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A synergy effect in which the vertical amplitude and the lateral restoration speed are simultaneously improve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의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의 평형수 공급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서 요동감쇠부의 구동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서 보조탱크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and FIG.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a ballast water for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rocking damping unit in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sub tank in a side view of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의 블록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의 평형수 공급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서 요동감쇠부의 구동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서 보조탱크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rocking damping unit in an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a ballast water to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tank in a side view of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메인선체(10), 보조선체(20), 메인탱크(30), 보조탱크(40), 파고센싱부(50), 평형수조절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1 to 5, an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hull 10, a secondary hull 20, a main tank 30, an auxiliary tank 40, A wave height sensing unit 50, a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and a control unit 70.

여기서, 상기 메인선체(10)는 수중관람부(10a)와 데크부(10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수중관람부(10a)는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제1탑승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외면에는 상기 제1탑승공간에 탑승한 탑승자가 수중 내부를 관람하도록 외부가 투영되는 투영창(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내부에는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를 제어할 수 있는 조종대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Here, the main hull 10 includes an underwater viewing portion 10a and a deck portion 10b. In detail, the underwater viewing part 10a is formed with a first boarding space in which an occupant can ride,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watching part 10a, a passenger boarded in the first boarding space can view A projection window 11 may be formed in which an external projection is made. The underwater auditorium 10a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board or the like capable of controlling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or may be provided with a seat on which the passenger can sit.

또한, 상기 데크부(10b)는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데크부(10b)는 좌현 및 우현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부력을 형성하며, 하단부 측이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상부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중관람부(10a)는 상기 데크부(10b)가 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수중 내에 잠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k portion 10b is provided on the underwater viewing portion 10a. In detail, the deck portion 10b is symmetrical with the port and starboard forms buoyancy,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water viewing portion 10a. Accordingly, the underwater viewing part 10a can be maintained in a submerged state with the deck part 10b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그리고, 상기 데크부(10b)의 상부에는 탑승자가 수상에서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제2탑승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부(10b)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탑승공간 및 상기 제2탑승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상기 제1탑승공간 및 상기 제2탑승공간에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b, a second boarding space in which a passenger can enjoy leisure in the water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deck portion 10b may have an opening / closing portion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irst boarding space and the second boarding spac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occupant can selectively move to the first boarding space and the second boarding spac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여기서, 상기 보조선체(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선체(10)의 폭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보조선체(20)는 상기 메인선체(1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1보조선체(20a)와, 상기 메인선체(10)의 폭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2보조선체(20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Here, the auxiliary hulls 20 are disposed in pairs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al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In detail, the auxiliary hull 20 includes a first auxiliary hull 20a dispos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and a second auxiliary hull 20b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

이때, 상기 제1보조선체(20a) 및 상기 제2보조선체(20b)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선저부가 상기 데크부(10b)의 흘수선(waterline)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데크부(10b)의 좌현 및 우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흘수선은 선체와 수면이 만나는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각 보조선체(20a,20b) 및 상기 데크부(10b)의 선저부가 진수시 동시에 수중에 잠김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of the deck 10b may correspond to a waterline of the deck 10b, And to the port and starboard of the unit 10b, respectively. Here, the waterlin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line where the hull meets the water surface. Thus, the bottoms of the auxiliary hulls 20a, 20b and the deck portion 10b can be immersed in water at the same time of launching.

또한, 상기 제1보조선체(20a) 및 상기 제2보조선체(20b)의 내부에는 부력이 형성되도록 부력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부재는 공기탱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선체(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중관람부(10a)와 연결된 상기 데크부(10b)가 수면 위에 부유되도록 상기 메인선체(10)의 양측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A buoyancy memb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to form buoyancy. At this time, the buoyancy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air tank or the like. The auxiliary hull 20 can provide buoyancy to both sides of the main hull 10 so that the deck portion 10b connected to the underwater viewing portion 10a is suspended over the water surface.

한편, 상기 메인탱크(30)는 상기 메인선체(10)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메인탱크(30)는 상기 제1탑승공간의 하측, 즉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하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탱크(30)는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하면부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하면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tank 30 may be provided below the main hull 10. In detail, the main tank 3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arding space, that is, below the underwater viewing unit 10a. Here, the main tank 3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underwater viewing portion 10a and cover the entire bottom portion of the underwater viewing portion 10a.

이때, 상기 메인탱크(30)의 내부에는 평형수(도 3a의 bw)가 저수되는 제1저수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형수(bw)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가 부유되는 해양의 해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탱크(30)에 기설정된 저수량의 상기 평형수(bw)가 유입되면 상기 수중관람부(10a)의 잠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메인선체(10)의 무게중심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the ballast water (bw in FIG. 3A) is stored is formed in the main tank 30. Here, the equilibrium (bw)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the sea water in which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is floated.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alanced water bw flows into the main tank 3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10 is formed such that the submerged state of the underwater viewing unit 10a is stably maintained .

더욱이, 상기 메인선체(10)는 상기 메인탱크(30)의 내부에 저수되는 상기 평형수(bw)의 저수량에 따라 무게중심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탱크(30)의 내부에 상기 평형수(bw)의 저수량이 증가될수록 상기 메인선체(10)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선체(10)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수록 파고에 의한 발생되는 상하 동요가 감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water stored in the main tank 30. That is, a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main tank 30 increa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10 may be lowered. At this time,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10 is formed lower, the up-and-down movement caused by the crest can be attenuated.

그리고,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내부에는 보조탱크(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탱크(40)는 상기 제1보조선체(20a)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보조탱크(40a)와, 상기 제2보조선체(20b)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보조탱크(40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탱크(40a) 및 제2보조탱크(40b)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보조선체(2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uxiliary tanks 40 are provided in each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In detail, the auxiliary tank 40 includes a first auxiliary tank 40a provided in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a second auxiliary tank 40b provided in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 The first auxiliary tank 40a and the second auxiliary tank 40b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hull 20 .

그리고, 상기 제1보조탱크(40a) 및 제2보조탱크(40b) 내부에는 상기 평형수(bw)가 저수되는 제2저수공간(도 5의 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탱크(40)에 기설정된 저수량의 상기 평형수(bw)가 유입되면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선저부가 소정의 깊이로 수중에 잠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in FIG. 5) in which the ballast water bw is stor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auxiliary tank 40a and the second auxiliary tank 40b. Here,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alanced water bw flows into the auxiliary tank 40, the bottom of each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may be kept immersed in the water to a predetermined depth.

이때, 상기 메인선체(10)는 각 보조탱크(40a,40b)의 내부에 저수되는 상기 평형수(bw)의 저수량에 따라 횡방향 복원력(heeling moment)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복원력은 파도 등의 영향으로 인한 메인선체(10)의 폭방향 롤링(rolling) 거동시 횡경사가 제거된 최초 상태로 되돌아 오려는 힘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transverse restoring force (heeling moment) of the main hull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tanks 40a and 40b. Here, the transverse restoring force refers to a force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transverse rolling yarn is removed in the rolling motion of the main hull 10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waves or the like.

상세히, 상기 각 보조탱크(40a,40b)의 내부에 상기 평형수(bw)의 저수량이 증가될수록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선체(10)의 폭방향 롤링 거동시, 상기 메인선체(10)는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무게중심이 낮아질수록 폭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향하는 횡경사의 각도 크기가 감소되어 횡방향 복원력이 증가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may be formed to be lower as the amount of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tanks 40a and 40b increases. At this time,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is lowered, the angular size of the crossbars directed toward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decreases as the main hull 10 rot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So that the lateral restoring force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10)는 상기 각 보조탱크(40a,40b)의 상기 평형수(bw) 저수량이 증가되면 횡방향 복원력이 증가되어 파고가 높은 외부 환경에서 선체의 전복과 같은 사고가 최소화되도록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메인선체(10)에는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에 의해 파도의 충격 등 직접적으로 전달됨이 방지되어 내파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storage amount of the equilibrium water (bw) of each of the auxiliary tanks 40a and 40b is increased, the main hull 10 increases the lateral restoring force, minimizing accidents such as overturning of the hull in an external environment with high digging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Further, the main hull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by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such as the impact of a wave, so that the wave resistance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파고센싱부(50)는 상기 메인선체(10) 및 상기 보조선체(2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파고센싱부(50)는 상기 메인선체(10)가 부유되는 상기 해양의 파고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와 유/무선 연결되어 검출된 파고측정치를 상기 제어부(70)에 전송한다. Meanwhile,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is provided at one of the main hull 10 and the auxiliary hull 20. The crest sensing unit 50 may measure the crest of the ocean in which the main hull 10 is float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in a wireless manner to detect the detected peak value, Lt; / RTI >

여기서, 상기 파고센싱부(50)는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의 규모 내지 설계조건 등에 따라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큰 해역에서 사용 가능한 압력식 파고계, 수위의 상하 변동에 의한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저항선식 파고계, 전기적 용량이 수위에 상하에 따라서 변화하는 용량식 파고계, 수중에 잠기거나 대기중에 노출되는 것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수면 변위를 측정하는 스텝식 파고계 등 다양한 종류의 파고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measures the resistance change due to the vertical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which can be used in a sea area where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ides only,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 A capacitive wave peak gauge whose electrical capacity varies with the water level, and a stepped wave peak gauge that measures the water displacement by electrically sensing the water exposure in the water or exposed to the atmosphere. .

그리고, 상기 평형수조절부(60)는 상기 메인선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평형수조절부(60)는 상기 해양의 해수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형수조절부(60)에 구비되는 펌프는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7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해양의 해수를 흡입 및 토출한다.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hull 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In detail,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may include a pump for sucking and discharging seawater. At this time, the pump included in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and sucks and discharges the seawat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여기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평형수조절부(60)는 상기 데크부(10b)의 선저부에 상기 해양의 수중 방향으로 개구된 흡입라인(65a)과 연결되어 상기 해양의 해수가 흡입될 수 있다.3B,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is connected to a bottom line of the deck unit 10b and connected to a suction line 65a opened in the water direction of the ocean, so that the sea water is sucked .

또한, 상기 평형수조절부(60)는 상기 메인탱크(30)와 연결된 제1평형수라인(65b)과, 상기 제1보조탱크(40a)와 연결된 제2평형수라인(65c)과, 상기 제2보조탱크(40b)와 연결된 제3평형수라인(65d)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해양으로부터 흡입된 해수를 상기 평형수(bw)로서 분배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평형수조절부(60)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상기 평형수(bw) 저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includes a first ballast water line 65b connected to the main tank 30, a second ballast water line 65c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tank 40a, And the third ballast water line 65d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tank 40b to distribute and supply the seawater sucked from the ocean as the ballast water bw. Accordingly,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is selectively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to adjust the water storag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bw of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have.

이때, 상기 제1평형수라인(65b), 상기 제2평형수라인(65c) 및 제3평형수라인(65d)에는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전자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각 보조탱크(40a,40b)에는 상기 각 제1전자밸브가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므로 유입되는 상기 평형수(bw)의 유입량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The first ballast line 65b, the second ballast water line 65c and the third ballast water line 65d are provided with a first solenoid valv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0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t is possible. The respective first solenoid valves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s 40a and 40b so that the inflow amount of the ballast water bw May be individually adjusted.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배터리 등의 전원저장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파고센싱부(50) 및 상기 평형수조절부(6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상기 파고측정치를 수신받아 상기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평형수조절부(60)의 구동을 제어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70 receives power from a power storage device such as a battery and selectively supplies power to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and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The controller 70 receives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from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water level controller 60 according to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method of the leisure boat 100 for underwater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as follows.

먼저, 도 3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기설정된 파고기준치 이하의 파고(h1)가 형성된 해양에서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상기 평형수(bw)가 기설정된 최소 수위(도 5의 m)에 대응되도록 저수되어 기설정된 무게중심(G1)이 형성된 상태로 운항될 수 있다.3A to 6, the leisure boat 100 for underwater viewing is install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in a marine having a height h1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equilibrium water bw may be stored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in FIG. 5) so that a predetermined center of gravity G1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어부(70)에는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상기 파고측정치가 수신된다(s10). 상세히, 상기 파고센싱부(50)는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가 부유중인 상기 해양의 파고를 측정하여 상기 파고측정치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제어부(70)에 상기 파고측정치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파고센싱부(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도록 수동적으로 해양의 파고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70)에 파고측정치를 전송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unit 70 receives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from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s10). In detail,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measures the wave height of the ocean in which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is floating, and automatically outputs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70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an be transmitte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may manually measure the wave height of the ocean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ler 70.

그리고,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0). 이때, 상기 파고기준치는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의 하중 내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고기준치가 2m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2m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eak value received from the peak-sensing unit 50 exceeds a preset peak value (s20). At this time, the digging reference valu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load or design of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For example, if the peak value is set to 2 m,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peak value received from the peak value sensing unit 50 exceeds 2 m.

여기서,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면(s20),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상기 평형수(bw)가 공급된다(s21).If the measured peak value receiv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50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s20),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and the balance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are connected to the equilibrium water- (bw) is supplied (s21).

상세히, 도 3b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해양에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운항 도중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는 파고(h2)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안전운항모드를 활성화한다.3B to 6, a wave height h2 exceeding a predetermined wave height reference value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due to a change in the ocean or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70 receives the wave from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The safe navigation mode is activ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peak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peak value.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1탑승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출력모니터부에 상기 안전운항모드의 활성화 여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안전운항모드의 활성화를 확인한 탑승자가 현재 부유중인 해양의 파고상태를 인지하여 경각심을 가지고 운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output monitor unit provided in the first boarding space to display whether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passenger who has confirmed the activation of the safe operation mode can recognize the floating state of the floating sea and can operate with the alert.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안전운항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평형수조절부(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평형수조절부(60)에 구비된 펌프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흡입라인(65a)을 통해 상기 해양의 해수가 즉각적으로 흡입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activates the safe operation mode and controls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to be driven. At this time, the pump provided in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is powered by the control unit 70 and can be driven so that the sea water is immediately sucked through the suction line 65a.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각 평형수라인(65b,65c,65d)에 구비된 상기 제1전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평형수조절부(60)에 구비된 펌프에 의해 흡입된 해수가 상기 각 평형수라인(65b,65c,65d)으로 토출되어 상기 평형수(bw)로서 분배 공급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first solenoid valves provided in the ballast lines 65b, 65c and 65d to be opened and the seawater sucked by the pump provided in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65b, 65c, 65d) to be distributed and supplied as the ballast (bw).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는 상기 평형수조절부(60)로부터 상기 평형수(bw)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메인탱크(30)의 상기 제1저수공간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상기 제2저수공간(41)에 기설정된 최소 수위(도 5의 m) 이상의 상기 평형수(bw)가 저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의 무게중심(G2)은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기설정된 최소 수위(m) 이상으로 상기 평형수(bw)가 저수됨에 따라 상기 평형수(bw)가 유입되기 전의 기설정된 무게중심(G1)보다 더 낮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3b,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are supplied with the ballast water bw from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and the equilibrium water bw at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in FIG. 5) in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of the auxiliary tank 40 are stored. The center of gravity G2 of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so that the ballast water bw is stored The center of gravity G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predetermined center of gravity G1 before the ballast water bw is introduced.

이에 따라,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무게중심(G2)이 상기 평형수(bw)가 유입되기 전 기설정된 무게중심(G1)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10) 및 상기 보조선체(20)의 상하 요동(heaving)에 대한 진폭이 감소되어 선체의 부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상기 평형수(bw)의 유입 과정은 상기 제어부(70)에 상기 파고측정치가 수신되면 순간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탑승자는 자동으로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갑작스러운 기상 조건 변화에 대한 즉각적인 대비가 가능하다. Accordingly, since the center of gravity G2 of the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100 is formed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center of gravity G1 before the ballast water bw flows in, the main hull 10 and the auxiliary The amplitu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ull 20 can be reduced and the floating stability of the hull can be improved. The inflow process of the ballast water bw as described above is instantaneously progressed when the crest value is received in the controller 70. The passeng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for a sudden change in the weather condition Immediate contrast is possible.

또한,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갑작스러운 기상 조건의 변화로 인해 상기 해양으로부터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는 파고(h2)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복원력이 상승되어 전복 등의 사고에 대해 대비되도록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즉각적으로 상기 평형수(bw)가 저수되므로 탑승자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isure boat 100 for underwater viewing has an increased restoring force even when the wave height h2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rom the ocean is increased due to a sudden change in weather conditions, so that it can be prepared against an accident such as abalone Since the ballast water bw is stored immediately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safety for the passenger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에는 수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70)에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최대 한계 수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되어 상기 평형수조절부(60)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각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평형수조절부(6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water level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to transmit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70 when the water level is sensed. At this time, each level sens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imit level of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The control unit 70 stops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when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each level sensor in a state where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is activated by activating the safe operation mode. .

이를 통해,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는 상기 평형수(bw)가 최대 한계 수위에 대응되도록 저수되면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평형수(bw)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stops the supply of the ballast water bw to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when the ballast water bw is stored to correspond to the maximum water level .

한편,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 이하이면(s20),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 that the safe wav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it is determined in step s30 that the safe wav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상세히,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된 상태가 아니라면(s30),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상기 파고측정치가 수신되는 단계(s10)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e when the peak value received from the peak-sensing unit 50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if the safe operation mode is not activated (s30), the step (s10) in which the peak measurement value is receiv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5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그리고,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라면(s30),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외부로 배출된다(s31).If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s30), the safe operation mode is deactivated and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31).

여기서,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된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 이하이면서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된 상태는 상기 해양의 파고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도록 높아진 후 기설정된 파고기준치 이하로 낮아진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상기 평형수(bw)가 이미 공급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안전운항모드의 활성화를 해제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wave height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wave height reference value and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means that the wave height of the ocean exceeds the predetermined wave height reference value, . ≪ / RTI > In this case, since the ballast water bw has already been supplied to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the control unit 70 cancels the activation of the safe operation mode, Switch.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기설정된 최소 수위(m)에 대응하여 저수되도록 평형수(bw)의 초과량이 상기 해양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bw to be stor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so that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the auxiliary tank 40 is stored at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To be discharged to the ocean.

이때,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는 별도의 평형수배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은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에 별도의 배출펌프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내부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상기 해양으로 토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may be provided with separat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For example,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is provided as a separate discharge pump inside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and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the inside of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Can be discharged into the ocean.

이에 따라,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의 전체 하중이 감소되므로 상기 메인선체(1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같은 추진장치의 에너지 낭비가 방지되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is drained, the total load of the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100 is reduced,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ulsion device, such as a motor that provides the propulsion force to the engine, can be prevent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은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홀이 개폐되는 개폐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평형수(bw)가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로부터 상기 평형수(bw)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so that the ballast water bw may be discharged naturally, 30 and the inside of the auxiliary tank 40 can discharge the ballast water bw.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는 상기 평형수(bw)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복수 구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4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5,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42 such that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spaces in which the ballast water bw is stored ar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Do.

여기서, 상기 저수공간이라 함은 상기 메인탱크(3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저수공간 및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저수공간(41)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부재(42)가 상기 보조탱크(40)에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Here, the water storage space is preferably a concept including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form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formed in the auxiliary tank 40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tion member 42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tank 40 as an example.

상세히, 상기 격벽부재(42)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에 상기 제2저수공간(41)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돌설된다. 이때, 상기 제2저수공간(41)은 상기 격벽부재(42)에 의해 복수개의 저수구획공간(41a,41b)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재(4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탱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격벽부재(42)는 상기 보조탱크(4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교차 배치되어 제2저수공간(41)이 복수 구획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member 42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protrudes inside the auxiliary tank 40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At this time,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compartments 41a and 41b by the partition wall member 42. Here, the plurality of partition members 4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tank 40. Of course, the partition wall members 42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auxiliary tank 40 so that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또한, 상기 격벽부재(42)에는 각 저수구획공간(41a,41b)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통홀(4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통홀(42a)은 상기 제2저수공간(41)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의 저수량에 따라 다양한 형상, 크기 내지 수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 42 may be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42a through which the respective water storage compartment spaces 41a and 41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hole 42a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sizes, and / or quantit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이를 통해,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갑작스런 요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격벽부재(42)에 의해 상기 제2저수공간(41)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한번에 일측으로 몰림이 방지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각 선체(10,20)의 기울어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상기 연통홀(42a)을 통해 상기 각 저수구획공간(41a,41b)으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sudden rocking occurs, the leisure boat 100 for underwater viewing can prevent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41 by the partition member 42 from being thrown to one side at a time So that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hulls 10 and 20 due to the load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stored water bw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water storage compartments 41a and 41b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42a.

이때, 상기 연통홀(42a)의 위치는 상기 보조탱크(40)의 기설정된 최소 수위(m)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각 저수구획공간(41a,41b) 중 어느 일측에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이 구비되면 상기 각 저수구획공간(41a,41b)의 내부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는 상기 연통홀(42a)을 경유하여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을 통해 상기 해양으로 배출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42a is set to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of the auxiliary tank 40 or more. More specifically, when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is provided at one side of each of the water storage compartments 41a and 41b,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each of the water storage compartments 41a and 41b flow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42a through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예컨대, 일측 저수구획공간(41a)에 상기 기설정된 최소 수위(m) 이상의 위치에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이 구비되면, 타측 저수구획공간(41b)에 저수된 상기 평형수(bw)가 상기 연통홀(42a)을 경유하여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을 통해 상기 해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is provided at a position at the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or more in one side water storage compartment space 41a, the ballast water bw stored in the other side water storage compartment space 41b flows in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n discharged to the ocean via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through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42a.

여기서, 상기 연통홀(42a)의 위치가 상기 보조탱크(40)의 기설정된 최소 수위(m) 이상으로 설정되면, 상기 평형수(bw)가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을 통해 상기 해양으로 배출되더라도 최소 수위(m)에 대응되도록 저수량이 잔존할 수 있다.Here, if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42a is set to a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of the auxiliary tank 40, even if the ballast water bw is discharged to the ocean through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A water amount may remain so as to correspond to the water level m.

즉, 상기 평형수(bw)는 상기 평형수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도중, 상기 기설정된 최소 수위(m) 이하로는 상기 연통홀(42a)을 경유하여 상기 평형수(bw)가 배출되지 않아 상기 보조탱크(40)의 내부에 상기 최소 수위(m)에 대응되도록 저수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allast water bw is discharged through the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the ballast water bw is not discharged via the communication hole 42a below the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m And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tank 40 so as to correspond to the minimum water level m.

이때, 도 5에서는 상기 보조탱크(40)에 상기 격벽부재(42)가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상기 메인탱크(30)에도 상기 격벽부재(42)가 상술한 구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5, the auxiliary tank 40 is provided with the partition member 42. However, the auxiliary tank 40 may be formed in the main tank 30 such that the partition member 42 has the structure and the shape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운항 도중에 상기 평형수(bw)가 자동으로 배출되더라도 상기 최소 수위(m)에 대응되도록 상기 평형수(bw)가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 잔존하게 되어 기설정된 무게중심(G1)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인탱크(30) 및 상기 보조탱크(40)에는 상기 평형수(bw)가 자동으로 배출된 후에도 각 저수구획공간(41a,41b)에 균일하게 분배된 상태로 저수되므로 선체의 균형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ballast water bw is automatically discharged during the operation, the leisure boat 100 for underwater viewing can maintain the balance water bw in the main tank 30 and the main tank 30 so as to correspond to the minimum water level m. And the predetermined center of gravity G1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tank 40. [ In addition, since the equilibrium water bw is stored in the main tank 30 and the auxiliary tank 40 in a state of being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respective water storage compartments 41a and 41b even after the ballast water bw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기울기센싱부(80) 및 요동감쇠부(9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울기센싱부(80)는 상기 메인선체(10) 및 상기 보조선체(2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nderwater viewing leisure boat 100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ing unit 80 and a shaking damping unit 90. In detail, the tilt sensing unit 80 may be provided at any one of the main hull 10 and the auxiliary hull 20.

여기서, 상기 기울기센싱부(80)는 상기 메인선체(10)의 횡방향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울기센싱부(8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및 산출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이로 센서에는 1초 동안 각도의 변화량, 즉 각속도가 측정되며 상기 메인선체(10)의 횡방향에 대한 각속도가 측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tilt sensing unit 80 may detect the lateral inclination of the main hull 10. In detail, the tilt sensing unit 80 may include a gyro sensor and a calculation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gyro senso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change amount of the angle, that is, the angular velocity is measured for one second and the angular speed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is measured.

그리고, 상기 산출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각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각속도를 단위 시간으로 적분하여 기울기(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θ)는 상기 해양의 해수면(s)로부터 상기 메인선체(10)의 수평 기준선(r)이 기울어진 각도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출제어부는 검출된 기울기측정치를 상기 제어부(70)에 전송한다.The calculation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angular velocity measured from the gyro sensor, and integrate the angular velocity in unit time to detect the inclination [theta]. Here, the inclination (?) Is preferably an angle value at which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r) of the main hull (10) is inclined from the sea surface (s) of the ocean. Also, the calculation control unit transmits the detected tilt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70.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기울기센싱부(80)는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흘수선에 인접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각 수위감지센서 중 수위가 검출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을 상기 메인선체(1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선체(10)의 횡방향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tilt sensing unit 80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water level sensors according to circumstances. At this time, the pair of water level sensor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line of each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and the controller 70 may detect the water level in any on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hull 10 is tilted. Various kinds of sensors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lateral inclination of the main hull 10 can be detected.

한편, 상기 요동감쇠부(90)는 상기 메인선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측부로 연장된 해수유동라인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해수유동라인은 상기 제1보조선체(20a)의 측부로 연장된 제1유동라인(93)과, 상기 제2보조선체(20b)의 측부로 연장된 제2유동라인(9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winging damping portion 9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hull 10 and connected to the sea water flow lines extending to the side portions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At this time, the sea water flow line includes a first flow line 93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a second flow line 94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

여기서, 상기 요동감쇠부(90)는 상기 각 유동라인(93,94)로부터 상기 해양의 해수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동감쇠부(90)에는 상기 각 유동라인(93,94)을 통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해수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한 쌍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rocking damping unit 90 may include a pump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ea water from the respective flow lines 93 and 94. At this time, the pivotal damping unit 9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pumps for sucking and discharging seawater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rough the respective flow lines 93 and 94.

상세히, 상기 한 쌍의 펌프 중 제1펌프는 상기 제1유동라인(93)을 통해 상기 해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2유동라인(94)으로 토출하도록 구비되고, 제2펌프는 상기 제2유동라인(94)을 통해 상기 해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1유동라인(93)으로 토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라인(93) 및 상기 제2유동라인(94)은 상기 요동감쇠부(90)와 연결되는 단부가 양방향으로 분지되어 상기 제1펌프 및 상기 제2펌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pump of the pair of pumps is arranged to suck the seawater through the first flow line 93 and discharge it to the second flow line 94, and the second pump is arranged to suck the seawater through the first flow line 93, May be arranged to suck the seawater through the first flow line (94) and discharge it to the first flow line (93). The first flow line 93 and the second flow line 9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s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damping portion 90 are branched in both directions .

이때, 상기 각 분지된 단부에는 제2전자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1펌프 및 제2펌프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면, 구동되는 어느 일측의 펌프 방향으로 유입 및 토출되도록 제2전자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second solenoid valve may be provided at each of the branched ends. When either one of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is driven, So that the second solenoid valve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평형수조절부(60) 및 상기 요동감쇠부(9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에 단일의 펌프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에 형성된 단일의 펌프에는 상기 흡입라인(65a), 각 평형수라인(65b) 및 해수유동라인이 연결되되 각 라인별로 전자밸브가 구비되어 해수의 유입 및 토출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case,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and the rocking damping unit 9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nclude a single pump. At this time, the suction line 65a, the ballast water line 65b, and the sea water flow line are connected to the single pump formed therein, and the electromagnetic valve is provided for each line, so that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seawater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have.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수신된 상기 기울기검출치에 따라 상기 요동감쇠부(90)의 흡입 및 토출 방향을 제어한다. 상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해양의 파도 방향(w)이 상기 제1보조선체(20a)에서 상기 제2보조선체(20b) 측을 향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에는 상기 제1보조선체(20a)의 하측으로 파도가 진입하여 상기 해수면(s)을 기준으로 상기 제2보조선체(20b)가 수중으로 기울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s of the shaking damping unit 90 according to the received tilt detection value. 4, as the wave direction w of the ocean progresses from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toward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the water for leisure boats 100 A wave enter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is tilted in the water based on the sea level s.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기울기센싱부(80)로부터 상기 기울기검출치가 수신되면, 상기 기울기검출치를 기반으로 상기 요동감쇠부(90)의 흡입 및 토출 방향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direction of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oscillation damping unit 90 based on the tilt detection value when the tilt sensing value is received from the tilt sensing unit 80.

예컨대, 상기 기울기검출치는 상기 메인선체(10)가 상기 제1보조선체(20a)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양수(+) 값으로 검출되고, 상기 메인선체(10)가 상기 제2보조선체(20b)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음수(-) 값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기울기검출치가 양수값 또는 음수값인지 판단하여 그의 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요동감쇠부(90)의 흡입 및 토출방향을 판단한다.For example, the inclination detection value is detected as a positive value when the main hull 10 is tilted toward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the main hull 10 is detected as a positive value when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Direction can be detected as a negative (-) valu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detection value is a positive value or a negative value, and determines the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 of the oscillation damping unit 90 so as to correspond to the value.

이때, 상기 제어부(70)에 수신된 상기 기울기검출치가 음수값이라면, 상기 메인선체(10)는 상기 제2보조선체(20b)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요동감쇠부(90)가 상기 제1유동라인(93)을 통해 상기 해양의 해수를 흡입하고 상기 제2유동라인(94)으로 흡입된 해수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If the tilt detection value received by the controller 70 is a negative value, the main hull 10 is tilted toward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Therefore,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shaking damping portion 90) sucks the marine seawater through the first flow line (93) and discharges the seawater sucked into the second flow line (94).

즉,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기울기검출치로부터 상기 메인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요동감쇠부(90)가 상기 메인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향해 해수가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tilted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from the inclination detection value, and the shaking damping unit 90 detects the tilted direction of the main hull 10, .

이때, 상기 제1유동라인(93) 및 상기 제2유동라인(94)은 상기 보조선체(20)의 하부 방향을 향해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유동라인(93)은 일단부가 상기 제1보조선체(20a) 측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요동감쇠부(90)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동라인(94)은 일단부가 상기 요동감쇠부(9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보조선체(20b) 측을 향해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first flow line 93 and the second flow line 94 are preferably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hull 2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low line 93 has one end extending toward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damping portion 90, And the other end portion extends toward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그리고, 상기 제1유동라인(93)의 일단부 및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타단부는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하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유동라인(93) 및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개구된 출입구가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one end of the first flow line 9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ow line 94 may extend to open below the respectiv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That is, the openings of the first flow line 93 and the second flow line 94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respectiv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또한, 상기 개구된 출입구 측에는 각각 노즐부(95,9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동라인(93)의 일단부에는 제1노즐부(9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타단부에는 제2노즐부(96)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portions 95 and 96 may be provid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opening. That is, a first nozzle unit 95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low line 93, and a second nozzle unit 96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ow line 94. have.

이때, 상기 각 노즐부(95,96)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노즐부(95,96)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유동라인(93)의 일단부 및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타단부는 상기 각 노즐부(95,96)에 대응되도록 분지되어 상기 각 보조선체(20a,20b)의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nozzle units 95 and 96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When a plurality of the nozzle units 95 and 96 are provided, one end of the first flow line 9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ow line 94 are connected to the nozzle units 95 and 96, respectively. And may extend toward the low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auxiliary hulls 20a and 20b.

여기서, 상기 각 노즐부(95,96)는 가변형 노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노즐 내경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요동감쇠부(90)로부터 흡입된 해수는 상기 각 노즐부(95,96)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 상태로 상기 해양의 수중을 향해 토출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nozzle units 95 and 96 may be a variable nozzl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may be var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Accordingly, the seawater sucked from the rocking damping unit 90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sea of the ocean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s raised by the nozzle units 95 and 96.

예컨대,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요동감쇠부(90)가 상기 제1유동라인(93)을 통해 상기 해양의 해수가 흡입되고 흡입된 해수가 상기 제2유동라인(94)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제1노즐부(95)의 노즐이 최대 직경으로 개구되도록 연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노즐부(95)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노즐부(96)의 노즐 최소 내경이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2노즐부(96)를 연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노즐부(96) 노즐의 최소 내경이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내경 이하로 형성되면, 단면적 차이로 인해 상기 제2유동라인(94)의 내부로 유동되는 해수가 상기 제2노즐부(96)의 노즐로 분사되면서 압력이 증가한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rocking damping unit 90 to discharge the seawater of the ocean through the first flow line 93 and discharge the sucked seawater into the second flow line 94 It is possible to perform interlocking control so that the nozzles of the first nozzle unit 95 are opened at the maximum diameter. Accordingly, the inflow amount of the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nozzle unit 95 can be increased. The second nozzle unit 96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minimum nozzl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nozzle unit 96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line 94. At this time, if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of the second nozzle unit 96 is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line 94,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line 94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 The pressure is increased while being injected into the nozzles of the second nozzle portion 96.

이를 통해, 상기 제2보조선체(20b)에는 상기 제2노즐부(96)를 향해 토출되는 해수는 압력이 증가된 상태로 상기 제2보조선체(20b)의 하측을 향해 수직하게 분사됨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10)의 수평 기준선(r)이 상기 해수면(s)에 대응되도록 상승할 수 있는 상승력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awater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nozzle unit 96 of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is injected vertically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hull 20b in an increased pressure state, A lifting force capable of raising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r of the main hull 10 to correspond to the sea level s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 상기 수중관람용 레저보트(100)는 상기 해양의 파도에 의해 상기 메인선체(1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즉각적으로 상기 요동감쇠부(90)가 상기 해양의 파도 수압이 상쇄되도록 기울어진 방향으로 흡입된 해수가 분사됨에 따라 횡방향 복원 속도가 향상되어 운항의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ain hull 10 is tilted to one side by the waves of the ocean, the underwater viewing boats 100 are immediately inclined so that the shaking dampers 90 cancel the wave water pressure of the ocean As the seawater sucked in the forward direction is sprayed, the lateral restoration speed is improved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메인선체(10)가 상기 제1보조선체(20a)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와 같은 원리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1노즐부(95)를 통해 해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동감쇠부(90)와 연결되는 상기 해수유동라인이 상기 메인선체(10)의 전측 및 후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적용하면, 상기와 같은 원리로 상기 요동감쇠부(90)의 구동시 상기 메인선체(10)의 종방향 복원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요동감쇠부(90)는 흡입된 해수의 토출방향이 설정되도록 배치된 상기 해수유동라인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선체(10)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main hull 10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auxiliary hull 20a, the control unit 70 can control the spraying of the seawater through the first nozzle unit 95 have. In addition, when the seawater flow line connected to the shaking damping portion 90 is formed to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main hull 10, when the shaking damping portion 90 is driven The longitudinal restoring force of the main hull 10 may be improved. That is, the shaking damping unit 90 may provide lateral or longitudinal restoring force to the main hull 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awater flow line arranged to se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ucked seawater.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요동감쇠부(90)가 구동되도록 연동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파고센싱부(50)로부터 수신되는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여 상기 안전운항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평형수조절부(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요동감쇠부(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요동감쇠부(9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afe oper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70 may perform interlocking control so that the rocking damping unit 90 is driven. That is, the control unit 70 activates the safe operation mode and controls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to be driven when the measured peak value received from the wave height sensing unit 50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driving of the rocking damping portion 90 can b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When the safe operation mode is inactivated, the control unit 7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cking damping unit 90 to stop.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70)는 갑작스런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상기 해양으로부터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는 파고(h2)가 형성되면 상기 평형수조절부(60) 및 상기 요동감쇠부(90)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메인선체(10)의 횡방향 복원력 및 복원속도가 동시에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요동감쇠부(90)는 상기 안전운항모드가 비활성화된 일반적인 운항 도중에도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ve height h2 exceeding the predetermined wave height reference value is formed due to sudden climatic change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70 interlocks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60 and the rocking damping unit 90 with each other A synergistic effect in which the lateral restoration force and the restoration speed of the main hull 10 are improved at the same time can be provide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shaking damping unit 90 may be driven by the controller 70 during 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safe operation mode is inactiv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메인선체 20: 보조선체
20a: 제1보조선체 20b: 제2보조선체
30: 메인탱크 40: 보조탱크
40a: 제1보조탱크 40b: 제2보조탱크
50: 파고센싱부 60: 평형수조절부
70: 제어부 80: 기울기센싱부
90: 요동감쇠부 100: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10: main hull 20: auxiliary hull
20a: first auxiliary hull 20b: second auxiliary hull
30: main tank 40: auxiliary tank
40a: first auxiliary tank 40b: second auxiliary tank
50: wave height sensing unit 60: ballast water control unit
70: control unit 80: tilt sensing unit
90: Shaking damping part 100: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Claims (5)

탑승자가 수중을 관람하도록 잠수되는 수중관람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면 위에 부유되는 데크부를 포함하는 메인선체와, 상기 메인선체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연결되되 선저부가 상기 데크부의 흘수선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선체가 수면 위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형성하는 한 쌍의 보조선체를 포함하는 수중관람용 레저보트에 있어서,
평형수 저수량에 따라 상기 메인선체의 무게중심이 조절되도록 상기 수중관람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탱크;
상기 각 보조선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평형수 저수량에 따라 횡방향 복원력이 조절되는 보조탱크;
상기 메인선체가 부유되는 해양의 파고를 측정하는 파고센싱부;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파고센싱부로부터 검출되는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의 상기 평형수 저수량을 조절하는 평형수조절부;
상기 파고측정치에 따라 상기 평형수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파고측정치가 기설정된 파고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평형수가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에 유입되도록 상기 평형수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메인선체의 횡방향 기울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기검출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기울기센싱부; 및
상기 기울기검출치에 따라 상기 각 보조선체의 측부로 연장된 해수유동라인을 통해 해수를 흡입 및 토출하는 요동감쇠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유동라인은 상기 요동감쇠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선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유동라인과, 상기 요동감쇠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선체의 타측으로 연장된 제2유동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라인 및 상기 제2유동라인은 상기 각 보조선체 중 기울어진 어느 일측에 토출되는 상기 해수에 의한 상승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보조선체의 하부 방향을 향해 개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검출치에 따라 상기 요동감쇠부가 상기 제1유동라인 및 상기 제2유동라인 중 어느 일측을 통해 상기 해수를 흡입하고 타측을 통해 상기 메인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향해 흡입된 해수를 토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에는 상기 평형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복수 구획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격벽부재에는 복수 구획된 상기 각 저수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연통홀의 위치는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의 기설정된 최소 수위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메인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에는 상기 기설정된 최소 수위 이상의 위치에 평형수배출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A main hull including a deck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n underwater viewing portion for a passenger to observe the underwater and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 main hull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hull so as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the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line of the deck portion, 1. A leisure boat for underwater viewing comprising a pair of auxiliary hulls forming a buoyancy so that the main hull will float over the water surface,
A main tank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derwater view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hul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allast water storage amount;
An auxiliary tank provided inside each of the auxiliary hulls and having a lateral restoring forc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A wave heigh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wave height of the ocean in which the main hull is floated;
A ballast water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to adjust the water storage amount of the ballast water i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ccording to a peak value measured from the peak sensing uni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llast wa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crest value and to cause the ballast water to flow into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when the crest measurement valu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crest value;
A tilt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lateral inclination of the main hull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tilt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And
And a shaking damping portion for sucking and discharging seawater through a seawater flow line extending to th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hulls according to the tilt detection value,
Wherein the seawater flow line includes a first flow line connected to the swing damping portion an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hull and a second flow line connected to the swing damping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hull,
The first flow line and the second flow line are opened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auxiliary hull so as to provide a lift force by the seawater discharg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hul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haking damping unit to suck the seawater through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lines according to the tilt detection value and to draw the seawater sucked toward the tilted direction of the main hull through the other side To be discharged,
Wherei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rtition wall member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spaces for storing the ballast water are partitioned and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member so that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storage water spaces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erein a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is set to a predetermined minimum level of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nd a ballast water discharging means is provided i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at a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minimum water level or higher. Leisure boa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7370A 2017-05-08 2017-05-08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KR101948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70A KR101948052B1 (en) 2017-05-08 2017-05-08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70A KR101948052B1 (en) 2017-05-08 2017-05-08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20A KR20180123320A (en) 2018-11-16
KR101948052B1 true KR101948052B1 (en) 2019-02-14

Family

ID=6456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70A KR101948052B1 (en) 2017-05-08 2017-05-08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0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18A (en)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나루 Recreational boats with improved safe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84B1 (en) * 2018-08-29 2019-11-20 이준구 Submarine for sub-aquamarine tourism using catamaran hull
KR102075498B1 (en) * 2018-12-06 2020-02-10 주식회사 펭귄오션레저 Marine villa
KR102654606B1 (en) * 2021-11-30 2024-04-04 권지영 Fexible multihulls semi-submarine boat
KR102619608B1 (en) * 2021-12-10 2024-01-0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A high seaworthiness unmanned boat for drone power supply and remote take-off and landing
CN115258074B (en) * 2022-08-11 2023-03-14 浙江合兴船业有限公司 Automatic drainage type yacht
KR102601568B1 (en) 2023-06-09 2023-11-13 (주)사람들커뮤니케이션 Boat for viewing the aquarium main water ta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18A (en)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나루 Recreational boats with improved saf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20A (en)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052B1 (en) leisure boat for viewing underwater
KR1015358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ctive and passive stabilization of a vessel
DK178218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boat
EP0466382A1 (en) Stabilized boat
KR101173364B1 (en) Ballast-free ship
EP2945845B1 (en) Fast ship
KR20140029880A (en) Airbag pontoon
JP6130912B2 (en) Submersible craft and submersible craft control method
KR20110137774A (en) Ice breaking system for floating bodies
KR101964836B1 (en) Anti-rolling apparatus
KR20080005641U (en) Ballast apparatus of underwater vehicle
WO2015077864A1 (en) Buoyant, variably buoyant and non-buoyant foil structures for marine vessels and watercraft
RU2380274C1 (en) Underwater tanker
GB2361458A (en) Semi-submersible marine craft
JP4795524B2 (en) Fender
KR101871103B1 (en) Nomad Buoy for Multi-purpose Marine Platform with Submarine Cable Connection
KR102566898B1 (en) Recreational boats with improved safety
KR102594823B1 (en) Barge having Anti-Rolling System
JPH10250680A (en) Non-rocking ship
EP3010795B1 (en) Floating construction
JPH0195991A (en) Tank installed to keel for ship in longitudinal direction
RU2215667C2 (en) Sea-going pleasure complex
KR20210152832A (en) A ship including air lubrication system and anti-rolling device
CN114701614A (en) Intelligent stabilizing system for large ship
KR20170014290A (en) Sailing vessel having double-sided sai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