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835B1 -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835B1
KR101945835B1 KR1020170110795A KR20170110795A KR101945835B1 KR 101945835 B1 KR101945835 B1 KR 101945835B1 KR 1020170110795 A KR1020170110795 A KR 1020170110795A KR 20170110795 A KR20170110795 A KR 20170110795A KR 101945835 B1 KR101945835 B1 KR 10194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ing
molded product
chamber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순
Original Assignee
이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an auxiliary mould part carrying the moulded article and removing it from the mould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사출금형 내에서 게이트부가 일체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한 다음, 상기 취출된 사출물을 절단시켜 게이트부와 성형품부로 분리하여 배출함에 있어, 분리 배출된 성형품부와 게이트부의 정형화된 배출이 도모되도록 한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출금형의 취출구간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하고 배출구간으로 구간 이동시킨 다음, 상기 사출물을 성형품부와 게이트부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간에는, 게이트부가 분리된 성형품부을 수집하는 제 1 배출실과, 성형품부가 절단 분리된 게이트부를 수집하는 제 2 배출실이 형성된 배출조와; 상기 배출조를 배출구간에 진퇴구조로 배치하는 진퇴레일; 및 상기 진퇴레일을 따라 배출조를 진퇴시켜, 제 1 배출실과 제 2 배출실을 배출구간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진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출유닛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Ejection apparatus for molding having improved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된 사출금형 내에서 게이트부가 일체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한 다음, 상기 취출된 사출물을 절단시켜 게이트부와 성형품부로 분리하여 배출함에 있어, 분리 배출된 성형품부와 게이트부의 정형화된 배출이 도모되도록 한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데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대표적인 제조방법으로,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수지를 고압으로 닫혀진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사출하여 고화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캐비티 형상에 상응하는 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사출금형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조될 사출제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캐비티와,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등의 구성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출 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용융 수지는 금형의 스프루와 런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로 충진된 후 고화되며, 이렇게 고화된 성형품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불필요한 부분인 게이트도 사출 성형품과 함께 일체로 취출되므로, 사출 성형품으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인 게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후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전통적으로는, 상기 게이트를 복수의 작업자가 절단공구를 통해 절단하였으나, 근래에는 이러한 별도의 후공정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금형 내에서 별도의 구동수단(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탄성기구등)에 의하여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021974호 에는 스프루부쉬가 마련되는 고정측 부착판과 고정측 부착판의 하측에 상호 결합되어 소정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 형판과 상,하 형판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성형품의 중앙 하측에 설치되어 게이트를 타발하는 제 1이젝터핀과, 제 1이젝터핀과 연설되고 상,하로 승강하는 상,하 이젝터 플레이터와, 상,하 이젝터 플레이터의 내부에 축설되어 성형품을 이탈시키는 제2이젝터핀과, 상,하 형판을 형개하는 가동측 부착판을 포함한 금형을 통하여 상,하 형판을 형개시킨 후 상,하 이젝터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게이트를 타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은 전용화된 커팅금형을 사용하여 제품과 게이트를 분리시키는 것이므로 제품의 형태가 달라질 경우에는 적용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출물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이에 맞는 별도의 커팅금형을 제작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금형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28121 B1 KR 10-2017-0046550 A KR 20-1998-0021974 Y KR 10-0183636 B1 KR 10-2007-0048302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유닛에 의해 게이트부가 절단된 상태로 투하되는 성형품부과, 상기 성형품부가 분리된 게이트부의 정형화된 배출을 도모하고, 특히 상기 투하된 성형품부를 정형화된 각도와 방향으로 정렬시켜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성형품부의 안정된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는,
사출금형의 취출구간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하고 배출구간으로 구간 이동시킨 다음, 상기 사출물을 성형품부와 게이트부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간에는, 게이트부가 분리된 성형품부을 수집하는 제 1 배출실과, 성형품부가 절단 분리된 게이트부를 수집하는 제 2 배출실이 형성된 배출조와; 상기 배출조를 배출구간에 진퇴구조로 배치하는 진퇴레일; 및 상기 진퇴레일을 따라 배출조를 진퇴시켜, 제 1 배출실과 제 2 배출실을 배출구간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진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출유닛이 부가되고,
상기 배출유닛에는,
상기 제 1 배출실의 좌우 양측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힌지축을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와;
상기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를 동시에 상하 힌지 회전시켜서 정렬 개폐날개의 기립각을 변환하는 거상부재와;
상기 정렬 개폐날개의 내외측으로 진퇴하며, 성형품부의 양측변을 간섭하는 경사진 지지면이 형성된 위치 교정자; 및
상기 위치 교정자를 외측으로 탄성 견인하는 견인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 1 배출실에 투하되는 성형품부를 정렬시켜 하부에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로 투입하는 정렬 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조의 하부에는 배출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제 1 배출실을 통해 하향 배출된 성형품부는, 배출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의 이송구간에는, 냉풍을 성형품부에 송풍하는 냉간 챔버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배출되는 성형품부는 이송구간에 마련된 냉간 챔버를 통과하면서 안정된 냉각이 이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배출실에는 포집된 게이트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가 형성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출금형의 캐비티에서 게이트부와 성형품부가 일체로 형성된 사출 성형물을 취출함에 있어, 로봇암 유닛의 취출헤드에 그립퍼 유닛과 절단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사출 성형물을 구성하는 성형품부와 게이트부의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종래 별도의 후공정을 통해 성형품부와 게이트부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수공정을 삭제할 수 있고, 또 사출금형 내에 성형품부와 게이트부를 분리함에 따른 사출금형의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개량된 배출유닛을 마련하여 동일한 지점으로 투하되는 성형품부와 게이트부를 분리시켜 배출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절단유닛과 그립퍼 유닛이 설치된 로봇암의 추출헤드가 이동하지 아니하고도, 성형품부와 게이트부의 분리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유닛에 무게중심과 거상유닛에 의한 거상작용에 의해 내외측으로 선회하는 정렬 개폐날개를 포함하는 정렬 배출부를 제안 부가함으로써, 항시 성형품부는 배출 컨베이어에 설정된 방향과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되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 그립퍼 유닛과 절단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 로봇암 유닛의 세부 구성, 및 사출물의 취출공정과, 취출된 사출물의 절단공정과, 절단된 성형품부의 분리 배출공정과; 게이트부의 분리 배출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 배출유닛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성형품부와 게이트부의 배출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 그립퍼 유닛과 절단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 로봇암 유닛의 세부 구성, 및 사출물의 취출공정과, 취출된 사출물의 절단공정과, 절단된 성형품부의 분리 배출공정과; 게이트부의 분리 배출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 배출유닛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성형품부와 게이트부의 배출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1)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된 사출금형(100)의 케비티(110)에서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가 일체로 형성된 사출물(200)을 취출한 다음, 상기 취출된 사출물(200)을 배출유닛(40)이 마련된 배출구간으로 이송시켜 투하 배출하는 전용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취출장치(1)는, 사출금형(100)과 분리하여 구성되어 다양한 사출금형에 공용되게 배치되어서, 해당 사출금형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 성형품을 취출한 다음 배출구간으로 정형화되게 배출하는 공용성을 갖는다.
상기 사출물 취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취출헤드(16)를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과 배출구간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는 로봇암 유닛(10)과; 상기 로봇암 유닛(10)의 취출헤드(16)에 배치되어 개방된 사출금형(100)의 캐비티(110)에 성형된 사출물(200)의 게이트부(220)를 그립하는 그립퍼 유닛(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암 유닛(10)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선회하는 수평 회전체(12)와, 상기 수평 회전체(12)에 고정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회전 베이스(13)와; 상기 회전 베이스(13)에 진퇴구조로 배치되어, 회전 베이스(13)의 내 외측으로 진퇴하는 캐리어(14)와; 상기 캐리어(14)에 설치되어 캐리어(14)의 진퇴에 의해 회전 베이스(13)의 내외측으로 진퇴하며, 신축되는 신축로드(15); 및 상기 신축로드(15)의 단부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는 취출헤드(16)를 포함한다.
상기 로봇암 유닛(10)을 구성하는 수평 회전체(12)의 수평 회전과, 회전 베이스(13)의 상하 선회, 그리고 취출헤드(16)의 등각 회전은 전동모터나, 공압 실린더(13a)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압 링크구조에 의해 구현되고, 또 상기 신축로드(15)를 고정시킨 캐리어(14)의 진퇴작용은 가동 실린더(14a)의 신축작용이나, 정역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볼스크루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로봇암 유닛(10)의 취출헤드(16)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수평 회전체(12)의 수평 회전과 회전 베이스(13)의 상하 회전, 그리고, 취출헤드(16)의 등각 회전, 신축로드(15)의 신축, 및 캐리어(14)의 진퇴작용에 의한 신축로드(15)의 이동에 의해, 상하 좌우의 위치 변경과 회전을 통해서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과 배출구간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로봇암 유닛(10)의 취출헤드(16)에 설치되어 개방된 사출금형(100)의 캐비티(110)에서 사출물(200)을 취출한 다음, 사출금형(10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간으로 사출물(200)을 배출하는 그립퍼 유닛(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그립암(21)과; 상기 제 1 그립암(21)에 시저형태로 교차되게 힌지 조립된 제 2 그립암(22)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저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저구조로 교차된 그립암(21, 22)들은 구동부재(23)의 신축작용에 의해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여서, 그립단을 통해 사출물(200)의 게이트부(220)를 그립하거나 그립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재(23)는 전동,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전동모터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봇암 유닛(10)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그립퍼 유닛(20)이 마련된 취출헤드(16)를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에 위치시켜 그립퍼 유닛(20)을 통해 개방된 사출금형(100)의 케비티(110)에서 성형품부(210)에 일체 성형된 게이트부(220)의 단부를 그립한 다음, 신축로드(15)가 설치된 캐리어(14)의 후퇴작용과, 신축로드(15)의 신축작용, 그리고 취출헤드(16)의 등각 회전작용을 통해서,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가 일체로 형성된 사출물(200)을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에서 배출구간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간으로 이동된 사출물(200)은, 배출구간에 위치된 배출유닛(40)에 투하되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도 3과 같이 그립퍼 유닛(20)을 탑재하여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에 위치된 취출헤드(16)는, 장착된 그립퍼 유닛(20)을 통해 사출물(200)의 게이트부(220)를 그립한다.
이후, 도 4와 같이 캐리어(14)에 의해 일측으로 후퇴하여 사출금형(100)의 캐비티(110) 내에서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를 포함하는 사출물(200)을 취출하고, 이후, 신축로드(15)의 수축에 의한 상승과정과, 회전 베이스(13)에 의한 등각 선회과정, 그리고 신축로드(15)의 신장에 의한 하강과정이 순차적으로 실시되어서,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가 일체로 형성된 사출물(200)을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에서 배출구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가 일체로 성형된 사출물(200)을 사출금형(100)의 캐비티(110)에서 취출시켜, 배출구간에 위치된 배출유닛(40)에 배출함에 있어, 상기 취출된 사출물(200)에서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를 절단 분리한 다음, 이들 절단 분리된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를 분리 배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립퍼 유닛(20)이 배치된 취출헤드(16)에, 그립퍼 유닛(20)에 의해 그립된 상태로 사출금형(100)에서 취출되어 배출구간으로 이동된 사출물(200)의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 사이를 절단하는 절단유닛(30)을 배치하여서, 배출구간으로 이동된 사출물(200)은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가 분리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절단유닛(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날이 형성된 제 1 절단암(31)과; 상기 제 1 절단암(31)에 시저구조로 교차되게 힌지 조립되며, 절단날이 형성된 제 2 절단암(32)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저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저구조로 교차된 절단암(31, 32)들은 구동부재(33)의 신축작용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여서, 교차되는 절단날(31, 32)을 통해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 사이를 절단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절단유닛(30)을, 상기 그립퍼 유닛(20)이 배치된 취출헤드(16)의 내측에 배치시켜, 그립퍼 유닛(20)에 의해 게이트부(220)가 파지된 사출물(200)에서,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 사이에 절단시켜 분리함으로써,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가 분리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취출된 사출물(200)을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로 절단 분리하여 배출함에 있어, 시차를 두어 1차적으로 게이트부(220)가 절단된 성형품부(210)를 배출하고, 이후 2차적으로 성형품부(210)가 분리된 게이트부(220)를 후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절단에 의해 분리된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가 혼입하여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즉, 상기 로봇암 유닛(10)은 취출헤드(16)에 설치된 그립퍼 유닛(20)과 절단유닛(30)을 개방된 사출금형(100)의 취출구간에 위치시킨 다음, 그립퍼 유닛(20)을 통해 캐비티(110)에서 사출물(200)의 게이트부(220)를 그립하여 취출한 다음, 취출된 사출물(200)을 배출구간으로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그립퍼 유닛(20)에 의해 게이트부(220)가 그립된 사출물(200)에서 절단유닛(30)은,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 사이를 절단시켜 성형품부(210)를 1차적으로 배출구간에 낙하시켜 배출하고, 그립퍼 유닛(20)은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품부(210)의 배출이 완료되면 게이트부(220)의 그립상태를 해제시켜 게이트부(220)를 배출구간으로 배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구간에, 시차를 두어 단계적으로 낙하하여 배출되는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의 분리 배출을 도모하고, 특히 게이트부(220)가 분리된 성형품부(210)가 정형화된 개수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40)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40)은,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게이트부(220)가 절단된 성형품부(210)를 수집하는 제 1 배출실(41a)과, 성형품부(210)가 절단 분리된 게이트부(220)를 수집하는 제 2 배출실(41b)이 구획되게 형성된 배출조(41)와; 상기 배출조(41)를 진퇴구조로 배치하는 진퇴 레일(42); 및 상기 진퇴 레일(42)를 통해 진퇴구조로 배치된 배출조(41)를 진퇴시켜서, 배출조(41)에 형성된 제 1 배출실(41a)과 제 2 배출실(41b)을 선택적으로 배출지점에 위치시키는 진퇴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배출실(41a)은 상하 관통된 중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조(41)의 하부에는 제 1 배출실(41a)을 통해 배출된 성형품부(210)를 외부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5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출실(41b)에는 수집된 게이트부(220)를 외부로 안내시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41b-a)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진퇴부재(43)가 배출조(41)를 후퇴시켜 제 1 배출실(41a)을 배출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절단유닛(30)이 배출구간에 위치된 사출물(220)에서 게이트부(220)와 성형품부(210) 사이를 절단하면, 상기 성형품부(210)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제 1 배출실(41a)에 포집된 다음, 배출 컨베이어(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 컨베이어(50)의 이송구간에는, 냉풍을 성형품부(210)에 송풍하는 냉간 챔버(51)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 컨베이어(50)에 안착되어 배출되는 성형품부(210)은 이송구간에 마련된 냉간 챔버(51)를 통과하면서 안정된 냉각이 이룩된다.
그리고, 성형품부(210)의 배출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상기 진퇴부재(43)는 배출조(41)를 전진시켜 제 2 배출실(41b)을 배출지점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그립퍼 유닛(20)은 게이트부(220)의 그립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게이트부(220)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서 제 2 배출실(41b)에 포집된 다음, 배출 가이드(41b-a)를 따라 게이트부 수거함에 수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그립퍼 유닛(20)과 절단유닛(30)을 탑재하여 취출구간에서 배출구간으로 사출물(200)을 취출한 로봇암 유닛(10)은 별도의 추가 구동없이, 절단유닛(30)을 통한 성형품부와 게이트부 사이의 절단을 통한 성형품부(210)의 선행 배출과 후속적인 게이트부(220)의 투하공정을 통해서, 성형품부(210)와 게이트부(220)의 분리 배출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유닛(40)에, 제 1 배출실(41a)에 배출되는 성형품부(210)를 정렬하고, 또 설정된 개수로 적층시켜 배출하는 정렬 배출부(44)를 부가하여서, 상기 게이트부(220)가 분리된 성형품부(210)들은 배출 컨베이어(50)에 정위치와 정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렬 배출부(44)는, 상기 제 1 배출실(41a)의 좌우 양측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힌지축(44b)을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와; 상기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를 동시에 상하 힌지 회전시켜서 정렬 개폐날개(44a)의 기립각을 변환하는 거상부재(45)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 개폐날개(44a)는, 힌지축(44b)을 통해 제 1 배출실(41a)에 편심구조로 설치되어 무게중심이 외측단에 형성됨으로써, 무게중심에 의해 힌지축(44b)을 중심으로 외측구간이 상향 선회하여 기립되는 성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외측단에 형성된 무게중심에 의해 힌지축(44b)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 기립되는 정렬 개폐날개(44a)들은, 거상부재(45)에 의해 동시에 내측으로 선회하여 상향 견인되어 기립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들이 제 1 배출실(41a) 내에서 수평으로 전개되면, 제 1 배출실(41a) 내에는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에는 정렬공간(41a-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간(41a-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상기 거상부재(45)에 의해 정렬 개폐날개(44a)들의 외측단이 상향 견인되어 기립되면, 제 1 배출실(41a) 내에서 상하 구획된 정렬공간(41a-a)과 배출공간(41a-b)은 상호 연통하게 된다.
상기 거상부재(45)는, 진퇴로드(45a-a)를 진퇴시키는 공압 실린더(45a)와, 상기 공압 실린더(45a)의 진퇴로드(45a-a)와, 각 정렬 개폐날개(44a)의 외측단 사이에 배치되는 거상 와이어(45b); 및 상기 거상 와이어(45b)를 상향 안내하는 안내롤러(45c)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상기 공압 실린더(45a)의 진퇴로드(45a-a)가 후퇴하면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는 무게중심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하향 선회하여 제 1 배출실(41a) 내에 수평으로 전개된 상태를 형성하고, 제 1 배출실(41a) 내에 정렬공간(41a-a)과 배출공간(41a-b)을 상하 구획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압 실린더(45a)의 진퇴로드(45a-a)가 전진하면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는 동시에 외측으로 상향 선회하여 제 1 배출실(41a) 내에 설정각도로 기립된 상태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제 1 배출실(41a) 내에 형성된 정렬공간(41a-a)과 배출공간(41a-b)은 상하 연통되어 정렬공간(41a-a) 내에 투입된 성형품부(210)은 배출 컨베이어(50)가 배치된 배출공간(41a-b)으로 투하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성형품부(210)는 설정각도로 기립된 정렬 개폐날개(44a)의 경사진 빗면과 간섭되면서 좌우로 중심이 정렬되면서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간(41a-b)으로 투입되어서, 배출 컨베이어(50)에 안착하여 배출된다.
이후, 상기 기립된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는 공압 실린더(45a)에 마련된 진퇴로드(45a-a)의 후퇴에 의해 외측으로 하향 선회하면서 제 1 배출실(41a) 내에 수평으로 전개되어, 상하 구획된 정렬공간(41a-a)과 배출공간(41a-b)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로봇암 유닛(10)과, 그립퍼 유닛(20), 및 절단유닛(30)에 의해 게이트부(220)가 제거된 상태로 제 1 배출실(41a) 내에 투입된 성형품부(210)는, 정렬 배출부(44)를 구성하며 무게중심과 거상부재(45)에 의해 내외측으로 선회하는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44a)에 의해 안착 및 좌우로 정렬되어 배출 컨베이어(50)의 정위치에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렬 개폐날개(44a)에 각각 정렬 개폐날개(44a)의 내외측으로 진퇴하는 탄성 교정구조를 배치하여, 탄성 교정구조에 의해 좌우 이격된 정렬 개폐날개(44a)들 사이에 안착된 성형품부(210)의 양측변은 내측으로 간섭되어, 좌우 중심이 정렬된 상태로 배출공간(41a-b)에 투하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교정구조는, 도 6a와 도 6b와 같이 정렬 개폐날개(44a)의 내외측으로 진퇴하는 위치 교정자(44c)와; 상기 위치 교정자(44c)를 외측으로 탄성 견인하는 견인 스프링(44d)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위치 교정자(44c)에는 성형품부(210)의 양측변을 간섭하는 경사진 지지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상기 위치 교정자(44c)는 정렬 개폐날개(44a)가 외측으로 선회하여 수평으로 정렬되면 견인 스프링(44d)의 탄성 견인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여 투하되는 성형품부(210)의 충분한 안착공정을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 개폐날개(44a)들이 내측으로 선회하여 기립되면 자중에 의해 각 정렬 개폐날개(44a)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안착된 성형품부(210)의 양측변을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좌우 이격된 정렬 개폐날개(44a)의 중심부에 성형품부(210)를 좌우 정렬한다.
이후, 상기 탄성 교정구조에 의해 정렬 개폐날개(44a) 사이에 좌우 중심이 정렬된 성형품부(210)는 배출공간(41a-b)을 통해 배출 컨베이어(50)에 안착하여 배출된다.
1. 사출물 취출장치
10. 로봇암 유닛 11. 본체
12. 수평 회전체 13. 회전 베이스
14. 캐리어 15. 신축로드
16. 취출헤드
20. 그립퍼 유닛 21. 제 1 그립암
22. 제 2 그립암 23. 구동부재
30. 절단유닛 31. 제 1 절단암
32. 제 2 절단암 33. 구동부재
40. 배출유닛 41. 배출조
41a. 제 1 배출실 41a-a. 정렬공간
41a-b. 배출공간
41b. 제 2 배출실 41b-a. 배출 가이드
42. 진퇴 레일 43. 진퇴부재
44. 정렬 배출부 44a. 정렬 개폐날개
44b. 힌지축 44c. 위치 교정자
44d. 견인 스프링
45. 거상부재 45a. 공압 실린더
45a-a. 진퇴로드 45b. 거상 와이어
45c. 안내롤러
50. 배출 컨베이어 51. 냉간 챔버
100. 사출금형 110. 캐비티
200. 사출물 210. 성형품부
220. 게이트부

Claims (5)

  1. 사출금형의 취출구간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사출물을 취출하고 배출구간으로 구간 이동시킨 다음, 상기 사출물을 성형품부와 게이트부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사출물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간에는, 게이트부가 분리된 성형품부을 수집하는 제 1 배출실과, 성형품부가 절단 분리된 게이트부를 수집하는 제 2 배출실이 형성된 배출조와; 상기 배출조를 배출구간에 진퇴구조로 배치하는 진퇴레일; 및 상기 진퇴레일을 따라 배출조를 진퇴시켜, 제 1 배출실과 제 2 배출실을 배출구간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진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출유닛이 부가되고,
    상기 배출유닛에는,
    상기 제 1 배출실의 좌우 양측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힌지축을 통해 상하 힌지구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와;
    상기 한 쌍의 정렬 개폐날개를 동시에 상하 힌지 회전시켜서 정렬 개폐날개의 기립각을 변환하는 거상부재와;
    상기 정렬 개폐날개의 내외측으로 진퇴하며, 성형품부의 양측변을 간섭하는 경사진 지지면이 형성된 위치 교정자; 및
    상기 위치 교정자를 외측으로 탄성 견인하는 견인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 1 배출실에 투하되는 성형품부를 정렬시켜 하부에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로 투입하는 정렬 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조의 하부에는 배출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제 1 배출실을 통해 하향 배출된 성형품부는, 배출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컨베이어의 이송구간에는, 냉풍을 성형품부에 송풍하는 냉간 챔버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배출되는 성형품부는 이송구간에 마련된 냉간 챔버를 통과하면서 안정된 냉각이 이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실에는 포집된 게이트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5. 삭제
KR1020170110795A 2017-08-31 2017-08-31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KR10194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95A KR101945835B1 (ko) 2017-08-31 2017-08-31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95A KR101945835B1 (ko) 2017-08-31 2017-08-31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835B1 true KR101945835B1 (ko) 2019-02-08

Family

ID=6536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95A KR101945835B1 (ko) 2017-08-31 2017-08-31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8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83B1 (ko) * 2019-11-01 2020-02-12 김영언 제품 이송 장치
CN111113797A (zh) * 2020-02-04 2020-05-08 苏州亨允晟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件夹持剪切模具
CN114274449A (zh) * 2021-12-06 2022-04-05 深圳宇龙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模内注塑上下料装置及注塑机
CN116834210A (zh) * 2023-08-31 2023-10-03 赫比(成都)精密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角度顶出双色模具及注塑机
KR102625192B1 (ko) 2022-09-29 2024-02-16 한승철 사출물 취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945A (ja) * 2004-12-28 2006-07-13 Daiichi Seiko Kk インサート成形装置、インサート成形用端子材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101442187B1 (ko) * 2013-08-26 2014-09-24 박정원 착즙기용 스크루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945A (ja) * 2004-12-28 2006-07-13 Daiichi Seiko Kk インサート成形装置、インサート成形用端子材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101442187B1 (ko) * 2013-08-26 2014-09-24 박정원 착즙기용 스크루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83B1 (ko) * 2019-11-01 2020-02-12 김영언 제품 이송 장치
CN111113797A (zh) * 2020-02-04 2020-05-08 苏州亨允晟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件夹持剪切模具
CN114274449A (zh) * 2021-12-06 2022-04-05 深圳宇龙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模内注塑上下料装置及注塑机
CN114274449B (zh) * 2021-12-06 2023-11-24 深圳宇龙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模内注塑上下料装置及注塑机
KR102625192B1 (ko) 2022-09-29 2024-02-16 한승철 사출물 취출 장치
CN116834210A (zh) * 2023-08-31 2023-10-03 赫比(成都)精密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角度顶出双色模具及注塑机
CN116834210B (zh) * 2023-08-31 2023-11-28 赫比(成都)精密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角度顶出双色模具及注塑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835B1 (ko) 개량된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용 취출장치
KR101945834B1 (ko) 분리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JP3494872B2 (ja) 回転式ブロー成形機
KR101213663B1 (ko) 사출금형의 사출물 취출장치
CN114951588B (zh) 一种压铸工艺
CN105269773B (zh) 自动切水口模具
CN116141604A (zh) 一种便于脱模的塑料制品用注塑模具
CN111688108A (zh) 一种新型多腔注塑模具
US3585682A (en) Blow-molding apparatus for molding hollow plastic articles
CN210336751U (zh) 一种模内自动切料的注射模
CN110355959A (zh) 一种模内取物斜臂式机械手
US3235907A (en) Blow moulding apparatus
KR20150090608A (ko) 런너의 자동 분리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CN212795704U (zh) 一种射嘴口径可调节的高分子材料生产用螺杆式注塑设备
CN111645260A (zh) 一种玻纤伞骨包胶设备
BRPI0408663B1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fabricação de corpos ocos
CN111791441A (zh) 模内自动切断浇口的模具
KR102625192B1 (ko) 사출물 취출 장치
CN215619618U (zh) 一种带有延时顶出功能的钢制注塑模具
CN117087111B (zh) 一种家电塑料件快速成型用注塑机
CN215039753U (zh) 便于快速脱模的塑料制品用注塑模具
CN219968636U (zh) 一种插排塑料外壳注塑装置
CN213166688U (zh) 一种全自动注塑设备
CN217944139U (zh) 一种自动脱料头的管件注塑模具
CN216992798U (zh) 水平出料立式注塑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