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328B1 -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328B1
KR101945328B1 KR1020180015378A KR20180015378A KR101945328B1 KR 101945328 B1 KR101945328 B1 KR 101945328B1 KR 1020180015378 A KR1020180015378 A KR 1020180015378A KR 20180015378 A KR20180015378 A KR 20180015378A KR 101945328 B1 KR101945328 B1 KR 10194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bridge
weight
disposed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
안종국
Original Assignee
(주)리튼브릿지
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튼브릿지, 김성 filed Critical (주)리튼브릿지
Priority to KR102018001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진동 저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면에 다수 개의 제1 돌출부가 배치된 강관부; 강관부의 중심축을 따라 강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제2 돌출부가 배치된 중량체; 강관부와 중량체 사이에 배치되며, 중량체를 중심으로 중량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감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VIBRATION REDUCING APPARATUS AND BRIDG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부 내에 설치되어 교량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bridge)이라 함은 물이나 어떤 곳의 위로 건너 다니도록 만든 시설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해 시공된다.
교량에서 보도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도로를 가로질러 구축 되어지는 시설물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보도교는 지진 발생 또는 교량을 통과하는 사람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동하중, 충격하중 등에 의해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쉽게 흔들리게 되거나 진동에 따른 균열 파손 또는 피로파괴 등의 구조적인 위험 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보도교는 자체에 진동 저감기능이 없고, 진동제어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진동을 제어하려고 하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교량의 외부에 설치되어 쉽게 부식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며, 진동제어 효과도 크지 않아, 보도교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불안감을 여전히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849호(2013.12.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 자체에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교량의 진동을 저감시켜 교량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진동 저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면에 다수 개의 제1 돌출부가 배치된 강관부; 상기 강관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강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제2 돌출부가 배치된 중량체; 상기 강관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량체를 중심으로 상기 중량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감쇠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쇠부는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쇠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고리; 및 상기 스프링부의 타단과 상기 제1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량에 교축방향으로의 진동 발생 시,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상기 제2 연결고리는 상기 중량체가 상기 강관부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감쇠운동을 허용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교량에 진동 발생 시, 상기 중량체는 상기 교량의 진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교량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상기 감쇠부는 유압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쇠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댐퍼; 상기 댐퍼의 일단과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고리; 및 상기 댐퍼의 타단과 상기 제1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충전강관 콘크리트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교량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쇠부는 상기 중량체를 중심으로 적어도 4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쇠부는 상기 중량체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쇠부는 상기 강관부의 횡축과 각각 45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관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며, 인접한 강관부의 상기 감쇠부는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관부는 강관 또는 강관박스일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은 교량 자체에 상기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에 진동이나 지진이 발생할 경우, 모든 방향에 대해 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안전 및 교량의 안전을 확보하며, 교량 자체에 설치되므로 공사비가 저감됨은 물론 진동 저감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교량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교량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설명하는 도면이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선택된 것일 뿐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와 그 형상 등이 간략하게 그려지거나 또는 과장되어 그려지기도 하며, 실제 제품에 있는 구성요소가 표현되지 않고 생략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는 강관부(110), 중량체(120), 감쇠부(130)를 포함한다.
강관부(11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강관부(110)의 내부에 중량체(120)와 감쇠부(130)가 배치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강관부(110)는 원형 강관으로 예시하였으나, 사각형 강관(강관 박스)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관부(110)의 단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강관부(110)는 교량의 상판(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강관부(110)는 교축방향으로 한 쌍의 강관(111)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교량의 폭에 따라 세 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강관(11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강관(111)이 다수 개로 배치될 경우, 강관(111)은 인접한 강관(111)과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된다.
강관(111)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제1 돌출부(113)가 배치된다.
제1 돌출부(113)에는 미도시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홀은 감쇠부(130)의 제2 연결고리(137)에 연결된다.
제1 돌출부(113)는 감쇠부(130)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강관(111)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2 쌍으로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 돌출부(11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120a)는 단면이 원형인 강관이다.
중량체(120a)는 강관부(110)의 중심축을 따라 강관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량체(120a)는 교량의 단부 즉, 받침부에 인접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로 배치될 수 있으나, 강관부(1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량체(120a)는 강관타입의 중량체 몸체(121a), 중량체 몸체(121a)의 외면에 배치된 다수 개의 제2 돌출부(123a)를 포함한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할 때, 중량체(120a)는 외주면에 제2 돌출부(123a)가 배치된 결합부(127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127a)는 중량체 몸체(121a)를 감싸면서 중량체 몸체(121a)와 고정결합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체 몸체(121a)가 중공으로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중량체(120a)의 중량, 원하는 감쇠량을 고려하여 중량체 몸체(121a)는 충전강관 콘크리트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23a)에는 미도시된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홀은 감쇠부(130)의 제1 연결고리(135)에 연결된다.
제2 돌출부(123a)는 제1 돌출부(113)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쇠부(130)는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됨으로써, 진동 저감/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감쇠부(130)는, 강관부(110)와 중량체(120a) 사이에 배치되며, 중량체(120a)를 중심으로 중량체(120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감쇠부(130)는 중량체(120a)를 중심으로 적어도 4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감쇠부(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의 좌측에 배치된 강관부(110)에 배치된 감쇠부(130)와 우측에 배치된 강관부(110)에 배치된 감쇠부(130)는 서로 상이한 배치를 가진다.
도 1a의 좌측에 배치된 강관부(110) 내의 감쇠부(130)는 횡축과 각각 45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1c를 참조할 때, 한 쌍의 강관부(110)의 소정의 위치에서 감쇠부(130)는 횡축과 각각 45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a의 우측에 배치된 강관부(110) 내의 감쇠부(130)는 중량체(120a)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b를 참조할 때, 한 쌍의 강관부(110)의 소정의 위치에서 감쇠부(130)는 중량체(120a)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부(130)는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된다.
감쇠부(130)는, 제1 돌출부(113)와 제2 돌출부(123a)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부(133), 스프링부(133)의 일단과 제2 돌출부(123a)를 연결하는 제1 연결고리(135) 및 스프링부(133)의 타단과 제1 돌출부(113)를 연결하는 제2 연결고리(137)를 포함한다.
스프링부(133)는 스프링부(133)을 감싸면서 스프링부(133)의 신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33)는 스프링부(133)의 내부에 가이드 핀(미도시)를 가짐으로써, 스프링부(133)의 신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고리(135, 137)는 스프링부(133)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연결고리(135, 137)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부(131)를 매개로 스프링부(1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고리(135, 137)는 힌지 연결되어, 교량에 교축 방향으로의 진동 발생 시, 제1 연결고리(135)와 상기 제2 연결고리(137)는 중량체(120a)가 강관부(110)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감쇠운동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관부(110)의 내부에서 중량체(120a)가 사방으로 감쇠부(1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연결됨으로써, 교량의 진동에 따라 중량체(120a)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면서 교량의 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지진, 차량, 사람에 의한 진동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이하,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d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는 강관부(110), 중량체(120b), 감쇠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120b)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강관이다.
중량체(120b)는 강관부(110)의 중심축을 따라 강관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량체(120b)는 교량의 단부 즉, 받침부에 인접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로 배치될 수 있으나, 강관부(1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량체(120b)는 강관타입의 중량체 몸체(121b), 중량체 몸체(121b)의 외면에 배치된 다수 개의 제2 돌출부(12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체 몸체(121b)가 중공으로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중량체(120b)의 중량, 원하는 감쇠량을 고려하여 중량체 몸체(121b)는 충전강관 콘크리트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이하,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는 강관부(110), 중량체(120a), 감쇠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쇠부(140)는 유압 타입인, 댐퍼로 형성된다. 감쇠부(140)는 중량체(120a)를 지지하면서,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감쇠부(140)는, 제1 돌출부(113)와 제2 돌출부(123a) 사이에 배치된 댐퍼(141), 댐퍼(141)의 일단과 제2 돌출부(123a)를 연결하는 제3 연결고리(145) 및 댐퍼(141)의 타단과 제1 돌출부(113)를 연결하는 제4 연결고리(147)를 포함한다.
댐퍼(141)는 소성 댐퍼, 점탄성 댐퍼일 수 있으나, 댐퍼(141)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할 때, 한 쌍의 강관부(110)의 소정의 위치에서 감쇠부(140)는 횡축과 각각 45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2c를 참조할 때, 한 쌍의 강관부(110)의 소정의 위치에서 감쇠부(140)는 중량체(120a)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2d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100)는 강관부(110), 중량체(120b), 감쇠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쇠부(140)는 유압 타입인, 댐퍼로 형성된다. 감쇠부(140)는 중량체(120a)를 지지하면서,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교량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교량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적용된 교량에서, 진동 저감 장치(10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교량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즉, 강관부(110)는 교량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중량체(120a, 120b)는 지점부(50)에 인접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감쇠부(130)는 중량체(120a, 120b)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감쇠효율, 교량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감쇠부(130)는 중량체(120a, 120b)에 3 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량체(120a, 120b)는 교량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나, 교량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교량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교량의 중앙부에 중량체(120a, 120b) 및 감쇠부(1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3,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가 적용된 교량에서, 진동 저감 장치(100)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교량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이 경우, 감쇠부(140)는 중량체(120a, 120b)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감쇠효율, 교량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감쇠부(140)는 중량체(120a, 120b)에 3 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d와 같이, 강관부(110)의 소정의 위치에서 인접한 강관부(110) 내부의 감쇠부(130, 140) 및 중량체(120a, 12b)는 서로 상이한 배치를 가질 수 있으나, 동일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교량에 진동이 가해지지 않은 상황으로, 사람이나 차량에 의해 교량에 진동이 가해지기 직전이나, 교량에 지진이 가해지지 않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5b와 같이, 교량에 중력방향의 진동하중이 가해질 경우, 즉 강관부(110)에 중력 방향이 진동하중의 작용이 있을 경우, 중량체(120a, 120b)는 반작용으로서 중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진동하중을 흡수하고,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교량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도 5c와 같이, 교량에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의 진동하중이 가해질 경우, 즉 강관부(110)에 중력 반대방향의 진동하중의 작용이 있을 경우, 중량체(120a, 120b)는 반작용으로서 중력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진동하중을 흡수하고,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교량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감쇠부(130)는 중량체(120a, 120b)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도록 신축하면서 교량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미도시하였으나, 교량의 폭방향이나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진동하중의 작용이 있을 경우, 중량체(120a, 120b)는 반작용으로서 진동하중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교량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에 진동이나 지진이 발생할 경우, 모든 방향에 대해 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안전 및 교량의 안전을 확보하며, 교량 자체에 설치되므로 공사비가 저감됨은 물론 진동 저감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진동 저감 장치
110: 강관부
120a, 120b: 중량체
130, 140: 감쇠부

Claims (16)

  1.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면에 다수 개의 제1 돌출부가 배치된 강관부;
    상기 강관부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강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제2 돌출부가 배치된 중량체;
    상기 강관부와 상기 중량체를 연결하는 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4개의 상기 제2 돌출부, 및 4개의 상기 제2 돌출부와 일대일로 대향하는 4개의 상기 제1 돌출부가 돌출부 세트를 이루며,
    상기 감쇠부는 상기 돌출부 세트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하나씩 연결되어, 4개가 상기 중량체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강관부는 상기 교량의 폭방향과 나란한 횡축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상기 강관부끼리 연결부로 연결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강관부에 배치된 4개의 상기 감쇠부는 상기 횡축 및 이에 수직인 종축을 따라 "+"자 형태로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 이상의 상기 강관부에 배치된 4개의 상기 감쇠부는 각각 상기 횡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자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강관부는 중공형으로, 상기 교량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중량체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강관부의 중심축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적어도 상기 강관부의 양 단부 각각에 인접하여 하나씩 배치되고,
    4개의 상기 감쇠부로 이루어진 감쇠부 세트는 상기 중량체의 양 단부 각각에 인접 배치되는 진동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부;
    상기 스프링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고리; 및
    상기 스프링부의 타단과 상기 제1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에 교축방향으로의 진동 발생 시,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상기 제2 연결고리는 상기 중량체가 상기 강관부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감쇠운동을 허용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에 진동 발생 시, 상기 중량체는 상기 교량의 진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교량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유압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댐퍼;
    상기 댐퍼의 일단과 상기 제2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고리; 및
    상기 댐퍼의 타단과 상기 제1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충전강관 콘크리트 기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자 형태로 배치된 4개의 상기 감쇠부 각각이 기울어진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는 강관 또는 강관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 장치.
  16. 제1항 내지 제9항,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포함하는 교량.
KR1020180015378A 2018-02-08 2018-02-08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KR10194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78A KR101945328B1 (ko) 2018-02-08 2018-02-08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78A KR101945328B1 (ko) 2018-02-08 2018-02-08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328B1 true KR101945328B1 (ko) 2019-02-07

Family

ID=6536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378A KR101945328B1 (ko) 2018-02-08 2018-02-08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3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2452A (ja) * 2006-09-28 2008-04-10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制振装置並びに制振性に優れた道路橋及び歩道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2452A (ja) * 2006-09-28 2008-04-10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制振装置並びに制振性に優れた道路橋及び歩道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2831A1 (en) Damper and damper system for damp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between a tensioned cable and a support structure
JP2015086694A (ja) 土木構造物の懸架システムのケーブルにおける振動を減衰させる装置
JP2017150179A (ja) 減振構造を有する柱梁構造
KR101166258B1 (ko) 건설구조물의 진동제어장치
JP6472598B2 (ja) 制震装置
JP2014194116A (ja) 建物の制振構造
KR101945328B1 (ko)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JP2020012280A (ja) ラーメン高架橋の防振構造
JP6345501B2 (ja) 鉛直方向免震構造
KR101164982B1 (ko) 구조물의 제진 락업 장치
JP2019090211A (ja) 防振床構造
JP2000136651A (ja) 構造物の連結制振装置
JP5191529B2 (ja) 振動抑制装置
JP2013253473A (ja) 制震構造物
JP6306416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JP6756441B2 (ja) 制振装置、及び構造物の制振構造
RU2662353C1 (ru)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каркасного типа
KR101393696B1 (ko)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JP5252227B2 (ja) 免震システム
JP2011169026A (ja) 床構造
CN111622368A (zh) 低频质量调谐减振器
KR200358918Y1 (ko) 겹침식 스프링 구조를 이용한 내진 건설용 보강구
JP2009144473A (ja) 橋梁制振装置および高架橋
JP4709041B2 (ja) 制振装置
JP7370199B2 (ja) 制振補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