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49B1 -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49B1
KR101945449B1 KR1020170050981A KR20170050981A KR101945449B1 KR 101945449 B1 KR101945449 B1 KR 101945449B1 KR 1020170050981 A KR1020170050981 A KR 1020170050981A KR 20170050981 A KR20170050981 A KR 20170050981A KR 101945449 B1 KR101945449 B1 KR 10194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locking member
filter
open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881A (ko
Inventor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4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Abstract

여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일측에서 유입된 유체가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몸체부; 상기 통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필터부 사이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과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운항이나 거주구역의 위생 및 환경 등을 위하여 다양한 배관들이 설치된다. 즉, 선박에는 연료, 냉각수, 생활용수, 오수 등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많은 배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배관에는 배관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여과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장치는 배관과 배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여과장치는 사용과정에 필터의 교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보수작업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여과장치의 유입측과 연결된 배관 및 여과장치의 배출측에 연결된 배관에 각각 형성된 밸브를 폐쇄시키고,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시켜야 한다.
그런데,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밸브가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유체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누출되는 유체에 의해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과정에 필요한 경우 유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서 유입된 유체가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몸체부; 상기 통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필터부 사이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여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때 상기 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될 때 상기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통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차단부재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때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통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차단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될 때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의 형상은 상기 통로의 단면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통로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타측과 상기 필터부 사이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보조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가 통과하는 몸체부에 형성된 개폐부가 필터부의 몸체부에 대한 결합동작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보수 등의 작업이 필요할 때 유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그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유체가 몸체부를 통과하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별도의 밸브부재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은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0)는 몸체부(110), 필터부(120), 및 개폐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0)는 제1배관(11)과 제2배관(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제1배관(11)에서 제2배관(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0)는 제1배관(11)에서 제2배관(12)을 향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몸체부(110)는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111)를 제공한다.
몸체부(110)는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부(110)의 단면형상은 도 2와 같이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몸체부(110)는 도 1과 같이 제1배관(11)과 제2배관(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일측은 제1배관(11)과 연결되고, 몸체부(110)의 타측은 제2배관(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몸체부(110)의 일측에서 유입되어, 몸체부(110)의 타측으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 유체는 제1배관(11)에서 몸체부(110)로 유입되고, 몸체부(110)를 통과하여 몸체부(110)에서 제2배관(1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측과 몸체부(110)의 타측에는 각각 플랜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일측은 제1배관(11)과 플랜지 결합하고, 몸체부(110)의 타측은 제2배관(12)과 플랜지 결합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12)는 몸체부(110)가 결합하는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의 각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10)는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과 단면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통로(111) 상에 배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필터부(120)는 메시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터부(120)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필터부(120)는 몸체부(110)를 통과하는 유체를 여과할 때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에 삽입되어 통로(111)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교체 등이 필요할 때, 몸체부(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의 측면에는 필터부(120)가 삽입되는 삽입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113)은 통로(111)와 연결된다.
예컨대, 삽입홀(113)은 도 1에서 볼 때 몸체부(110)의 중앙부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몸체부의 하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의 측면에는 삽입홀(113)과 연결되고 필터부(120)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재(1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는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50)의 일측은 삽입홀(113)과 연결된다.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은 몸체부(110)의 외부방향으로 연장된다.
필터부(120)는 가이드부재(150)의 연장방향을 따라 몸체부(110)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재(150)는 도 1과 같이 몸체부(110)의 길이방향(ex. X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서 통로(111)를 향해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는 몸체부의 측면에서 통로를 향해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은 커버부재(160)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재(160)는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에 도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160)는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에 힌지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160)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 삽입되는 과정이나 몸체부(110)에서 배출되는 과정에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는 커버부재(160)는 몸체부(110)에 삽입된 필터부(120)가 몸체부(110)를 통과하는 유체를 여과하는 동안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60)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유체가 삽입홀(113)을 통해 몸체부(1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부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삽입홀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130)는 몸체부(110)의 일측과 필터부(120) 사이에서 통로(111)를 개폐시킨다. 이 경우, 개폐부(130)는 몸체부(110)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130)는 필터부(120)의 몸체부(110)에 대한 결합동작 또는 분리동작을 통해 통로(111)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개폐부(130)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 결합될 때 통로(1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몸체부(110)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는, 개폐부(130)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될 때 통로(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몸체부(110)를 통과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0)는, 유체가 통과하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개폐부(130)가 필터부(120)의 몸체부(110)에 대한 결합동작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111)를 폐쇄함으로써, 보수 등의 작업이 필요할 때 유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그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유체가 몸체부(110)를 통과하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별도의 밸브부재(미도시)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130)는 차단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통로(111)상에 배치되어 통로(111)를 개폐시킬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131)의 형상은 통로(111)의 단면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통로(111)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차단부재(131)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이외에도, 차단부재는 통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부재(131)는 몸체부(110)의 횡단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때 통로(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는 차단부재(131)는 몸체부(110)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때 통로(1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차단부재(131)는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부재(131)의 일단부는 도 1과 같이 몸체부(110)에 힌지축(H)을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축(H)은 도 2와 같이 몸체부(110)의 폭방향(ex. Y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131)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재(131)는 필터부(120)의 몸체부(110)에 대한 결합동작 또는 분리동작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130)는 가압부재(132)와 탄성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32)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 결합될 때 차단부재(131)가 통로(111)를 개방하도록 차단부재(13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부재(132)는 차단부재(131)의 측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재(132)는 도 1과 같이 차단부재(131)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압부재(132)는 도 1과 같이 차단부재(131)가 몸체부(110)의 횡단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때,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32)의 일단부는 힌지축(H)과 결합된 차단부재(131)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재(132)는 차단부재(1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차단부재(13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132)의 타단부는 삽입홀(113)의 중심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재(132)는 삽입홀(113)을 통해 통로(111)를 향해 삽입되는 필터부(120)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32)와 결합된 차단부재(131)는 가압부재(1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31)는 몸체부(110)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될 때 차단부재(131)가 통로(111)를 폐쇄하도록 차단부재(13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차단부재(131)를 탄성지지한다.
예컨대, 탄성부재(133)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33)는 도 1과 같이 일단부가 몸체부(11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차단부재(13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33)는 차단부재(13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차단부재(13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탄성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틀림코일스프링과 같이 차단부재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33)는 몸체부(110)에 삽입되는 필터부(12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재(132)를 통해 통로(111)를 개방하도록 회전한 차단부재(13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33)는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될 때 차단부재(131)가 통로(111)를 폐쇄하도록 차단부재(13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압부재(132)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될 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131)는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부(110)의 횡단면에 나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단부재는 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힌지축은 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부가 몸체부에 결합될 때, 모터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차단부재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통로를 개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는, 필터부가 몸체부에서 분리될 때, 모터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차단부재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통로를 폐쇄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제1배관(11)과 제2배관(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유체는 제1배관(11)에서 몸체부(110)로 유입되고, 몸체부(110)를 통과하여 제2배관(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몸체부(110)를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131)는 몸체부(110)의 횡단면(ex. YZ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ex. -X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31)는 통로(1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부재(160)는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을 폐쇄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과정에 보수 또는 교체의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와 분리된다. 이 경우, 필터부(120)는 통로(111)에서 삽입홀(1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32)에는 필터부(120)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차단부재(131)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31)는 몸체부(110)의 횡단면(ex. YZ평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20)가 몸체부(110)에서 분리되기 전, 커버부재(160)는 가이드부재(150)의 타측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필터부(도 4의 120)는 몸체부(110)에서 완전히 제거된다.
이때, 차단부재(131)는 통로(111)를 폐쇄시킨다. 이 경우, 유체는 몸체부(110)를 통과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수 또는 교체된 필터부(120)는 몸체부(110)와 결합한다. 이 경우, 필터부(120)는 삽입홀(113)을 통해 통로(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32)는 필터부(12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가압부재(132)와 함께 회전하여 몸체부(110)의 횡단면(ex. YZ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31)는 통로(1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여과장치(200)는 몸체부(210), 필터부(220), 개폐부(230), 보조개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210), 필터부(220), 개폐부(230)는 앞선 실시예의 몸체부(도 1의 110), 필터부(도 1의 120), 개폐부(도 1의 130)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200)는 보조개폐부(24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개폐부(240)는 도 7과 같이 몸체부(210)의 타측과 필터부(220) 사이에서 통로(211)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개폐부(240)는 제2배관(12)을 통해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개폐부(240)는 배치위치에 있어 개폐부(230)와 차이가 있고, 그 형태 및 동작구조가 개폐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 제1배관
12: 제2배관
100, 200: 여과장치
110, 210: 몸체부
111, 211: 통로
112: 플랜지
113: 삽입홀
120, 220: 필터부
130, 230: 개폐부
131: 차단부재
132: 가압부재
133: 탄성부재
240: 보조개폐부
150: 가이드부재
160: 커버부재

Claims (10)

  1. 일측에서 유입된 유체가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몸체부;
    상기 통로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필터부 사이에서,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때 상기 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될 때 상기 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통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때 상기 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때 상기 통로를 폐쇄시키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때 상기 삽입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차단부재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필터부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때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통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차단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될 때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형상은 상기 통로의 단면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상을 가지는, 여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과 상기 필터부 사이에서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보조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여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는, 여과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여과장치.
KR1020170050981A 2017-04-20 2017-04-20 여과장치 KR10194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81A KR101945449B1 (ko) 2017-04-20 2017-04-20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81A KR101945449B1 (ko) 2017-04-20 2017-04-20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81A KR20180117881A (ko) 2018-10-30
KR101945449B1 true KR101945449B1 (ko) 2019-02-07

Family

ID=6410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81A KR101945449B1 (ko) 2017-04-20 2017-04-20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287B (zh) * 2019-06-28 2020-12-15 安徽谨铭连接系统有限公司 一种大口径三通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696Y1 (ko) * 2001-11-16 2002-02-25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696Y1 (ko) * 2001-11-16 2002-02-25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81A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8093A (en) Gasoline filter with automatic shut off
JP4965267B2 (ja) フィルタ装置
JP5953350B2 (ja) 取り外し可能な内部作動機構を有するバルブ
CN102203487B (zh) 用于阀的流体流动控制部件
US7021325B2 (en)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hot tapping a line
KR101945449B1 (ko) 여과장치
KR101383676B1 (ko) 체크 밸브
CA2823558C (en) Check valve for a pipe section
KR100821655B1 (ko)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
US7182095B2 (en) Vapor valve
KR101559681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스템 밸브
US9500284B2 (en) Gate valve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JP2013238304A (ja) 弁装置
KR20080087335A (ko) 필터가 구비된 밸브
KR101884750B1 (ko) 스펙터클 블라인드와 액체 차단 장치
JP5827993B2 (ja) ブラインドフランジ型バルブを有するバルブ装置
KR20150000866U (ko) 티형 스트레이너장치
KR200192312Y1 (ko) 필터를 구비하는 볼 밸브
KR100491409B1 (ko) 스트레이너 청소장치
KR20200095098A (ko) 멀티 체크 밸브
JP3018846U (ja) 定流量器内蔵ボール弁
JP2532018B2 (ja) 凝縮液トラップ
CN211836677U (zh) 过滤器
JP2014031807A (ja) ボール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