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517B1 -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517B1
KR101947517B1 KR1020180008273A KR20180008273A KR101947517B1 KR 101947517 B1 KR101947517 B1 KR 101947517B1 KR 1020180008273 A KR1020180008273 A KR 1020180008273A KR 20180008273 A KR20180008273 A KR 20180008273A KR 101947517 B1 KR101947517 B1 KR 10194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attern
developer composition
eop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진
김기홍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517B1/ko
Priority to US16/961,407 priority patent/US11199779B2/en
Priority to CN201980009739.XA priority patent/CN111656285A/zh
Priority to PCT/KR2019/000307 priority patent/WO2019146935A1/ko
Priority to TW108101539A priority patent/TWI75650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2Liquid compositions therefor, e.g. developers
    • G03F7/322Aqueous alkaline composi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04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light source, e.g. fluorescent lamps or deep UV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08Production of exposure light, i.e. light sources
    • G03F7/70033Production of exposure light, i.e. light sources by plasma extreme ultraviolet [EUV]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EUV(Extreme Ultraviolet) 광원용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며,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를 2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V(Extreme Ultraviolet) 광원용 미세패턴 형성용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는 EUV 광원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리소그래피 공정에 관한 것이며, 포토레지스트를 현상 시 Eop를 낮추어 공정시간이 단축되고, 패턴이 붕괴되지 아니할 뿐 아니라, 프로파일이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DEVELOPER COMPOSITION FOR FORMING PHOTOSENSITIVE PHOTORESIST PATTERN FOR EXTREME ULTRAVIOLET}
본원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EUV(Extreme Ultraviolet) 광원용 현상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 시 Eop(Energy of Optimum)를 낮추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무너지지 않는 보다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미세패턴 형성용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는 리소그래피 공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반도체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집적화에 수반하여 미세패턴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노광장비의 개발, 추가적인 공정의 도입 또는 공정의 개선을 통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미세화가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반도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과거에는 365nm 파장의 i-line 광원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였으나 더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더 작은 파장대의 광원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실제로 KrF(248nm)를 시작으로 ArF(198nm), EUV(extreme ultra violet-극자외선, 13.5nm) 광원을 이용한 리소그래피(lithography), ArF 리소그래피의 이중 노광(더블 패터닝 리소그래피) 기술이 개발되어,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상용화 중에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더 미세한 파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EUV 리소그래피에 있어서, 미세 패턴 형성 시 노광 중에 탄소 원자의 흡수가 적어서 원하는 사이즈의 패턴 형성이 잘 되지 않거나, 패턴 붕괴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레지스트막 내의 탄소 원자의 충분한 흡수가 없으면 미세 패턴 구현 시에 스트레이트 패턴을 형성할 수 없고, EUV에 대한 감도가 낮아져 충분한 스루풋(throughput)을 얻을 수 없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의 현상 속도를 빠르게 하여 현상에 필요한 Dose를 낮추면서 보다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EUV(Extreme Ultraviolet) 광원용 현상액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는 리소그래피 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 시 Eop를 낮추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무너지지 않는 보다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현상액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하는 리소그래피 공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를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EUV 광원용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은 현상 시 통상 현상액으로 사용하고 있는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 수용액에 비하여 Eop를 크게 낮추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무너지지 않는 보다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매우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리소그래피의 포토 공정에 사용하던 통상의 현상액인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 2.38 중량% 수용액의 경우 Dose가 높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Dose를 낮추기 위해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함량을 높였을 경우 Dose는 조금 낮아지나 패턴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패턴의 쓰러짐도 발생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해왔던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현상액으로는 본원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Dose를 낮춰 스루풋을 획기적으로 올리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나아가,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장기간의 연구를 통하여,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현상액은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현상액에서 야기된 문제점 없이 Dose를 낮춰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명하게 되었는바, 아래에서 자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원 발명의 현상액 조성물인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는 수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가 2 중량% 미만일 경우 현상 속도가 느려 스루풋 개선이 미비하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현상 속도가 너무 빨라서 패턴이 붕괴될 위험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통상의 포토레지스트 패터닝 공정을 살펴보면 EUV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300mm 실리콘 웨이퍼에 스핀(spin) 코터(coater)를 이용하여 1500rpm의 속도로 스핀 코팅하고, 110℃에서 60초간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건조 후(SB: Soft bake), EUV가 발생되는 노광기를 이용하여 노광한 후, 110℃에서 60초간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건조하고(PEB: Post exposure bake)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2.38 중량% 현상액을 사용하여 8초간 분사 후 50초간 정치(puddle)하고, DI 린스 후 2000rpm의 회전수로 20초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패터닝을 완료하였다.
본원 발명에서는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을 사용하여 100rpm으로 22mL/s의 속도로 7초간 분사 후 20초간 정치(puddle)하고, DI로 린스 후 2000rpm의 회전수로 20초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패턴형성을 완료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EUV 광원용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과 이들 조성물을 적용한 공정 방법은 현상 시 Dose를 낮추면서 보다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하여 공정 시간 절감 및 이에 따른 제조 단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일뿐 본원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14
실시예 1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2g에 탈이온수(DI) 98g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과 같은 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EUV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300mm 실리콘 웨이퍼에 스핀(spin) 코터(coater)를 이용하여 1500rpm의 속도로 스핀 코팅하고, 110℃에서 60초간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건조 후(SB: Soft bake), EUV가 발생되는 노광기를 이용하여 노광한 후, 110℃에서 60초간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건조하고(PEB: Post exposure bake)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으로 60초간 현상한다. 이후에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을 사용하여 100rpm으로 22mL/s의 속도로 7초간 분사 후 20초간 정치(puddle)하고, DI로 린스 후 2000rpm의 회전수로 20초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패턴형성을 완료하였다.
실시예 2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4g에 탈이온수(DI) 96g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6g에 탈이온수(DI) 94g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8g에 탈이온수(DI) 92g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10g에 탈이온수(DI) 90g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
통상의 현상액을 구현하기 위해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2.38g을 탈이온수(DI) 97.62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2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4g을 탈이온수(DI) 96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3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10g을 탈이온수(DI) 90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4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1g을 탈이온수(DI) 99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5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11g을 탈이온수(DI) 89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6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 2g을 탈이온수(DI) 98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7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 4g을 탈이온수(DI) 96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8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 10g을 탈이온수(DI) 90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여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9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2g을 탈이온수(DI) 98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i-line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I-line 광원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였고,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0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10g을 탈이온수(DI) 90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i-line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I-line 광원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였고,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1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2g을 탈이온수(DI) 98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KrF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KrF 광원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였고,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2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10g을 탈이온수(DI) 90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KrF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KrF 광원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였고,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3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2g을 탈이온수(DI) 98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ArF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ArF 광원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였고, Eop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4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10g을 탈이온수(DI) 90g에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기계 교반을 실시한 후 각각 0.02㎛ 필터에 통과시켜 현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처리 공정은 ArF에 감응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ArF 광원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였고, Eop를 확인하였다.
특성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4에 대하여 20nm 라인 앤드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EOP와 collapse 및 패턴 프로파일을 CD-SEM(Hitachi S-8820 serie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Eop(mJ/cm2)가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2.38중량%에 비하여 개선될 뿐 아니라, 패턴의 붕괴(collapse)가 없으며, 이와 동시에 프로파일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개선되어야 보다 균일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프로파일은 에너지와 포커스를 고정하여 웨이퍼 전체를 현상한 후 전체 영역의 패턴 균일성을 측정하여 CDU(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선폭균일성)를 확인한 결과 값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에서는 CDU가 1% 미만인 매수 우수한 프로파일만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프로파일>
1. 매우 불량: CDU 6% 이상
2. 불량: CDU 4% 이상 6% 미만
3. 보통: CDU 2% 이상 4% 미만
4. 다소 우수: CDU 1% 이상 2% 미만
5. 매우 우수: CDU 1% 미만
Eop
(mJ/cm2)
Collapse 유무 프로파일
실시예 1 23 5
실시예 2 20 5
실시예 3 19 5
실시예 4 17 5
실시예 5 15 5
비교예 1 24 4
비교예 2 21 3
비교예 3 15 1
비교예 4 26 5
비교예 5 14 3
비교예 6 27 4
비교예 7 22 4
비교예 8 17 2
비교예 9 현상되지 아니함 - -
비교예 10 현상되지 아니함 - -
비교예 11 현상되지 아니함 - -
비교예 12 현상되지 아니함 - -
비교예 13 현상되지 아니함 - -
비교예 14 현상되지 아니함 - -
위 표 1의 특성 측정 실험 결과에 의하면, Eop(mJ/cm2)가 23이하인 것이어서 공정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패턴이 붕괴되는 현상인 Collapse가 발생하지 아니하는 동시에, CDU(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선폭균일성)가 2% 미만인 것이어서 프로파일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결국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실시예 1 내지 5의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를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이다.
나아가,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Eop가 20(실시예 2) 내지 15(실시예 5)인 것이어서 공정 시간이 더욱 크게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Collapse가 발생하지 아니하면서도, CDU가 2% 미만인 것이어서 프로파일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예 2 내지 5의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를 4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이다.
위 농도 범위를 벗어나는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의 농도에 관하여 평가하여 보건대,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의 농도가 2 중량%보다 낮은 경우, 즉 비교예 4에서와 같이 1 중량%인 경우에는 Eop가 26으로 큰 것이어서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의 농도가 10 중량%보다 높은 경우, 즉 비교예 5에서와 같이 11 중량%인 경우에는 패턴이 붕괴되는 현상인 Collapse가 발생하는 것이어서 채택할 수 없을 뿐 아니라, CDU(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선폭균일성)가 4% 미만인 것이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상대적으로 불량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의 농도에 관하여 평가하여 보건대,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의 농도가 낮은 경우, 즉 비교예 1에서와 같이 2.38 중량%인 경우에는 Eop가 24로 다소 큰 것이어서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을 뿐 아니라, CDU(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선폭균일성)가 2% 미만인 것이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매우 우수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의 농도가 중간 정도의 농도인 경우, 즉 비교예 2에서와 같이 4 중량%인 경우에는 Eop는 작아지나 CDU(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선폭균일성)가 4% 미만인 것이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상대적으로 불량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의 농도가 높은 농도인 경우, 즉 비교예 3에서와 같이 10 중량%에서는 3에서와 같이 Eop는 작아지나 패턴이 붕괴되는 현상인 Collapse가 발생하는 것이어서 채택할 수 없을 뿐 아니라, CDU(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선폭균일성)가 4% 미만인 것이어서 패턴의 프로파일이 상대적으로 불량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는 낮은 농도로부터 높은 농도 모두에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의 농도에 관하여 평가하여 보건대, 이 또한 모든 농도 범위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광원별로 평가하여 보건대,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2 중량% 및 10 중량%에서 수행된 비교예 9 내지 14의 특성 측정 실험 결과에 따르면,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의 저농도(2 중량%)로부터 고농도(10 중량%)의 전범위에서 EUV 광원과 동일 조건으로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I-line, KrF, ArF 광원에서는 포토레지스트의 현상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의 경우 EUV 광원에서만 포토레지스트의 현상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이 확인된 것이다.
이는 각 광원에 상응하는 포토레지스트의 현상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EUV 광원이 아닌 I-line, KrF, ArF 광원에서 진행되는 통상의 현상 공정을 살펴보면,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가 아닌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BAH) 2.38 중량% 현상액을 사용하여 8내지 10초간 분사 후 50 내지 60초간 정치(puddle)하고, DI 린스 후 2000rpm의 회전수로 20초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패터닝을 완료하는 것이어서, 50 내지 60초 이상 정치해야 현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 및 표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EUV 광원에서 진행되는 것으로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EAH) 2 내지 10 중량% 현상액을 사용하여 7초간 분사 후 20초간 정치(puddle)하고, DI 린스 후 2000rpm의 회전수로 20초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패터닝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분사 시간이 7초인 것이어서 선행기술의 8 내지 10초에 비하여 단축되는 것일 뿐 아니라, 정치 시간이 20초로 선행기술의 50초 내지 60초에 비하여 크게 단축되는 것이므로 스루풋(throughput)이 단축되어 공정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공정 시간 절감효과를 보기 위하여 선행기술 대비 본원 발명의 분사 시간 및 정치 시간의 백분율(%)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원 발명의 공정시간 / 선행기술의 공정시간 (%) = {(7초 분사 + 20초 정치) / (8 ~ 10초 분사 + 50 ~ 60초 정치)} x 100 인 것이다.
이를 풀어 보면 {(7 + 20) / (8 + 50)} x 100 (%) 내지 {(7 + 20) / (10 + 60)} x 100 (%)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계산해보면 46 내지 38%인 것이다.
따라서, 공정 시간 절감효과는 54 내지 62%인 것이므로, 그 효과가 매우 현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EUV 광원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기 위하여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를 2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V 광원용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를 4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V 광원용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EUV 광원용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조성물을 이용하는 EUV 광원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리소그래피 공정.
KR1020180008273A 2018-01-23 2018-01-23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KR10194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73A KR101947517B1 (ko) 2018-01-23 2018-01-23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US16/961,407 US11199779B2 (en) 2018-01-23 2019-01-09 Developer composition, for EUV light source, for forming photosensitive photoresist micropattern
CN201980009739.XA CN111656285A (zh) 2018-01-23 2019-01-09 极紫外光源用光敏性光刻胶微细图案形成用显影液组合物
PCT/KR2019/000307 WO2019146935A1 (ko) 2018-01-23 2019-01-09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TW108101539A TWI756507B (zh) 2018-01-23 2019-01-15 用於以極紫外線形成光敏光阻圖案的顯影劑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273A KR101947517B1 (ko) 2018-01-23 2018-01-23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517B1 true KR101947517B1 (ko) 2019-02-13

Family

ID=6536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273A KR101947517B1 (ko) 2018-01-23 2018-01-23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99779B2 (ko)
KR (1) KR101947517B1 (ko)
CN (1) CN111656285A (ko)
TW (1) TWI756507B (ko)
WO (1) WO201914693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846B1 (ko) 2006-01-08 2014-06-18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포토레지스트용 코팅 조성물
KR101705674B1 (ko) 2013-08-01 2017-02-1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조성물, 경화막, 컬러 필터,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59571B1 (ko) * 2017-04-10 2017-07-19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Euv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883A1 (en) * 2003-09-01 2007-01-04 Tsutomu Sato Developer for positive photosensitive composition
JP5407941B2 (ja) * 2009-03-09 2014-02-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US8703386B2 (en) * 2012-02-27 2014-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al peroxo compounds with organic co-ligands for electron beam, deep UV and extreme UV photoresist applications
JP6147134B2 (ja) 2013-08-01 2017-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17169B1 (ko) * 2015-07-17 2016-05-03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포토리소그래피용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형성방법
US9941125B2 (en) * 2015-08-31 2018-04-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patter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846B1 (ko) 2006-01-08 2014-06-18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포토레지스트용 코팅 조성물
KR101705674B1 (ko) 2013-08-01 2017-02-1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조성물, 경화막, 컬러 필터,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59571B1 (ko) * 2017-04-10 2017-07-19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Euv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3724A1 (en) 2020-11-19
WO2019146935A1 (ko) 2019-08-01
TWI756507B (zh) 2022-03-01
CN111656285A (zh) 2020-09-11
US11199779B2 (en) 2021-12-14
TW201932997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838B1 (ko) 수용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미세 패턴 형성 재료
CN108351593B (zh) 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用添加剂及包含该添加剂的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
TWI717526B (zh) 清洗組成物、形成光阻圖案之方法及製造半導體裝置之方法
JP4235466B2 (ja) 水溶性樹脂組成物、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検査方法
US20080044759A1 (en) Fine Pattern Forming Material, Method Of Forming Fine Resist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JP2007231270A (ja) 有機反射防止膜用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7592132B2 (en) Method for fine pattern formation
KR20040035782A (ko) 에칭 방법 및 에칭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TWI732072B (zh) 清洗組成物、形成光阻圖案的方法及製造半導體裝置的方法
CN111505913A (zh) 光刻用清洁组合物以及采用该组合物形成光刻胶图案的方法
KR101759571B1 (ko) Euv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KR101819992B1 (ko) 포토레지스트 패턴 축소 조성물과 패턴 축소 방법
KR102230712B1 (ko) 유기 공중합체, 그 제조 방법, 유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사방지막 및 응용
KR101947517B1 (ko) Euv 광원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미세패턴 형성용 현상액 조성물
TW201237568A (en) Resist pattern improving material,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2350590B1 (ko) 증발감량이 적은 스핀 온 카본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화 방법
CN113214428B (zh) 一种生物基星型ArF光刻胶成膜树脂、光刻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I736549B (zh) 光阻圖型形成方法及微影術用顯像液
CN104471487B (zh) 用于制造集成电路装置、光学装置、微机械及机械精密装置的组合物
KR101730839B1 (ko) 네가톤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에서 lwr 개선 방법과 조성물
CN114236965B (zh) 耐刻蚀KrF光刻胶及制备方法
KR20040060707A (ko) 포토레지스트용 오버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TW202319530A (zh) 電子設備製造用水溶液、光阻圖案之製造方法及裝置之製造方法
KR20060060297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JP2015021981A (ja)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